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263B1 -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263B1
KR101449263B1 KR20130035682A KR20130035682A KR101449263B1 KR 101449263 B1 KR101449263 B1 KR 101449263B1 KR 20130035682 A KR20130035682 A KR 20130035682A KR 20130035682 A KR20130035682 A KR 20130035682A KR 101449263 B1 KR101449263 B1 KR 101449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ing
hood
housing
bump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3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263B1/ko
Priority to US14/030,673 priority patent/US906838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의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 홈이 형성된 오버 슬램 범퍼와;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오버 슬램 범퍼가 내측면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산 홈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마련되는 링-케리어와; 후드 인너 판넬에 형성된 삽입공에 일측이 고정되고,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링-케리어가 내측면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탄성부가 마련되어 삽입된 상기 링-케리어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충돌에 의한 수평 방향으로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스프링 형상 변형으로 인하여 아우터 판넬 측으로 이탈되어 충격 흡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의 하중에도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의 파손을 방지하여 충돌 후 재조립 및 재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Hood Over Slam Bumper Assembly}
본 발명은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시 수평 하중에 대하여 충격 흡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드는 차량 엔진이 장착된 전방부위를 개폐하는 부재로서, 후드의 개폐는 후드의 대략 선단측에 구비된 후드 스트라이커와, 후드(15)가 결착되는 차체측 후드 래치와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드의 개폐시 후드(15)가 가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후드(15)의 결착위치를 보정해주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오버 슬램 범퍼가 마련된다. 후드 오버 슬램 범퍼는 일반적으로 후드 인너 판넬(2)에 장착되어, 후드(15)를 전력으로 닫을 시, 후드(15) 닫힘 방향, 즉 도 2의 화살표 방향의 하중에 버팀 역할을 하여 헤드 램프(3)와 같은, 후드(15) 저부에 마련되는 구성과의 간섭 방지 역할을 한다.
종래 후드 오버 슬램 범퍼는, 원통형 단면의 몸체(100)를 가지고, 몸체(100) 외주면에는 후드 인너 판넬(2)이 결합되는 나사산 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후드 인너 판넬(2)에 형성된 삽입공에 후드 오버 슬램 범퍼를 삽입시키면서 회전시키면 나사산 홈(101)을 따라 후드 인너 판넬(2) 내측으로 오버 슬램 범퍼가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에 후드 오버 슬램 범퍼를 회전시키면서 후드(15)가 닫혔을 때 헤드 램프(3)와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후드 오버 슬램 범퍼는 닫힘 방향 하중, 즉 수직 방향 하중에 버티기 용이하게 마련되나, 보행자 더미 충돌 시 수평 방향 하중에 대한 변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돌시 수평 방향 하중에 대하여 충격 흡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 홈이 형성된 오버 슬램 범퍼와;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오버 슬램 범퍼가 내측면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산 홈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마련되는 링-케리어와; 후드 인너 판넬에 형성된 삽입공에 일측이 고정되고,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링-케리어가 내측면에 삽입되며, 내주면에 탄성부가 마련되어 삽입된 상기 링-케리어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후드 인너 판넬과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삽입공으로 더 삽입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날개부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마운팅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운팅 후크는 복수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는 충돌에 의한 수평 방향으로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스프링 형상 변형으로 인하여 아우터 판넬 측으로 이탈되어 충격 흡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의 하중에도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의 파손을 방지하여 충돌 후 재조립 및 재사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오버 슬램 범퍼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오버 슬램 범퍼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의 충돌시 변형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의 충돌시 변형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는 후드 인너 판넬의 삽입공에 장착되는 하우징(10)과, 오버 슬램 범퍼(20)와, 오버 슬램 범퍼(20)가 내측에 삽입 고정된 후, 하우징(10)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링-케리어(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후드 인너 판넬의 삽입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오버 슬램 범퍼(20)와 링-케리어(30)가 후드 인너 판넬에 장착되도록 지지한다. 하우징(10)의 내측면은 링-케리어(30)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은 후드 인너 판넬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몸체(14)와, 몸체(14) 상부에 마련되어 하우징(10)을 지지하는 날개부(13)를 포함한다. 날개부(13)는 몸체(14) 원주를 따라 몸체(14)와 일체로 형성되어 후드 인너 판넬에 밀착 지지된다.
