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7158A - 하모니어댑터장치 - Google Patents

하모니어댑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7158A
KR970017158A KR1019960040862A KR19960040862A KR970017158A KR 970017158 A KR970017158 A KR 970017158A KR 1019960040862 A KR1019960040862 A KR 1019960040862A KR 19960040862 A KR19960040862 A KR 19960040862A KR 970017158 A KR970017158 A KR 97001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armony
vocal
mixing
vo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3990B1 (ko
Inventor
유이치 나가타
마사오 요시다
미키코 기타노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Publication of KR97001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6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 G10H1/08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by combining tones
    • G10H1/10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by combining tones for obtaining chorus, celeste or ensemble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4Chorus; ensemble; celes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가창음성을 수집해서 그것을 보컬신호로 변환하는 픽업장치, 가라오케악음을 나타내는 악음신호와 상기 보컬신호를 믹싱하고 상기 보컬신호와 상기 악음신호의 믹싱신호에 따라 가라오케악음에 반주되는 상기 가창음성을 음향적으로 재생하는 믹싱장치 를 가지는 가라오케장치에 부착장치 로서 사용할 수 있는 하모니 어댑 터가 옵션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모니어댑터는 그로부터 보컬신호를 수신하는 픽업장치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하모니어댑터는 상기 수신된 보컬신호에서 시작 및 분리되며 상기 가창음성과 협화음을 이루도록 만들어진 하모니코러스사운드를 나타내는 하모니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하모니어댑터는 상기 믹싱장치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믹싱장치에 수신된 보컬신호 및 발생된 하모니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상기 믹싱 장치로 하여금 상기 가창음성 및 가라오케악음과 더불어 상기 전송된 하모니신호에 따라 하모니코러스사운드를 음향적으로 재생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하모니어댑터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하모니어댈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가라오케뮤직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

Claims (8)

  1. 가창음성을 수집해서 그것을 보컬신호로 변환하는 픽업장치 및 가라오케악음을 나타내는 악음신호와 상기 보컬신호플 믹싱하고 상기 보컬신호와 상기 악음신호의 믹싱신호에 따라 가라오케악음에 반주되는 상기 가창음성을 음향적으로 재생하는 믹싱장치를 가지는 가라오케장치에 부착장치로서 옵션으로 사용가능한 하모니어댑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장치에 분리적으로 접속가능하며, 그로부터 보컬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 상기 하모니신호에서 시작 및 분리하고 상기 가창음성신호와 협화음을 이루도록 만들어진 하모니코러스사운드를 나타내는 하모니신호를 발생하는 하모니발생수단; 및 상기 믹싱장치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믹싱장치에 수신된 보컬신호 및 발생된 하모니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상기 믹싱장치로하여금 상기 가창음성 및 가라오케 악음과 더불어 상기 전송된 하모니신호에 따라 하모코러스사운드를 음향적으로 재생하도록 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어댑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컬모드와 하모니모드 사이에서 수동으로 스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보컬모드하에서 상기 하모니발생수단을 디스에이블시켜 상기 믹싱장치에 단지 보털신호만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하모니모드하에서 상기 하모니발생수단을 인에이블시켜서 상기 보컬신호 이외에 또한 상기 하모니신호를 전송하는 스위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어댑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 및 출력수단은 보컬 모드하에서 서로 협동하여 상기 보컬신호의 진폭 및 주파수특성을 변경시키지 않고 상기 믹싱장치에 수신된 보컬신호 그대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어댑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수신된 보컬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증폭된 보컬신호를 상반적으로 감쇠시켜서 상기 보컬신호의 입/출력 이득을 0으로하는 감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어댑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신호로부터 분리적으로 하모니신호의 진폭 및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어댑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모니발생수단은 상기 보컬신호의 피치를 천이시켜서 그 보컬신호를 하모니신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어댑터장치.
  7. 가창음성을 수집해서 그것을 보컬신호로 변환하는 픽업장치; 상기 픽업장치에 접속가능하며 그로부터 보컬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 가라오케 악음을 나타내는 악음신호와 상기 보컬신호를 믹싱하여 수단 및 상기 보컬신호와 악음신호로 믹스된 신호에 따라 가라오케악음으로 반주되는 가창음성을 음향적으로 재생하는 수단을 구비한 믹싱장치; 및 상기 믹싱장치 대신에 상기 픽업장치에 접속가능하며 그로부터 보컬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 상기 수신된 보컬신호로부터 시작 및 분리하며 상기 가창음성과 일치하도록 된 하모니코러스사운드를 나타내는 하모니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및 상기 픽업장치 대신에 상기 믹싱장치의 입력단자에 접속가능하며 상기 믹싱장치에 수신된 보컬신호 및 발생된 하모니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상기 믹싱장치로 하여금 상기 가창 음성 및 가라오케악음과 더불어 상기 전송된 하모니신호에 따라 하모니코러스사운드를 음향적으로 재생하는 출력단자를 가지는 하모니어댑터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뮤직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모니어댑터장치는 상기 픽업장치와 상기 믹싱장치 사이에 분리적으로 접속가능하며 상기 믹싱장치의 변경없이 하모니코러스사운드를 생성하는 부착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뮤직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40862A 1995-09-19 1996-09-19 하모니어댑터장치 KR100193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40325A JP2861885B2 (ja) 1995-09-19 1995-09-19 効果付与アダプタ
JP95-240325 1995-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158A true KR970017158A (ko) 1997-04-30
KR100193990B1 KR100193990B1 (ko) 1999-06-15

