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291B1 -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291B1
KR102023291B1 KR1020187013859A KR20187013859A KR102023291B1 KR 102023291 B1 KR102023291 B1 KR 102023291B1 KR 1020187013859 A KR1020187013859 A KR 1020187013859A KR 20187013859 A KR20187013859 A KR 20187013859A KR 102023291 B1 KR102023291 B1 KR 10202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hole
inner circumferential
hosel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663A (ko
Inventor
겐지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도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도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도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8006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53/02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3B53/023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 A63B53/026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loft angle only, i.e. relative angular adjustment between the shaft and the club head about a horizontal axis perpendicular to the intended line of play when the club is in its normal address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스페이서(8)의 내주 구멍(81)의 직경(D2), 캡(9)의 내주 구멍(92)의 직경(D3)은, 슬리브(7)의 내주 구멍(72)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는, 슬리브(7)의 내주 구멍(7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S) 부분만큼이 고착되고, 스페이서(8)의 내주 구멍(81), 캡(9)의 내주 구멍(92) 내에서는 고착되지 않는다.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73)을 넘는 부분은, 호젤부(3)의 삽입 구멍 내에서 비구속이다. 슬리브(7)의 내주 구멍(7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S)는, 골프 샤프트(6)와 슬리브(7)의 사이에, 타격력에 견디는 충분한 접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골퍼에 따라서 다른 타격시의 헤드 스피드에 대응하여, 적절한 발사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발사각을 크게 하여 볼을 멀리까지 날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본 발명은,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Hollow golf club)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골퍼에 따라서 다른 타격시의 헤드 스피드에 대응하여, 적절한 발사각(Launch angle)으로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타격시의 발사각을 크게 하여, 볼을 멀리까지 날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볼을 멀리까지 날리기 위한 타격시의 요소로서는, (1) 타격시의 볼의 초기속도를 높인다, (2) 타격시의 볼의 발사 각도를 크게 한다, (3) 볼의 백스핀량을 적정하게 줄인다, 등이 큰 요소가 된다. 헤드 스피드가 느린(예를 들면, 40m/s 미만) 골퍼에게 있어서는, 볼을 멀리까지 날리기 위해서는, 타격시의 골프 클럽의 로프트각을 크게 하여, 볼의 발사 각도를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0은, 종래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헤드 본체(100)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드 등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헤드 본체(100)는, 플레이어가 볼을 타격하기 전은 106'과 같이 휘어 있는 샤프트(106)의 휨이 돌아오고, 무게중심점(104)의 주위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고, 즉, 타격 직전의 외관 로프트각은 크다. 여기서, 「공칭 로프트각」은 클럽이 스윙되지 않는 정적인 상태에서 규정되는 로프트각인데 비하여, 「외관 로프트각」은 클럽을 스윙하여 임펙트시에 페이스가 실제로 볼을 칠 때의 동적인 상태에서의 로프트각이다. 그러나, 우드에서는 아이언에 비해 무게중심 심도(L)이 깊기 때문에, 볼의 타격시는 볼의 충격으로 헤드가 상하 방향으로 약간 요동하고, 로프트각(α)(정지시)이 작아지는 각도(α')로 요동된 상태(α'<α)가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골프 샤프트(106)는, 호젤(hosel)부(103)의 삽입 구멍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에폭시 수지 등으로 접착하여 고착되어 있다. 호젤부(103)는 페이스면(102)의 상단부보다 상당히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이 때문에, 골프 샤프트(106)의 고착부 상단(107)은, 타격점(페이스 센터)(1021)보다 상당히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고착부 상단(107)을 헤드 본체(100)의 지점(支點)으로 생각하면, 고착부 상단(107)보다 상당히 하방에서 볼을 타격하게 된다. 그 결과, 헤드 본체(100)는, 타격시의 충격에 의한 헤드 본체(100)의 회전 모멘트에 의해서, 로프트각 (α)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약간 요동된다. 이 헤드 본체(100)의 양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실제로는, 표시 로프트각보다 작은 로프트각(α')으로 볼을 타격하게 된다. 헤드 스피드가 빠른(예를 들면, 45m/s 전후) 골퍼는, 떠오르는 것을 싫어하므로, 타격시의 로프트각 (α)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골프 샤프트(106)의 고착부 상단(107)이, 타격점(페이스 센터)(1021)보다 상당히 상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타격시의 로프트각 (α')을 크게 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접착제에 의해 고착된 샤프트와 헤드의 고착부의 상단을, 헤드의 톱부의 정상부보다 아래에 배치하여, 타구시의 헤드의 상하 방향(톱, 솔(sole) 방향)의 요동을 경감시켜서, 타구의 방향성을 안정시킨 것도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4). 그렇지만, 특허문헌 4에 기재된 샤프트와 헤드의 고착 방법은, 관통 구멍인 헤드의 샤프트 고착 구멍의 상하로부터 접착제가 삐져나오고, 정확하게 접착 영역, 비접착 영역을 확보할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4295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0473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296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76283호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이며,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골퍼에 따라서 다른 타격시의 헤드 스피드에 대응하여, 적절한 발사각으로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와 샤프트의 고착에 있어서, 접착 영역, 비접착 영역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고착 방법으로 한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 샤프트의 고착부 상단을 타격점(페이스 센터)에 접근하여 배치하는 것으로써, 볼의 발사 각도를 크게 하여, 볼을 멀리까지 날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의 수단을 채택한다.
