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836A -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836A
KR20220142836A KR1020210049358A KR20210049358A KR20220142836A KR 20220142836 A KR20220142836 A KR 20220142836A KR 1020210049358 A KR1020210049358 A KR 1020210049358A KR 20210049358 A KR20210049358 A KR 20210049358A KR 20220142836 A KR20220142836 A KR 20220142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umper
tailgate
vehic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문
정윤희
김영호
장병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836A/ko
Priority to US17/678,631 priority patent/US20220333421A1/en
Priority to DE102022202129.0A priority patent/DE102022202129A1/de
Priority to CN202210312810.5A priority patent/CN115214509A/zh
Publication of KR2022014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는, 일단이 차량의 테일 게이트 내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차량의 리어 범퍼 또는 차체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에 고정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어 범퍼 또는 차체 쪽으로 돌출된 범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OVERSLAM BUMPE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 형상의 범퍼부와 브라켓부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오버 슬램 범퍼는 테일 게이트(1)의 인너패널의 양측('A' 부위)에 리어 범퍼(2) 또는 차체를 향하도록 장착되어 테일 게이트(1)를 닫을 때 충격 및 소음을 줄여주고, 단차를 흡수하며, 차량의 주행 중에 테일 게이트(1)의 진동을 억제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오버 슬램 범퍼는 고무 재질로 된 단순한 원기둥 형상으로, 범퍼부(4)와, 브라켓(5)과, 실(seal, 6)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일 게이트(1)를 닫을 때 찍힘 방지를 위한 오버 슬램 기능을 하고 있으나 차체 및 리어 범퍼의 장착 품질이 완벽해야만 오버 슬램 기능이 구현된다. 즉, 조립 작업자, 차체, 및 조립 품질 산포에 따라 테일 게이트 닫기 힘듦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및 조립 산포 흡수, 및 갭/단차 품질 조정이 용이한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는, 일단이 차량의 테일 게이트 내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차량의 리어 범퍼 또는 차체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에 고정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어 범퍼 또는 차체 쪽으로 돌출된 범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일 게이트 내부로 돌출되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테일 게이트 외부로 돌출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범퍼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 삽입되고 외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테일 게이트 외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외력 작용시 압축 변형되는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로부터 상기 테일 게이트 외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테일 게이트의 닫힘시 상기 리어 범퍼 또는 차체와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 내부에 상기 범퍼부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는, 상기 테일 게이트와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테일 게이트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브라켓 내부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삽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범퍼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외벽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제2 브라켓의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범퍼부가 상기 브라켓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범퍼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브라켓부와 나사 결합된 채로 상기 브라켓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는, 압축 외력 작용시 상기 범퍼부의 외측 반경을 향해 라운드지게 돌출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범퍼부에 압축 외력이 최대로 작용될 때,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삽입부 내부에서 상기 제2 브라켓의 내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의 외벽에는 상기 외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부의 외벽에는 상기 외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범퍼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는 테일 게이트를 닫을 때 오버랩량이 달라져도 범퍼부의 변형에 의해 동일 하중을 적용함으로써 차체 및 조립 산포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브라켓부에 대하여 범퍼부의 회전을 통해 단차 조정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범퍼부와 브라켓부에 상대 회전에 따라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도록 배치되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범퍼부의 브라켓부에 대한 회전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오버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장착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범퍼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브라켓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실링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범퍼부 및 브라켓부에 돌기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압축 외력 작용시 돌기부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압축 외력 작용에 따른 돌기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들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범퍼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브라켓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상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실링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100)는, 브라켓부(20)와, 범퍼부(10), 및 실링부재(30)를 포함한다.
