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979B1 -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979B1
KR101693979B1 KR1020150059421A KR20150059421A KR101693979B1 KR 101693979 B1 KR101693979 B1 KR 101693979B1 KR 1020150059421 A KR1020150059421 A KR 1020150059421A KR 20150059421 A KR20150059421 A KR 20150059421A KR 101693979 B1 KR101693979 B1 KR 101693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assembly
fixing means
hole
teth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479A (ko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9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97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커튼 에어백이 적용되는 차체 필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차체 필라에 고정된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차체 필라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는 조립부가 형성된 필라 커버; 및 상기 필라 커버의 조립부에 조립되고, 조립부에 연결된 고정수단에 접촉됨으로써 커튼 에어백의 전개시 필라 커버와 고정수단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필라 커버가 고정수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테더 캡;을 포함하는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PILLAR ASSEMBLY OF VEHICLE}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이 적용되는 필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에어백 전개시 필라 트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각종 안전장비가 다수 설치되며, 대표적인 안정장비로 에어백 장치가 적용된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 및 조수석 전방을 보호하기 위한 전방 에어백과 더불어 측방에서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커튼에어백이 마련된다. 커튼에어백은 실내의 루프 테두리를 이루는 헤드라이닝의 내부에 마련되었다가 측방 충돌시 커튼처럼 전개되어 윈도우글래스를 덮음으로써 탑승자와 글래스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한다.
한편, 헤드라이닝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필라 트림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필라 트림은 전방, 센터, 후방 필라 트림으로 구성되어 실내의 내장패널을 이룬다. 특히 필라 트림에는 필라 커버가 차체 필라를 감싸 실내 내장을 이루는데, 충돌 발생에 따른 커튼에어백 전개시 필라 커버가 필라 트림에서 이탈됨으로써 이탈된 필라 커버에 의해 2차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필러 커버는 단순히 체결수단에 의해 필라 트림에 조립되어 커튼에어백을 감싸는데, 커튼에어백이 전개시 그 전개력에 의해 필라 커버가 필라 트림에서 완전히 이탈됨에 따라 필라 커버가 탑승객에 충돌되어 상해를 입히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충돌 발생시 필라 커버가 필라 트림에서 분리되어 커튼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되 필라 트림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2차 사고를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로 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KR10-0858437 (2008. 09. 08)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커튼 에어백 전개시 차체에서 필라 트림을 이루는 필라 커버가 이탈됨으로써 이탈된 필라 커버가 탑승객에 부딪혀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는 커튼 에어백이 적용되는 차체 필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차체 필라에 고정된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차체 필라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는 조립부가 형성된 필라 커버; 및 상기 필라 커버의 조립부에 조립되고, 조립부에 연결된 고정수단에 접촉됨으로써 커튼 에어백의 전개시 필라 커버와 고정수단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필라 커버가 고정수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테더 캡;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차체 필라에 위치가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에어백 전개시 가이드 브라켓에서 일정거리 이동되는 이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일단이 차체 필라에 고정되고, 차체 필라에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되며, 타단에 이동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라 커버의 조립부에는 상기 고정수단의 이동부재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설치홀과 설치홀의 일측으로 상기 테더 캡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홀의 둘레에는 조립된 테더 캡을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테더 캡 조립시 테더 캡이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고정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더 캡은 일단부가 고정홀에서 조립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설치홀에 삽입된 이동부재에 걸림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더 캡의 타단부에는 상하로 서로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걸림 공간을 형성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의 이동부재에는 걸림부의 걸림 공간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더 캡의 일단부에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조립부의 일측면에는 외측에서 고정홀 측으로 관통된 체결홀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이 조립부의 외측에서 체결홀을 관통하여 테더캡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테더 캡이 조립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에 따르면, 커튼 에어백 전개시 차체 필라에서 필라 트림을 이루는 필라 커버가 이탈됨으로써 이탈된 필라 커버가 탑승객에 부딪혀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충돌 발생시 필라 커버는 커튼 에어백의 전개력에 의해 필라 커버에서 분리되어 커튼 에어백이 원활히 전개되도록 커튼 에어백의 