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140B1 -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140B1
KR101034140B1 KR1020090069362A KR20090069362A KR101034140B1 KR 101034140 B1 KR101034140 B1 KR 101034140B1 KR 1020090069362 A KR1020090069362 A KR 1020090069362A KR 20090069362 A KR20090069362 A KR 20090069362A KR 101034140 B1 KR101034140 B1 KR 101034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airbag
trim
variable
bracket
variable t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898A (ko
Inventor
박희상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1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28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doors or panels, e.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3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or roof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실내의 사이드 패널에 지지되며 커튼 에어백을 내장시키도록 설치되는 트림; 상기 사이드 패널에 지지되는 소켓부와, 일측이 상기 소켓부의 내부공간으로 직선 이송되되 타측에 상기 트림과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구비된 로드부를 갖는 가변테더; 및 상기 트림 상에 배치되되 일측면에 상기 끼움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착탈되는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테더의 로드부에는 상기 끼움돌기와의 사이에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이 압입 배치되도록 제1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트림에 대한 가변테더의 지지상태를 보다 견고히 하여 커튼 에어백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충돌 사고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A VARIABLE THTHER DEVICE OF CURTAIN TYPE AIR BAG}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의 전개시 그 전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기 위한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는 충돌시 탑승자의 생명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신체 부상의 정도를 경감시키기 위해 주요 위치에 다양한 종류의 에어백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들 중에서도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깨진 차창의 파편 등에 의해 탑승자의 상체, 특히 머리 및 흉부 등이 부상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튼식으로 펼쳐지도록 차량의 사이드 패널 상에 트림을 통해 내장된 상태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한 트림에는 외부 충돌시 사이드 패널과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커튼 에어백의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이드 패널과의 사이에 양단이 지지되어 길이 신장가능한 가변테더가 고정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가변테더는 길이가 길이짐에 따라 단부 지지된 트림이 유동될 수 있어, 커튼 에어백의 전개된 상태가 불완전하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머리 및 흉 부 등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트림에 대한 가변테더의 지지상태를 보다 견고히 하여 커튼 에어백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는 차량 실내의 사이드 패널(S)에 지지되며 커튼 에어백을 내장시키도록 설치되는 트림(110); 상기 사이드 패널(S)에 지지되는 소켓부(121)와, 일측이 상기 소켓부(121)의 내부공간(121a)으로 직선 이송되되 타측에 상기 트림(110)과 결합되는 끼움돌기(127)가 구비된 로드부(126)를 갖는 가변테더(120); 및 상기 트림(110) 상에 배치되되 일측면(131)에 상기 끼움돌기(127)가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착탈되는 슬롯(130a)이 형성된 브라켓(130)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테더(120)의 로드부(126)에는 상기 끼움돌기(127)와의 사이에 상기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이 압입 배치되도록 제1플레이트(12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돌기(127)는, 단부가 직각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롯(130a)을 관통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126)의 일측 단부는, 상기 소켓부(121)의 내부공간(121a)으로 탄성지게 삽입되도록 내경이 끝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며, 일부 함몰된 탄성공간(12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부(121)의 내부공간(121a)은, 상기 로드부(126)의 일측 단부가 내부공간(121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입구(121b)가 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플레이트(128)의 둘레면에 절개부(128a)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에는 상기 절개부(128a)와 대응되는 회전방지돌기(1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128)의 둘레면과 접촉되는 유동방지벽(13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에 의하면, 트림에 대한 가변테더의 지지상태를 보다 견고히 하여 커튼 에어백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충돌 사고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의 조립완성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사이드 패널 도시 생략), 도 3은 도 1의 가변테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도, 도 5는 도 1의 사이드패널과 일체화된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브라켓의 슬롯에 가변테더의 로드부가 관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도 7은 도 6에서 가변테더를 회전시켜 조립완성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는
차량 실내의 사이드 패널(S)에 지지되며 커튼 에어백(도시 생략)을 내장시키도록 설치되는 트림(110)과,
상기 사이드 패널(S)에 지지되는 소켓부(121) 및 일측이 상기 소켓부(121)의 내부공간(121a)으로 직선 이송 가능되되 타측에 상기 트림(110)과 결합되는 끼움돌기(127)가 구비된 로드부(126)를 갖는 가변테더(120)와,
상기 트림(110) 상에 배치되되 일측면(131)에 상기 끼움돌기(127)가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착탈되는 슬롯(130a)이 형성된 브라켓(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트림(110)은 외부 충돌시 사이드 패널과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커튼 에어백의 전개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 상기 가변테더(120)의 로드부(126)에는 상기 끼움돌기(127)와의 사이에 상기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이 압입 배치되도록 환상의 제1플레이트(128)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소켓부(121)의 중간에 상기 제1플레이트(128)와 유사한 환상의 제2플레이트(122)가 설치되어 상기 소켓부(121)가 체결훅(123)을 통해 상기 사이드 패널(S)과 결합시 안착되어 상기 트림(110)이 보다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127)는 'T'자 타입으로 단부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롯(130a)을 관통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슬롯(130a) 역시 상기 끼움돌기(127)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끼움돌기(127)와 상기 슬롯(130a)이 직각 형상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끼움돌기(127)가 상기 슬롯(130a)으로 관통된 후 걸림되는 형상이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로드부(126)의 일측 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타입으로 상기 소켓부(121)의 내부공간(121a)으로 탄성지게 삽입되도록 내경이 끝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일부 함몰된 탄성공간(126a)이 형성된다.
또, 상기 소켓부(121)의 내부공간(121a)은 상기 로드부(126)의 일측 단부가 내부공간(121a)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그 입구(121b)가 턱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플레이트(128)의 둘레면에는 절개부(128a)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으로 상기 절개부(128a)와 대응되는 회전방지돌기(132) 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림(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일측면(131)에 상기 제1플레이트(128)의 둘레면과 접촉되는 유동방지벽(133)이 돌출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소켓부(121)에 대한 상기 로드부(126)의 삽입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체결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걸림수단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128) 상의 상기 끼움돌기(127)와 대칭되는 방향에 단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129)와, 상기 소켓부(121)의 선단측 원주면 상에 이 체결돌기(129)의 굴곡부와 대응되어 걸림되는 한 쌍의 체결홈(121c)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테더(120)의 로드부(126)에 구비된 끼움돌기(127)를 브라켓(130)의 슬롯홈(130a)과 대응되게 위치시켜 관통된 상태로 삽입시킨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테더(120)의 소켓부(121)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끼움돌기(127)과 슬롯홈(130a)이 교차된 상태가 되게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가변테더(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127)와의 사이에 상기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이 압입 배치된 상태가 되어 트림(110)을 견고 히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변테더(120)의 회전과 함께 제1플레이트(128) 역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그 절개부(128a)가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에 구비된 회전방지돌기(132)에 걸림되어 테더(110)에 대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에 유동방지벽(133)이 설치되어 있어 제1플레이트(128)의 둘레면과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수평방향 유동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에 의하면, 트림에 대한 가변테더의 지지상태를 보다 견고히 하여 커튼 에어백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충돌 사고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의 조립완성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사이드 패널 도시 생략),
도 3은 도 1의 가변테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도,
도 5는 도 1의 사이드패널과 일체화된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브라켓의 슬롯에 가변테더의 로드부가 관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도 7은 도 6에서 가변테더를 회전시켜 조립완성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Claims (6)

