KR102044448B1 -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448B1
KR102044448B1 KR1020197018141A KR20197018141A KR102044448B1 KR 102044448 B1 KR102044448 B1 KR 102044448B1 KR 1020197018141 A KR1020197018141 A KR 1020197018141A KR 20197018141 A KR20197018141 A KR 20197018141A KR 102044448 B1 KR102044448 B1 KR 102044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display
accepting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480A (ko
Inventor
고지 니시우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046Display status of edited program segments: inserted, deleted, replac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44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OI operator inte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5Pl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15078Modules, construction of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58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labview

Abstract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25)와,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의 내용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축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20)를 구비하고, 표시 제어부는 조작 접수부가 미리 정해진 특정의 조작을 접수하면,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닛의 사양을 도형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유닛 사양 화상을, 유닛을 나타내는 화상인 유닛 화상과 관련지어 표시부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
본 발명은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축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이하, PLC라고 칭함) 시스템은, 복수의 유닛을 조합하여 구축된다. 즉, PLC 시스템의 유저는, 복수 종류의 유닛 중에서 필요한 유닛을 선택하고, 선택한 복수의 유닛을 조합하여 PLC 시스템을 구축한다. 특허 문헌 1에는, PLC 시스템의 구축 작업을 지원하는 PLC 시스템 구축 지원 툴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PLC 시스템 구축 지원 툴은, 유저에 의해 유닛이 선택될 때마다,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폭, 중량 및 소비 전류와 같은 스펙의 합계치를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PLC 시스템 구축 지원 툴은, 또,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을 박스 도형으로 표시함과 아울러, 각 유닛의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2-108421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유닛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유닛을 같은 박스 도형으로 표시하여, 각 박스 도형 안에 유닛의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표시한다. 그 때문에, 각 유닛의 종류를 알기 위해서는, 유닛을 본뜬 각 박스 도형 내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유닛의 수가 증가하면 각 유닛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다른 기기와의 통신이 불필요해졌을 경우에, 그 통신 기능을 가지는 유닛을 삭제하고 싶어도 삭제해야 할 유닛을 찾아내기까지 시간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있다.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닛에는, 입력 유닛, 출력 유닛, 타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유닛, 각 유닛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유닛, 각 유닛에 전원 공급을 행하는 전원 유닛 등, 많은 종류가 있다. 또, 입력 유닛에도 여러 종류가 존재하고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유닛,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유닛이 있다. 또한, 동시에 취급할 수 있는 신호수가 상이한 입력 유닛 및 출력 유닛도 존재한다. 이들 다양한 종류의 유닛의 정보를 문자 정보로 표시하면 정보량이 많아져, 유저가 문자 정보로부터 각 유닛의 차이를 확인하는 작업의 부하가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유저가 용이하게 파악 가능한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와,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의 내용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축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 표시 제어부는 조작 접수부가 미리 정해진 특정의 조작을 접수하면,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닛의 사양을 도형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유닛 사양 화상을, 유닛을 나타내는 화상인 유닛 화상과 관련지어 표시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는, 복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유저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를 실현 가능한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가 표시부에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의 사양 정보 유지부가 유지하고 있는 각종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양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가 표시부에 유닛 일람 표시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가 PLC 시스템 편집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가 유닛 사양 화상의 하나를 지정하는 조작을 유저로부터 접수했을 경우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가 유지하는 사양 정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가, 유닛 사양 화상의 위에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하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사양의 설명 표시를 행하는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양이란,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인 유닛이 취급하는 신호의 종류, 유닛이 취급하는 신호의 방향, 유닛이 동시에 취급할 수 있는 신호의 수, 유닛이 다른 유닛에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의 용량, 및 유닛이 동작할 때 생기는 전류의 양(이하, 「유닛의 소비 전류」라고 칭함)을 가리킨다. 신호의 종류는, ON 또는 OFF의 상태가 이어지는 디지털 신호, 아날로그 신호, 펄스 신호, 및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 중 어느 것을 나타내고, 신호의 방향은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 중 어느 것을 나타낸다. 덧붙여, 상기의 각 사양은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이용하는 사양을 열거한 것이지만,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가 취급할 수 있는 사양의 종류를 이것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표시부(1), 제어부(2) 및 데이터 유지부(3)를 구비한다.
표시부(1)는 제어부(2)의 지시에 따라, 유저가 PLC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1)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닛 일람 표시(11) 및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이다. 유닛 일람 표시(11) 및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 이외의 다른 화면도 표시부(1)에 적당히 표시된다.