몸체(14) 외주면에는 하우징(10)이 후드 인너 판넬에 고정되도록 마운팅 후크(12)가 다수개 마련된다. 마운팅 후크(12)는 몸체(14) 외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몸체(14) 외측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에, 후드 인너 판넬의 삽입공에 끼워졌을 때 마운팅 후크(12)의 외측방향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후드 인너 판넬에 고정 지지된다.
몸체(14) 내주면에는 몸체(14) 내측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탄성부(11)가 마련된다. 탄성부(11)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구비되며 하우징(10) 내측에 삽입되는 링-케리어(30) 외주면을 가압하여 지지한다. 탄성부(11)는 몸체(14)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마련되는 하우징(10)의 홀 내측면에 링-케리어(30)가 삽입 고정된다. 링-케리어(30)는 가운데에 홀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외측면은 하우징(10)의 탄성부(11)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탄성부(11)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링-케리어(30)의 외측면과 탄성부(11)가 면밀착되도록, 링-케리어(30)의 외주면이 탄성부(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1)의 형상은 탄성부(11)의 일측이 하우징(10) 내측, 즉 링-케리어(30) 측으로 절곡된 곡선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링-케리어(30)의 외주면 형상도 이와 대응하여 일측이 내측으로 절곡된 곡선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지지력을 높임에 따라 경미한 하중에 의하여 링-케리어(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링-케리어(3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산(31)은 링-케리어(30)에 삽입되는 후술할 오버 슬램 범퍼(20)의 나사산 홈(21)에 끼움 결합되어 오버 슬램 범퍼(20)와 링-케리어(30)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링-케리어(30)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오버 슬램 범퍼(2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산 홈(21)은 오버 슬램 범퍼(20)가 삽입되는 링-케리어(30)의 나사산(31)이 끼워져 오버 슬램 범퍼와 링-케리어를 결합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홈(21)은 오버 슬램 범퍼(20)의 상하를 따라 형성된다. 이에, 오버 슬램 범퍼(20)와 링-케리어가 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오버 슬램 범퍼(20)가 후드 인너 판넬로부터 차량의 스펙에 맞게 돌출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마련되는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하중이 전달될 경우, 하우징(10)의 탄성부(11)의 형상이 변형된다. 이에, 일측이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된 탄성부(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탄성부(11)와 면밀착되어 지지되었던 링-케리어는 탄성부(11)의 형상 변형에 따라 탄성부(11)와 링-케리어(30) 사이에 공간이 생기며 그 지지력이 약해진다. 이에 따라,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케리어(30)는 하우징(10) 홀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이탈되게 된다. 이때 링-케리어(30)와 오버 슬램 범퍼(20)는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오버 슬램 범퍼(20)도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이탈된다. 이와 같이 수평 방향 하중이 전달될 경우 오버 슬램 범퍼(20)와 링-케리어(30)가 서로 결합된 채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어 충격 흡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버 슬램 범퍼(20)와 링-케리어(30)는 수평 방향 하중에 대하여도 파손되지 않고 그대로 도 5c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탈되기 때문에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로부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탄성부
12: 마운팅 후크 20: 오버 슬램 범퍼
30: 링-케리어0 31: 나사산

Claims (4)

  1. 원통형의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 홈이 형성된 오버 슬램 범퍼와;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오버 슬램 범퍼가 내측면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산 홈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마련되는 링-케리어와;
    후드 인너 판넬에 형성된 삽입공에 일측이 고정되고,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링-케리어가 내측면에 삽입되며, 내주면에 탄성부가 마련되어 삽입된 상기 링-케리어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후드 인너 판넬과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삽입공으로 더 삽입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날개부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마운팅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후크는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KR20130035682A 2013-04-02 2013-04-02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KR101449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682A KR101449263B1 (ko) 2013-04-02 2013-04-02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US14/030,673 US9068387B2 (en) 2013-04-02 2013-09-18 Hood overslam bump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682A KR101449263B1 (ko) 2013-04-02 2013-04-02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263B1 true KR101449263B1 (ko) 2014-10-08

