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07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073B1
KR102022073B1 KR1020187020834A KR20187020834A KR102022073B1 KR 102022073 B1 KR102022073 B1 KR 102022073B1 KR 1020187020834 A KR1020187020834 A KR 1020187020834A KR 20187020834 A KR20187020834 A KR 20187020834A KR 102022073 B1 KR102022073 B1 KR 102022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ock
lock arm
housing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743A (ko
Inventor
와타루 야마나타
히데후미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양호한 감합음(嵌合音)을 발생시킬 수 있고, 감합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0)은, 상대 하우징(90)을 탄성적으로 감합 유지하는 로크 아암(31)을 갖는다. 검지 부재(60)는, 로크 아암(31)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대기 위치에 있어서 로크 아암(31)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 아암(62)을 갖는다. 로크 아암(31)은,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탄성 아암(62)의 전단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탄성 아암(62)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로크 아암(31)의 탄성적인 복귀 동작에 의해 하우징(10) 또는 상대 하우징(90)의 벽면에 접촉하는 충돌부(43)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서로 감합(嵌合) 가능한 암측 커넥터 및 수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수측 커넥터는, 후드부의 외벽에 손톱형상의 결합 돌기를 갖고 있다. 암측 커넥터는, 결합 돌기와 대향하는 위치에 시소형의 로크 아암을 갖고 있다. 로크 아암은, 양 커넥터의 정규 감합 시에 걸림 돌기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걸림 돌기의 안쪽의 후드부의 외벽을 두드릴 수 있는 두드림 여유분을 갖고 있다. 이 두드림 여유분은, 로크 아암의 선단부의 후크부의 내측면을 패딩함으로써 형성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8-321352호 공보
그런데, 양 커넥터가 정규 감합되었는지 아닌지를 체크하기 위해, 상기 두드림 여유분에 의해 감합음(잠김음, 충돌음)을 듣는 청각 검지와 함께, 검지 부재에 의해 감합 상태를 기계적으로 검지하는 수법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검지 부재는, 통상, 로크 아암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양 커넥터의 감합 과정에서는 대기 위치에 놓이고, 양 커넥터의 정규 감합 시에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의 경우, 후크부의 내측면이 패딩됨으로써, 커넥터의 정규 감합 시에, 후크부가 전방 위쪽으로 경사지도록 로크 아암이 휨 변형되어 버린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이 때문에, 검지 부재가 로크 아암의 상면을 대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없어, 검지 부재에 의한 기계적인 검지 수법을 실질적으로 채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양호한 감합음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지 부재가 로크 아암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감합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을 탄성적으로 감합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로크 아암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보다 전방의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 아암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상기 탄성 아암과 상기 로크 아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검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탄성 아암의 전단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아암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크 아암의 탄성적인 복귀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상대 하우징의 벽면에 접촉하는 충돌부를 갖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로크 아암이 탄성적으로 복귀하고, 충돌부가 하우징 또는 상대 하우징의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감합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감합음을 듣는 것에 의해,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된 것을 청각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충돌부는,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탄성 아암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정도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전후 방향에 있어서 벽면을 두드리기에 충분한 두드림 여유분(타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아암의 휨 방향으로 두드림 여유분을 크게 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감합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로크 아암이 휨 변형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지 부재가 로크 아암에 대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검지 부재의 기계 검지와 충돌부의 청각 검지를 모두 양호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충돌부가 탄성 아암의 전단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탄성 아암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아암의 전단부가 충돌부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보호된 상태가 되어, 탄성 아암의 전단부가 이물질과 간섭하여 로크 아암과의 걸림이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커넥터의 정면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로크 아암에 대한 검지 부재의 대기 위치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이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검지 부재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검지 부재는, 상기 탄성 아암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크 아암의 양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검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탄성 아암의 사이에 상기 충돌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하면, 탄성 아암이 가이드부와 충돌부의 각각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보호된 상태가 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 1의 커넥터는, 하우징(10)과, 검지 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상대 하우징(90)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검지 부재(60)는, 하우징(10)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양 하우징(10, 90)이 감합 개시 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측을 전측으로 한다. 상하 방향은, 도 4 및 도 6을 제외한 각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상대 하우징(90)은 합성 수지제이며, 전방으로 돌출된 통형상의 후드부(91)를 갖고 있다. 후드부(91)의 상벽의 상면에는, 로크부(92)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로크부(92)는, 전면이 돌출 단부를 향해 후방으로 경사져 있고, 후면이 상하 방향을 대략 따르는 손톱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후드부(91) 내에는, 상대 단자 금구(金具)(95)의 수형 탭(96)이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감합 통부(12)와, 감합 통부(12)와 하우징 본체(11)를 연결하는 직경 방향을 따르는 연결부(13)를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11)와 감합 통부(12)의 사이이자 연결부(13)의 전방은, 상대 하우징(90)의 후드부(91)가 감합되는 감합 공간(14)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캐비티(15)를 갖고 있다. 캐비티(15)는, 내벽의 하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랜스(16)를 갖고 있다.