Family

ID=1705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862A KR100193990B1 (ko) 1995-09-19 1996-09-19 하모니어댑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86684A (ko)
JP (1) JP2861885B2 (ko)
KR (1) KR100193990B1 (ko)
CN (1) CN1206619C (ko)
HK (1) HK1002570A1 (ko)
SG (1) SG54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4912B2 (ja) 1990-08-29 1997-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処理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3598598B2 (ja) * 1995-07-31 2004-12-08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246347B2 (ja) * 1996-08-26 2002-01-15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システム
JP3287230B2 (ja) * 1996-09-03 2002-06-04 ヤマハ株式会社 コーラス効果付与装置
JP3718919B2 (ja) * 1996-09-26 2005-11-24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709631B2 (ja) * 1996-11-20 2005-10-26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EP0913808B1 (en) * 1997-10-31 2004-09-29 Yamaha Corporation Audio signal processor with pitch and effect control
JP2000039894A (ja) * 1998-07-24 2000-02-08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US7974838B1 (en) 2007-03-01 2011-07-05 iZotope, Inc. System and method for pitch adjusting vocals
US8237041B1 (en) * 2008-10-29 2012-08-07 Mccauley Jack J Systems and methods for a voice activated music controller with integrated controls for audio effects
US8551083B2 (en) 2009-11-17 2013-10-08 Bsd Medical Corporation Microwave coagulation applicator and system
DE102013005049A1 (de) * 2013-03-22 2014-09-25 Unify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Sprachkommunikation sowie Verwendung derselb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7032B2 (ja) * 1993-11-16 1999-09-13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81136A (ja) 1997-03-28
SG54366A1 (en) 1998-11-16
CN1206619C (zh) 2005-06-15
US5686684A (en) 1997-11-11
JP2861885B2 (ja) 1999-02-24
HK1002570A1 (en) 1998-09-04
KR100193990B1 (ko) 1999-06-15
CN1166016A (zh) 1997-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4876B2 (en) Sound system with dedicated vocal channel
KR970017158A (ko) 하모니어댑터장치
JP2861881B2 (ja) コーラス効果付与装置
ES2178168T3 (es) Dispositivo de seleccion de microfonos paraa instrumento de cuerda, e instrumento de cuerda.
KR970017577A (ko) 가라오케 장치
US7262358B2 (en) Portable voice studio system and method
KR970060199A (ko) 음향재생장치
USH1503H (en) Cordless electric guitar
TW529018B (en) Terminal apparatus, guide voice re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BR9407260A (pt) Dispositivo portátil para execução de música
US4202238A (en) Compressor-expander for a musical instrument
US4141270A (en) Modulated keyer supply sampling circuit
EP0421531A2 (en) Device for sound synthesis
SU1749906A1 (ru)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GB2113448A (en) Single channel sound system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5999618A (en) Telephone interface for simultaneous audio presentation at separate locations utilizing amplitude modulated carrier signals
JPS634190B2 (ko)
JPH09114454A (ja) カラオケ演奏弦楽器
JPH09269790A (ja) カラオケ装置
JPH0527796A (ja) 音響装置
KR900010643A (ko) 전자악기의 듀엣음 발생방법
KR970050766A (ko) 노래방 기능이 있는 기기의 음성신호 합성장치
JPH03115494U (ko)
JPH1063282A (ja) カラオケ装置,及び通信型カラオケ装置
Fryer Simulation and Investigation of Doppler Dist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