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639B1 - 유리 섬유사 연결체 - Google Patents

유리 섬유사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639B1
KR102020639B1 KR1020197019379A KR20197019379A KR102020639B1 KR 102020639 B1 KR102020639 B1 KR 102020639B1 KR 1020197019379 A KR1020197019379 A KR 1020197019379A KR 20197019379 A KR20197019379 A KR 20197019379A KR 102020639 B1 KR102020639 B1 KR 102020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fiber yarn
mass
yarn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030A (ko
Inventor
요수케 누쿠이
히로야수 아이하라
요시나리 카사이
Original Assignee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40Yarns in which fibres are united by adhesives; Impregnated yarns or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 B65H69/068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using a binding thread, e.g. 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10Non-chem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5/00Piecing arrangements ; Automatic end-finding, e.g. by suction and reverse package rotation; 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yarn during piec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6Yarns or threads made from mineral substances
    • D02G3/18Yarns or threads made from mineral substances from glas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7Yarns or threads for specific use in general industrial applications, e.g. as filters or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2Fibreglass stra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텐션을 가하였을 때에 연결이 해제되지 않고, 수지를 함침시킨 후, 지장 없이 다이스에 통할 수가 있으며, 성형품에서 뛰어난 외관 품질을 얻을 수 있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를 제공한다. 유리 섬유사 연결체(1)는, 유리 섬유사(2, 3)와, 겹쳐진 양 유리 섬유사(2, 3)의 단부에 수지사(4)가 감겨진 결합부(5)를 구비한다. 결합부(5)가 20~40mm의 폭(W1)을 구비한다. 각 유리 섬유사(2, 3)의 직경과 결합부(5)에 감겨진 수지사(4)의 두께의 총합으로서의 결합부 직경(R)이 500~5000μm이며, 각 유리 섬유사(2, 3)의 질량이 200~6000tex일 때,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3)의 질량의 비의 값이 0.32~2.00의 범위에 있다.

Description

유리 섬유사 연결체
본 발명은 유리 섬유사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매트릭스 수지로 하여, 그 매트릭스 수지 중에 강화재로서 섬유 길이가 긴 유리 섬유사(유리 스트랜드)를 배치한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예를 들면, 유리 로빙(glass roving)으로부터 소정의 텐션을 가하여 인출된 유리 섬유사에 수지를 함침시키고, 이를 다이스를 통하여 과잉의 수지를 제거하여, 부착되어 있는 수지량을 조정한 후, 수지를 경화시킴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 섬유사는 표면에 집속제가 도포된 복수의 유리 필라멘트를 집속한 것이며, 상기 유리 로빙은 그 유리 섬유사를 권심에 로울 형상으로 감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제조할 때에는,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유리 섬유사의 공급이 끊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리 로빙은 상기 권심에 로울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제조, 운반되지만, 1개의 권심에 너무나 긴 상기 유리 섬유사를 감는 것은 제조, 운반상 불리하다.
그래서, 1개의 상기 유리 로빙으로부터 인출되는 유리 섬유사의 종단부와, 다른 상기 유리 로빙으로부터 인출되는 유리 섬유사의 시단부를 연결하여, 유리 섬유사 연결체로 함으로써, 장대한 유리 섬유사로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상기 유리 섬유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제 1의 유리 섬유사의 종단부와 제 2의 유리 섬유사의 시단부에 에어를 분사하여 해서(解舒)하면서 서로 얽히게 하여 연결하는 에어 스플라이스법으로 불리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상기 유리 섬유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제 1의 유리 섬유사의 종단부와 제 2의 유리 섬유사의 시단부를 크릴로 불리는 묶는 방법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 2012-16196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7-69985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에어 스플라이스법에 의한 경우에는, 제 1의 유리 섬유사의 종단부와 제 2의 유리 섬유사의 시단부가 서로 얽혀져 있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로빙으로부터 텐션을 가하여 인출될 때에 연결이 해제되는 