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223B1 -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 Google Patents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223B1
KR0162223B1 KR1019950020080A KR19950020080A KR0162223B1 KR 0162223 B1 KR0162223 B1 KR 0162223B1 KR 1019950020080 A KR1019950020080 A KR 1019950020080A KR 19950020080 A KR19950020080 A KR 19950020080A KR 0162223 B1 KR0162223 B1 KR 016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user
adjusting means
signal
accompan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846A (ko
Inventor
박영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223B1/ko
Publication of KR97000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반주 기기에서 반주음의 음정조절수단과 사용자 음성의 음정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정조절수단의 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종래의 반주음의 음정조절수단과 사용자 음성의 음정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상술한 두 수단으로 절환하는 절환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래반주 기기에서 연주되는 반주음과 사용자의 음성간 음정차이가 생기는 경우, 연주되는 반주음의 음정을 조절하거나 사용자 음성의 음정을 조절하는 수단을 사용자의 의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제1도는 종래의 반주음의 음정조절수단의 블럭도.
제2도는 종래의 사용자 음성의 음정조절수단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의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반주음의 음정조절수단 32 : 사용자 음성의 음정조절수단
33 : 혼합부 34 : 절환부
35 : 제어부 36 : 키입력부
본 발명은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주되는 반주음의 음정조절수단과 사용자 음성의 음정조절수단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래반주 기기에서는 음정의 차를 조절하기 위하여 반주음의 음정을 조절하는 장치만을 사용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음정을 조절하는 장치만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음정차이를 조절하였다.
제1도는 종래의 반주음의 음정조절장치의 블럭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키입력부(19)를 통하여 반주음과 사용자 음성간의 음정차를 줄이기 위한 키누름을 한다. 제어부(18)는 키입력부(19)를 통한 사용자의 키누름에 따른 음정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음정변환부(12)는 음정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주파수변환값을 발생한다.
한편, 반주음신호는 고역통과필터(10)와 제1저역통과필터(11)로 인가된다. 고역통과필터(10)는 반주음신호를 고역통과필터링한 후 제1혼합부(14)로 출력한다. 제1저역통과필터(11)는 반주음신호를 저역통과필터링하여 음정변환부(12)로 공급한다. 음정변환부(12)는 제1저역통과필터(11)로부터의 반주음신호를 음정제어신호에 따라 발생된 주파수변환값만큼 주파수변환한다. 제2저역통과필터(13)는 음정변환부(12)의 출력신호를 다시 필터링한다. 제1혼합부(14)는 고역통과필터(10)로부터의 반주음신호와 제2저역통과필터(13)로부터의 반주음신호를 혼합하여 제2혼합부(16)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2혼합부(16)는 제1혼합부(14)로부터의 반주음신호와 마이크로폰(15)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혼합한다. 사용자의 키누름에 따라 반주음의 음성과 마이크로폰(15)을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와의 음정차이가 조절된다.
제2도는 종래의 사용자 음성의 음정조절장치의 블럭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키입력부(28)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정을 변환시키기 위한 키누름을 한다. 제어부(27)는 키입력부(28)를 통한 사용자의 키누름에 따른 음정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음정변환부(24)는 음정제어신호를 공급받아 해당하는 주파수변환값을 발생한다.
한편, 마이크로폰(20)을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제3혼합부(21)와 잔향부(22)로 출력된다. 제3혼합부(21)는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의 음성신호와 잔향부(22)에서 시간지연시켜 잔향된 음성신호를 혼합한 음성신호를 발생한다. 제3저역통과필터(23)는 제3혼합부(21) 중에서 가청대역이상의 음성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저역통과필터링한다. 음정변환부(24)는 키입력부(28)로부터의 음정제어신호에 따라 발생된 주파수변환값만큼 제3저역통과필터(23)로부터 공급되는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한다. 제4저역통과필터(25)가 음정변환부(24)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면, 제4혼합부(26)는 제4저역통과필터(25)로부터의 음성신호와 외부로부터의 반주음신호를 혼합한다. 따라서, 제1도의 장치와는 달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의 음정조절을 통해 반주음신호와 음성신호간의 음정차이가 조절된다.