브라켓부(20)는 도 1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1)의 양측 'A' 부위에 고정되고, 일단이 테일 게이트(1)의 내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차량의 리어 범퍼(2) 또는 차체 쪽으로 돌출된다. 브라켓부(20)는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일 게이트(1)의 내부로 돌출되는 제1 브라켓(22), 및 테일 게이트(1)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브라켓(24)을 포함한다. 제2 브라켓(24)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브라켓(24)의 내부에는 제2 브라켓(24) 내부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삽입부(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2)과 제2 브라켓(24)는 일체형으로 서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22)의 반경이 제2 브라켓(24)의 반경보다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범퍼부(10)는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브라켓부(20)의 중공에 삽입된다. 범퍼부(10)는 브라켓부(20)의 제2 브라켓(24)에 삽입될 수 있다. 범퍼부(10)의 일부는 브라켓부(20)의 중공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브라켓부(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범퍼부(10)는 결합부(12)와, 변형부(14), 및 접촉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는 외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은 결합부(12)가 제2 브라켓(24)에 삽입될 때 제2 브라켓(24)의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범퍼부(10)와 브라켓부(20)의 상대 회전에 의해 나사산들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범퍼부(10)가 브라켓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범퍼부(10)와 브라켓부(20)의 상대 회전량에 따라 범퍼부(10)가 브라켓부(2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변형부(14)는 결합부(12)로부터 테일 게이트(1) 외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외력 작용시 압축 변형될 수 있다. 변형부(14)는 고무 재질과 같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부(16)는 테일 게이트(1)의 닫힘시 리어 범퍼(2) 또는 차체와 직접 접촉되는 부위로, 변형부(14)로부터 테일 게이트(1) 외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접촉부(16)의 상면에는 접촉부(16)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17)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돌기(17)는 반경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17)는 고무 재질과 같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범퍼부(10)는 접촉부(16)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삽입부(23)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부(20)의 제1 브라켓(22)과 제2 브라켓(24)의 단차진 부위에서 제1 브라켓(22)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부(20)가 테일 게이트(1)에 고정될 때 실링부재(30)는 테일 게이트(1)와 브라켓부(20) 사이에 개재되어 브라켓부(20)와 테일 게이트(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실링부재(30)는 고무 재질과 같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브라켓(24)의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범퍼부(10)의 결합부(12)의 외벽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나사 결합하여, 범퍼부(10)가 브라켓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범퍼부(10)는 회전에 의해 브라켓부(20)와 나사 결합된 채로 브라켓부(2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범퍼부 및 브라켓부에 돌기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14)의 외벽에는 외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15)가 형성되고, 제2 브라켓부(24)의 외벽에는 외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기(27)가 형성되며, 범퍼부(10)와 브라켓부(20)의 상대 회전에 따라 제1 돌기(15)와 제2 돌기(27)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기(15)와 제2 돌기(27)는 외관상 확인 가능하며, 제1 돌기(15)와 제2 돌기(27)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범퍼부(10)와 브라켓부(20)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상대 회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범퍼부(10)의 브라켓부(20)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오버랩량 및 테일 게이트(1) 닫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브라켓(22)의 외벽에는, 브라켓부(20)가 테일 게이트(1)에 고정될 때 테일 게이트(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 브라켓(22)과 테일 게이트(1)가 후크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후크(2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압축 외력 작용시 돌기부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압축 외력 작용에 따른 돌기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범퍼부(10)의 외벽의 두께(t)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초기 압축 구간의 범퍼부(10)의 강성을 설정할 수 있다(a). 접촉부(16)를 통해 압축 외력이 가해지면 'C' 부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부(10)의 변형부(14)는 외측 반경을 향해 라운드지게 돌출된다(b). 그리고, 압축 외력이 최대로 작용될 때, 'D' 부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부(10)의 변형부(14)는 외측 반경을 향해 최대로 라운드지게 돌출된다(c). 한편, 범퍼부(10)에 더 포함되어 있는 돌출부(13)의 단부(u)는 제2 브라켓(24)의 내부에 구비된 삽입부(23)에 삽입되어 제2 브라켓(24)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범퍼부(10)의 접촉부(16)와 돌출부(13)가 연결된 부위(s)는 삽입부(23)의 단부인 'B' 부위와 접촉하게 된다. 즉, 압축 외력이 최대로 작용될 때, 범퍼부(10)의 변형부(14)가 최대로 압축 변형되고 이 때, 돌출부(13)의 단부(u)와 제2 브라켓의 바닥면이 접촉되고, 접촉부(16)와 돌출부(13)의 연결부위(s)가 제2 브라켓의 삽입부(23)의 단부에 접촉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초기 압축 구간에서는 범퍼부(10)에 전달되는 하중이 기하급수적으로(exponentially) 증가되고, 테일 게이트(1)가 닫히고 범퍼부(10)가 리어 범퍼(2) 또는 차체에 접촉되었을 때, 변형부(14)의 변형에 의해 범퍼부(10)에 전달되는 하중은 거의 동일한 하중으로 유지되게 된다(차체 산포 흡수 구간). 또한, 범퍼부(10)가 리어 범퍼(2) 또는 차체에 접촉된 후 압축 외력이 최대로 작용되면 범퍼부(10)에 전달되는 하중은 다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된다(stopper 구간).