제어부(2)는 유닛 일람 생성부(21), 연계 화상 생성부(22), 유닛 검색부(23), 유닛 사양 검색부(24) 및 조작 접수부(25)를 구비한다. 유닛 일람 생성부(21)는, 데이터 유지부(3)에서 유지되고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닛 일람 표시(11)로서 표시하는 화면의 생성을 행하고, 생성한 화면을 표시부(1)에 표시한다. 연계 화상 생성부(22)는 데이터 유지부(3)에서 유지되고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에 있어서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과 관련지어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사용하여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로서 표시하는 화면의 생성을 행한다. 연계 화상 생성부(22)는 생성한 화면을 표시부(1)에 표시한다. 유닛 검색부(23)는 데이터 유지부(3)가 유지하고 있는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 처리를 실행하여, 유닛 일람 표시(11) 및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를 생성할 때 필요한, 유닛을 나타내는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유닛 사양 검색부(24)는, 데이터 유지부(3)가 유지하고 있는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 처리를 실행하여, 유닛 일람 표시(11) 및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를 생성할 때 필요한 유닛의 사양의 정보를 취득한다. 조작 접수부(25)는 유저에 의한 조작을 접수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어부(2)에 있어서는, 조작 접수부(25)가, 미리 정해진 특정의 조작을 접수하면, 유닛 일람 생성부(21) 및 연계 화상 생성부(22)가 상술한 동작을 실행하여 유닛 일람 표시(11) 및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를 표시부(1)에 표시한다. 미리 정해진 특정의 조작은, PLC 시스템의 편집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이며, 예를 들면, 표시부(1)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에 있어서, PLC 시스템의 신규 구축을 선택하는 조작, 구축 완료된 PLC 시스템의 변경을 선택하는 조작, 등이 해당한다. 여기서, 유닛 일람 표시(11) 및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는, 유저에 의한 PLC 시스템의 구축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이다. 유닛 일람 생성부(21) 및 연계 화상 생성부(22)는, 조작 접수부(25)가 접수한 조작에 기초하여, PLC 시스템의 구축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20)이다.
데이터 유지부(3)는 유닛 정보 유지부(31), 유닛 사양 정보 유지부(32) 및 사양 정보 유지부(33)를 구비한다. 유닛 정보 유지부(31)는 PLC 시스템의 구축에 이용할 수 있는 각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화상인 유닛 화상의 데이터(도 1에서는 화상 데이터라고 하고 있음)를, 각 유닛의 명칭인 모델명과 대응지어진 상태로 유지한다. 유닛 사양 정보 유지부(32)는, PLC 시스템의 구축에 이용할 수 있는 각 유닛의 사양의 정보를, 각 유닛의 모델명과 대응지어진 상태로 유지한다. 유닛의 사양의 정보는 「사양명」 및 「수치」이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사양명 「Input」은 디지털 입력을 나타내고, 「Input」과 대응지어져 있는 「수치」는 유닛이 취급할 수 있는 신호의 수를 의미한다. 사양명 「Consumption」은 유닛의 소비 전류를 의미한다. 사양 정보 유지부(33)는 각 사양을 나타내는 화상인 사양 화상의 데이터(도 1에서는 화상 데이터로 하고 있다)를, 사양명과 대응지어진 상태로 유지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를 실현 가능한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하드웨어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이며,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표시 장치(103) 및 입력 장치(104)를 구비한다. 프로세서(101)는 CPU이며,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DSP(Digital Signal Processor)라고도 불린다. 메모리(10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쉬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등록상표)(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이다. 표시 장치(103)는 액정 모니터, 디스플레이 등이다. 입력 장치(104)는 키보드, 마우스 등이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의 표시부(1)는 표시 장치(103)로 실현된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의 제어부(2)는,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2)에 의해 실현된다. 즉, 제어부(2)의 유닛 일람 생성부(21), 연계 화상 생성부(22), 유닛 검색부(23), 유닛 사양 검색부(24) 및 조작 접수부(25)는, 이들 각부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메모리(102)가 유지해 두고, 이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01)가 메모리(102)로부터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의 데이터 유지부(3)는, 메모리(102)에 의해 실현된다. 덧붙여, 입력 장치(104)는, 유저가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에 대해서 각종의 조작을 행할 때 사용된다. 유저가 입력 장치(104)를 사용하여 행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에 대한 조작은, 제어부(2)의 조작 접수부(25)가 접수한다.