즉, 본 발명 1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골프 볼을 타격하는 페이스면을 구비하는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에 고정되고, 골프 샤프트의 선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 구멍을 가지는 호젤부를 가지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 내의 축선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선단부만을 고착 가능한 골프 샤프트 고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을 넘는 상기 골프 샤프트는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 내에서 비구속(非枸束)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2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본 발명 1에 있어서, 상기 골프 샤프트 고착 수단은, 상기 선단부가 접착제로 내주 구멍에 접착되고,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된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는 축방향의 전체 길이가 다른 복수의 슬리브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슬리브의 상기 내주 구멍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는, 상기 복수의 슬리브의 상단면으로부터 동일 길이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3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본 발명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고, 상기 호젤부에 나사 박음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스페이서를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4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본 발명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고, 상기 호젤부에 나사 박음되어, 상기 슬리브를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5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본 발명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면보다 하방에 형성된 상기 슬리브의 단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고, 상기 호젤부에 나사 박음되어, 상기 슬리브의 단차면을 눌러서 상기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한 캡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6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본 발명 1 내지 5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과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의 단면 형상은, 모두 동일한 다각형이며, 양자가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7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골프 볼을 타격하는 페이스면을 구비하는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에 고정되고, 골프 샤프트를 고착하기 위한 호젤부를 가지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골프 샤프트를 고착하기 위한 관 형상의 슬리브가 상기 호젤부의 삽입 구멍에 배치 고착되고, 상기 헤드 본체를 상기 골프 샤프트가 기준의 라이각을 이루도록 수평면에 둔 상태일 때, 상기 샤프트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과 상기 샤프트 축선과의 교점이, 상기 페이스면의 타격점인 페이스 센터를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실질적으로 상방에 있고 또한 상기 슬리브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호젤부 내에 고착된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에 상기 샤프트 선단부가 삽입되어서 접착제로 고착되고, 게다가 상기 슬리브의 상단을 넘는 상기 골프 샤프트는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 내에서 비구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8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본 발명 7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체적이 400 ~ 470cm3이며, 타격점인 페이스 센터를 통과하는 수평선과, 상기 샤프트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과 상기 샤프트 축선과의 교점을 통과하는 수평선과의 사이의 거리가 0 ~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9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본 발명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고, 상기 호젤부에 나사 박음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스페이서를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10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본 발명 7 내지 9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과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의 단면 형상은, 모두 동일한 다각형이며, 양자가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타격점(페이스 센터)과 골프 샤프트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의 사이의 거리를 간단하게 조정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 동적인 상태에서의 로프트각이 작아지는 방향에의 헤드 본체의 회전을 조정하여, 골퍼에 따라서 다른 타격시의 헤드 스피드에 대응하여, 적절한 발사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타격점(페이스 센터)과 골프 샤프트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을 극히 접근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로프트각이 작아지는 방향에의 헤드 본체의 회전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타격시의 발사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볼을 멀리까지 날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와 샤프트의 고착 구조는, 설계와 같이 접착 영역, 비접착 영역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헤드 본체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 본체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헤드 본체를 나타내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헤드 본체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헤드 본체를 나타내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헤드 본체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헤드 본체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정면도이다.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헤드 본체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헤드 본체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의 것은, 비교적 헤드 스피드가 느린(예를 들면, 40m/s 미만) 골퍼에게 적합한 타격시의 로프트각이 되도록 조정한 예이다.
