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867B1 - 차량용 토크로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크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867B1
KR101468867B1 KR20130064084A KR20130064084A KR101468867B1 KR 101468867 B1 KR101468867 B1 KR 101468867B1 KR 20130064084 A KR20130064084 A KR 20130064084A KR 20130064084 A KR20130064084 A KR 20130064084A KR 101468867 B1 KR101468867 B1 KR 10146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ring
end housing
torque rod
bushing assembly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관
오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지
Priority to KR2013006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8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2Spacers or sh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4Retainers for holding a fixing element, e.g. bushing, nut, bolt etc., until it is tightly fixed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토크로드에 관한 것으로서, 엔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부싱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리테이너 링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토크로드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부싱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엔드 하우징 내주면의 홈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리테이너 링을 가지는 차량용 토크로드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이 엔드 하우징의 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리테이너 링에서 부싱조립체에 밀착되는 표면의 반대쪽 표면에, 엔드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어서 리테이너 링의 움직임과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턱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로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토크로드{Torque r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토크로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부싱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리테이너 링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토크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크로드(torque rod)는 트럭이나 버스 등의 대형 상용차에서 차축(axle)을 지지하는 현가장치용 부품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차축을 차체에 고정할 때 차축의 앞, 뒤쪽에 장착되어 차축에 가해지는 인장, 압축, 비틀림에 의한 힘을 약화시켜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토크로드는 양단에 부싱(bushing)조립체를 삽입하여 설치한 뒤 상기 부싱조립체를 차체에 고정하여 차축을 차체에 연결 및 지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 소음이 상기 토크로드에 의해 차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싱조립체를 통해 충격, 진동 및 소음을 흡수 및 완화하게 된다.
도 1은 토크로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토크로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토크로드에서 엔드 하우징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차량용 토크로드가 개시되어 있는 선행특허문헌으로는 공개특허 제2010-0023384호(2010.3.4. 공개)를 들 수 있다.
통상의 토크로드(10)는 로드(12)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된 엔드 하우징(end housing)(11)에 부싱조립체(20)를 압입하고, 상기 엔드 하우징(11)의 홈부(11a)에는 리테이너 링(retainer ring)(30)을 끼워서 부싱조립체(20)의 팽창력을 잡아주는 동시에 엔드 하우징(11)으로부터 부싱조립체(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부싱조립체(20)를 엔드 하우징(11)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 링(30)을 설치한다.
상기 리테이너 링(3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는데, 일측이 개구된 개방부(31)를 가지는 개루프 형상의 고리 모양을 가지며, 엔드 하우징(11)에 압입될 때 개방부(31)가 오므려지도록 조여서 엔드 하우징(11)의 홈부(11a)에 끼우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토크로드(10)에서 부싱조립체(20)는 차축의 진동과 부하를 흡수하는 부품으로, 이 부싱조립체(20)를 엔드 하우징(11)이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구성으로는 볼트 고정용 홀(22b)이 형성된 핀(21)과, 상기 핀(21)의 몸체 부분(22a)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고무 재질의 부싱(23)과, 상기 부싱(23)의 양쪽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대략 링 형상의 지지플레이트(24,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부싱조립체(20)가 토크로드(10)의 엔드 하우징(11)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고무 재질의 부싱(23)을 엔드 하우징(11)이 감싸고 있는 상태가 되며, 엔드 하우징(11)의 내부에 부싱(23)을 압축된 상태가 되도록 압입한 상태에서 엔드 하우징 내주면의 홈부(11a)에 리테이너 링(30)을 끼워 부싱조립체(20)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5는 엔드 하우징(11) 내주면의 홈부(11a)에 리테이너 링(3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부싱조립체(20)가 조립된 상태에서 부싱(23)의 압축력은 약 15톤 이상으로, 고하중의 팽창력을 가지고 있으며, 리테이너 링(30)이 엔드 하우징(11)의 홈부(11a)에서 빠지게 되면 부싱조립체(20)가 이탈되면서 토크로드의 기능이 상실되게 된다.
이러한 리테이너 링(30)의 폭(W)은 일정하지 않으며, 폭이 적은 쪽은 삽입깊이가 전체 폭 대비 50% 이상 많이 삽입되기 때문에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대형 차량의 차축에서 받는 고하중은 리테이너 링(30)을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며, 토크로드(10)에서는 오직 리테이너 링에 의존하여 부싱조립체(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 링의 강도나 조립이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리테이너 링이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부싱조립체가 엔드 하우징(11)에서 이탈되어 토크로드의 기능 상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리테이너 링(30)은 그 개방부(31)에 부싱조립체(20)의 팽창력이 집중됨으로 인해 토크로드(10)의 엔드 하우징(11)에서 이탈되기도 하며, 리테이너 링(30)의 장력이 약하거나 변형 또는 강도 저하는 이탈의 원인이 된다.