다음에,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 도 3~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가 표시부(1)에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닛의 추가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지면, 도 3에 따른 동작을 개시한다. 유저는, PLC 시스템에 유닛을 추가하는 경우, 유닛 일람 표시(11)에 기재되어 있는 유닛 중에서 추가할 유닛을 선택하고, 선택한 유닛을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 내의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배치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유닛 일람 표시(11)의 특정의 행을 마우스로 지정함으로써 추가할 유닛을 선택하고, 선택한 유닛을 드래그·앤드·드롭에 의해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배치한다. 이것에 따라서,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도 3에 따른 동작을 개시한다.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유닛을 배치하는 조작, 즉 유닛의 추가 조작이 행해지면, 제어부(2)는 추가된 유닛을 나타내는 유닛 화상(14)과, 추가된 유닛의 사양을 나타내는 유닛 사양 화상(15)을 조합한 화상을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 유지부(3)로부터 취득한다. 이 처리는, 도 3의 스텝 S1~S3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어부(2)의 유닛 검색부(23)가, 유저가 선택한 유닛(여기에서는 일례로서 「AAA-8BB/CC」가 선택된 것으로 함)의 모델명을 키로 하여, 유닛 정보 유지부(31) 내의 검색을 행하여, AAA-8BB/CC의 유닛을 본뜬 유닛 화상의 데이터(「AAA-8BB/CC」이면 「Input. bmp」)를 취득한다(스텝 S1).
다음에, 유닛 사양 검색부(24)가, 유저가 선택한 유닛의 사양을 취득한다(스텝 S2). 이 스텝 S2에 있어서, 유닛 사양 검색부(24)는, 유저가 선택한 상기 유닛의 모델명(AAA-8BB/CC)을 키로 하여, 유닛 사양 정보 유지부(32) 내의 검색을 행하여, 유닛의 모델명 AAA-8BB/CC와 대응지어져 있는 사양명 및 그 사양의 수치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닛 사양 검색부(24)는 AAA-8BB/CC와 대응지어져 있는 「Input」 및 「8」과, 「Consumption」 및 「75」를 취득한다.
다음에, 제어부(2)는 스텝 S3에 나타낸 처리를, 취득한 사양 리스트수만큼, 즉, 스텝 S2에서 취득한, 사양명 및 그 사양의 수치로 이루어지는 리스트의 수만큼 반복한다.
AAA-8BB/CC의 유닛인 경우, 「Input」 및 「8」, 「Consumption」 및 「75」의 2개가 스텝 S2에서 취득되기 때문에, 제어부(2)는 스텝 S3의 처리를 2회 반복한다.
스텝 S3에서는, 유닛 사양 검색부(24)가, 스텝 S2에서 취득한 사양명 중 하나를 키로 하여, 사양 정보 유지부(33) 내의 검색을 행하여, 사양명과 대응하는 사양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유닛 사양 검색부(24)는 검색 키가 「Input」인 경우는 「Input. ico」를 취득한다. 스텝 S2에서 「Input」 및 「8」, 「Consumption」 및 「75」의 2개가 취득되었을 경우, 유닛 사양 검색부(24)는 1회째의 스텝 S3에서 사양 「Input」에 대응하는 사양 화상 「Input. ico」를 취득하고, 2회째의 스텝 S3에서 사양 「Consumption」에 대응하는 사양 화상 「Consum. ico」를 취득한다.
다음에, 제어부(2)는 스텝 S1에서 취득한 데이터가 나타내는 유닛 화상과 스텝 S3에서 취득한 각 데이터가 나타내는 각 사양 화상을 합성하여 표시용의 화상을 생성하고(스텝 S4), 생성한 화상을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의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표시한다(스텝 S5). 스텝 S4에 있어서, 제어부(2)는, 먼저, 스텝 S3에서 취득한 데이터 및 스텝 S2에서 취득한 사양의 수치에 기초하여, 유닛 사양 화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는, 사양의 수치를 화상화하고, 이것을 스텝 S3에서 취득한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양 화상과 합성함으로써 유닛 사양 화상을 생성한다. 제어부(2)는, 다음에, 생성한 유닛 사양 화상을 유닛 화상과 합성하여 표시용의 화상을 생성한다. 유저에 의해 선택된 유닛이 AAA-8BB/CC인 경우, 제어부(2)는, 도 1에 나타낸 유닛 사양 화상(15)을 생성하고, 이것을 유닛 화상(14)과 합성함으로써 표시용의 화상을 생성한다. 이들 스텝 S4 및 S5의 처리는, 연계 화상 생성부(22)가 행한다. 연계 화상 생성부(22)는, 스텝 S5에서는, 상기의 유저 조작(드래그·앤드·드롭 등을 사용한 조작)에 의해 지정된 위치, 또는, 지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위치에 화상을 표시한다.
