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976B1 - 오버슬램범퍼 - Google Patents

오버슬램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976B1
KR102021976B1 KR1020170153002A KR20170153002A KR102021976B1 KR 102021976 B1 KR102021976 B1 KR 102021976B1 KR 1020170153002 A KR1020170153002 A KR 1020170153002A KR 20170153002 A KR20170153002 A KR 20170153002A KR 102021976 B1 KR102021976 B1 KR 10202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wing
case body
body pane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022A (ko
Inventor
김병곤
Original Assignee
김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곤 filed Critical 김병곤
Priority to KR102017015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9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슬램범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누수 및 누설이 방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오버슬램범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범퍼; 차체 패널을 관통하는 것으로, 내부에 범퍼가 삽입되는 케이스몸체와, 케이스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날개홈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날개단과, 날개단 하부의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차체 패널이 케이스몸체에 구속되도록 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케이스; 차체 패널과 날개단의 사이에 설치되는 링과, 링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날개홈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범퍼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오버슬램범퍼{Over slam bumper}
본 발명은 오버슬램범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누수 및 누설이 방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오버슬램범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버슬램범퍼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도어,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의 차체 패널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을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 소음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훅의 법칙에 의하여 오버슬램범퍼가 눌리는 변형량(변위)에 비례하여 반력이 증가함에 따라,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적당한 반력을 형성하여 주행 중 이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버슬램범퍼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오버슬램범퍼는 범퍼(20), 케이스(30) 및 패드(40)로 이루어져 후크(31)에 의해 차체 패널(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도어,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의 차체 패널(10)에 관통 형성된 구멍(11)에 범퍼(20)와 결합된 케이스(30)를 관통되게 한 후, 케이스(30)가 후크(31)에 의해 차체 패널(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인 것이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종래의 오버슬램범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후크(31)에 의해 케이스(30)에 끼워진 패드(40)는 고무 소재로 만들어진 얇은 링 형태이기 때문에,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찢어지는 불량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오버슬램범퍼를 작업장으로 이송시 패드(40)가 케이스(3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충격을 완충하는 패드(40)가 없는 상태의 오버슬램댐퍼를 차체 패널(10)에 설치하게 되면 차동차의 떨림이 심해져 충격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케이스(30)로부터 패드(40)가 구비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로 마킹하는 과정을 실시하긴 하나, 마킹을 하더라도 패드(40)가 구비되어 있는지 1차적으로 확인만 될 뿐이지, 작업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 패드(40)가 다시 분실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금형을 이용한 공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없으므로, 케이스(30)로부터 패드(40)가 이탈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오버슬램범퍼가 완전한 기밀을 유지할 수는 없기 때문에 누수 및 누설로 인하여 외부의 액체나 기체 등이 차체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막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누수 및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오버슬램범퍼의 새로운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49263호, 2014.10.01.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누수 및 누설이 방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오버슬램범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범퍼; 차체 패널을 관통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범퍼가 삽입되는 케이스몸체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날개홈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날개단과, 상기 날개단 하부의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차체 패널이 상기 케이스몸체에 구속되도록 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차체 패널과 상기 날개단의 사이에 설치되는 링과, 상기 링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날개홈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날개홈은, 상기 날개홈의 중앙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단차진 걸림편이 형성되어 한 쌍의 날개공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이탈방지편의 중앙부에는, 상기 걸림편이 대응되게 삽입 가능한 수용홈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범퍼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의 하면에는, 차체 패널에 형성된 구멍 둘레를 따라 걸쳐지도록 끼움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에는, 누수 및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막힘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퍼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범퍼와 상기 케이스몸체가 나사결합되되, 상기 범퍼는, 상기 막힘벽에 의해 위치 조절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또는 TPV(Thermoplastic vulcanizates)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오버슬램범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품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차체 패널에 설치된 후 충격 완충의 효율성을 만족하는 효과와, 차체 외부로부터 물 또는 가스가 새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후크의 상단을 다단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차체 패널의 두께가 바뀌더라도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버슬램범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도.
도 3은 도 2의 제1분해도.
도 4는 도 2의 제2분해도.
도 5는 도 2의 제3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이탈방지수단의 결합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버슬램범퍼는 범퍼(100), 케이스(200) 및 이탈방지수단(300)으로 이루어져 차체 패널(P)에 고정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분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2분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제3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체 패널(P)에 범퍼(100), 케이스(200) 및 이탈방지수단(30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퍼(100)는 도어,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을 개폐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범퍼(100)는 도어,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을 닫을 때 직접적으로 닿이는 범퍼헤드(110)와, 범퍼헤드(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케이스몸체(210)와 결합되는 범퍼기둥(120)으로 이루어져,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이때 범퍼기둥(120)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나사산(121)이 형성되는데, 제1나사산(121)은 케이스몸체(210)의 내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나사산(211)과 