도 1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헤드 본체(1)는, 메탈 우드 클럽에 적용한 예이며, 헤드 본체(1)의 체적은 400 ~ 470cm3이다. 헤드 본체(1)에는, 정면에 볼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면을 가지는 페이스면(2), 샤프트측에 샤프트 접속부인 호젤부(3), 상부에 크라운부(4), 지면에 접하는 하부에 솔부(5)가 형성되고, 호젤부(3)에는, 골프 샤프트(6)의 일단이 삽입되어서 고착되어 있다. 페이스면(2), 호젤부(3), 크라운부(4), 솔부(5)는 티탄 또는 티탄 합금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고, 각각의 가장자리부를 용접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중공의 헤드 본체(1)를 형성하고 있다.
호젤부(3)는, 바닥이 있는 중공관 형상이며, 상부에 원반 형상의 플랜지부(31)를 가지고, 플랜지부(31)의 하부에, 축 형상의 원통 형상부(32)를 플랜지부(31)와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원통 형상부(32)는, 헤드 본체(1)의 중공부를 통하여, 솔부(5)의 근방까지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호젤부(3)의 축심에는, 그 상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암나사 구멍(33), 원형 구멍(34), 단면이 정팔각형의 정팔각형 구멍(35)으로 구성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호젤부(3)의 정팔각형 구멍(35)에는 단면이 동일한 정팔각형의 외주면(71)을 가지는 슬리브(7)가 삽입되고, 밀접하게 끼워맞춤하여 걸어맞춤되고, 슬리브(7)는 호젤부(3)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제1 실시형태의 슬리브(7)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M1)는, 본 발명의 3종의 실시형태 중에서는 가장 짧게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7)는 바닥을 가진다. 슬리브(7)의 축심에는, 원통 형상의 내주 구멍(72)이 형성되고, 내주 구멍(72)에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주재(主材)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착되어 있다. 슬리브(7)의 내주 구멍(72)의 직경(D1)은,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직경(d)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내주 구멍(72)과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접착제가 들어가서, 슬리브(7)에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도시에서는 하단부)를 고착한다.
호젤부(3)의 축심의 원형 구멍(34)에는, 원통 형상의 스페이서(8)가 삽입되고, 스페이서(8)의 하단면이 슬리브(7)의 상단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호젤부(3)의 축심의 암나사 구멍(33)에는, 캡(9)의 하부의 수나사(93)가 나사 박음되고, 캡(9)의 하단면이 스페이서(8)의 상단면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캡(9)은 스페이서(8)를 통하여 슬리브(7)를 눌러서, 슬리브(7)를 호젤부(3)로부터 뽑히지 못하게 하고 있다. 캡(9)의 끝단면과 호젤부(3)의 상단면과의 사이에는, 환 형상의 고무제 패킹(91)이 사이에 끼워지고, 호젤부(3)의 축심의 삽입 구멍에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스페이서(8)의 내주 구멍(81)의 직경(D2), 캡(9)의 내주 구멍(92)의 직경(D3)은, 슬리브(7)의 내주 구멍(72)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샤프트(6)의 외주와 스페이서(8)의 내주 구멍(81) 및 캡(9)의 내주 구멍(92)과의 사이는, 원통 형상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는, 슬리브(7)의 내주 구멍(7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S) 부분만큼이 고착(접착)되고, 스페이서(8)의 내주 구멍(81), 캡(9)의 내주 구멍(92) 내에서는 고착(접착)되지 않는다. 즉,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슬리브(7)의 상단면)(73)을 넘는 부분은, 호젤부(3)의 삽입 구멍 내에서 비구속이다. 슬리브(7)의 내주 구멍(7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S)는, 골프 샤프트(6)와 슬리브(7)의 사이에, 타격력에 견디는 충분한 접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또한, 스페이서(8)와 캡(9)과 골프 샤프트(6)의 외주면의 사이에, 상기 원통 형상의 간극을 형성한 것에 의해, 골프 샤프트(6)가 크게 휘어도, 스페이서(8)의 내주 구멍(81)에서 샤프트(6)의 측면이 지지되므로, 이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슬리브(7)의 상단면)(73)에 응력이 집중되는 일은 없다.