또한 리테이너 링(30)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도면상 아래 방향으로) 휘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리테이너 링(30)과 홈부(11a) 간에 클리어런스(clearance)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시에는 클리어런스 부분에 진흙이나 모래가 끼거나, 수분으로 인해 녹이 발생하면서 소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부싱조립체(20)를 교체하기 위해 리테이너 링(30)을 제거해야 하지만 소착으로 인해 제거작업이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엔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부싱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리테이너 링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토크로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부싱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엔드 하우징 내주면의 홈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리테이너 링을 가지는 차량용 토크로드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이 엔드 하우징의 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리테이너 링에서 부싱조립체에 밀착되는 표면의 반대쪽 표면에, 엔드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어서 리테이너 링의 움직임과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턱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로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턱부는 리테이너 링에서 길이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하나의 리테이너 링에 복수 개의 돌출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턱부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리테이너 링에서 링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턱부는 리테이너 링에서 상기 개방부 반대쪽 부분인 길이방향 중간 부분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 링에서 부싱조립체를 밀착 지지하도록 된 표면의 두께방향 반대쪽 표면 중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에 상기 돌출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턱부의 측면에서 엔드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영역에는 리테이너 링의 분리시에 쐐기 형상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엔드 하우징 내주면과의 사이에 갭을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턱부의 측면에서 엔드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영역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단차 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 턱에서부터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토크로드에 의하면, 리테이너 링에 엔드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는 이탈방지용 돌출턱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 링이 엔드 하우징의 홈부에서 움직이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리테이너 링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턱부의 측면에 엔드 하우징 내주면과의 사이에 갭을 부여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 링이 엔드 하우징과 소착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갭에 공구의 쐐기 형상 부분을 끼워 리테이너 링을 보다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토크로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토크로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토크로드에서 엔드 하우징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토크로드에서 엔드 하우징 내주면의 홈부에 리테이너 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로드에서 리테이너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로드에서 돌출턱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로드에서 리테이너 링이 엔드 하우징의 홈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로드에서 리테이너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로드에서 돌출턱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 6에 도시된 리테이너 링(30)에서 각각 'A'부와 'B'부에 형성된 돌출턱부(32,33)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로드에서 리테이너 링이 엔드 하우징의 홈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리테이너 링(30)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차량용 토크로드(10)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토크로드(10)는 엔드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부싱조립체(2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리테이너 링(30)에 이탈방지용 돌출턱부(32,33)가 형성된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돌출턱부(32,33)는 리테이너 링(30)이 엔드 하우징(11) 내주면의 홈부(11a)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리테이너 링(30)의 움직임과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부싱조립체(20)의 이탈 및 그로 인한 토크로드(10)의 기능 상실 등의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크로드에서 리테이너 링(3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이탈방지용 돌출턱부(32,33)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로드에서 리테이너 링(30)은 돌출턱부(32,33)가 형성되는 점 외에는 그 재질이나 전체적인 형상, 역할 및 기능, 엔드 하우징(11)의 홈부(11a)에 끼우는 방법 등에 있어서 종래 토크로드의 리테이너 링과 비교할 때 차이는 없다.
즉, 리테이너 링(3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고, 이때 일측이 개구된 개방부(31)를 가지는 개루프 형상의 고리 모양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또한 엔드 하우징(11)에 결합할 때에는 개방부(31)가 오므려지도록 조여서 엔드 하우징(11)의 홈부(11a)에 끼우게 되며, 엔드 하우징(11)의 홈부(11a)에 결합된 상태에서 부싱조립체(20)의 팽창력을 잡아주는 동시에 부싱조립체(20)를 엔드 하우징(11)의 내부에서 고정 및 지지하여 엔드 하우징으로부터 부싱조립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리테이너 링(30)에서 상기 돌출턱부(32,33)는 리테이너 링의 일 표면(30a)에 돌출 형성되는데, 부싱조립체(20)에 밀착되도록 접합되는 리테이너 링의 표면(30b)에 대하여 두께 방향의 반대 면(30a)에 돌출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 링(30)이 엔드 하우징(11)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부(11a)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일 때, 리테이너 링(30)의 일측 표면(30b)은 엔드 하우징(11)의 내부에 압입된 부싱조립체(20)에 밀착된 상태로 접합되는데, 상기 리테이너 링(30)의 일측 표면(30b)이 부싱조립체(20)를 밀착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리테이너 링(30)의 일측 표면(30b)은 부싱조립체(20)의 지지플레이트(25)를 바깥쪽에서 밀착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토크로드에서는 이러한 리테이너 링(30)의 반대쪽 타측 표면, 즉 상기 일측 표면(30b)에 대해 두께 방향의 반대쪽 표면(도 6에서 도면부호 30a)에 돌출턱부(32,33)가 형성되며, 이때 홈부(11a)에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폭 방향으로의 여분 표면에 돌출턱부가 형성된다.