Family

ID=5162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5682A KR101449263B1 (ko) 2013-04-02 2013-04-02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68387B2 (ko)
KR (1) KR101449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022A (ko) 2017-11-16 2019-05-24 김병곤 오버슬램범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2848B2 (ja) * 2012-03-12 2015-07-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付勢装置
US9656627B2 (en) * 2015-10-06 2017-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ood bumpers to absorb loading
US10315706B2 (en) * 2017-06-06 2019-06-11 Valeo North America, Inc. Adjustable hood-stop for a motor vehicle
US10287813B2 (en) * 2017-07-17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mp stop for vehicle hood
CN113043990B (zh) * 2021-04-22 2022-09-1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引擎盖固定装置、引擎盖装置及汽车
DE102022130069A1 (de) 2022-11-14 2024-05-16 Man Truck & Bus Se Anschlagpuffer mit einer Verdrehsicher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138A (ja) 2003-10-07 2005-04-28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フード構造
KR100654977B1 (ko) 2005-10-04 2006-1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후드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 구조
JP2008230504A (ja) 2007-03-22 2008-10-02 Toyota Motor Corp 開閉体用クッション及び開閉体用クッション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3968A (en) * 1980-08-25 1987-03-31 Illinois Tool Works, Inc. Adjustable abutment assembly
US5419539A (en) * 1993-08-16 1995-05-30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Elastomeric shock absorber with positioning insert
KR19980027994A (ko) * 1996-10-18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후드 오버슬램범퍼 완충장치
US6119306A (en) * 1998-05-22 2000-09-19 Southco, Inc. Automotive deck lid bumper
KR100320835B1 (ko) * 1999-12-29 2002-01-18 이계안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JP4140953B2 (ja) * 2001-03-13 2008-08-27 オートリブ デベロップメント アクテボラゲット 車両用安全機構
KR100527941B1 (ko) 2003-04-01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보호를 위한 후드 오버슬램범퍼
US7690722B2 (en) 2007-05-21 2010-04-06 Honda Motor Co., Ltd. Energy absorbing vehicle hood stopper assembly
KR20080103754A (ko) 2007-05-25 2008-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JP4985305B2 (ja) * 2007-10-18 2012-07-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138A (ja) 2003-10-07 2005-04-28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フード構造
KR100654977B1 (ko) 2005-10-04 2006-1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후드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 구조
JP2008230504A (ja) 2007-03-22 2008-10-02 Toyota Motor Corp 開閉体用クッション及び開閉体用クッション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022A (ko) 2017-11-16 2019-05-24 김병곤 오버슬램범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92030A1 (en) 2014-10-02
US9068387B2 (en)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263B1 (ko) 후드 오버 슬램 범퍼 어셈블리
KR102020315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의 와이어링 고정용 플레이트
US10059295B2 (en) Structure for absorbing impact near seat belt anchor bolt
CN105980732A (zh) 减振器
US9156503B2 (en) Mounting structure of fender side cover
CN117329216A (zh) 紧固件
KR101628520B1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고정장치
KR101525705B1 (ko) 자동차용 프론트 범퍼 사이드 브라켓
KR101527029B1 (ko) 상단 및 하단이 고정된 더스트커버를 가지는 쇽업쇼바
KR101583440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라켓 결합구조
KR200474809Y1 (ko) 슬라이딩도어의 후크 브라켓 구조
JP6593651B2 (ja) コネクタ
CN111663875A (zh) 车辆前机盖总成和车辆
KR101359984B1 (ko) 차량용 범퍼의 브래킷 장치
KR102224151B1 (ko) Biw 쿠션 마운팅 장치
KR102237066B1 (ko)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
CN209956076U (zh) 车辆前机盖总成和车辆
KR101076614B1 (ko) 캐리어
KR101468867B1 (ko) 차량용 토크로드
CN207166350U (zh) 一种防冲击变频器
CN204327219U (zh) 一种凸轮轴相位传感器的安装结构
KR20120111591A (ko) 엔진 커버 마운팅 구조
JP2017029000A5 (ko)
KR102105845B1 (ko) 판스프링의 장착구조
KR200458114Y1 (ko) 범퍼 고정용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