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614B1 - 캐리어 - Google Patents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614B1
KR101076614B1 KR1020090015492A KR20090015492A KR101076614B1 KR 101076614 B1 KR101076614 B1 KR 101076614B1 KR 1020090015492 A KR1020090015492 A KR 1020090015492A KR 20090015492 A KR20090015492 A KR 20090015492A KR 101076614 B1 KR101076614 B1 KR 101076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odule
carrier
panel
rotating shaft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570A (ko
Inventor
소원섭
공태윤
박성욱
김재용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6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충돌 시 회전축의 잠금이 해제되어 회전되는 쿨링모듈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측 공간을 충분히 마련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으며, 쿨링모듈의 파손 정도를 저감할 수 있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캐리어(1000)는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되, 쿨링모듈(500)을 고정하는 쿨링모듈 고정부(110, 210)가 형성된 상부 패널(100) 및 하부 패널(200), 상기 상부 패널(100)과 하부 패널(200)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캐리어(10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200)에 형성되는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측면이 "ㄴ"자 형태로 일측에 회전축(21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패널(200)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211)이 형성된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지지부(212) 및 상기 제1지지부(212)의 타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213)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212) 및 제2지지부(213) 면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중공되는 중공부(2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캐리어는 쿨링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자동차 충돌 시에는 쿨링모듈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쿨링모듈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측에 중공된 공간을 충분히 마련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리어는 파손 정도를 줄여 수리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보험료 산정 기준이 조정되어 보험료를 보다 낮춤으로써 경제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캐리어, 쿨링모듈

Description

캐리어{Carrier}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충돌 시 회전축의 잠금이 해제되어 회전되는 쿨링모듈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측 공간을 충분히 마련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으며, 쿨링모듈의 파손 정도를 저감할 수 있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개발은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특히, 그 대표적인 예로서, 자동차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는데 일체로 성형되는 캐리어는 헤드램프, 쿨링모듈, 범퍼, 범퍼빔 스테이 등의 구성품과 하나로 조립되어 모듈화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캐리어(1)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캐리어(1)는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 상기 상부 패널(10)과 하부 패널(20)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10) 하부 패널(20) 및 사이드 패널(30)에 의해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은 쿨링모듈(40)이 장착되는 쿨링모듈 장착부(2)를 형성한다.
상기 쿨링모듈(40)은 라디에이터, 응축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리어는 사출물을 용접 또는 후조립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특정한 형상으로 고정된다.
그런데, 자동차의 후드(hood)와 캐리어 상부 사이는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보행자가 자동차에 충돌되는 경우에 상기 후드가 적절히 변형되지 못하고 후드와 캐리어가 충돌되어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더욱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상기 후드와 캐리어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쿨링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을 고정하고, 엔진룸 내부의 공간을 적절하게 마련하기 위해서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낮추기 위한 적절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자동차 충돌 시에는 쿨링모듈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측에 중공된 공간을 충분히 마련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감소할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모듈의 파손 정도를 줄여 수리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보험료 등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인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캐리어(1000)는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되, 쿨링모듈(500)을 고정하는 쿨링모듈 고정부(110, 210)가 형성된 상부 패널(100) 및 하부 패널(200), 상기 상부 패널(100)과 하부 패널(200)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캐리어(10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200)에 형성되는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측면이 "ㄴ"자 형태로 일측에 회전축(21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패널(200)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211)이 형성된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지지부(212) 및 상기 제1지지부(212)의 타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213)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212) 및 제2지지부(213) 면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중공되는 중공부(2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평상시에는 상기 회전축(211)이 잠금 상태로 유지되며, 자동차 충돌 시 상기 회전축(211)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쿨링모듈(500)의 고정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쿨링모듈(500)은 평상시에 상기 하부 패널(200)에 평행하게 고정된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제1지지부(212)에 의해 지지되고, 자동차 충돌 시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가 회전됨에 따라 중공부(214)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제2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211)은 자동차 전방의 충돌 센서(40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1000)는 상기 쿨링모듈(500)과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 사이에 완충부재(22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완충부재(220)는 일정 영역이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중공부(214)에 삽입되며, 둘레면이 상기 중공부(214)에 걸림고정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쿨링모듈(500)의 체결핀(510)이 삽입되도록 중공된 핀고정부(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 패널(100)은 일정 영역이 중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10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패널(100)에 형성되는 상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중앙부분이 상ㆍ하방향으로 중공되어 쿨링모듈(500)의 체결핀(510)이 삽입되는 삽입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패널(100)의 나사산(101)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캐리어는 쿨링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자동차 충돌 시에는 