캐비티(15)에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금구(20)가 삽입된다. 단자 금구(20)는, 랜스(16)에 탄성적으로 걸려, 캐비티(15) 내에 빠지지 않게 유지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금구(20)는, 오픈 배럴형의 배럴부(21)와, 통형상의 접속부(22)를 갖고 있다. 배럴부(21)는, 전선(23)의 단부 및 고무 마개(24)에 압착하여 접속된다. 접속부(22)는, 배럴부(21)의 전방에 위치하고,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 시에 상대 단자 금구(95)에 도통 접속된다. 또, 단자 금구(20)가 캐비티(15)에 정규 삽입되면, 고무 마개(24)가 캐비티(15)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하고, 전선(23)이 하우징 본체(11)의 후면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는, 시일 링(25)이 끼움 장착된다. 시일 링(25)은,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 시에, 하우징 본체(11)와 후드부(91)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하우징 본체(11)의 전면은, 프론트 리테이너(26)에 의해 덮인다. 프론트 리테이너(26)는, 후방으로 돌출된 리테이닝부(27)를 갖고 있다. 프론트 리테이너(26)가 하우징 본체(11)에 정규 조립되면, 리테이닝부(27)가 랜스(16)의 휨 공간에 진입하고, 단자 금구(20)가 캐비티(15) 내에 2차적으로 빠지지 않게 유지된다. 또한, 프론트 리테이너(26)의 후단이 시일 링(25)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시일 링(25)이 하우징 본체(11)에 빠지지 않게 유지된다.
하우징(10)에는 로크 아암(31)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31)은, 하우징 본체(11)의 상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레그부(32)와, 레그부(32)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양 방향으로 돌출된 아암부(33)를 갖고 있다. 아암부(33)는, 레그부(32)의 상단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시소형으로 탄성 변위 가능(틸팅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감합 통부(12)의 상벽은, 전단부에, 폭방향을 따르는 가설부(34)가 설치되고, 가설부(34)를 남기고, 로크 아암(31)과 대향하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부(33)는, 서로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연장부(35)와, 양 연장부(35)의 전단부 사이에 가설된 로크 본체부(36)를 갖고 있다. 연장부(35)와 로크 본체부(36)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후방으로 개방된 로크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5)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각진 막대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로크 본체부(36)는, 로크 구멍(37)의 전단을 폐쇄하도록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연장부(35)의 상면에는, 한쌍의 보호벽(38)이 기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양 보호벽(38)은, 로크 구멍(37)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편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양 보호벽(38)의 전단은, 로크 본체부(36)와 대략 동일한 전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양 보호벽(38)의 후방부의 상단 사이에는, 직사각형 평판형의 평판부(39)가 가설되어 있다. 평판부(39)는, 로크 구멍(37)의 후방부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양 연장부(35)의 외측면의 하부에는, 한쌍의 스토퍼부(41)가 설치되어 있다(도 1을 참조). 양 스토퍼부(41)는, 연장부(35)의 외측면의 전후 방향 도중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양 연장부(35)의 외측면의 상부에는, 한쌍의 레일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양 레일부(42)는, 연장부(35)의 외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튀어나오고, 또한 연장부(3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편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로크 본체부(36)는, 양 연장부(35) 및 양 레일부(42)의 전단보다 후방으로 들어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4를 참조). 바꿔 말하면, 양 연장부(35) 및 양 레일부(42)의 전단부는, 로크 본체부(36)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연장부(35)의 전단부는, 한쌍의 충돌부(43)로서 구성되어 있다. 충돌부(43)는, 연장부(35)의 전단부의 내측면 하부에 각블록형의 패딩부(44)를 갖고 있다. 연장부(35)의 전단부의 내측면 상부와 패딩부(44)의 상면은, 단면이 L자형을 이루며, 대략 직각으로 이어져 있다.
