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230B1 -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230B1
KR102031230B1 KR1020170174251A KR20170174251A KR102031230B1 KR 102031230 B1 KR102031230 B1 KR 102031230B1 KR 1020170174251 A KR1020170174251 A KR 1020170174251A KR 20170174251 A KR20170174251 A KR 20170174251A KR 102031230 B1 KR102031230 B1 KR 10203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chord
voice signal
microphone
corr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018A (ko
Inventor
양태식
Original Assignee
양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식 filed Critical 양태식
Priority to KR102017017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6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25Musical pitch modification

Abstract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 노래 반주기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정을 업(up) 또는 다운(down)하여 보정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음정이 보정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Karaoke player and pitch control method using the karaoke player}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 반주기란 기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노래 중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반주 데이터와 특정 화면, 예컨대 배경화면, 가사 등을 출력하는 기기로서, 이에 사용자가 TV에 표시 되는 가사를 보고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반주를 들으면서 마이크를 사용해 노래를 따라 부르게 된다.
한편, 기존에 노래 반주기에 유선 케이블로 마이크를 연결했던 것으로 인해 가창자가 노래를 부르면서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고, 듀엣 가창자들간의 마이크 케이블이 서로 꼬여 이를 푸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마이크 하단에 장착된 잭에 연결 된 유선 케이블의 선이 종종 단락되어져 가창자가 노래 부르기를 중단할 뿐더러 이를 수리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노래 반주기는 별도의 리모컨을 통해 노래 반주기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노래하는 도중 키를 업/다운 하거나 화음 등 노래 반주기의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리모컨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주를 제외한 음성 신호만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키로 음정을 조절할 수 있는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에 대해 화음을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노래 반주기의 음정 조절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b) 상기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정을 업(up) 또는 다운(down)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음정이 보정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기의 음정 조절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마이크의 버튼 조작 또는 상기 마이크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횟수에 따라 키 조절값을 포함하는 음정 조절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신호의 음정을 상기 키 조절값만큼 업 또는 다운하여 보정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이전에, 화음 모드를 포함하는 화음 추가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음 추가 명령에 포함된 상기 화음 모드에 따른 화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생성된 화음을 상기 음성 신호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음 추가 명령은 화음 구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화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음 구간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화음 모드에 따른 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이전에, 반주 데이터의 음정을 고려하여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의 음정을 추가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 반주 데이터는 음정 보정 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노래 반주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래 반주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정을 업(up) 또는 다운(down)하여 보정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음정이 보정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 또는 일 영역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음정 조절 명령은 키 설정값을 더 포함하되, 키 버튼의 눌림 또는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횟수에 따라 상기 키 설정값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화음 모드 및 화음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키 버튼을 더 구비하되,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마이크에 의해 선택된 화음 모드 및 화음 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화음을 더 생성하되,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의 키 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된 화음 모드에 따른 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성 신호의 음정을 보정시, 반주 데이터의 음정을 더 고려하여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반주를 제외한 음성 신호만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키로 음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에 대해 화음을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정 보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정 조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정 보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100)는 마이크(110), 스피커(115),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25), 신호 처리부(130), 메모리(135)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이크(110)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10)는 단순히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수단이 아니라 노래 반주기(100)로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10)는 음정 조절을 위한 키 값 설정, 화음 모드 및 화음 구간 선택을 위한 복수의 키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마이크(110)의 일정한 영역이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 횟수에 따라 음정 조절을 위한 키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10)의 일 부분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음정 키 업(up)에 따른 음정 조절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의 회전 횟수에 따라 키 업을 위한 키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으로 1회전하는 경우, 한 키가 업되도록 키 설정값을 포함하여 음정 조절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반면, 마이크(110)의 일부분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음정 키 다운(down)에 따른 음정 조절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방향으로의 회전 횟수에 따라 키 설정값이 설정될 수 있다.