쿨링모듈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쿨링모듈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측에 중공된 공간을 충분히 마련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리어는 파손 정도를 줄여 수리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보험료 산정 기준이 조정되어 보험료를 보다 낮춤으로써 경제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캐리어(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1000)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회전축(211)이 잠금 상태로 유지되는 평상시 상태)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1000)의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 작동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1000)의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회전축(211)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충돌 시 상태)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1000)의 회전축 고정 수단(23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상기 도 8에 도시한 회전축 고정수단(23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캐리어(1000)는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되, 쿨링모듈(500)을 고정하는 쿨링모듈 고정부(110, 210)가 형성된 상부 패널(100) 및 하부 패널(200), 상기 상부 패널(100)과 하부 패널(200)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캐리어(10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200)에 형성되는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상기 하부 패널(200)에 형성되는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측면이 "ㄴ"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214)가 형성되며, 회전축(21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상기 하부 패널(20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측면이 "ㄴ"자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일측에 회전축(211)이 형성되어 하부 패널(200)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211)이 형성된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지지부(212) 및, 상기 제1지지부(212)의 타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213)로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지지부(213)가 상기 제1지지부(212)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은 서로 완전히 직교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213)가 상기 제1지지부(212)의 타측에서 부드럽게 연장되어 최종적으로 형성하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이며, 그 각도는 90ㅀ를 포함하여 그에 준하는 정도를 모두 포함한다 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12) 및 제2지지부(213)의 내면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중공되 는 중공부(214)가 형성되는데, 상기 중공부(214)에 쿨링모듈(5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삽입되어 쿨링모듈(500)의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자동차는 운행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데,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와 쿨링모듈(500)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진동이 더욱 커질 뿐만 아니라 소음이 커져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캐리어(1000)는 상기 쿨링모듈(500)과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 사이에 완충부재(2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220)의 상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5는 평상시의 상태를 실선으로, 충돌 후 상기 회전축(211)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캐리어(1000)는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회전축(211)이 평상시에는 잠금 상태로 유지되며, 자동차 충돌 시 상기 회전축(211)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대략 90ㅀ 회전하면서 쿨링모듈(500)의 고정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회전축(211)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며, 자동차의 충돌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211)이 회전되어 쿨링모듈(500)의 고정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회전축(211)의 작동은 전자 클러치 등과 같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거나 신호에 의해 수축되는 드럼 브레이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회전축(211)을 잠금 / 해지하는 회전축 고정수단(230)은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 부(210)를 특정 위치로 고정하고 신호에 의에 그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형성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211)은 자동차 전방의 충돌 센서(400)와 연동되어 자동차의 충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상기 회전축 고정수단(23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 및 도 10은 상기 도 8에 도시한 회전축 고정수단(230)의 상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캐리어(1000)는 상기 회전축 고정수단(230)이 평상시에 상기 회전축(211)의 단부가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자동차의 충돌 시 상기 회전축(211)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축(211)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 잠금 상태를 실선으로,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회전축 고정수단(23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211)이 회전되어 잠금 해제된 상태를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이 때, 상기 회전축 고정수단(230)과 회전축(211)은 상기 회전축(211)이 삽입되었을 경우에 상기 회전축(211)이 상기 회전축 고정수단(230)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고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돌출/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회전축(211)에 돌출부가 상기 회전축 고정수단(230)의 내면에 상기 회전축(211)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회전축 고정수단(230)은 상기 회전축(211)을 고정하며, 상기 회전축(211)의 축방향으로(상기 회전축(211) 외측 방향) 이동에 의해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의 일 예로서 상기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예를 설명한다.
상기 도 9에서 상기 회전축(211)을 고정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를, 상기 도 10에서 상기 회전축(211)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회전축 고정수단(230)은 상기 회전축(211)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외주 일측에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232)이 연결되는 몸체(231); 상기 몸체(231)의 내측 단부에 구비되며, 일측 단부에 상기 회전축(211)이 삽입가능한 회전축 삽입부(234)가 형성되고, 외면에 탄성수단(235)이 개제되어 상기 압력조절수단(232)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고정부(23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가 2곳에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 고정수단(230)이 양측의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몸체(231)는 내부가 중공되며, 양측에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를 구성하는 회전축(211)이 삽입가능한 이동고정부(233)가 형성되어, 상기 압력조절수단(232)에 의해 상기 이동고정부(233)의 고정위치가 결정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압력조절수단(232)은 평상시에는 상기 몸체(231) 내부에 일정 압력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수단(235)이 압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고정부(233)가 상기 몸체(231)의 양단부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고정부(233)의 회전축 삽입부(234)에 회전축(211)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211)을 고정 한다.