나사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범퍼기둥(120)은 케이스몸체(210)의 내부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범퍼기둥(120)은 종래의 도 1에서와 같은 범퍼(2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기 때문에 오버슬램범퍼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스(200)는 차체 패널(P)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인바, 범퍼(100)를 차체 패널(P)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200)는 범퍼기둥(120)을 감싸 차체 패널(P)과 고정되는 것으로, 케이스몸체(210), 날개단(220) 및 후크(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케이스몸체(210)는 내부에 범퍼(100)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우선 케이스몸체(210) 내부의 중앙부에는 누수 및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막힘벽(2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누설이라 함은 외부의 물이나 가스 등이 차체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막힘벽(213)을 중심으로 일측 내주면에만 제2나사산(211)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외주면에 제1나사산(121)이 형성된 범퍼(100)가 막힘벽(213)을 중심으로 케이스몸체(210)의 일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나사결합에 의해 케이스몸체(210)의 내부로 삽입된 범퍼(100)는 막힘벽(213)에 의해 위치 조절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범퍼(100)는 막힘벽(213)까지만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누수 및 누설 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종래의 도 1에서와 같은 오버슬램범퍼는 케이스(30) 내부에 벽이 형성되어있지 않아 외부의 물이 차체 내부로 들어오거나 경유/휘발유 등의 가스가 틈새로 통해 차체 내부로 들어오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막힘벽(213)은 특징적인 의미를 가진다.
또한 범퍼(100)가 막힘벽(213)까지만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범퍼기둥(120)의 길이를 종래의 도 1에서와 같은 범퍼(2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오버슬램범퍼의 경량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둘째, 날개단(220)은 케이스몸체(2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날개홈(221)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구성이다.
특히 날개홈(221)은 날개홈(221)의 중앙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편(221b)에 의해 한 쌍의 날개공간(221a)으로 분할되는데, 걸림편(221b)은 날개홈(221)의 두께를 기준으로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편(221b)의 상부에 이탈방지편(320)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탈방지편(320)의 상단은 날개단(220)의 상단과 동일한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탈방지편(320)의 상단 높이가 날개단(220)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면 함몰된 날개홈(221)의 공간이 비게 되어 이물질 등이 끼일 우려가 있고, 이탈방지편(320)의 상단 높이가 날개단(220)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면 불필요한 잉여고무가 발생한 것으로 생산단가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편(221b)이 날개홈(221)의 중앙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차체 패널(P)의 두께가 달라지더라도 걸림편(221b)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탈방지편(320)의 수용홈(321)에 결합 가능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이탈방지편(320)의 중앙부에는 걸림편(221b)이 대응되게 삽입 가능한 수용홈(3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날개단(220)으로부터 케이스몸체(210)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진 지지편(2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지지편(212)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날개단(220)이 휘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셋째, 후크(230)는 날개단(220) 하부의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차체 패널(P)이 케이스몸체(210)에 구속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후크(230)는 날개단(220)과의 사이 공간을 만들어주어 케이스몸체(210)가 차체 패널(P)에 원터치 방식으로 구속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230)의 상세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200) 구성인 후크(230)의 상단이 다단지게 형성됨으로써 차체 패널(P)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다단진 형태에 맞게끔 차체 패널(P)을 끼울 수 있으므로, 케이스(200)를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차체 패널(P)은 그 표면이 도 6의 A 부분에 밀착되게끔 설치될 수 있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차체 패널(P)의 경우, 차체 패널(P)의 구멍을 두께가 얇은 차체 패널(P)의 구멍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뚫어 도 6의 B 부분에 밀착되게끔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후크(230)의 상단이 다단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차체 패널(P)의 두께에 따른 케이스(200)를 치수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차체 패널(P)의 두께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더라도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도출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탈방지수단(300)은 차체 패널(P)로부터 케이스(2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구성이다.
즉 이탈방지수단(300)은 링(310)과 이탈방지편(320)으로 이루어져 케이스(200)와 인서트 사출되는 것으로, 차체 패널(P)로부터 케이스몸체(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이 범퍼(100)에 닿일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해주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이탈방지수단(300)은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또는 TPV(Thermoplastic vulcanizates)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탈방지수단(300)의 소재로는 상술된 종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탄성있는 수지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00)와 이탈방지수단(300)의 결합상세도이다. 도 7-(a)는 케이스(200)와 이탈방지수단(300)이 결합된 오버슬램범퍼를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자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A-A'선을 자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7을 참조하면, 이탈방지수단(300)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경화됨으로써, 날개단(220)과 결합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링(310)은 차체 패널(P)과 날개단(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링(310)은 날개단(220)과 차체 패널(P)의 사이에 배치되어 범퍼(100)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을 완충시켜 날개단(220)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링(310)의 두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인서트 사출 가능하기 때문에, 차체 패널(P)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경우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두께로 변경 가능하여 제작을 할 수 있으므로,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이탈방지편(320)은 링(31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날개홈(221)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링(310)의 하면에는 차체 패널(P)에 형성된 구멍 둘레를 따라 끼워지도록 끼움턱(311)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끼움턱(311)은 구멍 둘레를 따라 끼워지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끼움턱(311)은 도 4 및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차체 패널(P)에 관통 형성된 구멍의 크기에 따라 범용으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중으로 형성된 끼움턱(311)으로 인하여 차체 패널(P)의 구멍으로 물 또는 가스가 새어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단, 차체 패널(P)의 구멍은 도 1의 차체 패널(10)에 형성된 구멍(11)을 참조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범퍼 110: 범퍼헤드
120: 범퍼기둥 121: 제1나사산
200: 케이스 210:케이스몸체
211: 제2나사산 212: 지지편
213: 막힘벽 220: 날개단
221: 날개홈 221a: 날개공간
221b: 걸림편 230: 후크
300: 이탈방지수단 310: 링
311: 끼움턱 320: 이탈방지편
321: 수용홈 P: 차체 패널

