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518B1 - 릴 부재 - Google Patents

릴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518B1
KR102028518B1 KR1020147030862A KR20147030862A KR102028518B1 KR 102028518 B1 KR102028518 B1 KR 102028518B1 KR 1020147030862 A KR1020147030862 A KR 1020147030862A KR 20147030862 A KR20147030862 A KR 20147030862A KR 102028518 B1 KR102028518 B1 KR 10202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reel
elastic ring
reel member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265A (ko
Inventor
도요지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4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5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by deformation of an elastic or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 필름의 장척화를 도모함과 함께, 권압 집중에 의한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을 억제하고 또한 권취 어긋남 등도 방지할 수 있는 릴 부재를 제공한다. 릴 부재는, 권취 코어(3)와, 권취 코어(3)의 외주면에 감합되고, 테이프 형상의 접착 필름(2)이 권회되는 환상의 탄성체(4)와, 권취 코어(3)의 양측에 설치된 릴 플랜지(5)를 구비하고, 탄성체(4)는 쇼어 A 경도가 30°보다 크고 90° 미만이다.

Description

릴 부재{REEL MEMBER}
본 발명은 테이프 형상의 접착 필름이 권회되는 릴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취 코어에 탄성체가 장착되어, 상기 탄성체에 접착 필름이 권회되는 릴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12년 4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특원2012-87757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종래부터, 기판에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실장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LCD 패널)의 주연부에 도전성의 접착 필름을 개재하여 액정 구동 회로인 IC칩을 실장하는 COG(Chip on Glass; 칩 온 글래스) 실장법이나, 태양 전지 셀에 인터커넥터가 되는 탭 선을 접속하는 접속법을 들 수 있다.
도전성의 접착 필름은, 결합제 수지에 도전성 입자가 분산된 접착제층이, 지지체가 되는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도전성 접착 필름(50)은,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플랜지(52)를 갖는 릴 부재(51)의 권취 코어(53)에 권회된 릴 권장체의 형상으로 사용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그런데, 도전성 접착 필름(50)의 릴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는 일단 라인을 정지하고, 접착 필름을 반송 롤러에 당겨 감는 등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여, COG 실장 등의 공정에 있어서 큰 타임 손실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도전성 접착 필름(50)의 릴 교환 작업의 간소화나 교환 횟수의 저감을 위한 방책이 여러 가지 시도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도전성 접착 필름(50)의 장척화가 릴 교환의 횟수 저감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릴 부재(51)의 권취 코어(53)에 도전성 접착 필름(50)이 장척으로 권회됨으로써, 권취 코어(53) 부근에 권압이 누적하여 권취 조임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릴 권장체는, 결합제 수지가 베이스 필름의 양측으로부터 비어져나와서, 실사용 시에 접착성이나 도통 신뢰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비어져나온 결합제 수지가 릴 플랜지(52)에 부착되어서 도전성 접착 필름(50)을 정상적으로 인출할 수 없게 되는 소위 블로킹이라고 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감소는, 특히, 상온에서 결합제 수지의 점성이 낮은 도전성 접착 필름에서 현저하게 보여지는 경향이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710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579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58007호 공보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베이스 필름을 접착제층보다 광폭으로 설치함으로써 비어져나옴을 억제하는 방법(특허문헌 2, 3을 참조)이나, 접착 필름을 권취하는 장력을 권취 코어부측보다 외주측에서 약하게 함으로써 권취 코어부에 권압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소위 테이퍼 텐션)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베이스 필름을 접착제층보다 폭이 넓게 하는 방법에서는, 제조가 번잡한 것 외에,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을 억제할 수는 있어도, 접착제층이 권압에 의해 유동하는 것은 방지할 수 없어, 실사용 시에 있어서 접착성이나 도통 신뢰성을 손상시킬 우려는 여전히 남는다.
또한, 테이퍼 텐션을 걸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코어의 외주측에서 장력 부족에 의한 권취 어긋남이나 권취 이완이 발생하고, 또한, 도 13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접착 필름(50)의 권장체로부터의 탈락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등, 별도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착 필름의 장척화를 도모함과 함께, 권압 집중에 의한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을 억제하고 또한 권취 어긋남 등도 방지할 수 있는 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릴 부재는, 권취 코어와,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면에 감합되고, 테이프 형상의 접착 필름이 권회되는 환상의 탄성체와, 상기 권취 코어의 양측에 설치된 릴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쇼어 A 경도가 30°보다 크고 90°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체는, 접착 필름이 권회됨과 함께,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됨으로써, 접착 필름의 권장체에 권취 조임이 발생한 경우에도 권압을 흡수하여,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릴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접착 필름의 권회 상태가 붕괴된 릴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릴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릴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릴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릴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릴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접착 필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비어져나옴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릴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릴 부재에 있어서 권취 어긋남이나 권취 이완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릴 부재에 있어서 권취 조임이나 접착 필름의 권장체로부터의 탈락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릴 부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릴 부재(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코어(3)와, 권취 코어(3)의 외주면에 감합되고, 테이프 형상의 접착 필름(2)이 권회되는 탄성 링(4)과, 권취 코어(3)의 양측에 설치된 릴 플랜지(5)를 구비한다.