반대로, 충돌시에는 상기 압력조절수단(232)이 몸체(231) 내부의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수단(23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고정부(233)가 상기 몸체(231)의 중앙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축(211)의 고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11)이 회전하여 상기 쿨링모듈(500)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몸체(231)와 이동고정부(233) 역시 상기 몸체(231) 내부에서 상기 이동고정부(233)가 회전되지 않도록 서로 대응되는 돌출/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상기 이동고정부(233)의 외면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몸체(231)는 상기 압력조절수단(232)에 의해 내부에 압력이 존재하여 상기 이동고정부(233)가 상기 몸체(231) 외측으로 최대 돌출이동되었을 경우에, 상기 이동고정부(233)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231)에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232)은 작동 유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몸체(231) 내부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력조절수단(232)의 작동은 상기 충돌 센서(400)와 연동되어 충돌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돌 센서(400)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는 에어백을 작동하 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캐리어(1000)는 쿨링모듈(500)의 고정 위치를 낮추는 구성이므로 전방에 위치한 충돌 센서(400)와 연동된다.
더욱 상세하게, 평상시의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상기 제1지지부(212)는 하부 패널(2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쿨링모듈(500)은 상기 제1지지부(21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지지부(213)는 상기 쿨링모듈(500)을 자동차 내측에서 감사도록 "┛" 형태로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
자동차 충돌 시의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상기 회전축(211)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지지부(212)는 상기 하부 패널(200)의 하측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지지부(213)는 상기 하부 패널(200)의 위치보다 하측에서 상기 하부 패널(200)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쿨링모듈(500)은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제2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된다.(도 6 및 도 7 참조)
이에 따라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쿨링모듈(500)은 h 만큼 하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쿨링모듈(500) 체결핀(510)이 삽입된 완충부재(220)는 평상시에는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제1지지부(212)에 지지되며, 충돌 시에는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가 회전함에 따라 중공부(214)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2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캐리어(1000)는 쿨링모듈(500)의 파손 정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와 충돌되는 경우에 상부 패널(100)에 중공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보행자의 상해치를 낮출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완충부재(220)는 쿨링모듈(500)과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구성으로서, 일정영역이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중공부(214)에 삽입되며, 둘레면이 상기 중공부(214)에 걸림고정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쿨링모듈(500)의 체결핀(510)이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ㆍ하방향으로 중공된 핀고정부(22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캐리어(1000)는 상부 패널(100)의 일정 영역이 중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10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패널(100)에 형성되는 상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중앙 부분이 상ㆍ하방향으로 중공되어 쿨링모듈(500)의 상측 체결핀(510)이 삽입되는 삽입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패널(100)의 나사산(101)과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체결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측 단부의 직경이 증가된 형태를 갖도록 한다.
또한, 상측 쿨링모듈(500)의 고정은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가 제1지지부(212)의 형성 길이만큼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쿨링모듈(500)의 상측 체결핀(510)은 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만약, 차량 충돌 시, 쿨링모듈(500)이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에 상기 쿨링모듈(500)의 상측 고정이 해제되면 2차 파손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쿨링모듈(500)의 상측 체결핀(510)의 높이는 쿨링모듈(500)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할지라도 상기 상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삽입부(111)에 걸 려 그 체결이 유지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상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전체 또는 상기 쿨링모듈(500)과 접하는 하측 및 삽입부(111) 부분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캐리어(1000)의 쿨링모듈(500) 체결을 설명하면, 상측 부분을 상기 상부 패널(100)의 나사산(101)에 삽입시키고, 하측 부분을 제1지지부(212)의 중공부(214) 영역에 삽입한 후, (회전축(211)은 잠금 상태가 유지됨) 상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101)과 체결함으로써 그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 시,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가 회전되어 상기 쿨링모듈(500)이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자동차의 후드와 캐리어 사이에 적절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가 자동차에 충돌되는 경우에 상기 후드가 적절하게 변형되어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리어는 파손 정도를 줄여 수리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안전도를 높이므로 이에 따른 보험료 산정 기준이 조정되어 보험료를 보다 낮춤으로써 경제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 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회전축이 잠금 상태로 유지되는 평상시 상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 작동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회전축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충돌 시 상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회전축 고정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상기 도 8에 도시한 회전축 고정수단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캐리어