  1. 차량 실내의 사이드 패널(S)에 지지되며 커튼 에어백을 내장시키도록 설치되는 트림(110);
    상기 사이드 패널(S)에 지지되는 소켓부(121)와, 일측이 상기 소켓부(121)의 내부공간(121a)으로 직선 이송되되 타측에 상기 트림(110)과 결합되는 끼움돌기(127)가 구비된 로드부(126)를 갖는 가변테더(120); 및
    상기 트림(110) 상에 배치되되 일측면(131)에 상기 끼움돌기(127)가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착탈되는 슬롯(130a)이 형성된 브라켓(130)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테더(120)의 로드부(126)에는 상기 끼움돌기(127)와의 사이에 상기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이 압입 배치되도록 제1플레이트(12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127)는,
    단부가 직각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롯(130a)을 관통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126)의 일측 단부는,
    상기 소켓부(121)의 내부공간(121a)으로 탄성지게 삽입되도록 내경이 끝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며, 일부 함몰된 탄성공간(12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21)의 내부공간(121a)은,
    상기 로드부(126)의 일측 단부가 내부공간(121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입구(121b)가 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128)의 둘레면에 절개부(128a)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에는 상기 절개부(128a)와 대응되는 회전방지돌기(1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30)의 일측면(131)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128)의 둘레면과 접촉되는 유동방지벽(13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KR1020090069362A 2009-07-29 2009-07-29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KR101034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362A KR101034140B1 (ko) 2009-07-29 2009-07-29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362A KR101034140B1 (ko) 2009-07-29 2009-07-29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98A KR20110011898A (ko) 2011-02-09
KR101034140B1 true KR101034140B1 (ko) 2011-05-13

Family

ID=4377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362A KR101034140B1 (ko) 2009-07-29 2009-07-29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745B1 (ko) 2011-12-15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더 클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640B1 (ko) 2001-12-19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착구조
KR20080051511A (ko) * 2006-12-06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이 장착되는 필라 트림의 체결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640B1 (ko) 2001-12-19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착구조
KR20080051511A (ko) * 2006-12-06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이 장착되는 필라 트림의 체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98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2211A (ko) 커튼에어백의 간섭을 방지하는 필러 램프 구조
US20080100044A1 (en) Structure for guiding deploy of side airbag for seat of vehicle
US7597345B1 (en) Structure for mounting curtain airbag
US9302632B2 (en) Tether clip and pillar garnish mounting structure
CN111094078A (zh) 安全气囊装置
JP2011161946A (ja) A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け装置
US7404576B2 (en) Pillar trim component
JP5227200B2 (ja) エアバッグ用クリップの取付構造
KR101034140B1 (ko) 커튼 에어백의 가변테더 장치
KR20050053116A (ko) 커튼 에어백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프런트필러트림 결합구조
KR101552658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1628517B1 (ko) 필라트림 체결용 클립
KR100535049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트림재의 장착구조
JP6468530B2 (ja) 自動車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展開構造
JP2009006887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051076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946939B1 (ko) 에어백 모듈의 결합 구조
JP5267903B2 (ja) 車両のピラートリム取付構造
KR100757588B1 (ko) 자동차의 필라 트림구조
JP2013248963A (ja) 車両内装部材
JP6602830B2 (ja) ピラートリムアッセンブリ及び車両用ピラー構造
KR101076614B1 (ko) 캐리어
KR20180013626A (ko) 테더클립 결합구조
KR100783932B1 (ko) 조수석 에어백모듈
KR101685491B1 (ko) 차량용 테더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