도 1은, 샤프트(6)가 기준의 라이각을 이루도록 헤드 본체(1)를 수평면에 둔 상태이다. 볼을 타격시 페이스면(2)의 타격점(페이스 센터)(21)을 통과하는 수평선(22)을 긋는다. 또한,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슬리브(7)의 상단면)(73)과 골프 샤프트(6)의 샤프트 축선(61)과의 교점(62)을 구한다. 그러면, 이 교점(62)은 수평선(22)의 상방에 있고, 이것을 통과하는 수평선(23)과 타격점(페이스 센터)(21)을 통과하는 수평선(22)과의 사이의 거리(H1)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0 ~ 15mm(도 1에 나타내는 정지시)의 범위에 들어간다. 즉, 타격점(페이스 센터)(21)과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73)을 극히 접근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골프 클럽은, 스윙에 의해서, 원심력이 작용하여 토우측이 낮아지는 현상이 일어나므로, 볼의 타격시의 상기 거리(H1)는 정지시보다 작아지고, 본예에서는, 타격시에는 상기 거리(H1)가 0 ~ 5mm가 된다.
그 결과, 타격시에, 로프트각이 커지는 방향으로의 헤드 본체(1)의 무게중심점 주위의 회전과 비교하여, 헤드 본체(1)가 고착부 상단(73)을 지점으로 하여 로프트각(타격시의 로프트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양을 극히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로프트각보다 큰 로프트각(타격시의 로프트각)으로 볼을 타격하게 된다. 이 때문에, 타격시의 발사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고, 비교적 헤드 스피드가 느린(예를 들면, 40m/s 미만) 골퍼에게 있어서는, 볼을 멀리까지 날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헤드 본체를 나타내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헤드 본체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보다, 헤드 스피드가 평균적인(예를 들면, 40m/s 전후) 골퍼에게 적합한 타격시의 로프트각이 되도록 조정한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제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슬리브(701)는, 제1 실시형태의 슬리브(7)와 마찬가지로, 호젤부(3)의 단면 형상이 정팔각형 구멍(35)에, 단면이 동일한 정팔각형의 외주면(71)을 가지는 슬리브(701)가 밀접하게 끼워맞춤하여 걸어맞춤되고, 슬리브(701)는 호젤부(3)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제2 실시형태의 슬리브(701)는, 축방향의 전체 길이(M2)가, 제1 실시형태의 슬리브(7)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M1)보다, 스페이서(8)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분만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701)의 축심의 원통 형상의 내주 구멍(7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S)는, 제1 실시형태의 슬리브(7)의 내주 구멍(7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S)와 동일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내주 구멍(72)에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도시 상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주재가 에폭시 수지의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착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스페이서(8)는 빼내어, 호젤부(3)의 축심의 암나사 구멍(33)에 나사 박음한 캡(9)의 하단면이, 슬리브(701)의 상단면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캡(9)은 슬리브(701)를 직접 눌러, 슬리브(701)를 호젤부(3)로부터 뽑힘을 방지하고 있다. 캡(9)의 끝단면과 호젤부(3)의 상단면과의 사이에는, 환 형상의 고무제 패킹(91)이 사이에 끼워지고, 호젤부(3)의 축심의 삽입 구멍에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캡(9)의 내주 구멍(92)의 직경(D3)은, 슬리브(701)의 내주 구멍(72)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는, 슬리브(701)의 내주 구멍(7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S) 부분만큼이 고착(접착)되고, 캡(9)의 내주 구멍(92) 내에서는 고착(접착)되지 않는다. 즉,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슬리브(701)의 상단면)(730)을 넘는 부분은, 호젤부(3)의 삽입 구멍 내에서 비구속이다. 그 결과, 고착부 상단(슬리브(701)의 상단면)(730)은, 제1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고착부 상단(슬리브(7)의 상단면)(73)보다 상방이 된다.