[권취 코어/탄성 링]
권취 코어(3)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중심부에 탄성 링(4)을 회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장치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구(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권취 코어(3)는 후술하는 접착 필름(2)과 대략 동일한 폭 또는 접착 필름(2)의 폭 이상의 폭을 갖고, 외주면에는 탄성 링(4)이 감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탄성 링(4)은 고무 등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원통 형상을 이루고, 접착 필름(2)과 대략 동일한 폭 또는 접착 필름(2)의 폭 이상의 폭을 갖는다. 또한, 탄성 링(4)은 권취 코어(3)에 감합됨으로써, 권취 코어(3) 및 릴 플랜지(5)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 탄성 링(4)은 접착 필름(2)이 권회됨과 함께,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됨으로써, 접착 필름(2)의 권장체에 권취 조임이 발생한 경우에도 권압을 흡수하여,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릴 부재(1)는 탄성 링(4)을 설치함으로써, 접착 필름(2)을 큰 장력으로 권회할 수 있다.
탄성 링(4)은 쇼어 A 경도로 30° 내지 90°의 경도를 갖는다. 릴 부재(1)는 탄성 링(4)의 경도가 쇼어 A 경도로 90°보다 크면, 너무 딱딱해져서, 링 직경에 따라서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할 수 없고, 또한 성형할 수 있는 경우에도 접착 필름(2)의 권회 시에 권압을 전부 흡수할 수 없어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릴 부재(1)는 탄성 링(4)의 경도가 쇼어 A 경도로 30° 미만이면, 접착 필름(2)의 권회 시에, 권압에 의해 탄성 링(4)이 찌부러져서 접착 필름(2)의 권장체가 변형되기 쉬워져, 권취 조임 부하 강도가 저하된다.
여기서, 권취 조임 부하 강도란, 권취 코어(3) 및 탄성 링(4)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서, 권회된 접착 필름(2)을 인출했을 때에 걸리는 최대 부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릴 플랜지에 권취 코어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종래의 릴 부재에 있어서는, 권취 코어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서, 권회된 접착 필름을 강제로 인출하면, 접착 필름 권장체에 권압이 발생하고, 권장체 내주측을 향하여 권압이 누적되어 간다. 그로 인해, 접착 필름의 인출에 걸리는 부하는 증가해 가지만, 어떤 점을 경계로 급격하게 감소하고, 저부하로 인출이 가능하게 되어버린다. 이것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필름 권장체에 걸리는 권압의 증대에 의해 릴 플랜지(52)가 필름 권장체를 전부 지지할 수 없어 좌우로 만곡하는 등에 의해, 권회 상태가 붕괴되어 누적된 권압이 개방되고, 또한, 접착 필름(50)이 정상적으로 중첩되지 않고 이 이상 정상적으로 권압을 누적 지지할 수 없게 된 것에 의한다. 이렇게 권회 상태가 붕괴될 때까지 권압이 누적된 접착 필름 권장체에서는, 결합제 수지의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 접착 필름의 탈락 등이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접착 필름(2)을 권출할 수 없다.
릴 부재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란, 접착 필름의 권장체에 권취 조임에 의한 부하가 걸렸을 때에, 정상적인 권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의 부하 강도를 말하며, 접착 필름 권장체에 이 부하 강도를 초과하여 부하가 걸리면 권회 상태가 붕괴되어, 저부하에서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즉, 권취 조임 부하 강도는, 접착 필름의 권장체의 권취 조임에 대하여 권회 상태를 유지하여 권압을 지지할 수 있는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그리고, 쇼어 A 경도가 90°보다 큰 탄성 링(4)에서는, 권취 조임에 의한 권압을 흡수할 수 없어, 권압이 권장체에 걸림으로써 권회 상태가 붕괴된다. 또한, 쇼어 A 경도가 30° 미만인 탄성 링(4)에서는, 권취 조임에 대하여 용이하게 변형되어, 권회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권취 붕괴가 발생하여, 권취 조임 부하 강도가 저하된다. 이로 인해, 탄성 링(4)은 쇼어 A 경도로 30° 내지 90°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쇼어 A 경도가 80° 이상]
또한, 탄성 링(4)은 쇼어 A 경도로 80° 이상으로 함으로써, 권취 코어(3) 및 탄성 링(4)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서, 권회된 접착 필름(2)을 인출했을 때에 걸리는 최대 부하, 즉 권취 조임 부하 강도가 5N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탄성 링(4)은, 예를 들어 부틸 고무, 니트릴 고무, NE, 우레탄 등의 고무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반발 탄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접착 필름(2)의 권취 품질이 향상된다. 이러한 탄성 링(4)의 재료로서는, 우레탄, NR,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가 있다.