제1도의 장치만을 노래반주기기에 사용하는 경우, 반주음의 음정을 변화시킴으로써, 반주음이 갖는 원래 음정의 고유특색을 잃게 되어 다른 느낌을 전달한다. 또한, 제2도의 장치만을 노래반주 기기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목소리가 아닌 다른 음성이 출력되므로 제1도 장치의 부가사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주음의 음정조절장치와 사용자 음성의 음정조절장치를 갖추고 상호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주음과 사용자의 음성을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노래반주 기기에 있어서, 반주음의 반주음신호를 인가받아 절환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정제어신호에 따라 음정을 조절하는 제1음정조절수단과, 사용자 음성의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절환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정제어신호에 따라 음정을 조절하는 제2음정조절수단과, 키입력부와,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응답하여 선택신호와 음정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제1음정조절수단 또는/ 및 제2음정조절수단을 선택하며, 선택된 음정조절수단으로 음정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절환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 선택장치를 보여준다. 제3도의 장치에서, 음성신호는 사용자 음성의 음정을 조절하는 제1음정조절수단(32)으로 인가된다. 또한 반주음신호는 반주음의 음정을 조절하는 제2음정조절수단(31)으로 인가된다. 사용자는 키입력부(36)를 통하여 음정을 조절하기 원하는 수단을 선택하고, 음정조절수단의 음정을 변화시키기 위한 키입력을 한다. 제어부(35)는 키입력부(36)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근거하여 선택신호와 음정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절환부(34)는 키입력부(36)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음정조절수단(31,32)으로 음정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 제1음정조절수단(31)이 선택되면, 제1음정조절수단(31)은 반주음신호와 음정제어신호를 공급받아 반주음의 음정을 조절한 반주음신호를 발생한다. 반면에, 제2음정조절수단(32)이 선택되면, 제2음정조절수단(32)은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절환부(34)로부터 인가되는 음정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음정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혼합부(33)는 사용자 음성의 음정만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반주음신호와 혼합하여 출력하거나, 반주음신호의 음정만이 조절된 반주음신호를 사용자 음성신호와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도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주음이나 사용자의 음정 조절을 원치않는 경우, 혼합부(33)는 키입력부(36)로부터의 음정제어신호의 인가없이 노래반주 기기의 반주음신호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음정변화를 원하면, 사용자는 음정조절하기 원하는 수단을 선택하고, 선택된 음정조절수단의 음정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키입력부(36)를 통하여 키입력을 한다. 제어부(35)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선택신호와 음정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절환부(34)는 제어부(35)로부터의 선택신호에 근거하여 반주음의 음정을 조절하는 제1음정조절수단(31)이나 사용자 음성의 음정을 조절하는 제2음정조절수단(32)으로 절환한다. 따라서, 제어부(35)로부터의 음정제어신호가 절환부(34)에 의해 연결된 수단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음정조절수단(31)을 선택하면 절환부(34)는 제1음정조절수단(31)을 연결한다. 제어부(35)로부터의 음정제어신호는 제1음정조절수단(31)으로 인가된다. 제1음정조절수단(31)은 반주음신호와 음정제어신호를 공급받아 반주음의 음정을 조절한다. 한편, 제2음정조절수단(32)은 음정조절하지 않은 음성신호를 혼합부(33)로 출력한다. 따라서, 혼합부(33)는 반주음의 음정만이 조절된 반주음신호를 음성신호와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2음정조절수단(32)을 선택하면, 제어부(35)로부터의 선택신호에 근거하여 절환부(34)는 제2음정조절수단(32)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어부(35)로부터의 음정제어신호는 제2음정조절수단(32)으로 인가된다. 제2음정조절수단(32)은 음성신호와 음정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사용자 음성의 음정을 조절한다. 한편, 반주음신호는 음정이 조절되지 않고 혼합부(33)로 출력된다. 따라서, 혼합부(33)는 사용자 음성의 음정만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반주음신호와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다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 선택장치의 블럭도이다. 제3도의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이 동일한 부분에 대한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절환부(44)는 제2스위치(45)와 제3스위치(46)를 구비한다. 제어부(47)로부터의 선택신호는 절환부(44)의 제2스위치(45)와 제3스위치(46)로 인가된다. 제2스위치(45)는 제어부(47)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반주음의 음정조절수단(31)을 개폐한다. 또한, 제3스위치(46)는 제어부(47)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제2음정조절수단(32)을 개폐한다. 여기서, 음정제어신호는 절환부(44)에 의해 연결된 음정조절수단(31,32)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2스위치(45)가 닫히고 제3스위치(46)가 열린 경우, 제1음정조절수단(31)은 제어부(47)로부터 공급되는 음정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반주음의 음정을 조절하여 혼합부(33)로 출력한다. 