이상에 기술한 방법에 의해,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유저에 의해 선택된 유닛을 나타내는 유닛 화상(14)과 유닛 사양 화상(15)을 조합한 화상인 연계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에는 유닛 화상(14)의 위에 유닛 사양 화상(15)을 겹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밖에, 유닛 화상(14)의 아래에 유닛 사양 화상(15)을 늘어놓는 등, 인접하는 형태로 표시해도 된다. 유닛 화상(14)과 유닛 사양 화상(15)이 관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 형태로의 표시이면 어떠한 표시 형식이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유닛에서는, 샘플링 간격의 설정 등을 할 수 있는 설정 화면을 별도 준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 내의 유닛 사양 화상(15)(이 예에서는 디지털 입력을 나타내는 화상이 됨)을 더블 클릭하는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졌을 경우에, 샘플링 간격의 설정 화면으로 천이하도록 해도 된다.
도 4는 사양 정보 유지부(33)가 유지하고 있는 각종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양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양 정보 유지부(33)는, 도 4에 나타낸 각종 사양 화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유지한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도 4에 나타낸 사양 화상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조합하여 도 1에 나타낸 유닛 사양 화상(15)을 생성하여, 하나의 유닛 화상과 관련지어,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하나의 유닛의 사양을 화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결과, 유저는 유닛 화상과 대응지어진 사양 화상으로부터 유닛의 사양을 직감적으로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서는 번호 01~09의 9개의 사양 화상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들 이외의 사양 화상의 데이터를 사양 정보 유지부(33)가 유지해도 된다. 또, 사양 화상의 내용은, 유닛의 사양을 화상으로부터 아는 것이 가능하면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또, 이들 각 사양 화상을 규격 등에 의해서 정해 두고, 정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격 등으로 정해져 있는 화상이면, 기능을 사용하는 유저에 상관없이, 유닛의 사양을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 상에서 파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양 정보 유지부(33)가 유지하고 있는 각종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양 화상과 같은 화상을 유닛 일람 표시(11)에 표시해도 된다. 즉, 사양을 화상으로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닛 일람 표시(11)에 기재되어 있는 유닛의 사양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저가 바라는 사양의 유닛을 유닛 일람 표시(11)에 기재되어 있는 유닛 중에서 찾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것에 의해, PLC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작업인 PLC 시스템 편집 작업에 관련되는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가 표시부(1)에 유닛 일람 표시(11)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PLC 시스템의 구축을 개시하는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지면, 도 5에 따른 동작을 개시한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가 표시부(1)에 유닛 일람 표시(11)를 표시하는 경우, 먼저, 제어부(2)의 유닛 일람 생성부(21)가, 유닛 검색부(23)에 대해서, PLC 시스템의 구축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유닛의 모델명의 정보를 요구하고, 유닛 검색부(23)가, 유닛 정보 유지부(31) 내에 존재하는 모든 유닛의 모델명의 일람인 유닛 모델명 일람을 취득한다(스텝 S11).
다음에, 제어부(2)는, 스텝 S12~S14에 나타낸 처리를, 취득한 유닛수만큼, 즉, 스텝 S11에서 취득한 유닛 모델명 일람에 포함되는 유닛의 모델명만큼 반복한다.
스텝 S12에서는, 유닛 사양 검색부(24)가, 스텝 S11에서 취득한 유닛 모델명 일람 중의 하나의 유닛의 모델명을 선택하고, 이것을 키로 하여 유닛 사양 정보 유지부(32) 내의 검색을 행하여, 키로 한 유닛의 모델명에 대응하는 사양명 및 그 사양의 수치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이 스텝 S12의 처리는, 상술한 도 3의 스텝 S2와 같은 처리이다. 반복 실행하는 스텝 S12에 있어서, 유닛 사양 검색부(24)는, 검색 키로서 유닛의 모델명을 선택할 때, 과거에 선택했던 적이 없는 유닛의 모델명을 선택한다.
스텝 S12에 이어서 실행하는 스텝 S13에 있어서, 제어부(2)는, 스텝 S131 및 S132에 나타낸 처리를, 취득한 사양 리스트수만큼, 즉, 스텝 S12에서 취득한, 사양명 및 그 사양의 수치로 이루어지는 리스트의 수만큼 반복한다.
스텝 S131에서는, 유닛 사양 검색부(24)가, 스텝 S12에서 취득한 사양명 중 하나를 키로 하여, 사양 정보 유지부(33) 내의 검색을 행하여, 사양명과 대응하는 사양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스텝 S131의 처리는, 상술한 도 3의 스텝 S3과 같은 처리이다.