도 4는, 샤프트(6)가 기준의 라이각을 이루도록 헤드 본체(1)를 수평면에 둔 상태이다. 볼을 타격시 페이스면(2)의 타격점(페이스 센터)(21)을 통과하는 수평선(22)을 긋는다. 또한,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슬리브(701)의 상단면)(730)과 골프 샤프트(6)의 샤프트 축선(61)과의 교점(620)을 구한다. 그러면, 이 교점(620)은 수평선(22)의 상방에 있고, 이것과 타격점(페이스 센터)(21)을 통과하는 수평선(22)과의 사이의 거리(H2)가 약 15 ~ 25mm(도 4의 정지시)가 된다. 즉, 타격점(페이스 센터)(21)과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730)과의 사이의 거리를, 제1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보다 커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 타격시에, 헤드 본체(1)가 고착부 상단(730)을 지점으로 하여 로프트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양을, 제1 실시형태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보다 작은 로프트각(타격시의 로프트각)으로 볼을 타격하게 된다. 이 때문에, 타격시의 발사 각도를 제1 실시형태보다 작게 할 수 있고, 비교적 헤드 스피드가 평균적인(예를 들면, 40m/s 전후) 골퍼에게 있어서는, 적절한 발사각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의 헤드 본체를 나타내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도 7의 헤드 본체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호젤부 근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로부터 도 9에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제2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보다, 헤드 스피드가 빠른(예를 들면, 45m/s 전후) 골퍼에게 적합한 타격시의 로프트각이 되도록 조정한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기의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의 슬리브(702)는, 제1 실시형태의 슬리브(7)와 마찬가지로, 호젤부(3)의 단면 형상이 정팔각형 구멍(35)에, 단면이 동일한 정팔각형의 외주면(71)을 가지는 슬리브(702)가 밀접하게 끼워맞춤하여 걸어맞춤되고, 슬리브(702)는 호젤부(3)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제3 실시형태의 슬리브(702)는, 축방향의 전체 길이(M3)가, 제2 실시형태의 슬리브(701)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M2)보다, 캡(9)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의 반 정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리브(702)의 상단면은, 제2 실시형태의 슬리브(701)의 상단면보다, 캡(9)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의 반 정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슬리브(702)의 축심의 원통 형상의 내주 구멍(7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S)는, 제2 실시형태의 슬리브(701)의 내주 구멍(7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S)와 동일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내주 구멍(72)에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주재가 에폭시 수지의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착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페이서(8)는 빼내어, 호젤부(3)의 축심의 암나사 구멍(33)에 나사 박음한 캡(9)의 하단면이, 슬리브(702)의 단차면(740)에 접촉하고 있다. 단차면(740)은 슬리브(702)의 상단면보다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9)은 슬리브(702)를 직접 눌러, 슬리브(702)를 호젤부(3)로부터 뽑힘을 방지하고 있다. 캡(9)의 끝단면과 호젤부(3)의 상단면과의 사이에는, 환 형상의 고무제 패킹(91)이 사이에 끼워지고, 호젤부(3)의 축심의 삽입 구멍에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캡(9)의 내주 구멍(92)의 직경(D3)은, 슬리브(702)의 내주 구멍(72)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는, 슬리브(702)의 내주 구멍(7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S) 부분만큼이 고착(접착)되고, 캡(9)의 내주 구멍(92) 내에서는 고착(접착)되지 않는다. 즉,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슬리브(702)의 상단면)(731)을 넘는 부분은, 호젤부(3)의 삽입 구멍 내에서 비구속이다. 그 결과, 고착부 상단(슬리브(702)의 상단면)(731)은, 제2 실시형태의 고착부 상단(슬리브(701)의 상단면)(730)보다 상방이 된다.
도 7은, 골프 샤프트(6)가 기준의 라이각을 이루도록 헤드 본체(1)를 수평면에 둔 상태이다. 볼을 타격시 페이스면(2)의 타격점(페이스 센터)(21)을 통과하는 수평선(22)을 긋는다. 또한,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슬리브(702)의 상단면)(731)과 골프 샤프트(6)의 샤프트 축선(61)과의 교점(621)을 구한다. 그러면, 이 교점(621)은 수평선(22)의 상방에 있어, 이것과 타격점(페이스 센터)(21)을 통과하는 수평선(22)과의 사이의 거리(H3)가 약 25 ~ 40mm(도 7의 정지시)가 된다. 즉, 타격점(페이스 센터)(21)과 골프 샤프트(6)의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731)과의 사이의 거리를, 제2 실시형태보다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 타격시에, 헤드 본체(1)가 고착부 상단(731)을 지점으로 하여 로프트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양을, 제2 실시형태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실시형태보다 작은 로프트각(타격시의 로프트각)으로 볼을 타격하게 된다. 이 때문에, 타격시의 발사 각도를 제2 실시형태보다 작게 할 수 있고, 헤드 스피드가 빠른(예를 들면, 45m/s 전후) 골퍼에게 있어서는, 떠오르는 것이 없는 적절한 발사각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은, 동일한 헤드 본체(1)를 사용하고, 축방향의 길이가 다른 슬리브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골프 샤프트(6)를 접착하는 것만으로, 골퍼에 따라서 다른 타격시의 헤드 스피드에 대응하여, 적절한 발사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발사각의 조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비교예의 클럽을 이용하여 타격점(페이스 센터)(21)에서의 타격 테스트를 행했다. 실험에서 이용한 드라이버, 및 샤프트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을 이용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드라이버, 샤프트의 사양은, 이하의 것이다. 타격 시험은, 타격 로봇 「쇼트로보 10」(가부시키가이샤 미야마에(본사: 일본오사카부)제)를 이용했다. 또한, 타격에 이용한 사용 볼은 「EPON Tour F3」(에폰골프 가부시키가이샤)(본사: 일본 니가타현))이다. 타격 로봇의 시험 조건은, 실시예, 비교예는 동일 조건이다. 이하, 사용한 클럽의 사양이다.