일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크릴에 의한 경우에는, 매듭이 형성되기 때문에, 유리 섬유사에 수지를 함침시킨 후, 다이스를 통할 때에 지장을 발생하는 일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리 섬유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는, 게다가 제 1의 유리 섬유사의 종단부와 제 2의 유리 섬유사의 시단부를 겹치고, 양 유리 섬유사가 겹쳐진 부분에 수지사를 감는 것에 의해 연결하는 스플라이스법으로 불리는 방법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스플라이스법에 있어서도, 연결 상태에 따라서는 상기 로빙으로부터 텐션을 가하여 인출될 때에 연결이 해제되거나, 다이스를 통할 때에 지장을 발생시키거나, 게다가 연결된 부분의 개섬도가 낮아져 성형품에 있어서 충분한 외관 품질을 얻을 수 없는 일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여, 텐션을 가하였을 때에 연결이 해제되는 일이 없고, 수지를 함침시킨 후, 지장 없이 다이스를 통할 수가 있으며, 성형품에서 뛰어난 외관 품질을 얻을 수 있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스플라이스법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제 1의 유리 섬유사의 종단부와 제 2의 유리 섬유사의 시단부를 겹칠 때의 조건 및 상기 수지사를 감을 때의 조건을 조정함에 의해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는, 제 1의 유리 섬유사와, 제 2의 유리 섬유사와, 겹쳐진 양 유리 섬유사의 단부에 수지사가 감겨진 결합부를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로서, 그 결합부가 20~40mm의 범위의 폭을 구비하고, 각 유리 섬유사의 직경과 그 결합부에 감겨진 그 수지사의 두께의 총합으로서의 결합부 직경이 500~5000μm의 범위이며, 각 유리 섬유사의 질량이 200~6000tex(g/km)의 범위일 때, 그 결합부 직경에 대한 그 유리 섬유사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단위tex)/결합부 직경(단위μm))이 0.32~2.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는, 제 1의 유리 섬유사의 단부와, 제 2의 유리 섬유사의 단부가 겹쳐진 부분에 수지사가 감겨짐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결합부가 20~40mm의 범위의 폭을 구비하고 있음에 의해, 텐션을 가하였을 때에 연결이 해제되는 일이 없고, 수지를 함침시킨 후, 지장 없이 다이스를 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폭이 20mm미만일 때에는, 텐션을 가하였을 때에 연결이 해제되며, 40mm를 넘으면, 수지를 함침시킨 후, 다이스를 통할 때에 지장이 생긴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는, 각 유리 섬유사의 직경과 그 결합부에 감겨진 그 수지사의 두께의 총합으로서의 결합부 직경이 500~5000μm의 범위이며, 각 유리 섬유사의 질량이 200~6000tex의 범위일 때, 그 결합부 직경에 대한 그 유리 섬유사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이 0.32~2.00의 범위에 있음에 의해, 수지를 함침시킨 후, 지장 없이 다이스를 통할 수가 있으며, 뛰어난 외관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직경에 대한 상기 유리 섬유사의 질량의 비의 값이 2.00을 넘을 때는, 그 유리 섬유사의 굵기에 대해 상기 수지사의 감음이 강해지므로, 상기 결합부의 개섬이 어려워진다. 그 결과, 상기 결합부에 대한 수지의 함침성이 저하하여, 성형체로 하였을 때에 충분한 외관 품질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직경에 대한 상기 유리 섬유사의 질량의 비의 값이 0.32 미만일 때는, 상기 결합부에 감겨진 수지사가 많아지기 때문에, 수지를 함침시킨 후, 다이스를 통할 때에 지장이 생긴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 감겨진 수지사가 많아지는 결과로서, 상기 결합부의 개섬이 어려워지며, 그 결합부에 대한 수지의 함침성이 저하하므로, 성형체로 하였을 때에 충분한 외관 품질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직경에 대한 유리 섬유사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은, 상기 결합부에 있어서 유리 섬유사의 개섬도가 높아지며, 그 결합부로의 수지 함침성이 특히 높아지기 때문에, 0.64~1.5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는, 상술한 구성을 구비함에 의해, 텐션을 가하였을 때에 연결이 해제되는 일이 없고, 수지를 함침시킨 후, 지장 없이 다이스를 통할 수가 있으며, 성형품에서 뛰어난 외관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수지사가 감겨진 감김부의 폭은, 상기 결합부의 폭의 60~1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는, 상기 수지사가 감겨진 감김부의 폭이, 상기 결합부의 폭의 60~110%의 범위임에 의해, 텐션을 가하였을 때에 유리 섬유사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는 그를 포함하는 유리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에 이용할 수가 있으며, 뛰어난 외관 품질의 유리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다음으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섬유 연결체(1)는, LFT(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나 필라멘트 와인딩 성형품 등의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유리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의 제조에 이용된다. 유리 섬유 연결체(1)는, 제 1의 유리 섬유사(2)와, 제 2의 유리 섬유사(3)와, 제 1의 유리 섬유사(2)의 종단부와 제 2의 유리 섬유사(3)의 시단부가 겹쳐진 부분에 수지사(4)이 감겨진 결합부(5)를 구비하며, 결합부(5)에 의해 유리 섬유사(2, 3)가 연결되어 있다.