이에 리테이너 링(30)의 일측 표면(30b)이 부싱조립체(20)(지지플레이트)를 밀착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반대쪽 표면(30a)의 돌출턱부(32,33)는 그 기능 및 작용상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 링(30)이 엔드 하우징(11)과의 클리어런스에 의해 도면상 아래 방향으로 휘어지려는 힘에 대해서 장벽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도 9에서 부싱조립체(20)가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리테이너 링(30)이 휘어지려 할 때, 돌출턱부(32,33)가 홈부(11a) 아래쪽의 엔드 하우징(11)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상태로 리테이너 링(30)을 아래로 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벽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벽 작용은 리테이너 링(30)의 이탈 및 그로 인한 부싱조립체(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엔드 하우징(11) 내주면과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리테이너 링(30)의 회전 및 이동 등 움직임을 방지하는바, 이러한 움직임 차단 작용으로 인해 리테이너 링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로드에서 상기한 돌출턱부(32,33)는 리테이너 링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돌출턱부의 위치와 개수는 크게 한정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개방부(31)가 형성된 리테이너 링(30)에서 기본적으로 개방부(31) 근처의 링 양단부에 돌출턱부(3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리테이너 링(30)에서 개방부(31)로부터 180°반대쪽의 부분, 즉 리테이너 링(30)의 대략 길이방향 중간 부분에 하나의 돌출턱부(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실시예는 일례를 나타내는 것일 뿐, 상기 리테이너 링(30)에서 돌출턱부(32,33)의 위치와 개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턱부(32,33)의 엔드 하우징쪽 측면에는, 즉 엔드 하우징(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엔드 하우징의 내주면과 마주 보게 되는 돌출턱부(32,33)의 바깥쪽 측면에는, 리테이너 링(30)의 분리시에 공구의 쐐기 형상 부분을 끼울 수 있는 이격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돌출턱부(32,33)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단차 턱(32b,33b)을 형성하고, 이 단차 턱(32b,33b)의 끝단에서부터 나머지 돌출턱부의 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소정 경사각의 경사면(32a,33b)을 형성한다(도 7 및 도 8 참조).
상기 돌출턱부(32,33)의 일부가 엔드 하우징(11)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상태에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부를 제외한 여분의 나머지 돌출턱부 측면 영역에 상기 경사면(32a,33a) 및 단차 턱(32b,33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경사면 및 단차 턱에 의해 돌출턱부(32,33)의 경사면(32a,33a) 부분에서 엔드 하우징(11) 내주면과의 사이에 갭(gap)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돌출턱부(32,33) 끝단에 약간의 갭을 부여함으로써, 리테이너 링(30)의 소착 발생시에 공구의 쐐기 형상 부분을 상기 갭 부분에 끼워 리테이너 링을 분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토크로드에서는 리테이너 링에 엔드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는 이탈방지용 돌출턱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 링이 엔드 하우징의 홈부에서 움직이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리테이너 링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턱부의 측면에 엔드 하우징 내주면과의 사이에 갭을 부여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 링이 엔드 하우징과 소착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갭에 공구의 쐐기 형상 부분을 끼워 리테이너 링을 보다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토크로드 11 : 엔드 하우징
11a : 홈부 12 : 로드
20 : 부싱조립체 21 : 핀
22a : 몸체 부분 22b : 볼트 고정용 홀
23 : 부싱 24, 25 : 지지플레이트
30 : 리테이너 링 31 : 개방부
32, 33 : 돌출턱부 32a, 33a : 경사면
32b, 33b : 단차 턱

Claims (7)

  1. 엔드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부싱조립체(20)를 지지하도록 상기 엔드 하우징(11) 내주면의 홈부(11a)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리테이너 링(30)을 가지는 차량용 토크로드(10)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30)이 엔드 하우징(11)의 홈부(11a)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리테이너 링(30)에서 부싱조립체(20)에 밀착되는 표면(30b)의 반대쪽 표면(30a)에, 엔드 하우징(11)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어서 리테이너 링(30)의 움직임과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턱부(32,3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부(32,33)의 측면에서 엔드 하우징(11)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영역에는 리테이너 링(30)의 분리시에 공구의 쐐기 형상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엔드 하우징(11) 내주면과의 사이에 갭을 가지는 경사면(32a,33a)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턱부(32,33)의 측면에서 엔드 하우징(11)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영역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단차 턱(32b,33b)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 턱(32b,33b)에서부터 상기 경사면(32a,3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로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부(32,33)는 리테이너 링(30)에서 길이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하나의 리테이너 링(30)에 복수 개의 돌출턱부(32,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로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부(32)는 일측에 개방부(31)가 형성된 리테이너 링(30)에서 링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로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부(33)는 리테이너 링(30)에서 상기 개방부(31) 반대쪽 부분인 길이방향 중간 부분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로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30)에서 부싱조립체(20)를 밀착 지지하도록 된 표면(30b)의 두께방향 반대쪽 표면(30a) 중 상기 홈부(11a)에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에 상기 돌출턱부(32,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로드.