스피커(115)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입력부(120)는 리모컨 또는 마이크(110)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아 신호 처리부(130) 또는 프로세서(14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5)는 노래 반주기(100)로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노래 반주기(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5)는 액정 화면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130)는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된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정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음정 조절 명령이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음정 조절 명령은 마이크 이외에도 리모컨을 통해서도 입력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30)는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키 업(up) 또는 키 다운(down)하여 프로세서(140) 또는 스피커(115)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키 업 또는 키 다운시 음정 조절 명령에 포함된 키 설정값에 따라 음성의 키 값을 업 또는 다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는 음성 신호의 음정을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조절(보정)함에 있어,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미디 데이터(MIDI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이어, 신호 처리부(130)는 미디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 신호의 음정을 음정 조절 명령에 포함된 키 설정값에 따라 각각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부(130)는 반주 데이터의 기준 음정을 기준으로 음성 신호의 음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는 음성 신호의 음정을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보정함에 있어, 반주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음성 신호의 음정을 보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주 데이터의 음정이 210과 같다고 가정하며,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의 키 값이 도 2의 215와 같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때, 마이크(110)로부터 2키 업에 따른 키 설정값을 포함하는 음정 조절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신호 처리부(130)는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키 값을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2키 업되도록 음정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30)는 기본적으로 음성 신호의 음정을 조절함에 있어 음정 조절 명령에 포함된 키 설정값에 따라 음성 신호의 음정을 조절(보정)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30)는 음성 조정 명령에 포함된 키 설정값에 따라 음성 신호를 보정시, 보정된 음성 신호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주 데이터(멜로디 데이터)의 음정과 일치하는데 특정 음에서 보정된 음성 신호가 반주 데이터의 음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호 처리부(130)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노래를 부르는 도중 음이탈이 발생했거나 사용자가 음치인 것으로 판단하여 보정된 음성 신호를 반주 데이터의 음정에 일치하도록 추가적인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의 제1 음과 제2 음의 경우 2 키 업에 따른 키 설정값에 따라 보정된 음성 신호의 음정이 반주 데이터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2의 제3 음 및 제4 음을 참조하면, 2키 업에 따른 키 설정값으로 보정된 음성 신호의 음정이 반주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신호 처리부(130)는 보정된 음성 신호의 음정을 반주 데이터의 음정에 일치하도록 추가적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주 데이터는 신호 처리 없이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 2키 업되도록 보정됨으로 노래 반주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흥을 돋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마이크(110)를 통해 키 업 또는 키 다운에 해당하는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함에 있어 노래 전체에 대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키를 모두 보정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구간에 대해서만 음정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래 반주 시작시에, 사용자가 마이크(110)를 조작하여 키 업 또는 키 다운에 따른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노래 반주기(100)는 노래(곡) 전체에 대해 마이크(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정을 음정 조절 명령에 포함된 키 설정값에 상응하여 키 업 또는 키 다운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노래를 부르는 도중 사용자가 마이크(110)를 조작하여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노래 반주기(100)는 일정 구간(예를 들어, 한 마디, 한 소절 등)에 음성 신호의 음정을 음정 조절 명령에 포함된 키 설정값에 상응하여 키 업 또는 키 다운시킬 수 있다.
물론, 다른 예를 들어, 음정 조절을 위한 구간 선택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마이크(110)에는 구간 선택을 위한 별도의 키 버튼 또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마이크(110)에 구간 선택을 위한 별도의 키 버튼 또는 스위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노래 반주기(100)는 해당 구간에 대해 음정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는 마이크(110)로부터 입력되는 화음 조절 명령에 따라 음성 신호에 상응하는 화음을 생성하여 스피커(115) 또는 프로세서(1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화음 조절 명령은 화음 모드 및 화음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부(130)는 화음 조절 명령에 포함된 화음 모드에 따른 화음을 생성하여 스피커(115) 또는 프로세서(140)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신호 처리부(130)는 화음 조절 명령에 포함된 화음 구간에 대해서만 화음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화음 모드는 예를 들어, 3도, 5도, high, low, high and low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정 조절 및 화음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및 이 과정에서 파생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마이크(110), 스피커(115),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25), 신호 처리부(130), 메모리(1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음정 조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310에서 노래 반주기(100)는 마이크(110)로부터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음정 조절 명령은 키 업 또는 키 다운 제어 명령 및 키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키 설정값은 현재 키를 기준으로 키 업 또는 키 다운할 키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10)에 구비된 키 업 버튼이 1회 눌리거나 제1 방향으로 1회전되는 경우, 키 설정값은 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10)에 구비된 키 다운 버튼이 1회 눌리거나 제2 방향으로 1회전 되는 경우, 키 설정값은 -1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단계 315에서 노래 반주기(100)는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정을 업(up) 또는 다운(down)하여 보정한다.
예를 들어, 노래 반주기(100)는 음정 조절 명령에 포함된 키 설정값에 따라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정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이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320에서 노래 반주기(100)는 음정이 보정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단계 325에서 노래 반주기(100)는 화음 추가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화음 추가 명령은 화음 모드 및 화음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방법에 따라 화음 구간은 화음 추가 명령과는 달리 별도의 제어 명령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만일 화음 추가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계 325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화음 추가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단계 330에서 노래 반주기(100)는 화음 추가 명령에 포함된 화음 모드에 따른 화음을 생성한다. 화음을 생성함에 있어, 노래 반주기(10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보정된 음성 신호)를 기준으로 해당 화음 모드에 따른 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노래 반주기(100)는 화음 구간에 대해서만 화음 모드에 따른 화음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335에서 노래 반주기(100)는 생성된 화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노래 반주기
110: 마이크
115: 스피커
120: 입력부
125: 디스플레이부
130: 신호 처리부
135: 메모리
140: 프로세서