다음의 스텝 S132에서는, 유닛 사양 검색부(24)가, 스텝 S131에서 취득한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양 화상과, 스텝 S12에서 취득한 사양의 「수치」 중, 스텝 S131에서 키로 한 사양명에 대응하는 사양의 「수치」를 화상화한 것을 합성하여, 유닛 일람 표시(11)에 표시할 화상을 생성한다(스텝 S132). 반복 실행하는 스텝 S131에 있어서, 유닛 사양 검색부(24)는, 검색 키로서 사양명을 선택할 때, 과거에 선택했던 적이 없는 사양명을 선택한다.
스텝 S14에서는, 유닛 일람 생성부(21)가, 스텝 S11에서 취득한 유닛 모델명 일람과, 스텝 S132에서의 합성 처리에서 생성된 화상을 이용하여, 유닛 일람 표시에 포함되는 하나의 항목인 유닛 일람 항목을 생성한다. 유닛 일람 항목은, 도 1에 나타낸 유닛 일람 표시(11)의 하나의 행에 표시되는 모델명 및 사양이다.
스텝 S12~S14에 나타낸 반복 처리가 종료되면, 유닛 일람 생성부(21)가, 반복 실행한 스텝 S14에서 생성한 복수의 유닛 일람 항목을 늘어놓음으로써, 유닛 일람을 생성하여 유닛 일람 표시(11)로서 표시한다(스텝 S15).
이상에 기술한 방법으로, 유닛 일람 표시(11) 및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에 유닛의 사양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같은 사양의 유닛을 유저가 찾는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각 유닛의 사양 화상을 표시할지 비표시로 할지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즉,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유저가 기호에 맞춰 표시 형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하기 쉬운 환경을 유저에게 제공한다.
도 6은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가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표시예는, 유저에 의해 7개의 유닛이 선택되고,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 내에 배치됨으로써, 유닛 화상(51~57)이 유닛 사양 화상과 함께 표시되는 경우의 예이다. 구체적으로는, 유닛 화상(51)에 겹치는 형태로 유닛 사양 화상(511)이 표시되고, 유닛 화상(52)에 겹치는 형태로 유닛 사양 화상(521)이 표시되고, 유닛 화상(53)에 겹치는 형태로 유닛 사양 화상(531)이 표시된다. 또, 유닛 화상(54)에 겹치는 형태로 유닛 사양 화상(541)이 표시되고, 유닛 화상(55)에 겹치는 형태로 유닛 사양 화상(551)이 표시되고, 유닛 화상(56)에 겹치는 형태로 유닛 사양 화상(561)이 표시되고, 유닛 화상(57)에 겹치는 형태로 유닛 사양 화상(571)이 표시된다. 도 6에서는, 설명을 위해서, 유닛 화상(52)과 대응지어져 있는 유닛 사양 화상(521)을 확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예의 유닛 사양 화상(521)은, 유닛 화상(52)으로 나타내지는 유닛이, 아날로그 신호 입력 단자를 4개 구비하고, 소비 전류가 200mA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닛 사양 화상(521)은 유닛 화상(52)으로 나타내지는 유닛의 사양을 도형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다른 유닛과 대응지어져 있는 유닛 사양 화상도 마찬가지이다. 그 때문에,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유닛 사양 화상이 나타내는 도형으로부터 직감적으로 유닛의 사양을 유저에게 상기시킬 수 있어, 유저는 각 유닛의 사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유닛 화상(51~57)은 대응하는 유닛의 종류가 시각에 의해 판별될 수 있도록, 유닛을 본뜬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유닛 화상으로부터 유닛의 종류를 유저에게 용이하게 파악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닛의 사양을 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예를 들면,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표시 중인 유닛 사양 화상 중 하나를 지정하는 조작을 유저가 행했을 경우, 지정된 유닛 사양 화상에 대응한 사양의 설명 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유저는, 예를 들면, 유닛 사양 화상의 위에 마우스 포인터를 갖다대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유닛 사양 화상의 지정을 행한다. 즉,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유닛 사양 화상의 위에 마우스 포인터를 갖다대는 조작을 유저가 행했을 경우에, 마우스 포인터가 지시하는 유닛 사양 화상에 대응한 사양의 설명 표시를 행한다. 이 때의 화면 표시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은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가 유닛 사양 화상의 하나를 지정하는 조작을 유저로부터 접수했을 경우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마우스 포인터(41)가 유닛 사양 화상의 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면, 마우스 포인터(41)가 지시하는 유닛 사양 화상에 대응하는 사양 설명 표시(42)를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표시한다. 이 경우, 도 1에 나타낸 사양 정보 유지부(33)는, 도 8에 나타낸 구성의 사양 정보를 유지한다. 도 8은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가 유지하는 사양 정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사양 정보는, 도 1에 나타낸 「사양명」 및 「화상 데이터」에 더하여, 「사양 설명」 및 「단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양 설명」은 「사양명」이 나타내는 사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이다. 「단위」는 유닛 사양 정보 유지부(32)가 유지하고 있는 정보 중의 사양의 「수치」의 단위이다.