또한, 탄성 링(4)은 발포체와 같은 권압에 대하여 체적 수축을 수반하는 재료를 사용한 경우,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없고, 접착 필름(2)의 권취 조임에 대하여 용이하게 변형되어, 권회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그로 인해, 탄성 링(4)은 고무 등과 같이, 원하는 경도를 구비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올레핀계 발포체나 발포 우레탄 등의 발포계의 탄성 재료는, 탄성률(영률)로 0.005 내지 0.06GPa인 것에 비해서, 고무계에서는 0.01 내지 0.1GPa로 수치적으로도 우위에 있다.
또한, 탄성 링(4)은 고무 경도나 권회되는 접착 필름(2)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두께를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권회되는 접착 필름(2)의 길이가 200 내지 500m인 경우에는, 두께 0.5 내지 10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 플랜지]
이들 권취 코어(3) 및 탄성 링(4)의 양측에는 릴 플랜지(5)가 설치되어 있다. 릴 플랜지(5)는, 탄성 링(4)에 권회된 접착 필름(2)을 지지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릴 플랜지(5)는, 접착 필름(2)과 접하는 면에 정전 처리를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정전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티오펜 등의 화합물을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퇴피 스페이스]
릴 플랜지(5)에는, 누적된 권압에 의해 탄성 링(4)이 압축 변형된 때에, 탄성 링(4)의 일부가 퇴피하는 퇴피 스페이스(1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링(4)은 고무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 권압이 걸리는 것에 의해 압축되면, 체적이 수축하지 않고 변형됨으로써 권압을 흡수한다. 퇴피 스페이스(10)는 변형된 탄성 링(4)의 일부가 퇴피하는 스페이스이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플랜지(5)의 내주면에 오목 형성되어 있다.
이 퇴피 스페이스(10)는 릴 플랜지(5)의 내주면의, 탄성 링(4)의 측면과 대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퇴피 스페이스(1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릴 플랜지(5a, 5b)의 탄성 링(4)의 측면과 대치하는 위치에 동일 형상의 환상 오목 홈(1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퇴피 스페이스(10)는 한쪽의 릴 플랜지(5a) 측의 오목 홈(11a)의 깊이를 A, 다른 쪽의 릴 플랜지(5b)측의 오목 홈(11b)의 깊이를 C, 양쪽 릴 플랜지(5a, 5b)의 오목 홈(11a, 11b)의 폭을 D로 하면, 폭 D는 탄성 링(4)의 두께와 동일하게 된다.
이때, 퇴피 스페이스(10)는 탄성 링(4)의 폭을 B로 하면, 퇴피 스페이스(10) 단면적(A×D+C×D)/탄성 링(4) 단면적(B×D)이 3.5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퇴피 스페이스(10)와 탄성 링(4)의 단면적 비율이 3.5% 미만, 즉 퇴피 스페이스(10)가 너무 협소하면 접착 필름(2)의 권회 시에 권압에 따라서 탄성 링(4)이 압축 변형되어 퇴피할 수 없어, 권압을 흡수할 수 없다. 또한, 퇴피 스페이스(10)와 탄성 링(4)의 단면적 비율이 20%보다 크면, 압축 변형이 불안정해져 탄성체로서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접착 필름(2)의 권취 붕괴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퇴피 스페이스(10)는 탄성 링(4)이 최대한으로 변형된 때에, 탄성 링(4)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퇴피 스페이스(10)는 압축 변형한 탄성 링(4)을 지지하여, 권압의 안정된 흡수가 가능해진다.
[다른 퇴피 스페이스: 리브 1]
또한, 퇴피 스페이스(10)는 릴 플랜지(5)의 내주면에 오목 홈(11)을 형성하는 외에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플랜지(5)의 내주면에 복수의 긴 돌기 리브(12)를 방사상으로 설치함과 함께, 볼록 형상 리브(12)와 탄성 링(4)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형성하고, 탄성 링(4)과 릴 플랜지(5)의 거리나, 탄성 링(4)과 볼록 형상 리브(12)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경우, 탄성 링(4)과 릴 플랜지(5) 및 볼록 형상 리브(12)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형성함으로써, 퇴피 스페이스(10)는 탄성 링(4)과 볼록 형상 리브(12) 사이 및 탄성 링(4)과 릴 플랜지(5)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퇴피 스페이스(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 형상 리브(12)와 탄성 링(4)을 접촉시켜서, 볼록 형상 리브(12)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퇴피 스페이스(10)는 탄성 링(4)과 릴 플랜지(5) 사이가 된다.