Claims (13)

  1. (a)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인 미디 데이터(MIDI data)로 변환하는 단계;
    (b)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c) 상기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의 음정을 업(up) 또는 다운(down)하여 1차로 보정하는 단계;
    (d)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의 음정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의 반주 데이터의 음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의 음정이 상기 반주 데이터의 음정과 일치하도록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를 2차로 보정하는 단계;
    (e) 화음 모드 및 화음 구간을 포함하는 화음 추가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f) 상기 화음 추가 명령에 따라 상기 화음 구간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화음 모드에 따른 화음을 생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음정이 보정된 음성 신호와 상기 생성된 화음을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의 상기 반주 데이터는 음정 보정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의 음정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마이크의 버튼 조작 또는 상기 마이크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횟수에 따라 키 조절값을 포함하는 음정 조절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의 음정 조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의 음정을 상기 키 조절값만큼 업 또는 다운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의 음정 조절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제품.
  9. 노래 반주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인 미디 데이터(MIDI data)로 변환하고, 상기 음정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의 음정을 업(up) 또는 다운(down)하여 1차로 보정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음정이 보정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화음 모드 및 화음 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키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의 음정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의 반주 데이터의 음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의 음정이 상기 반주 데이터의 음정과 일치하도록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를 2차로 보정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마이크에 의해 선택된 화음 모드 및 화음 구간에 따른 화음을 더 생성하되,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의 키 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된 화음 모드에 따른 화음을 생성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보정된 음성 신호와 상기 화음을 함께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의 상기 반주 데이터를 음정 보정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 또는 일 영역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음정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정 조절 명령은 키 설정값을 더 포함하되,
    키 버튼의 눌림 또는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횟수에 따라 상기 키 설정값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174251A 2017-12-18 2017-12-18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 KR10203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251A KR102031230B1 (ko) 2017-12-18 2017-12-18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251A KR102031230B1 (ko) 2017-12-18 2017-12-18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018A KR20190073018A (ko) 2019-06-26
KR102031230B1 true KR102031230B1 (ko) 2019-10-11

Family

ID=6710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251A KR102031230B1 (ko) 2017-12-18 2017-12-18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434B1 (ko) * 1995-07-31 2000-12-01 우에시마 세이스케 생음성의 음역을 검출하여 하모니음성을 조절하는 가라오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1089A (ja) * 1995-03-03 1996-09-17 Brother Ind Ltd 音声発生装置
KR0162223B1 (ko) * 1995-07-08 1999-03-20 김광호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KR20080007957A (ko) * 2006-07-19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라오케 시스템에서의 출력 음성 보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434B1 (ko) * 1995-07-31 2000-12-01 우에시마 세이스케 생음성의 음역을 검출하여 하모니음성을 조절하는 가라오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018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60340A1 (ja) 歌唱音声の合成
JP2008145564A (ja) 自動編曲装置および自動編曲プログラム
KR102031230B1 (ko)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
JP6184296B2 (ja) カラオケのガイドボーカル生成装置及びガイドボーカル生成方法
JP6171393B2 (ja) 音響合成装置および音響合成方法
JP6583320B2 (ja) 自動伴奏装置、自動伴奏プログラムおよび伴奏データ生成方法
JP5018422B2 (ja) ハーモニー音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58504B2 (ja) カラオケ装置
JP6415341B2 (ja) ハーモニー歌唱のためのピッチシフト機能を備えた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7072231A (ja) ピッチ制御プログラム
JP5106437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6690165B2 (ja) 出力制御装置、電子楽器、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37827A (ja) 楽音発生装置
JP2005173256A (ja) カラオケ装置
JP6390094B2 (ja) 音響信号分析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音響信号分析制御装置
JP2019028407A (ja) ハーモニー教習装置、ハーモニー教習方法およびハーモニー教習プログラム
JP6643187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9244790A (ja) 歌唱指導機能を備えるカラオケシステム
JP4835434B2 (ja) 演奏パターン再生装置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46150B2 (ja) 電子音楽装置
JP2017032603A (ja) 楽音信号変換装置および楽音信号変換プログラム
JP6485955B2 (ja) 歌唱音声の放音遅延に対応したカラオケシステム
JP6654404B2 (ja) 音声補正方法、音声補正プログラム、音声補正装置および音声補正システム
JP5018421B2 (ja) ハーモニー音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527797A (ja) 音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