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495Y1 - 노래반주기용기기의 화음장치 - Google Patents

노래반주기용기기의 화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495Y1
KR200156495Y1 KR2019950025323U KR19950025323U KR200156495Y1 KR 200156495 Y1 KR200156495 Y1 KR 200156495Y1 KR 2019950025323 U KR2019950025323 U KR 2019950025323U KR 19950025323 U KR19950025323 U KR 19950025323U KR 200156495 Y1 KR200156495 Y1 KR 200156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rd
voice signal
signal
pitch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5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25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495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음성의 음정을 변환시킨 음을 사용자음성과 함께 출력하여 화음에 의한 출력이 되도록 한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화음의 온/오프를 선택하고 음정변환의 레벨정도를 선택하는 키입력부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단락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음정변환시키는 화음변환부와 음정변환된 음성신호를 마이크로부터의 사용자음성신호와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혼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화음-온한 노래 반주용기기를 통하여 음성입력하면 한 사람의 노래가 마치 여러사람이 화음을 넣어서 부르는 듯하게 들린다.

Description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현한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도1 주파수변환부의 상세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폰 20 : 잔향부
30 : 혼합부 40 : 음정변환부
41 : 제1저역통과필터 42 : 주파수변환부
43 : 제2저역통과필터 50 : 스위치
60 : 키입력부 421 : A/D변환부
422 : 저장부 423 : D/A변환부
본 고안은 노래반주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노래반주용기기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를 때 사용자음성의 음정을 변환시킨 음을 사용자음성과 함께 출력하여 화음에 의한 출력이 되도록 한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래반주용기기에 첨가되어 사용되는 장치로는 잔향장치와 음정조절장치가 있었다. 잔향장치는 음성신호를 시간지연시켜 만든 잔향음을 사용자음성과 혼합함으로써 잔향음에 의하여 메아리와 같은 잔향효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노래반주용기기로부터의 반주음과 사용자음성간 음정차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음정변환장치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음정변환장치는 반주음의 음정을 변환시키거나 사용자의 음정을 변환하여 음정차이를 조절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는 달리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사용자음성에 음정을 변환시킨 음정변환음을 첨가하여 한사람의 노래가 마치 여러사람이 화음을 넣어서 부르는 듯하게 들리는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사용자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노래반주용기기에 있어서, 화음 온/오프신호와 음정변환의 레벨에 따른 음정변환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 키입력부와, 화음 온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사용자음성신호를 음정변환신호에 근거하여 주파수변환된 음성신호로 음정변환하는 음정변환부, 및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사용자음성신호와 음정변환부로부터의 음정변환된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현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음성의 주파수를 변조하면 음정이 달라지게 된다. 이 음정변환을 이용하여 사용자음성의 음정을 변환시킨 음성을 윈음과 혼합하여 청취하면 마치 화음을 넣어서 부르는 듯하게 들린다. 이런 변화를 주기 위한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를 보여준다. 제1도의 장치에서, 키입력부(60)는 사용자의 화음-온/오프상태를 선택하는 키입력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화음-오프할 것을 선택하면 단순한 마이크로폰(10)을 통한 음성출력이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화음-온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키입력부(6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음정변환 레벨정도에 근거하여 음정변환신호를 발생한다. 사용자는 화음을 넣기 위한 키입력을 끝낸 후에 마이크로폰(10)을 통하여 음성을 입력한다. 잔향부(20)는 마이크로폰(1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잔향음을 발생한다. 스위치(50)는 사용자의 화음-온선택에 따라 음정변환부(40)를 개폐한다. 스위치(50)가 닫힌 동안 사용자음성신호를 인가받는 음정변환부(40)는 제1저역통과필터(41), 주파수변환부(42) 및 제2저역통과필터(43)를 구비한다. 제1저역통과필터(41)는 스위치(50)로부터 사용자음성신호를 인가받아 가청대역이상의 음성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저역통과필터링한다. 한편, 주파수변환부(42)는 키입력부(60)로부터의 음정변환신호에 근거하여 저역통과필터(41)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주파수변환하여 주파수변환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제2저역통과필터(43)는 주파수변환된 음성신호를 다시 저역통과필터링한다. 혼합부(30)는 마이크로폰(10)으로부터의 음성신호와 제2저역통과필터(43)로부터의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스피커(도시되지 않았음)로 출력한다.
위와 같은 제1도의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를 제2도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서, 사용자는 키입력부(60)를 통하여 화음을 넣을 것인지의 선택을 키입력한다. 사용자가 화음넣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키입력부(60)를 통하여 화음-오프를 선택하면 키입력부(60)에서 발생된 화음-오프신호에 따라 스위치(50)가 열리고 음성신호는 잔향부(20)와 혼합부(30)로만 출력된다.
사용자가 화음을 넣기 원하는 경우 키입력부(60)를 통하여 화음-온을 선택하면, 사용자 키입력에 근거하여 키입력부(60)로부터 발생된 화음-온신호에 따라 스위치(50)가 닫힌다. 화음-온할 것을 선택한 후 사용자는 음정변환의 레벨을 선택하는 키입력을 한다. 여기서, 음정변환의 레벨선택은 사용자가 화음을 원하는 만큼의 음정차(고음화음, 저음화음등)를 나타낸다. 사용자의 음정변환의 레벨선택에 근거하여 키입력부(60)는 음정변환신호를 발생하여 주파수변환부(42)로 출력한다. 화음을 발생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입력이 끝나면 마이크로폰(10)을 이용하여 음성을 입력한다. 마이크로폰(10)은 사용자음성을 신호로 변경하여 잔향부(20), 혼합부(30) 및 스위치(50)로 출력한다. 음정변환부(40)로 닫힌 스위치(50)를 통하여 사용자음성신호가 인가되면 음정변환부(40)의 제1저역통과필터(41)는 음성신호의 가청대역이상의 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저역통과필터링하여 주파수변환부(42)로 출력한다.
이하, 음정변환부(40)의 주파수변환부(42)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주파수변환부(42)는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를 샘플링주파수로 샘플링하여 디지털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421), 디지털 변환된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422) 및 저장부(422)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로 복원하는 D/A변환부(423)를 구비한다. 주파수변환부(42)의 A/D변환부(421)는 제1저역통과필터(41)로부터의 저역통과필터링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키입력부(60)로부터의 음정변환신호에 근거하여 샘플링주파수로 변환하며, 변환된 샘플링주파수로 샘플링하여 디지털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저장부(422)는 디지털변환된 음성신호를 저장한다. D/A변환부(423)는 저장부(42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변환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정변환부(40)의 제2저역통과필터(43)는 주파수변환부(42)로부터의 주파수변환된 음성신호를 다시 저역통과필터링한다. 혼합부(30)는 잔향음을 혼합한 음성신호에 음정변환부(40)로부터 인가되는 음정변환된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는 음정변환음을 사용자음성에 첨가함으로써 한사람에 의한 노래가 여러사람에 의하여 화음을 넣어서 부르는 것처럼 들리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사용자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노래반주용기기에 있어서, 화음 온/오프신호와 음정변환의 레벨에 따른 음정변환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 키입력부; 상기 화음 온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사용자음성신호를 상기 음정변환신호에 근거하여 주파수변환된 음성신호로 음정변환하는 음정변환부; 및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사용자음성신호와 상기 음정변환부로부터의 음정변환된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정변환부는 상기 화음 온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사용자음성신호를 저역통과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1저역통과필터; 상기 필터링된 사용자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음정변환신호에 근거하여 주파수변환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주파수변환부; 및 상기 주파수변환부로부터의 주파수변환된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다시 저역통과필터링하는 제2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변환부는 A/D변환부, 저장부 및 D/A변환부로 구성된,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정변환부를 개폐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혼합부 사이에는 잔향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용기기의 화음장치.
KR2019950025323U 1995-09-19 1995-09-19 노래반주기용기기의 화음장치 KR200156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323U KR200156495Y1 (ko) 1995-09-19 1995-09-19 노래반주기용기기의 화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323U KR200156495Y1 (ko) 1995-09-19 1995-09-19 노래반주기용기기의 화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6495Y1 true KR200156495Y1 (ko) 1999-09-01