100 : 상부 패널 101 : 나사산
110 : 상측 쿨링모듈 고정부 111 : 삽입부
200 : 하부 패널 210 :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
211 : 회전축 212 : 제1지지부
213 : 제2지지부 214 : 중공부
220 : 완충부재 221 : 단차부
222 : 핀고정부
230 : 회전축 고정수단 231 : 몸체
232 : 압력조절수단 233 : 이동고정부
234 : 회전축 삽입부 235 : 탄성수단
300 : 사이드 패널
400 : 충돌 센서
500 : 쿨링모듈 510 : 체결핀

Claims (7)

  1.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되, 쿨링모듈(500)을 고정하는 쿨링모듈 고정부(110, 210)가 형성된 상부 패널(100) 및 하부 패널(200), 상기 상부 패널(100)과 하부 패널(200)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캐리어(10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200)에 형성되는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측면이 "ㄴ"자 형태로 일측에 회전축(21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패널(200)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211)이 형성된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지지부(212) 및 상기 제1지지부(212)의 타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213)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212) 및 제2지지부(213) 면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중공되는 중공부(2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평상시에는 상기 회전축(211)이 잠금 상태로 유지되며, 자동차 충돌 시 상기 회전축(211)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쿨링모듈(500)의 고정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500)은
    평상시에 상기 하부 패널(200)에 평행하게 고정된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제1지지부(212)에 의해 지지되고, 자동차 충돌 시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가 회전됨에 따라 중공부(214)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제2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1)을 잠금 / 해지하는 회전축 고정수단(230)은
    평상시에 상기 회전축(211)의 단부가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자동차의 충돌 시 상기 회전축(211)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축(211)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1)은 자동차 전방의 충돌 센서(40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00)는
    상기 쿨링모듈(500)과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 사이에 완충부재(22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완충부재(220)는 일정 영역이 상기 하측 쿨링모듈 고정부(210)의 중공부(214)에 삽입되며, 둘레면이 상기 중공부(214)에 걸림고정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쿨링모듈(500)의 체결핀(510)이 삽입되도록 중공된 핀고정부(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100)은 일정 영역이 중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10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패널(100)에 형성되는 상측 쿨링모듈 고정부(210)는
    중앙부분이 상ㆍ하방향으로 중공되어 쿨링모듈(500)의 체결핀(510)이 삽입되는 삽입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패널(100)의 나사산(101)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KR1020090015492A 2009-02-24 2009-02-24 캐리어 KR10107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492A KR101076614B1 (ko) 2009-02-24 2009-02-24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492A KR101076614B1 (ko) 2009-02-24 2009-02-24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570A KR20100096570A (ko) 2010-09-02
KR101076614B1 true KR101076614B1 (ko) 2011-10-26

Family

ID=4300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492A KR101076614B1 (ko) 2009-02-24 2009-02-24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4618B1 (fr) * 2007-04-03 2009-09-18 Renault Sas Procede de montage d'un element de soubassement transversal et d'une face avant techniq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306A (ja) 2004-04-23 2005-11-04 Toyota Motor Corp 車両用冷却系支持構造
JP2006290280A (ja) 2005-04-14 2006-10-26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吸気ダク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306A (ja) 2004-04-23 2005-11-04 Toyota Motor Corp 車両用冷却系支持構造
JP2006290280A (ja) 2005-04-14 2006-10-26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吸気ダ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570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2211A (ko) 커튼에어백의 간섭을 방지하는 필러 램프 구조
US7597345B1 (en) Structure for mounting curtain airbag
US11299118B2 (en) Airbag module, method for mounting said airbag module and steering assembly comprising such airbag
US20170349124A1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JP2005271912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構成群
JP2017043345A (ja) 車両用カウルクロスメンバー
US9738241B2 (en) Bumper absorber attachment structure
KR101076614B1 (ko) 캐리어
JP2014037162A (ja) ラジエータグリル
CN1325303C (zh) 车辆的后保险杠装配机构
EP2711223B1 (en) Power unit mounting apparatus
KR101755452B1 (ko)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
KR20160063853A (ko) 차량 차륜부의 스몰 오버 랩 충돌 대응구조
US10894518B2 (en) Door trim
KR100820209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엔진커버 고정 어셈블리
KR101693979B1 (ko)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KR100735680B1 (ko) 에어백 모듈 결합 구조
KR100757588B1 (ko) 자동차의 필라 트림구조
CN108909676A (zh) 用于机动车辆的雨刷器子组件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JP4566027B2 (ja) 衝撃吸収体
KR101034140B1 (ko)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US20160297386A1 (en) Bumper apparatus for vehicle
KR100552053B1 (ko) 커튼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헤드 라이닝 구조
JP2022049957A (ja) 車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