도 9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가, 유닛 사양 화상의 위에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하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사양의 설명 표시를 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의 제어부(2)는,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 내에 표시하고 있는 유닛 사양 화상의 위에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유닛 사양 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사양 화상의 사양명을 키로 하여 사양 정보 유지부(33)를 검색하여, 사양 설명 및 단위를 사양의 설명 데이터로서 취득한다(스텝 S21). 제어부(2)는, 다음에, 취득한 설명 데이터와,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양 화상의 사양명과 대응지어져 있는 「수치」에 기초하여, 도 7에 나타낸 사양 설명 표시(42)를 생성하여, 표시한다(스텝 S22). 스텝 S21 및 S22의 처리는 연계 화상 생성부(22)가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닛 사양 화상이 나타내는 사양을 모르게 되었을 경우도, 사양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덧붙여, 유닛 사양 화상이 하나의 사양 화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즉, 사양 정보 유지부(33)에서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유닛 사양 화상이 생성되어 있는 경우의 예를 설명했지만, 유닛 사양 화상이 복수의 사양 화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의 사양 화상을 대상으로 하여 사양 설명 표시를 행해도 되고, 유닛 사양 화상을 구성하는 모든 사양 화상을 대상으로 하여 사양 설명 표시를 행해도 된다.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유닛 사양 화상이 복수의 사양 화상으로 구성되고, 모든 사양 화상을 대상으로 하여 사양 설명 표시를 행하는 경우, 제어부(2)는, 상기의 스텝 S21에 있어서, 유닛 사양 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사양 화상의 각각의 사양명을 키로 하여 사양 정보 유지부(33)를 반복 검색하여, 각 사양명에 대응하는 설명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2)는, 상기의 스텝 S22에 있어서, 복수의 설명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양 설명 표시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PLC 시스템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각 유닛을 나타내는 유닛 화상의 데이터와, 각 유닛의 사양을 나타내는 사양 화상의 데이터를 유지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유닛에 대응하는 유닛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선택된 유닛의 사양을 나타내는 사양 화상을 대응지어 표시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유닛 화상에 대응하는 유닛의 사양을, 사양 화상을 이용하여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유저는 사양 화상으로부터, 유닛의 사양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유저가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가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를 사용하여, 유닛 일람 표시(11)에 표시되어 있는 유닛 중에서 유닛을 선택하여, PLC 시스템에 추가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과거에 구축 완료된 PLC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기능, 과거에 구축 완료된 PLC 시스템의 데이터를 유용하여 PLC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는 기능 등을 가진다. 이들 기능을 유저가 사용하는 경우도,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과거에 구축 완료된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을 나타내는 유닛 화상과, 각 유닛의 사양을 나타내는 유닛 사양 화상을 대응지어, PLC 시스템 편집 영역(13)에 표시한다. 이 경우,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100)는 과거에 구축 완료된 PLC 시스템의 데이터를 유용하는 기능의 사용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을 접수하면, 도 1에 나타낸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12)와 같은 표시를 표시부(1)에 표시한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PLC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유닛을 대상으로 하여, 유닛을 본뜬 화상인 유닛 화상에 유닛 사양 화상을 대응지어 표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일부의 유닛을 대상으로 하여 유닛 사양 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유닛 및 CPU 유닛과 같은, 유닛의 사양을 유닛 화상으로부터 용이하게 상기(想起) 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유닛 사양 화상을 유닛 화상에 대응지어 표시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PLC 시스템의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의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이면, 구축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터, 앰프,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되는 서보 시스템의 구축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를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모터, 앰프, 컨트롤러 등이 상기의 유닛에 상당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표시부 2: 제어부
3: 데이터 유지부 11: 유닛 일람 표시
12: PLC 시스템 편집 화면 표시 13: PLC 시스템 편집 영역
14, 51~57: 유닛 화상
15, 511, 521, 531, 541, 551, 561, 571: 유닛 사양 화상
20: 표시 제어부 21: 유닛 일람 생성부
22: 연계 화상 생성부 23: 유닛 검색부
24: 유닛 사양 검색부 25: 조작 접수부
31: 유닛 정보 유지부 32: 유닛 사양 정보 유지부
33: 사양 정보 유지부 41: 마우스 포인터
42: 사양 설명 표시 100: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Claims (14)

  1.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와,