전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체 필라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2차 상해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라 어셈블리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라 어셈블리의 조립부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필라 어셈블리의 테더 캡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9는 도 1에 도시된 필라 어셈블리의 커튼 에어백 전개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라 어셈블리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라 어셈블리의 조립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필라 어셈블리의 테더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 내지 9는 도 1에 도시된 필라 어셈블리의 커튼 에어백 전개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A)이 적용되는 차체 필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차체 필라(P)에 고정된 고정수단(100); 상기 고정수단(100)을 통해 차체 필라(P)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수단(100)이 연결되는 조립부(220)가 형성된 필라 커버(200); 및 상기 필라 커버(200)의 조립부(220)에 조립되고, 조립부(220)에 연결된 고정수단(100)에 접촉됨으로써 커튼 에어백(A)의 전개시 필라 커버(200)와 고정수단(100)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필라 커버(200)가 고정수단(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테더 캡(30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고정수단(100)이 차체 필라(P)에 고정 설치되며, 필라 커버(200)가 고정수단(100)을 통해 차체 필라(P)에 설치된다. 여기서, 필라 커버(200)는 커튼 에어백(A)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차체 필라(P)와 필라 커버(200) 사이에 커튼 에어백(A)이 마련되는데, 커튼 에어백(A)의 전개시 종래의 경우 커튼 에어백(A)의 전개력에 의해 필라 커버(200)가 완전히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필라 커버(200)에 테더 캡(300)이 조립되고, 조립된 테더 캡(300)이 고정수단(100)에 연결됨으로써 필라 커버(200)와 고정수단(100)이 상호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어 커튼 에어백(A)의 전개시 필라 커버(200)가 고정수단(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커튼 에어백(A) 전개시 이탈된 필라 커버(200)에 의한 탑승객의 2차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필라(P)에 위치가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120);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커튼 에어백(A) 전개시 가이드 브라켓(120)에서 일정거리 이동되는 이동부재(14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수단(100)은 가이드 브라켓(120)과 이동부재(140)로 구성되며, 커튼 에어백(A)의 전개시 이동부재(140)가 가이드 브라켓(120)을 따라 일정거리만큼 이동된 후 멈춤으로써 이동부재(140)에 연결되는 필라 커버(200)가 가이드 브라켓(120)을 따라 이동된 이동부재(140) 만큼 차체 필라(P)에서 거리가 벌어져 커튼 에어백(A)이 전개되어 나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은 일단이 차체 필라(P)에 고정되고, 차체 필라(P)에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되며, 타단에 이동부재(14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 브라켓(120)은 일단이 차체 필라(P)에 고정 설치되어 커튼 에어백(A)의 전개력이 작용되더라도, 차체 필라(P)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차체 필라(P)에서 일정거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브라켓(120)이 연장 형성된 길이만큼 이동부재(140)가 인출되도록 설정되는바, 가이드 브라켓(120)의 길이는 커튼 에어백(A) 전개시 커튼 에어백(A)의 전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브라켓(120)의 타단에는 이동부재(140)가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이탈방지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122)는 후크 형상으로 타단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 구조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라 커버(200)의 조립부(220)에는 상기 고정수단(100)의 이동부재(140)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설치홀(222)과 설치홀(222)의 일측으로 상기 테더 캡(30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고정홀(22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부(220)는 필라 커버(200)의 내측면에 돌출되며, 돌출된 단면에 이동부재(140)가 삽입되는 설치홀(222)과 그 일측으로 테더 캡(300)이 조립되는 고정홀(224)이 형성된다. 설치홀(222)은 고정수단(100)의 이동부재(140)가 끼움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고정홀(224)은 테더 캡(300)의 둘레 형상에 맞추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정홀(224)의 둘레에는 조립된 테더 캡(300)을 지지하는 가이드부(226)가 형성되어 테더 캡(300) 조립시 테더 캡(300)이 가이드부(226)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고정홀(224)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26)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고정홀(224)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테더 캡(300)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양측 둘레에 가이드부(226)에 대응되어 접촉되도록 지지단부(30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테더 캡(300)은 조립부(220)의 고정홀(224)에 조립시 고정홀(224)에서 설치홀(22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테더 캡(300)의 지지단부(306)가 고정홀(224)에 형성된 가이드부(226)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고정홀(224)에 원활히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더 캡(300)은 일단부(302)가 고정홀(224)에서 조립부(22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304)가 설치홀(222)에 삽입된 이동부재(140)에 걸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테더 캡(300)은 일단부(302)가 고정홀(224)에 조립된 후 