충돌부(43)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모두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충돌부(43)의 외측면의 상단부는, 레일부(42)에 일체로 연결되고, 충돌부(43)의 전단은, 레일부(42)의 전단과 대략 동일한 전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충돌부(43)의 하면은, 전후 방향 및 폭방향을 따르는 편평한 충돌면(45)으로 되어 있다. 충돌부(43)는,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 시의 로크 아암(31)의 탄성적인 복귀 동작에 따라, 충돌면(45)이 후드부(91)의 상벽의 상면에 대략 면접촉 상태로 접촉함으로써, 감합음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충돌부(43)는, 패딩부(44)만큼 충돌면(45)이 전후 방향 및 폭방향으로 증대되어, 큰 감합음을 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후드부(91)의 상벽과 충돌부(43)가 상하 방향(로크 아암(31)의 휨 방향)으로 중복되는 두드림 여유분을 크게 확보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감합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검지 부재(60)에 관해 설명한다. 검지 부재(60)는 합성 수지제이며,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봤을 때에 사각형의 백플레이트부(61)와, 백플레이트부(61)의 전면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탄성 아암(62)과, 백플레이트부(61)의 전면의 양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가이드부(63)와, 양 가이드부(63)의 상단 사이에 가설되는 덮개판부(64)를 갖고 있다. 검지 부재(60)는, 로크 아암(31)의 로크 구멍(37)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아암부(3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이 되는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압입되어 검지 위치에 이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판부(64)는, 평면에서 봤을 때에 직사각형을 이루며, 상면의 후단부에, 한층 높게 배치된 조작부(65)를 갖고 있다. 작업자는, 손가락으로 조작부(65)를 누르면서 검지 부재(60)의 이동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 아암(62)은, 백플레이트부(61) 근처의 부위를 지점으로 상하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아암(62)의 전단부는, 덮개판부(64)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탄성 아암(62)의 전단부는, 하면에 로크 돌기(66)를 갖고 있다. 로크 돌기(66)는, 전후 양면이 상하 방향을 대략 따르는 각블록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탄성 아암(62)은, 로크 돌기(66)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판편형의 누름편(67)을 갖고 있다.
양 가이드부(63)의 전단부는, 탄성 아암(62)과 마찬가지로, 덮개판부(64)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양 가이드부(63)의 전단은, 탄성 아암(62)의 전단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가이드부(63)는, 내측면에 레일 홈(68)을 갖고 있다. 레일 홈(68)은, 가이드부(63)의 내측면에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부(63)의 전단면에 개구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양 가이드부(63)는, 내측면의 하단부의 전후 방향 도중에 한쌍의 걸림 돌기(69)를 갖고 있다. 걸림 돌기(69)는, 전면이 돌출단을 향해 크게 후방으로 경사져 있고, 후면이 돌출단을 향해 약간 후방으로 경사진 손톱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덮개판부(64)의 양측부에는, 걸림 돌기(69)를 성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금형의 인발에 기인하는 한쌍의 창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69)는, 창구멍(71)을 통해서 상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의 감합 방법 및 검지 부재(60)의 검지 방법 등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검지 부재(60)가 하우징(10)의 로크 아암(31)에 조립된다. 검지 부재(60)가 로크 아암(31)의 로크 구멍(37)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면, 로크 아암(31)의 양 레일부(42)가 양 가이드부(63)의 레일 홈(68)에 감합되고, 로크 아암(31)이 검지 부재(60)에 수용된다. 또한, 로크 아암(31)의 평판부(39)가 탄성 아암(62)과 덮개판부(64)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도 2를 참조).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이르면, 양 걸림 돌기(69)가 양 스토퍼부(41)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양 걸림 돌기(69)의 후면이 양 스토퍼부(41)의 전면에 대향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1을 참조). 또한, 대기 위치에서는, 탄성 아암(62)의 누름편(67)이 로크 본체부(36)의 상면에 배치됨과 함께, 로크 돌기(66)의 전면이 로크 본체부(36)의 후면(로크 구멍(37)의 전면이기도 함)에 대향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검지 부재(60)의 조작부(65)가 하우징 본체(11)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계속해서, 상대 하우징(90)이 하우징(10)의 감합 공간(14)에 감합된다. 감합 과정의 종반에 있어서, 상대 하우징(90)의 로크부(92)가 로크 아암(31)의 로크 본체부(36)와 간섭하고, 로크 아암(31)이 탄성적으로 휨 변형된다.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되면, 로크부(92)가 로크 본체부(36)를 타고 넘어, 로크 아암(31)이 복귀 방향으로 탄성 변위한다. 