    상기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의 내용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축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 접수부가 미리 정해진 특정의 조작을 접수하면,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닛의 사양을 도형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유닛 사양 화상을, 상기 유닛을 나타내는 화상인 유닛 화상과 관련지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유닛 사양 화상을, 상기 유닛 화상과 겹친 상태로, 또는, 상기 유닛 화상에 인접한 상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 중인 상기 유닛 사양 화상을 지정하는 조작을 상기 조작 접수부가 접수하면, 상기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으로 지정된 유닛 사양 화상이 나타내는 상기 사양의 내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닛 사양 화상이 나타내는 상기 사양은, 상기 유닛이 취급하는 신호의 종류 및 신호의 방향과, 상기 유닛이 취급할 수 있는 신호의 수와, 상기 유닛이 다른 유닛에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의 용량과, 상기 유닛의 소비 전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상기 유닛 화상을 유지하는 유닛 정보 유지부와,
    상기 유닛의 사양의 하나를 나타내는 사양 화상을 복수 종류 유지하는 사양 정보 유지부와,
    유저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와.,
    상기 유닛을 선택하는 조작인 유닛 선택 조작을 상기 조작 접수부가 접수했을 경우에, 당해 유닛 선택 조작으로 선택된 유닛을 나타내는 유닛 화상을 상기 유닛 정보 유지부로부터 취득하는 유닛 검색부와,
    상기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상기 유닛 선택 조작으로 선택된 유닛의 사양에 대응하는 사양 화상을 상기 사양 정보 유지부로부터 취득하는 유닛 사양 검색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유닛 사양 검색부가 취득한 사양 화상을 합성하여 상기 유닛 사양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유닛 사양 화상과 상기 유닛 검색부가 취득한 유닛 화상을 합성하여 상기 구축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 접수부가 상기 유닛 선택 조작을 접수할 때, 선택 가능한 각 유닛을, 상기 유닛 사양 화상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일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7.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축 작업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가 실행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의 구축 작업의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닛의 사양을 도형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유닛 사양 화상을, 상기 유닛을 나타내는 화상인 유닛 화상과 관련지어 표시부에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 중인 상기 유닛 사양 화상을 지정하는 조작인 화상 지정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과,
    접수한 상기 화상 지정 조작으로 지정된 유닛 사양 화상이 나타내는 상기 사양의 내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닛을 선택하는 조작인 유닛 선택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과,
    접수한 상기 유닛 선택 조작으로 선택된 유닛을 나타내는 유닛 화상을, 복수 종류의 유닛 화상을 유지하는 유닛 정보 유지부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접수한 상기 유닛 선택 조작으로 선택된 유닛의 사양에 대응하는 사양 화상을, 유닛의 사양의 하나를 나타내는 사양 화상을 복수 종류 유지하는 사양 정보 유지부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한 상기 사양 화상을 합성하여 상기 유닛 사양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과,
    생성한 상기 유닛 사양 화상과 취득한 상기 유닛 화상을 합성하여 상기 구축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에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닛 선택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에서는, 선택 가능한 각 유닛을, 상기 유닛 사양 화상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일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11.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축 작업의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닛의 사양을 도형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유닛 사양 화상을, 상기 유닛을 나타내는 화상인 유닛 화상과 관련지어 표시부에 표시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 중인 상기 유닛 사양 화상을 지정하는 조작인 화상 지정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과,
    접수한 상기 화상 지정 조작으로 지정된 유닛 사양 화상이 나타내는 상기 사양의 내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스텝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유닛을 선택하는 조작인 유닛 선택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과,
    접수한 상기 유닛 선택 조작으로 선택된 유닛을 나타내는 유닛 화상을, 복수 종류의 유닛 화상을 유지하는 유닛 정보 유지부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접수한 상기 유닛 선택 조작으로 선택된 유닛의 사양에 대응하는 사양 화상을, 유닛의 사양의 하나를 나타내는 사양 화상을 복수 종류 유지하는 사양 정보 유지부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한 상기 사양 화상을 합성하여 상기 유닛 사양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과,
    생성한 상기 유닛 사양 화상과 취득한 상기 유닛 화상을 합성하여 상기 구축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에 표시하는 스텝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유닛 선택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에서는, 선택 가능한 각 유닛을, 상기 유닛 사양 화상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일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
KR1020197018141A 2018-04-06 2018-04-06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 KR102044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4758 WO2019193752A1 (ja) 2018-04-06 2018-04-06 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システム構築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構築支援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480A KR20190117480A (ko) 2019-10-16
KR102044448B1 true KR102044448B1 (ko) 2019-11-13

Family