  6. 삭제
  7. 삭제
KR20130064084A 2013-06-04 2013-06-04 차량용 토크로드 Active KR101468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4084A KR101468867B1 (ko) 2013-06-04 2013-06-04 차량용 토크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4084A KR101468867B1 (ko) 2013-06-04 2013-06-04 차량용 토크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867B1 true KR101468867B1 (ko) 2014-12-04

Family

ID=5267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4084A Active KR101468867B1 (ko) 2013-06-04 2013-06-04 차량용 토크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8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6652A (zh) * 2021-05-20 2022-11-2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扭矩杆
RU215392U1 (ru) * 2022-08-02 2022-12-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Ростар" Штанга реактивна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021U (ja) * 1991-07-15 1993-02-02 豊田工機株式会社 スナツプリング
JP2000120632A (ja) * 1998-10-07 2000-04-25 Ochiai:Kk 止め輪
KR200287864Y1 (ko) * 2002-05-30 2002-09-05 제일공업주식회사 차축 지지용 토오크 로드와 양방향 볼 스터드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021U (ja) * 1991-07-15 1993-02-02 豊田工機株式会社 スナツプリング
JP2000120632A (ja) * 1998-10-07 2000-04-25 Ochiai:Kk 止め輪
KR200287864Y1 (ko) * 2002-05-30 2002-09-05 제일공업주식회사 차축 지지용 토오크 로드와 양방향 볼 스터드의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6652A (zh) * 2021-05-20 2022-11-2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扭矩杆
US20220371426A1 (en) * 2021-05-20 2022-11-24 Honda Motor Co., Ltd. Torque rod
RU215392U1 (ru) * 2022-08-02 2022-12-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Ростар" Штанга реактивна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199B2 (en) Railcar primary suspension
US20180245654A1 (en) Stabilizer bush
CA2979179C (en) Axle bracket liner
WO2018198413A1 (ja) トルクロッド
KR101468867B1 (ko) 차량용 토크로드
US7066479B2 (en) Axle housing suspension seat assembly
KR101024626B1 (ko) 스테빌라이저 바 부싱기구
CN104718398B (zh) 回弹橡胶
KR20110123015A (ko) 차량 현가암의 부시 구조
CN101943236B (zh) 减振式固定件
JP5307936B2 (ja) 取付部材の取付構造
KR100743577B1 (ko) 가스스프링의 볼조인트 체결 구조
US20130234457A1 (en)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a bumper covering on a vehicle body, vehicle body as well as method for assembling a bumper covering on a vehicle body
JP2007253737A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KR102382546B1 (ko)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 체결 장치
KR102010616B1 (ko) 루프랙 체결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루프랙 조립체
KR101216407B1 (ko) 토글 클램프
KR100528009B1 (ko) 차량용 엔진커버 어셈블리
KR101786454B1 (ko)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
JP5210018B2 (ja) マウントブッシュ
KR101851858B1 (ko)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CN221097286U (zh) 稳定杆的衬套、稳定杆总成及车辆
KR102105845B1 (ko) 판스프링의 장착구조
KR20060132286A (ko) 가스스프링의 볼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422879B1 (ko) 도어 글라스 파손방지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