[실시예의 클럽]
드라이버(EPON AK-26): 에폰 가부시키가이샤(본사: 일본 니가타현)제
로프트각: 10.5°±1.0°
페이스각: 0°±1.0°
라이각: 58.0°±1.0°
거리(H): 17.32mm(타격점과 접착부의 상부의 수평선과의 정지시의 거리)
용량: 460cc
헤드 질량: 194.0g
샤프트: Tour AD 5S(가부시키가이샤 그라파이트디자인(본사: 일본 사이타마현)제)
[비교예 1 및 2의 클럽]
일반적인 드라이버이며, 샤프트의 지점과 타점의 거리가 긴 것이며, 본 발명의 비교예의 드라이버의 사양은, 이하의 것이다. 비교예 1의 클럽은, 일반적인 어져스터블 헤드이며, 비교예 2의 클럽은 일반적인 스루 보어(through bore) 헤드의 것이다.
또한, 비교예 1 및 2는, 종래 기술의 구조의 것이다.
드라이버(EPON AF-153): 에폰 가부시키가이샤(본사: 일본 니가타현)제
로프트각: 10.5°±0.5°
페이스각: 0°H(훅) 0.5°
라이각: 60.0°±0.5°
거리(H): 39.60mm(타격점과 접착부의 상부의 수평선과의 정지시의 거리)
용량: 460cc
헤드 질량: 198.0g
샤프트(비교예 1): Tour AD 5R1(가부시키가이샤 그라파이트디자인(본사: 일본 사이타마현)제)
샤프트(비교예 2): Tour AD 5S(가부시키가이샤 그라파이트디자인(본사: 일본 사이타마현)제)
Figure 112018048030233-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수치는, 이상의 조건에서, 10구의 타격시의 평균치를 구한 것이다. 그 결과, 길이, 소재가 동일하고 또한 동일 길이의 샤프트로,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스피드가 0.6m/s 상승되었다. 이것은, 양 클럽의 전체 길이는 동일하지만, 상기 거리(H)의 차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샤프트가 길어지고 유연함이 증가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또한, 길이가 증가되기 때문에, 샤프트가 유연해지기 쉬워지고, 딱딱한 샤프트에서도(실시예와 비교예 1 참조) 헤드 스피드가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골프 샤프트(6)의 고착부 상단과 샤프트 축선(61)과의 교점(62, 620, 621)(도 1, 4, 7 참조)과 헤드의 무게중심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타구시 헤드의 상하 방향(톱, 솔 방향)의 요동이 적어지고, 타구의 방향성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타격시 임펙트를 받았을 때의 로프트각(정지시와는 다르다)이 커지고(실시예와 비교예 2 참조), 상하 발사각이 커진다(표 1 참조). 또한, 골프 클럽은, 스윙에 의해서, 원심력이 작용하고 토우측이 낮아지는 현상이 일어나므로, 볼의 타격시 상기 거리(H)는 정지시보다 작아진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리브(7)에 골프 샤프트(6)의 선단을 접착했으므로, 슬리브(7)의 길이로 소망의 정확한 거리(H1 ~ H3)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골프 샤프트(6)와 슬리브(7)를 호젤부(3)로부터 빼낼 수 있으므로, 접착 작업을 행할 때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슬리브(7)를 호젤부(3)로부터 탈착 가능하므로, 다른 거리(H)를 가지는 샤프트를 자유롭게 교환 가능하다. 또한, 슬리브(7)와 호젤부(3)의 고착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기계적 클램프가 아니라, 접착제로 고착해도 좋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골퍼의 헤드 스피드에 대응하여 축방향의 길이가 다른 3종류의 슬리브를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축방향의 길이가 다른 슬리브의 종류를 늘려서, 발사각의 조정을 보다 상세하게 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와 캡은 각 1종류이지만(스페이서는 제1 실시형태만), 선택하는 슬리브의 축방향의 길이에 대응하여, 축방향의 길이가 다른 복수의 종류의 스페이서와 캡으로부터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슬리브를 통하지 않고, 샤프트를 직접 호젤부에 접착해도 좋다.