ID=6502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141A KR102044448B1 (ko) 2018-04-06 2018-04-06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003986A1 (ko)
JP (1) JP6452922B1 (ko)
KR (1) KR102044448B1 (ko)
CN (1) CN110573976B (ko)
DE (1) DE112018000195T5 (ko)
TW (1) TWI700626B (ko)
WO (1) WO201919375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421A (ja) 2000-10-02 2002-04-10 Keyence Corp Plcシステム構築支援ツール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plc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開発支援ツール
JP2013137826A (ja) 2013-03-14 201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コンピュータをこの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14092178A1 (ja) 2012-12-14 2014-06-19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60680B1 (ko) 2014-03-18 2016-09-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796A (ja) * 1993-12-28 1995-08-04 Mazda Motor Corp 設備と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間の結線の設計方法及び装置
US6799080B1 (en) * 2003-06-12 2004-09-28 The Boc Group, Inc. Configurable PLC and SCADA-based control system
JP4857168B2 (ja) * 2007-04-05 2012-0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ルコンセプトを用いた設計方法、図面作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TW200910098A (en) * 2007-08-22 2009-03-01 Advantech Co Ltd I/O module system using graphic operation to configure and its method
JP5598762B2 (ja) * 2008-03-07 2014-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仮想マシンパッケージ生成システム、仮想マシンパッケージ生成方法および仮想マシンパッケージ生成プログラム
US20110126197A1 (en) * 2009-11-25 2011-05-26 Novel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ud and virtualized data centers in an intelligent workload management system
WO2013014740A1 (ja) * 2011-07-25 2013-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およびシステム構成図作成方法
DE112012005611B4 (de) * 2012-02-24 2016-01-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ystem-Architektur-Unterstützungswerkzeug
DE112012005615B4 (de) * 2012-03-19 2016-05-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equenzprogramm-Erzeugungsvorrichtung
WO2014132390A1 (ja) * 2013-02-28 2014-09-04 発紘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プログラム
WO2016098168A1 (ja) * 2014-12-15 2016-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ツールおよび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421A (ja) 2000-10-02 2002-04-10 Keyence Corp Plcシステム構築支援ツール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plc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開発支援ツール
WO2014092178A1 (ja) 2012-12-14 2014-06-19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37826A (ja) 2013-03-14 201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コンピュータをこの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660680B1 (ko) 2014-03-18 2016-09-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3752A1 (ja) 2019-10-10
US20210003986A1 (en) 2021-01-07
CN110573976B (zh) 2020-12-18
JPWO2019193752A1 (ja) 2020-04-30
TW201944227A (zh) 2019-11-16
DE112018000195T5 (de) 2019-12-05
CN110573976A (zh) 2019-12-13
TWI700626B (zh) 2020-08-01
JP6452922B1 (ja) 2019-01-16
KR20190117480A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8858B (zh) 記入設定裝置、記入設定方法以及記錄媒體
JP2008152799A (ja) 制御システム設定装置
JP2005327263A (ja) 制御システム設定装置
CN111610754B (zh) 画面制作装置和画面制作系统
WO2012096349A1 (ja) ネットワーク選定支援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選定支援装置
KR102044448B1 (ko) 시스템 구축 지원 장치, 시스템 구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구축 지원 프로그램
JP3251423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機器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機能ユニット
JP5788125B1 (ja) 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H10214171A (ja) 情報処理装置
JP2010244110A (ja) ソフトウエア設計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22469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設定支援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設定支援方法
TWI528267B (zh) 可程式顯示器用畫面資料編輯裝置
JP7039385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3969301B2 (ja) グラフ表示制御装置およびグラフ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2202841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3890917B2 (ja) 生産設備監視システム
JP200805948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S6330976A (ja) マクロコマンド編集方式
JP5188654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選定支援装置
JPH05189503A (ja) 角度寸法作成方法および装置
JPH05165623A (ja) 処理方法別ツールの指示装置および方法
JPH0816380A (ja) プログラム構築装置
JP2001331482A (ja) 組版装置、および組版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05151288A (ja) 円弧長寸法作成方法および装置
JPH05174084A (ja) 寸法編集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