Family

ID=1942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5323U KR200156495Y1 (ko) 1995-09-19 1995-09-19 노래반주기용기기의 화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4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7737A (en) Whistle synthesizer
JP4106765B2 (ja) カラオケ装置のマイク信号処理装置
KR100509700B1 (ko) 음성신호처리장치
KR200156495Y1 (ko) 노래반주기용기기의 화음장치
KR970017158A (ko) 하모니어댑터장치
JP3158536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EP1095500B1 (en) A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acoustically programmable ringtone generating means and a method for the programming thereof
US7228271B2 (en) Telephone apparatus
KR0162223B1 (ko)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JPS5927916B2 (ja) 音声制御電子楽器
KR970017189A (ko) 가라오케 시스템의 반주음 자동조정회로
JPH06266363A (ja) 楽音合成装置
JPH09152890A (ja) 音響機器
JP2500704B2 (ja) 電子楽器
KR200143635Y1 (ko) 마이크 입력 음향효과 전자악기
KR19980067955A (ko) 노래반주기용 자동음정 조정회로
KR0127111B1 (ko) 자동 음 절환 음악 반주 장치 및 음 절환 방법
JP3132721B2 (ja) 楽音合成装置
JP3166197B2 (ja) 音声変調装置および音声変調装置を内蔵した電子楽器
JP2754974B2 (ja) 楽音合成装置
JPS6226790Y2 (ko)
SU1749906A1 (ru)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JPS6010640B2 (ja) 電子楽器
KR100650938B1 (ko)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노래방 시스템 및 구동 방법
JPH05204397A (ja) 音声分析合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