[다른 퇴피 스페이스: 리브]
또한, 퇴피 스페이스(10)는 릴 플랜지(5)의 내주면에 오목 홈(11)을 형성하는 외에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플랜지(5)의 내주면에 복수의 긴 돌기 리브(12)를 방사상으로 설치함과 함께, 그 긴 돌기 리브(12)의 내주측의 단부를 탄성 링(4)과 대치하는 위치와의 경계 위치로 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릴 플랜지(5)는, 탄성 링(4)과 대치하는 위치에는 긴 돌기 리브(12)가 설치되지 않고, 탄성 링(4)에 권회되는 접착 필름(2)과 대치하여 설치된다. 이에 의해, 릴 플랜지(5)는, 긴 돌기 리브(12)에 의해 접착 필름(2)의 권장체측 면을 지지하고, 결합제 수지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켜서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에도, 퇴피 스페이스(10)는 한쪽의 릴 플랜지(5a) 측의 긴 돌기 리브(12a)의 높이를 A로 하고, 다른 쪽의 릴 플랜지(5b)측의 긴 돌기 리브(12b)의 높이를 C로 하고, 탄성 링(4)의 두께를 D로 하고, 탄성 링(4)의 폭을 B로 하면, 퇴피 스페이스(10) 단면적(A×D+C×D)/탄성 링(4) 단면적(B×D)이 3.5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퇴피 스페이스: 환상 리브]
또한, 퇴피 스페이스(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플랜지(5)의 내주면에 환상 리브(13)를 돌출 설치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환상 리브(13)는 내측이 압축 변형된 탄성 링(4)의 퇴피 스페이스가 되는 것이며, 릴 플랜지(5)와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탄성 링(4)의 외주측의 측면에 접촉된다.
[접착 필름]
여기서, 릴 부재(1)에 권회되는 접착 필름(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착 필름(2)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층(20)과 접착제층(20)을 지지하는 지지체가 되는 베이스 필름(21)을 구비한다.
접착제층(20)은 결합제(절연성 접착제 조성물)(20a)에 도전성 입자(22)를 함유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으로 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제(20a)에 도전성 입자(22)를 함유하지 않는 절연성 접착 필름(NCF: Non-Conductive Film)이어도 된다.
접착 필름(2)의 결합제(20a)는, 예를 들어 막 형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잠재성 경화제, 실란 커플링제 등을 함유하는 통상의 결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 필름(2)은 결합제(20a)에 도전성 입자(22)가 분산된 이방성 도전 조성물, 또는, 결합제(20a)에 도전성 입자(22)를 함유하지 않는 절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베이스 필름(21) 상에 도포함으로써, 베이스 필름(21) 상에 형성된다.
베이스 필름(21)은 결합제(20a)를 필름 형상으로 지지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OPP(Oriented Polypropylene; 배향 폴리프로필렌), PMP(Poly-4-methlpentene-1; 폴리-4-메틸펜텐-1),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에 실리콘 등의 박리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결합제(20a)에 함유되는 막 형성 수지로서는, 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80000 정도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막 형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변형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페녹시 수지 등의 각종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막 형성 상태, 접속 신뢰성 등의 관점에서 페녹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 경화성 수지로서는,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시판하고 있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스틸벤형 에폭시 수지, 트리페놀메탄형 에폭시 수지, 페놀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나프톨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트리페닐메탄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아크릴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아크릴 화합물, 액상 아크릴레이트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렌글리콜테트라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1,3-디아크릴옥시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메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디시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레이트를 메타크릴레이트로 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잠재성 경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가열 경화형, UV 경화형 등의 각종 경화제를 들 수 있다. 잠재성 경화제는, 통상에서는 반응하지 않고, 열, 광, 가압 등의 용도에 따라서 선택되는 각종 트리거에 의해 활성화하여 반응을 개시한다. 열 활성형 잠재성 경화제의 활성화 방법에는, 가열에 의한 해리 반응 등으로 활성종(양이온이나 음이온)을 생성하는 방법, 실온 부근에서는 에폭시 수지 중에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고 고온에서 에폭시 수지와 상용·용해하여, 경화 반응을 개시하는 방법, 몰레큘러시브 봉입 타입의 경화제를 고온에서 용출하여 경화 반응을 개시하는 방법, 마이크로캡슐에 의한 용출·경화 방법 등이 존재한다. 열 활성형 잠재성 경화제로서는, 이미다졸계, 히드라지드계, 3불화붕소-아민 착체, 술포늄염, 아민이미드, 폴리아민염, 디시안디아미드 등이나, 이들의 변성물이 있고, 이들은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의 혼합체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마이크로캡슐형 이미다졸계 잠재성 경화제가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에폭시계, 아미노계, 머캅토·술피드계, 우레이도계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함으로써, 유기 재료와 무기 재료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성이 향상된다.