기존 오버 슬램 범퍼 장치에서는 범퍼부에 전달되는 하중은 전 구간에서 동일하게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나, 본 발명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 장치(100)에서는, 차체 산포 흡수 구간에서 범퍼부(10)에 거의 동일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테일 게이트(1)를 닫을 때 오버랩량이 달라져도 범퍼부(10)의 변형에 의해 동일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여 차체 및 조립 산포에 따른 테일 게이트(1)의 닫힘 현상의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는 테일 게이트를 닫을 때 오버랩량이 달라져도 범퍼부의 변형에 의해 동일 하중을 적용함으로써 차체 및 조립 산포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브라켓부에 대하여 범퍼부의 회전을 통해 단차 조정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의 범퍼부와 브라켓부에 상대 회전에 따라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도록 배치되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범퍼부의 브라켓부에 대한 회전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오버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범퍼부 12: 결합부
13: 돌출부 14: 변형부
15: 제1 돌기 16: 접촉부
17: 돌기 20: 브라켓부
22: 제1 브라켓 23: 삽입부
24: 제2 브라켓 25: 후크
27: 제2 돌기 30: 실링부재
100: 오버 슬램 범퍼 장치

Claims (10)

  1. 일단이 차량의 테일 게이트 내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차량의 리어 범퍼 또는 차체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에 고정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어 범퍼 또는 차체 쪽으로 돌출된 범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일 게이트 내부로 돌출되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테일 게이트 외부로 돌출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범퍼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 삽입되고 외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테일 게이트 외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외력 작용시 압축 변형되는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로부터 상기 테일 게이트 외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테일 게이트의 닫힘시 상기 리어 범퍼 또는 차체와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 내부에 상기 범퍼부가 삽입되는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테일 게이트와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테일 게이트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3. 제 1 항에서,
    상기 제2 브라켓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브라켓 내부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삽입부가 더 구비되는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4. 제 1 항에서,
    상기 범퍼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5. 제 1 항에서,
    상기 결합부의 외벽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제2 브라켓의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범퍼부가 상기 브라켓부에 고정되는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6. 제 5 항에서,
    상기 범퍼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브라켓부와 나사 결합된 채로 상기 브라켓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구비된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7. 제 6 항에서,
    상기 변형부는,
    압축 외력 작용시 상기 범퍼부의 외측 반경을 향해 라운드지게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8. 제 7 항에서,
    상기 범퍼부에 압축 외력이 최대로 작용될 때,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삽입부 내부에서 상기 제2 브라켓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9. 제 1 항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10. 제 1 항에서,
    상기 변형부의 외벽에는 상기 외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부의 외벽에는 상기 외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범퍼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KR1020210049358A 2021-04-15 2021-04-15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KR20220142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358A KR20220142836A (ko) 2021-04-15 2021-04-15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US17/678,631 US20220333421A1 (en) 2021-04-15 2022-02-23 Over-Slam Bumper Device for Vehicle
DE102022202129.0A DE102022202129A1 (de) 2021-04-15 2022-03-02 Zuschlag-stossfäng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202210312810.5A CN115214509A (zh) 2021-04-15 2022-03-28 用于车辆的防撞缓冲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358A KR20220142836A (ko) 2021-04-15 2021-04-15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36A true KR20220142836A (ko) 2022-10-24

Family

ID=8344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358A KR20220142836A (ko) 2021-04-15 2021-04-15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33421A1 (ko)
KR (1) KR20220142836A (ko)
CN (1) CN115214509A (ko)
DE (1) DE102022202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8487A1 (de) * 2021-04-23 2022-10-27 Illinois Tool Works Inc. Abstandhalt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3754A (ko) * 2007-05-25 2008-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WO2018063847A1 (en) * 2016-09-29 2018-04-05 Illinois Tool Works Inc. Adjustable stopper element with improved fixation and/or adjustability
CN106882021B (zh) * 2017-03-22 2019-03-29 神龙汽车有限公司 可自动调节高度的缓冲块及其在汽车上的连接结构
KR102432372B1 (ko) * 2017-07-12 2022-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 게이트 팝업용 오버슬램범퍼 장치
US10619394B2 (en) * 2017-10-19 2020-04-14 Illinois Tool Works Inc. Spacer assembly
KR102021976B1 (ko) * 2017-11-16 2019-09-17 김병곤 오버슬램범퍼
KR102070640B1 (ko) * 2019-06-07 2020-01-29 주식회사 디엠씨 고정력과 완충성을 구비한 오버슬램범퍼
JPWO2022190744A1 (ko) * 2021-03-12 2022-09-15
US20240003176A1 (en) * 2022-07-01 2024-01-04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33421A1 (en) 2022-10-20
DE102022202129A1 (de) 2022-10-20
CN115214509A (zh)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2836A (ko)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장치
JP2008543257A (ja) 棒状物体の壁貫通部における密封用シール要素
CN101412410A (zh) 车身前部结构
JP3058463B2 (ja) エラストマー材料からなるホースローリングベローを有するローリングベロー空気ばね
KR20050116951A (ko) 글로브 박스용 단차조절 가능 범퍼
KR20180113337A (ko) 오버슬램범퍼 어셈블리
US11067146B2 (en) Composite vibration-damping body and metal-spring-equipped composite vibration-damping body using the same
KR101563705B1 (ko) 자동차용 조향 컬럼
CN115450512B (zh) 一种背门缓冲组件、汽车背门系统和汽车
JP2018071602A (ja) アッパサポート用の下クッションゴム
US7168692B2 (en) Fluid 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whose flexible layer having thick walled portion
KR102070640B1 (ko) 고정력과 완충성을 구비한 오버슬램범퍼
JP7134610B2 (ja) ダストカバー
JP2017115940A (ja) アッパーサポート用のクッション体
US10352341B2 (en) Fastening mechanism
JP7298482B2 (ja) 車両用外装部品の取付構造
CN220487369U (zh) 缓冲块结构、装有缓冲块结构的尾门系统及汽车
JP2598376Y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H0328194Y2 (ko)
JP2017072184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WO2017126400A1 (ja) ダンパー装置
US12006757B2 (en) Overslam bumper having fixing force and buffering property
KR101682921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KR102599215B1 (ko) 스톱 와셔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실린더 밸브 커넥터
KR102551673B1 (ko) 차량용 튜브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