조립부(220)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타단부(304)가 설치홀(222)에 삽입된 이동부재(140)에 걸림 접촉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면 고정홀(224) 내에서 유격에 의한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특히, 테더 캡(300)의 경우 필라 커버(200)가 차체 필라(P)에 연결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바, 일단부(302)가 필라 커버(200)의 조립부(220)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부(304)가 차체 필라(P)에 설치된 고정수단(100)의 이동부재(140)에 연결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테더 캡(300)의 타단부(304)에는 상하로 서로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걸림 공간(342)을 형성하는 걸림부(34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100)의 이동부재(140)에는 걸림부(340)의 걸림 공간(342)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더 캡(300)의 일단부(302)에는 조립홀(320)이 형성되고, 조립부(220)의 일측면에는 외측에서 고정홀(224) 측으로 관통된 체결홀(240)이 형성되며, 체결수단(B)이 조립부(220)의 외측에서 체결홀(240)을 관통하여 테더 캡(300)의 조립홀(320)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테더 캡(300)이 조립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 캡(300)의 타단부(304)에는 이동부재(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하로 대칭되는 걸림부(340)가 형성되어 이동부재(140)의 돌출부(142)가 삽입된다. 여기서, 이동부재(140)의 돌출부(142)는 테더 캡(300)의 걸림부(340)를 상하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걸림부(340)에 삽입 연결됨과 동시에 돌출부(142)가 둘레를 따라 동일하게 형성되어 설치홀(222)의 둘레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수단(100)의 이동부재(140)가 필라 커버(200)의 조립부(220)와 테더 캡(300)의 걸림부(34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더 캡(300)의 일단부(302)에는 도 4 내지 5에서 볼 수 있듯이, 조립홀(320)이 형성되고, 조립부(220)의 일측면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체결홀(240)이 형성되며, 조립홀(320)과 체결홀(240)에 체결수단(B)이 관통 연결됨으로써 테더 캡(300)과 필라 커버(200)가 상호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체결수단(B)은 볼트 또는 스크류가 될 수 있으며, 테더 캡(300)의 일단부(302)에 형성되는 조립홀(320)과 조립부(220)에 형성되는 체결홀(240)에는 볼트 또는 스크류가 체결되도록 나사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체결수단(B)을 통해 테더 캡(300)의 일단부(302)와 필라커버의 조립부(22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테더 캡(300)은 필라 커버(200)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테더 캡(300)의 걸림부(340)에 연결된 고정수단(100)의 이동부재(140)가 필라 커버(200)와 테더 캡(300)에서 이탈되어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커튼 에어백(A)의 전개시 필라 커버(200)가 차체 필라(P)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필라(P)에 고정된 고정수단(100)의 이동부재(140)에는 필라 커버(200)의 조립부(220)와 조립부(220)에 조립된 테더 캡(300)이 연결된다. 여기서, 테더 캡(300)의 경우 고정홀(224)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간단히 안착시킬 수 있으며, 타단부(304)가 고정수단(100)의 이동부재(140)에 걸림 연결되고, 일단부(302)가 체결수단(B)을 통해 조립부(220)에 고정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로 인해, 필라 커버(200)는 조립부(220)와 테더 캡(300)을 통해 고정수단(100)의 이동부재(140)에 걸림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이동부재(140)에서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필라 커버(200)가 고정수단(100)을 통해 차체 필라(P)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에어백(A)이 전개되지 않은 초기에는 필라 커버(200)가 조립부(220)와 조립부(220)에 조립된 테더 캡(300)을 통해 고정수단(100)의 이동부재(14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차량 충돌발생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에어백(A)이 전개됨에 따라 커튼 에어백(A)의 전개력에 의해 필라 커버(200)가 차체 필라(P)에서 분리되는데, 이때 이동부재(140)가 가이드 브라켓(120)이 연장 형성된 길이만큼 인출된 후 이탈방지부(122)에 걸리어 이동이 제한된다. 여기서, 필라 커버(200)는 조립부(220)와 조립부(220)에 조립된 테더 캡(300)에 의해 이동부재(140)에 고정되어 있는바, 이동부재(140)가 이동된 만큼 이동되어 커튼 에어백(A)이 원활히 전개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필라 커버(200)가 고정수단(100)에 연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필라 커버(200)가 차체 필라(P)에서 이탈되는 문제도 해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에 따르면, 커튼 에어백(A) 전개시 차체 필라(P)에서 필라 트림을 이루는 필라 커버(200)가 이탈됨으로써 이탈된 필라 커버(200)가 탑승객에 부딪혀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충돌 발생시 필라 커버(200)는 커튼 에어백(A)의 전개력에 의해 필라 커버(200)에서 분리되어 커튼 에어백(A)이 원활히 전개되도록 커튼 에어백(A)의 전개 공간이 확보되되 차체 필라(P)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2차 상해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고정수단 120:가이드 브라켓
122:이탈방지부 140:이동부재
142:돌출부 200:필라 커버
220:조립부 222:설치홀
224:고정홀 226:가이드부
240:체결홀 300:테더 캡
320:조립홀 340:걸림부
342:걸림 공간 P:차체 필라
A:커튼 에어백 B:체결수단

Claims (8)

  1. 커튼 에어백이 적용되는 차체 필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차체 필라에 고정된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차체 필라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는 조립부가 형성된 필라 커버; 및