Claims (6)

  1. 범퍼;
    차체 패널을 관통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범퍼가 삽입되는 케이스몸체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날개홈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날개단과, 상기 날개단 하부의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차체 패널이 상기 케이스몸체에 구속되도록 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차체 패널과 상기 날개단의 사이에 설치되는 링과, 상기 링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날개홈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이탈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날개홈은,
    상기 날개홈의 중앙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단차진 걸림편이 형성되어 한 쌍의 날개공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이탈방지편의 중앙부에는,
    상기 걸림편이 대응되게 삽입 가능한 수용홈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범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하면에는,
    차체 패널에 형성된 구멍 둘레를 따라 걸쳐지도록 끼움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범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에는,
    누수 및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막힘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범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범퍼와 상기 케이스몸체가 나사결합되되,
    상기 범퍼는,
    상기 막힘벽에 의해 위치 조절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범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또는 TPV(Thermoplastic vulcanizates)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범퍼.
KR1020170153002A 2017-11-16 2017-11-16 오버슬램범퍼 KR102021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002A KR102021976B1 (ko) 2017-11-16 2017-11-16 오버슬램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002A KR102021976B1 (ko) 2017-11-16 2017-11-16 오버슬램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22A KR20190056022A (ko) 2019-05-24
KR102021976B1 true KR102021976B1 (ko) 2019-09-17

Family

ID=6668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002A KR102021976B1 (ko) 2017-11-16 2017-11-16 오버슬램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616A (ko) 2020-09-25 2022-04-01 (주)한라공업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640B1 (ko) * 2019-06-07 2020-01-29 주식회사 디엠씨 고정력과 완충성을 구비한 오버슬램범퍼
US11946309B2 (en) * 2020-08-17 2024-04-02 Whirlpool Corporation Adjustable bumper design for home appliances
KR20220142836A (ko) * 2021-04-15 2022-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096A (ja) 2004-05-25 2006-01-12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JP2006035871A (ja) * 2004-07-22 2006-02-09 Daiwa Kasei Ind Co Ltd 導電クッションクリップの取付構造
JP2008094261A (ja) * 2006-10-12 2008-04-24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398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완충고무
KR101449263B1 (ko) 2013-04-02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096A (ja) 2004-05-25 2006-01-12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JP2006035871A (ja) * 2004-07-22 2006-02-09 Daiwa Kasei Ind Co Ltd 導電クッションクリップの取付構造
JP2008094261A (ja) * 2006-10-12 2008-04-24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616A (ko) 2020-09-25 2022-04-01 (주)한라공업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22A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976B1 (ko) 오버슬램범퍼
US9920563B2 (en) Damping assembly, in particular for a flap of a vehicle
KR100903317B1 (ko) 연료도어의 하우징 장치
JP2014185657A (ja) ダストカバー組立体
JP2011241962A (ja) 緩衝クリップ
ITMI971979A1 (it) Supporto in gomma ammortizzatore idraulico
WO2005106282A1 (es) Tope de rebote hidráulico para amortiguadores hidráulicos
JP2008094261A (ja) クッションクリップ
DE102012002433A1 (de) Dämpferlager für eine Kolbenstange eines Schwingungsdämpfers sowie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Dämpferlager
EP4275935A3 (en) Glass plate module
US9481322B2 (en) Structure of door trim and door inner belt for vehicle
US20170029030A1 (en) Body part of a vehicle
CN109690124B (zh) 冲击限制器
KR102070640B1 (ko) 고정력과 완충성을 구비한 오버슬램범퍼
JP2013172611A (ja) ドア用グロメット
JP5303058B1 (ja) 緩衝装置用バンプストッパ
IT201900005516A1 (it) Valvola di scarico per attrezzature subacquee gonfiabili, come ad esempio gli equilibratori subacquei
KR200397655Y1 (ko) 개폐용 샤시 프레임의 완충구조
KR20200047115A (ko) 규격화 설계로 제작되는 사이드실 보강재
KR102667504B1 (ko) 차량용 도어 가니쉬 결합구조체
EP3704673A1 (de) Elektronisches handgerät, insbesondere funkschlüssel, mit einer dichthaube
KR102476345B1 (ko)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JP2013001290A (ja) 車両用ドア
RU167420U1 (ru) Защитная заглушка на торец полого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тела
KR101758480B1 (ko) 자동차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