1…헤드 본체
2…페이스면
21…타격점(페이스 센터)
22…수평선
23…수평선
3…호젤부
31…플랜지부
32…원통 형상부
33…암나사 구멍
34…원형 구멍
35…정팔각형 구멍
4…크라운부
5…솔부
6…골프 샤프트
61…샤프트 축선
62…교점
620…교점
621…교점
7…슬리브
701…슬리브
702…슬리브
71…외주면
72…내주 구멍
73…고착부 상단(슬리브(7)의 상단면)
730…고착부 상단(슬리브(701)의 상단면)
731…고착부 상단(슬리브(702)의 상단면)
740…단차면
8…스페이서
81…내주 구멍
9…캡
91…패킹
92…내주 구멍
93…수나사
100…헤드 본체
102…페이스면
1021…타격점(페이스 센터)
103…호젤부
104…무게중심점
106…골프 샤프트
107…고착부 상단

Claims (10)

  1. 삭제
  2. 골프 볼을 타격하는 페이스면을 구비하는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에 고정되고, 골프 샤프트의 선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 구멍을 가지는 호젤부를 가지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 내의 축선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선단부만을 고착 가능한 골프 샤프트 고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의 고착부 상단을 넘는 상기 골프 샤프트는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 내에서 비구속(非拘束)이며,
    상기 골프 샤프트 고착 수단은, 상기 선단부가 접착제로 내주 구멍에 접착되고,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된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는, 축방향의 전체 길이가 다른 복수의 슬리브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슬리브의 상기 내주 구멍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는, 상기 복수의 슬리브의 상단면으로부터 동일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고, 상기 호젤부에 나사 박음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스페이서를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고, 상기 호젤부에 나사 박음되어, 상기 슬리브를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면보다 하방에 형성된 상기 슬리브의 단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고, 상기 호젤부에 나사 박음되어, 상기 슬리브의 단차면을 눌러서 상기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한 캡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과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의 단면 형상은, 모두 동일한 다각형이며, 양자가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7. 골프 볼을 타격하는 페이스면을 구비하는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에 고정되고, 골프 샤프트를 고착하기 위한 호젤부와,
    상기 골프 샤프트를 고착하기 위하여 상기 호젤부의 삽입 구멍에 배치 고착된 관 형상의 슬리브를 가지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골프 샤프트, 상기 호젤부 및 상기 슬리브는,
    상기 헤드 본체를 상기 골프 샤프트가 기준의 라이각을 이루도록 수평면에 둔 상태일 때, 상기 골프 샤프트 선단부와 상기 슬리브와의 고착부 상단과 샤프트 축선과의 교점이, 상기 페이스면의 타격점인 페이스 센터를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상방에 있고, 또한 상기 호젤부의 삽입 구멍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호젤부 내에 고착된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에 상기 골프 샤프트의 선단부가 삽입되어서 접착제로 고착되고, 게다가
    상기 고착부 상단을 넘는 상기 골프 샤프트의 외주는,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 내에서, 원통 형상의 간극이 형성된 비구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체적이 400 ~ 470cm3이며,
    상기 수평선과, 상기 교점을 통과하는 수평선과의 사이의 거리가 0 ~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주 구멍보다 큰 직경의 내주 구멍을 가지고, 상기 호젤부에 나사 박음되어, 상기 슬리브와 상기 스페이서를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과 상기 호젤부의 상기 삽입 구멍의 단면 형상은, 모두 동일한 다각형이며, 양자가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KR1020187013859A 2015-10-28 2016-10-28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KR102023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12252 2015-10-28
JP2015212253 2015-10-28
JPJP-P-2015-212253 2015-10-28
JP2015212252 2015-10-28
PCT/JP2016/081984 WO2017073705A1 (ja) 2015-10-28 2016-10-28 金属製中空ゴルフクラ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663A KR20180067663A (ko) 2018-06-20
KR102023291B1 true KR102023291B1 (ko) 2019-09-19

Family

ID=5863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859A KR102023291B1 (ko) 2015-10-28 2016-10-28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186093B1 (ko)
KR (1) KR102023291B1 (ko)
CN (1) CN108348807B (ko)
WO (1) WO201707370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072A (ja) 1999-01-11 2000-07-25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
JP2008029691A (ja) 2006-07-31 2008-02-14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