도전성 입자(22)로서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어느 하나의 도전성 입자를 들 수 있다. 도전성 입자(22)로서는, 예를 들어 니켈, 철, 구리, 알루미늄, 주석, 납, 크롬, 코발트, 은, 금 등의 각종 금속이나 금속 합금의 입자, 금속 산화물, 카본, 그래파이트,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등의 입자의 표면에 금속을 코팅한 것, 또는, 이 입자의 표면에 추가로 절연 박막을 코팅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입자의 표면에 금속을 코팅한 것인 경우, 수지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AS)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디비닐벤젠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베이스 필름(21) 상에 ACF 또는 NCF를 포함하는 접착 필름(2)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접착 필름(2)을 사용했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름 적층체는, ACF와 NCF가 적층된 2층 이상의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접착 필름(2)은 접착 필름(2)의 베이스 필름(21)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도 커버 필름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의 전극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동박 부착 접착 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권취 코어(3)에 감합시키는 탄성 링(4)의 종류를 바꾼 릴 부재를 준비하고, 각 릴 부재에 길이 300m의 접착 필름을 권회하였다. 그리고, 각 릴 부재로부터 통상대로 권취 코어 및 탄성 링이 회전하면서 접착 필름을 권출했을 때의 결합제 수지의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의 유무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각 릴 부재의 권취 코어 및 탄성 링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접착 필름을 인출했을 때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를 측정함과 함께 측정 후의 비어져나옴의 유무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하는 릴 부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플랜지(5)의 내주면에 오목 홈(11)을 포함하는 탄성 링(4)의 퇴피 스페이스(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릴 부재에 권회하는 접착 필름은, 소니 케미칼 &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ACF를 사용하였다. 접착 필름의 접착제층의 두께는 10 내지 25㎛, 결합제의 최저 용융 점도는 3.0×10-4Pa·S이다.
실시예 1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40°의 부틸 고무를 사용하였다. 또한, 탄성 링의 두께 D는 2mm이며, 퇴피 스페이스(10)와 탄성 링(4)의 단면적 비율: 퇴피 스페이스(10) 단면적(A×D+C×D)/탄성 링(4) 단면적(B×D)은 5%이다. 또한, 접착 필름의 권회 시에 있어서의 장력은 0.75N이다.
실시예 2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80°의 부틸 고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3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40°의 니트릴 고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4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80°의 니트릴 고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5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40°의 NE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6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80°의 NE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7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40°의 우레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7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80°의 우레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비교예 1에서는, 탄성 링(4)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릴 부재를 사용하여 접착 필름을 권회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비교예 2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30°의 부틸 고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비교예 3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90°의 부틸 고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릴 부재로부터 통상대로 접착 필름을 권출했을 때의 결합제 수지의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의 유무에 대해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 지그에 각 릴 부재를 세팅하고, 접착 필름을 권출하고, 선단에 50g의 추 W를 매단 상태에서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다. 그리고, 릴 플랜지의 측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비어져나옴의 유무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계속해서, 접착 필름을 통상대로 권출하고, 블로킹의 유무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비어져나옴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 비어져나옴이 관찰되었지만 실용상 문제 없는 경우를 ○, 블로킹이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권출할 수 없었던 경우를 ×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권취 조임 부하 강도의 측정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 지그에 각 릴 부재를 세팅하고, 권취 코어 및 탄성 링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푸시풀 게이지 G로 접착 필름을 인출하고, 하중의 피크를 측정하였다. 또한, 릴 플랜지의 측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비어져나옴의 유무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05536290-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 따른 릴 부재에 있어서는, 실용상 문제 없을 정도의 비어져나옴이 보인 정도이며, 블로킹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권취 조임 부하 강도도 1N 이상으로 양호하고, 접착 필름의 인출 후에 있어서도 사용 불능한 비어져나옴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각 실시예 중, 탄성 링의 쇼어 A 경도를 80°로 한 실시예 2, 4, 6, 8에서는, 권취 조임 부하 강도가 5N 이상으로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한편, 탄성 링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에서는, 통상대로 접착 필름을 권출하는 때에 비어져나옴에 의한 블로킹이 발생하여, 실용이 곤란해졌다. 또한, 쇼어 A 경도 30°의 탄성 링을 사용한 비교예 2에서는, 접착 필름의 인출 시에 있어서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가 0.5N으로 낮고, 또한 인출 후에는 비어져나옴이 발생하여 실용이 곤란해졌다. 또한, 쇼어 A 경도 90°의 탄성 링을 사용한 비교예 3에서는, 통상대로 접착 필름을 권출하는 때에 비어져나옴에 의한 블로킹이 발생하여, 실용이 곤란해졌다.