이때, 아암부(33)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변위하고, 로크 아암(31)의 복귀 동작에 압박되면서, 양 충돌부(43)의 충돌면(45)이 후드부(91)의 상벽의 상면에 충돌하여, 감합음(잠금음, 충돌음)이 발생한다. 이때, 로크 아암(31)의 휨 상태가 실질적으로 해소되고, 아암부(33)가 전후 방향으로 대략 직선으로 연장된 자연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로크 아암(31)이 탄성 복귀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92)가 로크 구멍(37)에 하측으로부터 삽입되고, 그에 따라, 검지 부재(60)의 로크 돌기(66)가 로크부(92)에 의해 밀려 올라가고, 탄성 아암(62)이 휨 변형되어, 로크 돌기(66)와 로크 본체부(36)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측이 되는 전방으로 압박되고, 로크 아암(31)의 양 연장부(35)를 따라서 직진형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로 향하는 과정에서는, 양 가이드부(63)의 레일 홈(68)이 로크 아암(31)의 양 레일부(42)를 슬라이딩하여, 검지 부재(60)가 직진 이동하는 상태가 담보된다. 또한, 탄성 아암(62)의 로크 돌기(66)가 로크 본체부(36)의 상면을 슬라이딩하고, 탄성 아암(62)의 휨 상태가 유지된다.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면, 로크 돌기(66)가 로크 본체부(36)를 타고 넘어, 탄성 아암(62)이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돌기(66)의 후면이 로크 본체부(36)의 전면에 대향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복귀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덮개판부(64)의 전단이 가설부(34)의 후단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보다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렇게 해서 검지 부재(60)가 로크 아암(31)에 대하여 검지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조작부(65)가 하우징 본체(11)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조작부(65)의 후방에 있어서 평판부(39)의 상면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되지 않으면, 로크 돌기(66)와 로크 본체부(36)의 걸림이 유지되기 때문에, 검지 부재(60)를 검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해지는 것으로,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아암(31)의 양 충돌부(43)는, 탄성 아암(62)의 전단부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그 전단이 탄성 아암(62)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도 3을 참조). 양 충돌부(43)의 패딩부(44)는, 로크 돌기(66)의 폭방향 양측에 근접하게 대향 배치되고, 로크 돌기(66)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는다.
또한, 탄성 아암(62)의 전단부의 양측 외측은, 양 연장부(35)의 전단부에 의해 덮이고, 또한, 양 연장부(35)의 전단부의 양측 외측은 양 가이드부(63)의 전단부에 의해 덮인다. 바꿔 말하면, 연장부(35)의 전단부(충돌부(43)를 포함)는, 탄성 아암(62)의 전단부와 가이드부(63)의 전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로크 아암(31)이 탄성 복귀함에 따라, 충돌부(43)가 후드부(91)의 상벽의 상면을 두드려 감합음을 발할 수 있기 때문에,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된 것을 청각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해지는 것에 의해,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된 것을 기계적으로 검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충돌부(43)가 탄성 아암(62)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연장부(35)의 내측면에 패딩된 형태의 패딩부(44)를 갖는 것에 의해, 충돌부(43)의 충돌면(45)이 평면 방향(전후 방향 및 폭방향)으로 증대하여, 큰 감합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드부(91)의 상벽과 충돌부(43) 사이에, 로크 아암(31)의 휨 방향(상하 방향)으로 큰 두드림 여유분(랩 마진)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로크 아암(31)이 탄성 복귀하여 로크부(92)를 걸 때에 전후 방향을 대략 따르는 직진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 부재(60)는, 대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이동할 때에, 로크 아암(31)을 따라서 전방으로 원활하게 직진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지 부재(60)의 이동 조작의 원활성이 담보된다.
또한, 탄성 아암(62)의 전단부의 폭방향 양측에 충돌부(43)가 배치되고, 양 충돌부(43)의 전단이 탄성 아암(62)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아암(62)의 전단부가 양 충돌부(43)에 의해 폭방향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탄성 아암(62)의 전단부에 이물질이 간섭하여, 로크 돌기(66)와 로크 본체부(36)의 걸림이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는, 탄성 아암(62)의 전단부의 양측 외측에 양 충돌부(43)가 배치됨과 함께, 양 충돌부(43)의 양측 외측에 양 가이드부(63)가 배치되기 때문에, 탄성 아암(62)의 전단부가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보호된 상태가 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1) 로크 아암의 충돌부는,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하우징측의 벽면에 접촉하여 감합음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2) 검지 부재는,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됨에 따라, 스프링 부재에 압박되어 검지 위치에 자동적으로 이르는 구성이어도 좋다.