    상기 필라 커버의 조립부에 조립되고, 조립부에 연결된 고정수단에 접촉됨으로써 커튼 에어백의 전개시 필라 커버와 고정수단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필라 커버가 고정수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테더 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차체 필라에 위치가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에어백 전개시 가이드 브라켓에서 일정거리 이동되는 이동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필라 커버의 조립부에는 상기 고정수단의 이동부재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설치홀과 설치홀의 일측으로 상기 테더 캡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일단이 차체 필라에 고정되고, 차체 필라에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되며, 타단에 이동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둘레에는 조립된 테더 캡을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테더 캡 조립시 테더 캡이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고정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더 캡은 일단부가 고정홀에서 조립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설치홀에 삽입된 이동부재에 걸림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테더 캡의 타단부에는 상하로 서로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걸림 공간을 형성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의 이동부재에는 걸림부의 걸림 공간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더 캡의 일단부에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조립부의 일측면에는 외측에서 고정홀 측으로 관통된 체결홀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이 조립부의 외측에서 체결홀을 관통하여 테더캡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테더 캡이 조립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KR1020150059421A 2015-04-28 2015-04-28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KR101693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421A KR101693979B1 (ko) 2015-04-28 2015-04-28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421A KR101693979B1 (ko) 2015-04-28 2015-04-28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479A KR20160128479A (ko) 2016-11-08
KR101693979B1 true KR101693979B1 (ko) 2017-01-09

Family

ID=5752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421A KR101693979B1 (ko) 2015-04-28 2015-04-28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0906B2 (ja) * 2017-05-17 2020-02-19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KR102529441B1 (ko) 2018-03-22 2023-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에어백 필라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0363A (ja) 2007-03-19 2008-10-02 Daiwa Kasei Ind Co Ltd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クリップ、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クリップを用いた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JP2010047135A (ja) * 2008-08-22 2010-03-04 Mazda Motor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の内装材取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437B1 (ko) 2007-11-09 2008-09-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시스템 부설 차량의 센터 필라 트림 설치구조
KR101033322B1 (ko) * 2008-09-08 2011-05-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0363A (ja) 2007-03-19 2008-10-02 Daiwa Kasei Ind Co Ltd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クリップ、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クリップを用いた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JP2010047135A (ja) * 2008-08-22 2010-03-04 Mazda Motor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の内装材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479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593B2 (en) Side airbag curtain directional deployment bracket
KR101655596B1 (ko) 커튼 에어백쿠션의 고정장치
JP5628113B2 (ja) エアバッグ袋体を格納したアシストグリップ付フロント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KR101509809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용 램프브라켓
KR20180066903A (ko) Fmh 충격 흡수 성능을 개선한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램프 브래킷
JP2004136862A (ja) 車両の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の前方ピラートリム構造
KR101693979B1 (ko)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KR100515545B1 (ko) 차량용 승객 보호 장치
KR101628517B1 (ko) 필라트림 체결용 클립
KR101751688B1 (ko) 커튼 에어백 전개시 프론트 필러와 테더 클립 간의 이탈 방지 구조
KR101430192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803306B1 (ko) 커튼 에어백 장착구조
EP3473500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curtain airbag
KR100306436B1 (ko) 자동차의 탑승자 머리 보호구조
KR100757588B1 (ko) 자동차의 필라 트림구조
KR100858437B1 (ko) 커튼 에어백 시스템 부설 차량의 센터 필라 트림 설치구조
KR100552053B1 (ko) 커튼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헤드 라이닝 구조
KR100462111B1 (ko) 커튼 에어백 전개를 위한 센터필러트림 구조
JP7189496B2 (ja) 車両の上部内装構造
KR101114050B1 (ko) 측면에어백의 센터 필라 트림 구조
KR100412031B1 (ko) 필러트림의 고정구조
JP2016078626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の車両への設置構造及びエアバッグ
KR102109217B1 (ko) 차량 도어의 이탈형 암레스트
KR100836109B1 (ko) 차량용 에어백 구조
JP2022159582A (ja) 車室上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