JP2017124092A (ja) 2016-01-15 2017-07-2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04827A (en) * 1933-03-20 1934-01-25 Henry Cawse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al shafts for golf clubs and the like
JP2528038Y2 (ja) * 1991-01-10 1997-03-05 横浜ゴム株式会社 ウッドゴルフクラブ
JPH05261167A (ja) * 1992-03-16 1993-10-12 Maruman Golf Corp クラブヘッドとシヤフトとの接合構造
JPH0652857U (ja) * 1992-12-28 1994-07-19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用クラブ
US5452890A (en) * 1994-03-07 1995-09-26 Bingman; George Golf club head having protecting insert
JP3233857B2 (ja) * 1996-08-21 2001-12-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H1057533A (ja) * 1996-08-26 1998-03-03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
JP3550309B2 (ja) * 1998-01-22 2004-08-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SE514685C2 (sv) * 1998-10-05 2001-04-02 Leif Sundberg Golf Ab Golfklubba
JP2001276283A (ja) 2000-01-24 2001-10-09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ヘッド
EP1199088A4 (en) * 2000-05-02 2002-10-02 Mizuno Kk GOLF CLUB
JP2002177417A (ja) * 2000-12-19 2002-06-25 Endo Mfg Co Ltd ゴルフクラブ
JP2004329676A (ja) 2003-05-09 2004-11-25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
JP2006042951A (ja) * 2004-08-02 2006-02-16 Seiko S-Yard Co Ltd ゴルフクラブ
JP3966330B2 (ja) 2005-01-31 2007-08-29 株式会社ケイ・コーポレーション ゴルフクラブ
JP5309801B2 (ja) * 2008-09-01 2013-10-09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及びシャフト交換方法
JP5334735B2 (ja) * 2009-07-31 2013-11-06 エムアールシーコンポジット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のシャフト取付部材と、同取付部材を使ったゴルフクラブの製造方法
US8715104B1 (en) * 2011-03-10 2014-05-06 Callaway Golf Company Adjustable golf club shaft and hosel assembly
US8790191B2 (en) * 2011-08-31 2014-07-29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oupling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JP5938950B2 (ja) * 2012-03-01 2016-06-22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067110B1 (en) * 2012-06-08 2015-06-30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with center of gravity adjustability
JP2015023985A (ja) * 2013-07-26 2015-02-0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CN104368134B (zh) * 2013-08-13 2016-09-07 明安国际企业股份有限公司 能快速更换杆的高尔夫球杆
JP6448896B2 (ja) * 2013-10-03 2019-01-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072A (ja) 1999-01-11 2000-07-25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
JP2008029691A (ja) 2006-07-31 2008-02-14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
JP2017124092A (ja) 2016-01-15 2017-07-2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68827B2 (ja) 2018-08-01
CN108348807B (zh) 2019-12-17
JPWO2017073705A1 (ja) 2017-10-26
JP2017170199A (ja) 2017-09-28
CN108348807A (zh) 2018-07-31
WO2017073705A1 (ja) 2017-05-04
KR20180067663A (ko) 2018-06-20
JP6186093B1 (ja)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585B2 (e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a reinforced or localized stiffened face portion
US6287215B1 (en) Golf putter with adjustable lie and loft angles
US9586101B2 (en) Golf club
US20110269565A1 (en) Swingweight
US9387369B2 (en) Golf club
US6599202B2 (en) Golf club set
JP6878311B2 (ja) ポリマーホーゼルを備え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2165864A (ja) ゴルフクラブ及びその特性調節方法
US20050215345A1 (en) Golf club
JP2005137542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の組立セット
KR102023291B1 (ko) 금속제 중공 골프 클럽
JP5987924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4045871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709111B2 (ja) ゴルフクラブ
US9744410B1 (en) Golf shaft flex connection
JP6149835B2 (ja) ゴルフクラブ
JP5499630B2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US8974322B1 (en) Shaped golf tee
JP4502403B2 (ja) ゴルフクラブ
WO2012081728A1 (ja) ゴルフティー
JP3228038U (ja) パタークラブ
US20120028730A1 (en) Trueshaft
JP200525357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US9597560B2 (en) Golf club head
JP2017000242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