이것으로부터, 탄성 링의 재료는, 쇼어 A 경도가 30°보다 크고 9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또한, 실시예 2로서, 실시예 1과 동일 형상의 퇴피 스페이스(10)가 형성된 릴 부재에 있어서, 퇴피 스페이스(10)와 탄성 링(4)의 단면적 비율: 퇴피 스페이스(10) 단면적(A×D+C×D)/탄성 링(4) 단면적(B×D)을 2%로 한 릴 부재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릴 부재에 길이 300m의 접착 필름을 권회하고, 각 릴 부재로부터 통상대로 접착 필름을 권출했을 때의 결합제 수지의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의 유무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각 릴 부재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접착 필름을 인출했을 때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를 측정함과 함께 측정 후의 비어져나옴의 유무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9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40°의 부틸 고무를 사용하였다. 또한, 탄성 링의 두께 D는 2mm이며, 접착 필름의 권회 시에 있어서의 장력은 0.75N이다.
실시예 10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80°의 부틸 고무를 사용하였다. 또한, 탄성 링의 두께 D는 2mm이며, 접착 필름의 권회 시에 있어서의 장력은 0.75N이다.
각 릴 부재로부터 통상대로 접착 필름을 권출했을 때의 결합제 수지의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의 유무에 관한 관찰이나, 각 릴 부재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접착 필름을 인출했을 때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의 측정, 및 접착 필름의 인출 시에 있어서의 비어져나옴의 관찰, 평가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05536290-pc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에 있어서는, 모두 실용상 문제 없을 정도의 비어져나옴이 보인 정도이며, 블로킹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권취 조임 부하 강도도 1N 이상으로 양호하고, 접착 필름의 인출 후에 있어서도 사용 불능한 비어져나옴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또한, 실시예 3으로서, 퇴피 스페이스(1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릴 부재를 준비하였다. 즉, 실시예 3에 따른 릴 부재는, 퇴피 스페이스(10)와 탄성 링(4)의 단면적 비율: 퇴피 스페이스(10) 단면적(A×D+C×D)/탄성 링(4) 단면적(B×D)을 0%로 하였다. 그리고, 릴 부재에 길이 300m의 접착 필름을 권회하고, 각 릴 부재로부터 통상대로 접착 필름을 권출했을 때의 결합제 수지의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의 유무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각 릴 부재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접착 필름을 인출했을 때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를 측정함과 함께 측정 후의 비어져나옴의 유무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예 4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40°의 부틸 고무를 사용하였다. 또한, 탄성 링의 두께 D는 2mm이며, 접착 필름의 권회 시에 있어서의 장력은 0.75N이다.
비교예 5에서는, 탄성 링의 재료로서 쇼어 A 경도 80°의 부틸 고무를 사용하였다. 또한, 탄성 링의 두께 D는 2mm이며, 접착 필름의 권회 시에 있어서의 장력은 0.75N이다.
각 릴 부재로부터 통상대로 접착 필름을 권출했을 때의 결합제 수지의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의 유무에 관한 관찰이나, 각 릴 부재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접착 필름을 인출했을 때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의 측정, 및 접착 필름의 인출 시에 있어서의 비어져나옴의 관찰, 평가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05536290-pc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4 및 비교예 5에 있어서는, 모두 통상대로 접착 필름을 권출하는 때에 비어져나옴이 발생하여, 실용이 곤란해졌다. 이것은, 탄성 링이 압축 변형되었을 때의 퇴피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탄성 링을 충분히 압축할 수 없어, 접착 필름의 권장체에 발생하는 권압을 흡수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실시예 4
또한, 실시예 4로서, 우레탄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링을 구비한 릴 부재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4에 따른 릴 부재는, 퇴피 스페이스(10)와 탄성 링(4)의 단면적 비율: 퇴피 스페이스(10) 단면적(A×D+C×D)/탄성 링(4) 단면적(B×D)을 5%로 하였다. 그리고, 릴 부재에 길이 300m의 접착 필름을 장력 0.75N으로 권회하고, 각 릴 부재로부터 통상대로 접착 필름을 권출했을 때의 결합제 수지의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의 유무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각 릴 부재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접착 필름을 인출했을 때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를 측정함과 함께 측정 후의 비어져나옴의 유무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1에서는, 쇼어 A 경도 40°, 두께 1mm의 탄성 링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에서는, 쇼어 A 경도 40°, 두께 2mm의 탄성 링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3에서는, 쇼어 A 경도 40°, 두께 5mm의 탄성 링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4에서는, 쇼어 A 경도 80°, 두께 1mm의 탄성 링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5에서는, 쇼어 A 경도 80°, 두께 2mm의 탄성 링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6에서는, 쇼어 A 경도 80°, 두께 5mm의 탄성 링을 사용하였다.