10 : 하우징
11 : 하우징 본체
31 : 로크 아암
33 : 아암부
35 : 연장부
43 : 충돌부
60 : 검지 부재
62 : 탄성 아암
63 : 가이드부
90 : 상대 하우징
91 : 후드부
92 : 로크부

Claims (2)

  1. 상대 하우징을 탄성적으로 감합(嵌合)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로크 아암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보다 전방의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 아암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상기 탄성 아암과 상기 로크 아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검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탄성 아암의 전단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아암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크 아암의 탄성적인 복귀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상대 하우징의 벽면에 접촉하는 충돌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는, 상기 탄성 아암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크 아암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레일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검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탄성 아암 사이에 상기 충돌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KR1020187020834A 2016-01-21 2017-01-06 커넥터 KR102022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9478 2016-01-21
JP2016009478A JP6515825B2 (ja) 2016-01-21 2016-01-21 コネクタ
PCT/JP2017/000220 WO2017126334A1 (ja) 2016-01-21 2017-01-0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743A KR20180096743A (ko) 2018-08-29
KR102022073B1 true KR102022073B1 (ko) 2019-09-18

Family

ID=5936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834A KR102022073B1 (ko) 2016-01-21 2017-01-06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98075B2 (ko)
JP (1) JP6515825B2 (ko)
KR (1) KR102022073B1 (ko)
CN (1) CN108475882B (ko)
WO (1) WO2017126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9353B2 (ja) 2017-03-13 2020-10-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JP6769354B2 (ja) * 2017-03-13 2020-10-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CN207320479U (zh) * 2017-10-17 2018-05-04 安费诺精密连接器(深圳)有限公司 一种高压连接器
JP2020047363A (ja) * 2018-09-14 2020-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0047364A (ja) * 2018-09-14 2020-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0047365A (ja) * 2018-09-14 2020-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81231B2 (ja) * 2018-10-24 2020-11-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9546406B (zh) * 2018-11-29 2020-05-0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线束插件
JP2021005518A (ja) * 2019-06-27 2021-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32407B2 (ja) * 2019-08-09 2023-03-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1057204A (ja) * 2019-09-30 2021-04-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1093311A (ja) * 2019-12-11 2021-06-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2135A1 (en) 2000-10-31 2002-05-0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2008146907A (ja) 2006-12-07 2008-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1352A (ja) * 1995-05-23 1996-12-03 Sumitomo Wiring Syst Ltd 係合機構
JP3419602B2 (ja) * 1995-08-03 2003-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126089A (ja) * 1997-07-08 1999-01-29 Yazaki Corp ロック検知コネクタ
US6234826B1 (en) * 1999-04-30 2001-05-22 Cardell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3997858B2 (ja) * 2002-07-24 2007-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US6896538B2 (en) * 2002-10-31 2005-05-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elf-cleaning CPA device for high-debris applications
JP4133922B2 (ja) * 2004-04-28 2008-08-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ハウジング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一対の電気コネクタ
US8926355B2 (en) * 2012-06-29 2015-01-06 Lear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for a connector assembly
US9543702B2 (en) * 2013-05-08 2017-01-1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5885096B2 (ja) * 2013-05-08 2016-03-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9054458B1 (en) * 2014-02-10 2015-06-09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JP2015170489A (ja) * 2014-03-07 2015-09-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3089280A1 (en) * 2015-04-29 2016-11-02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omprising a secondary locking device
US10038278B2 (en) * 2016-03-17 2018-07-3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2135A1 (en) 2000-10-31 2002-05-0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2002141145A (ja) * 2000-10-31 2002-05-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8146907A (ja) 2006-12-07 2008-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743A (ko) 2018-08-29
JP2017130372A (ja) 2017-07-27
CN108475882B (zh) 2020-01-24
JP6515825B2 (ja) 2019-05-22
WO2017126334A1 (ja) 2017-07-27
CN108475882A (zh) 2018-08-31
US20190006792A1 (en) 2019-01-03
US10498075B2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073B1 (ko) 커넥터
JP5050820B2 (ja) コネクタ
JP4548272B2 (ja) コネクタ
CN110622367B (zh) 连接器
JP2017027753A (ja) コネクタ
JP4613747B2 (ja) コネクタ
US6537098B2 (en) Connector fitting construction using resilient force
JP5510346B2 (ja) コネクタ
JP6025062B2 (ja) コネクタ
JP2016119233A (ja) コネクタ
JP5614317B2 (ja) コネクタ
JP6191661B2 (ja) コネクタ
JP2009026590A (ja) コネクタ
JP2010287464A (ja) コネクタ
JP2020080271A (ja) コネクタ
JP5946003B2 (ja) コネクタ
JP5212257B2 (ja) コネクタ
JP4270076B2 (ja) コネクタ
CN108701924B (zh) 连接器
JP2008016418A (ja) コネクタ
WO2020137453A1 (ja) コネクタ
JP6344204B2 (ja) コネクタ
JP2020057578A (ja) コネクタ
JP5482924B2 (ja) コネクタ
JP202009870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