따라서, 혼합부(33)는 반주음의 음정만이 조절된 반주음신호를 음성신호와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2스위치(45)가 열리고, 제3스위치(46)가 닫힌 경우, 제2음정조절수단(32)은 음성신호를 공급받아 음정제어신호에 따라 음정을 조절하여 혼합부(33)로 출력한다. 혼합부(33)는 사용자 음성의 음정만이 조절된 음성신호를 반주음신호와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2스위치(45)와 제3스위치(46)가 함께 닫힌 경우, 제어부(47)로부터의 음정제어신호는 제1음정조절수단(31)과 제2음정조절수단(32)으로 같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1음정조절수단(31)은 음정을 조절한 반주음신호를 혼합부(33)로 출력하며, 제2음정조절수단(32)은 음정을 조절한 음성신호를 혼합부(33)로 출력한다. 혼합부(33)는 음정들이 조절된 반주음신호와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노래반주 기기에서 연주되는 반주음의 음정조절장치와 사용자 음성의 음정조절장치를 갖추고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반주음과 사용자의 음성을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노래반주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반주음의 반주음신호를 인가받아 절환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정제어신호에 따라 음정을 조절하는 제1음정조절수단; 상기 사용자 음성의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절환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정제어신호에 따라 음정을 조절하는 제2음정조절수단;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응답하여 선택신호와 음정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제1음정조절수단 또는/ 및 제2음정조절수단을 선택하며, 선택된 음정조절수단으로 상기 음정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절환부를 포함하는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음정조절수단이나 상기 제2음정조절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음정조절수단을 개폐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2음정조절수단을 개폐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KR1019950020080A 1995-07-08 1995-07-08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KR0162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080A KR0162223B1 (ko) 1995-07-08 1995-07-08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080A KR0162223B1 (ko) 1995-07-08 1995-07-08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846A KR970008846A (ko) 1997-02-24
KR0162223B1 true KR0162223B1 (ko) 1999-03-20

Family

ID=1942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080A KR0162223B1 (ko) 1995-07-08 1995-07-08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2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976A1 (ko) 2017-11-29 2019-06-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90073018A (ko) * 2017-12-18 2019-06-26 니나노 주식회사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085B1 (ko) * 1999-03-11 2002-03-02 이승자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976A1 (ko) 2017-11-29 2019-06-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90073018A (ko) * 2017-12-18 2019-06-26 니나노 주식회사 노래 반주기 및 이를 이용한 음정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846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4572B2 (en) Mixer apparatus and music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ixer apparatus
KR100270435B1 (ko) 듀엣 연주에서 음성 파트와 하모니 파트를 전환시키는 가라오케 장치
US5902950A (en) Harmony effect imparting apparatus and a karaoke amplifier
US6166315A (en) Device for processing a microphone signal of a karaoke apparatus
KR100509700B1 (ko) 음성신호처리장치
KR0162223B1 (ko)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JP2937070B2 (ja) カラオケ装置
US5536903A (en) Musical tone synthesizing apparatus having a loop circuit
KR200156495Y1 (ko) 노래반주기용기기의 화음장치
JP2004295934A (ja) 録音再生装置
JPH09152890A (ja) 音響機器
JP2500704B2 (ja) 電子楽器
KR970017189A (ko) 가라오케 시스템의 반주음 자동조정회로
JP3100293B2 (ja) 楽音音響データの切換装置及び切換方法
KR980011284A (ko) 가라오케시스템의 이중음향 출력장치
JPH04119399A (ja) カラオケ装置
JPH08305381A (ja) 音声信号再生装置
KR910004414B1 (ko) 전자악기에서의 음색 믹싱장치 및 방법
JPS6010640B2 (ja) 電子楽器
JP2605050Y2 (ja) 音響装置における楽音信号の入出力装置
JP3781207B2 (ja) カラオケ用ボーカルマイク
JPS6326867Y2 (ko)
JP3117742B2 (ja) 電子楽器のミューティング装置
JPH07306689A (ja) 音響効果付加装置
JPH04301894A (ja) 電子楽器のミューティング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