각 릴 부재로부터 통상대로 접착 필름을 권출했을 때의 결합제 수지의 비어져나옴이나, 블로킹의 유무에 관한 관찰이나, 각 릴 부재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접착 필름을 인출했을 때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의 측정, 및 접착 필름의 인출 시에 있어서의 비어져나옴의 관찰, 평가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05536290-pct0000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16은 모두 실용상 문제는 없다. 고무 경도가 40°인 실시예 11 내지 13에서는, 접착 필름을 통상대로 권출할 때, 비어져나옴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접착 필름을 인출할 때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는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서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고무 경도가 80°인 실시예 14 내지 16에서는, 두께가 1mm인 실시예 14에 있어서 접착 필름을 통상대로 권출할 때, 약간의 비어져나옴이 관찰되었지만,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서 접착 필름을 인출할 때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통상대로 권취 코어 및 탄성 링이 회전하면서 접착 필름을 권출할 때에 있어서의 비어져나옴 평가와, 권취 코어 및 탄성 링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접착 필름을 인출할 때의 권취 조임 부하 강도는, 탄성 링의 고무 경도나 두께에 따라 상반하는 경우가 있다.
1: 릴 부재
2: 접착 필름
3: 권취 코어
4: 탄성 링
5: 릴 플랜지
10: 퇴피 스페이스
11: 오목 홈
12: 긴 돌기 리브
13: 환상 리브
20: 접착제층
21: 베이스 필름
22: 도전성 입자

Claims (10)

  1. 권취 코어와,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면에 감합되고, 테이프 형상의 접착 필름이 권회되는 환상의 탄성체와,
    상기 권취 코어의 양측에 설치된 릴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쇼어 A 경도가 30°보다 크고 90° 미만이며,
    릴 플랜지는 상기 탄성체가 압축 변형된 때에, 상기 탄성체의 일부가 빠져나가는 퇴피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릴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쇼어 A 경도가 80° 이상 90° 미만인 릴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코어 및 상기 탄성체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서, 권회된 상기 접착 필름을 인출했을 때에 걸리는 최대 부하가 5N 이상인 릴 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스페이스는, 상기 릴 플랜지의 내면에 상기 탄성체와 대치하여 형성되고, 단면적 비율이 상기 탄성체의 단면적에 대하여 3.5 내지 20%인 릴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스페이스는, 상기 탄성체가 최대한으로 변형된 때에, 상기 탄성체와 접촉하는 크기인 릴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스페이스는, 상기 릴 플랜지의 내면에 상기 탄성체와 대치한 위치에 환상의 오목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릴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스페이스는, 상기 릴 플랜지의 내면에 복수의 리브가 방사상으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리브의 내주측의 단부가 상기 탄성체와 대치하는 위치와의 경계 위치가 됨으로써 형성되는 릴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스페이스는, 상기 릴 플랜지의 내면에 상기 릴 플랜지와 동심원상의 환상 리브가 상기 탄성체와 대치한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릴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이 권회되어 있는 릴 부재.
KR1020147030862A 2012-04-06 2013-04-01 릴 부재 KR102028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7757 2012-04-06
JP2012087757A JP5982158B2 (ja) 2012-04-06 2012-04-06 リール部材
PCT/JP2013/059948 WO2013151012A1 (ja) 2012-04-06 2013-04-01 リール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265A KR20140144265A (ko) 2014-12-18
KR102028518B1 true KR102028518B1 (ko) 2019-10-04

Family

ID=4930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862A KR102028518B1 (ko) 2012-04-06 2013-04-01 릴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82158B2 (ko)
KR (1) KR102028518B1 (ko)
CN (1) CN104185600B (ko)
TW (1) TWI567016B (ko)
WO (1) WO2013151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987A (zh) * 2013-12-02 2014-03-12 苏州市欧博锐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带静电吸附板的卷膜滚筒
CN107414943B (zh) * 2017-08-03 2022-11-29 深圳市旭然电子有限公司 隔膜摆动控制机构的纠偏装置及其纠偏方法
DE102017121907A1 (de) * 2017-09-21 2019-03-21 Bundesdruckerei Gmbh Spu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pul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593A1 (ja) 2006-06-21 2007-12-2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リール
WO2008053824A1 (fr) 2006-10-31 2008-05-08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Ruban adhésif et rouleau de ruban adhésif
JP2009113877A (ja) 2007-11-01 2009-05-28 Kao Corp ロール状巻回物の巻き出し方法及び巻芯
JP2011026064A (ja) 2009-07-24 2011-02-10 Hitachi Chem Co Ltd リール
JP2011058007A (ja) 2010-12-24 2011-03-24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リール体及びリール体の製造方法
JP2011126711A (ja) 2009-11-18 2011-06-30 Hitachi Chem Co Ltd 異方導電フィルム用リール、異方導電フィルム巻、及び回路部材の接続方法
WO2011118503A1 (ja) * 2010-03-23 2011-09-2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テープ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39883A5 (en) * 1973-07-31 1975-02-28 Pregeon Cochard Exploit Ets Typewriter of calculator ink ribbon spool - hub has three elastic rings fitting onto drive spindles
JPS593418Y2 (ja) * 1978-09-30 1984-01-30 ソニー株式会社 テ−プリ−ル
JPH0739912Y2 (ja) * 1988-09-07 1995-09-13 東レ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用巻取コア
US4934622A (en) * 1989-04-11 1990-06-19 Eastman Kodak Company Core for winding a web of deformable material
US5125590A (en) * 1991-01-14 1992-06-30 Hughes Aircraft Company Compliant bobbin for an optical fiber wound pack
JPH066354U (ja) * 1992-06-30 1994-01-25 住友スリーエム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コア
JPH10329992A (ja) * 1997-05-29 1998-12-15 Nec Toyama Ltd キャリアテープリール
JP3680669B2 (ja) 1999-12-17 2005-08-10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多層異方性導電膜積層体
US6719242B2 (en) * 2000-12-01 2004-04-13 Sonoco Development, Inc. Composite core
JP2004338838A (ja) * 2003-05-14 2004-12-02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状体巻き付け用ボビン
JP4650490B2 (ja) 2005-08-04 2011-03-16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異方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161452B (zh) * 2011-03-02 2013-04-10 梅县金象铜箔有限公司 电解铜箔生产用收卷轴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593A1 (ja) 2006-06-21 2007-12-2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リール
WO2008053824A1 (fr) 2006-10-31 2008-05-08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Ruban adhésif et rouleau de ruban adhésif
JP2009113877A (ja) 2007-11-01 2009-05-28 Kao Corp ロール状巻回物の巻き出し方法及び巻芯
JP2011026064A (ja) 2009-07-24 2011-02-10 Hitachi Chem Co Ltd リール
JP2011126711A (ja) 2009-11-18 2011-06-30 Hitachi Chem Co Ltd 異方導電フィルム用リール、異方導電フィルム巻、及び回路部材の接続方法
WO2011118503A1 (ja) * 2010-03-23 2011-09-2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テープ用リール
JP2011058007A (ja) 2010-12-24 2011-03-24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リール体及びリール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16435A (ja) 2013-10-24
KR20140144265A (ko) 2014-12-18
TW201348109A (zh) 2013-12-01
TWI567016B (zh) 2017-01-21
CN104185600A (zh) 2014-12-03
CN104185600B (zh) 2017-07-28
WO2013151012A1 (ja) 2013-10-10
JP5982158B2 (ja)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9168B2 (ja) リール体及びリール体の製造方法
KR102028518B1 (ko) 릴 부재
KR102123310B1 (ko) 릴 부재, 접착 필름의 권회 방법, 접착 필름의 권출 방법
JP6297381B2 (ja) 接着フィルム、フィルム巻装体、接続体の製造方法
US11008488B2 (en) Adhesive composition and film roll
CN109689816B (zh) 粘接膜卷装体、粘接膜卷装体的制造方法
JP5981173B2 (ja) 接続体の製造方法、接着フィルムの貼り合わせ方法、接着フィルムの引き出し方法及び接着フィルム
WO2016136946A1 (ja) リール体、フィルム連結体、フィルム巻装体、及びフィルム連結体の製造方法
JP6431256B2 (ja) 接着フィルム、フィルム巻装体、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接続方法、接続構造体
KR20120046694A (ko) 필름 적층체, 필름 적층체의 부착 방법, 필름 적층체를 이용한 접속 방법 및 접속 구조체
KR20220058611A (ko) 필름 권장체 및 접속체의 제조 방법
JP2012102278A (ja) リー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接着フィルムの平坦化方法
JP5899035B2 (ja) リール部材、リール体、フィルム積層体の巻回方法及び引出方法
JP6366975B2 (ja) 接着フィルム巻装体、接続体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の接続方法
JP5912700B2 (ja) リール部材、接着フィルムの巻回方法及び巻き出し方法
JP6524283B2 (ja) 接着フィルム、フィルム巻装体、接続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