유리 섬유사(2, 3)는, 용융하였을 때에 소정의 유리 조성이 되도록 배합된 유리 배치(유리 원재료)를 용융하여,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부싱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에 의해 섬유화된 유리 필라멘트에 집속제를 도포한 후, 복수 본의 그 유리 필라멘트를 집속함에 의해 얻어진 것이다. 상기 소정의 유리 조성은, 유리 섬유의 전량에 대해서, SiO2를 50~70 질량%, Al2O3을 5~30 질량%, B2O3을 0~30 질량%, MgO를 0~15 질량%, CaO를 0~30 질량%, 그 외의 성분(예를 들면, Li2O, Na2O, K2O, Fe2O3, TiO2, F2)을 0~5 질량% 포함한다.
여기서, 제조가 용이하고, 범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리 섬유사(2, 3)의 유리 조성으로서는, E유리 조성(유리 섬유의 전량에 대해서, SiO2를 52~56 질량%, Al2O3을 12~16 질량%, CaO와 MgO를 합계로 20~25 질량%, B2O3을 5~10 질량%, Li2O와 Na2O와 K2O를 합계로 0~1 질량% 포함한 유리 조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필라멘트는 5.0~25.0μm의 범위의 직경을 구비하고, 유리 섬유사(2, 3)는 400~6000개의 범위의 그 유리 필라멘트를 집속하여 이루어지며, 200~6000tex(1000m 당 200~6000g)의 범위의 질량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리 섬유사(2, 3)는 권심에 감아져 도시하지 않는 로빙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유리 필라멘트의 직경은,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강도 향상에 대한 기여의 크기나, 유리 섬유사 제조 효율의 높음으로부터, 10.0~25.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25.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5~24.5μm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16.5~24.0μ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6.6~23.5μ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섬유사(2, 3)에 있어서,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강도 향상에 대한 기여의 크기나, 유리 섬유사 제조 효율의 높음으로부터, 상기 유리 필라멘트는, 1000~5000개가 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0~4500개가 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섬유사(2, 3)의 질량은,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강도 향상에 대한 기여의 크기나, 유리 섬유사 제조 효율의 높음으로부터, 1000~5000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0~4500tex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사(4)는,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매트릭스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5)는, 제 1의 유리 섬유사(2)의 종단부와, 제 2의 유리 섬유사(3)의 시단부가 겹쳐진 부분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 1의 유리 섬유사(2)의 종단으로부터 제 2의 유리 섬유사(3)의 시단까지의 부분이다. 결합부(5)는, 20~40mm, 바람직하게는 23~37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5mm,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7~33mm의 폭(W1)을 구비하고 있다.
수지사(4)는, 예를 들면 스플라이서(MESDAN사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부(5)에 감겨져 있으며, 수지사(4)가 감겨진 부분은, 결합부(5)의 폭(W1)의 60~110%의 폭(W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텐션을 가하였을 때에 수지사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함과 함께 수지사의 사용량을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수지사(4)가 감겨진 부분은, 결합부의 폭(W1)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65~100%의 범위의 폭(W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0%의 범위의 폭(W2)을 구비하고 있으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70~80%의 범위의 폭(W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리 섬유 연결체(1)는, 500~5000μm의 범위의 결합부 직경(R)을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 직경(R)은, 유리 섬유사(2, 3)의 직경과 결합부(5)에 수지사(4)를 감았을 때의 유리 섬유사(2, 3)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수지사(4)의 두께의 총합이다. 또한, 도 2에서는, 결합부 직경(R)을 모식적으로 유리 섬유사(2, 3)의 직경과 결합부(5)에 감겨진 수지사(4)의 두께와의 총합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결합부 직경(R)은, 1000~3700μ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0~3500μm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0~3200μm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리 섬유 연결체(1)는, 200~6000tex의 범위의 질량과, 500~5000μm의 범위의 결합부 직경(R)을 구비하며, 그 결과,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0.32~2.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43~1.92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65~1.55의 범위,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68~1.52의 범위에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을 위해서 수지사(4)를 결합부(5)에 한 겹으로 감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수지사(4)는 결합부(5)에 이중 이상으로 감겨져 있어도 괜찮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의 유리 섬유사(2)의 종단부와, 제 2의 유리 섬유사(3)의 시단부를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유리 섬유 연결체(1)는, 제 1의 유리 섬유사(2)의 시단부 또는 제 2의 유리 섬유사(3)의 종단부가 다른 유리 섬유사 또는 다른 유리 섬유 연결체와 연결되어 있어도 괜찮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용융하였을 때에 E유리 조성이 되도록 배합된 소정의 유리 배치(유리 원재료)를 용융하여,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부싱으로부터 인출함에 의해 섬유화된 유리 필라멘트로 하여, 그 유리 필라멘트에 집속제를 도포한 후, 복수 본의 그 유리 필라멘트를 집속함으로써, 유리 섬유사(2, 3)로 하고,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유리 섬유사(2, 3)는, 각각 그 횡단면에 있어서, 직경 17.1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4000개 집속되어 있으며, 2400tex의 질량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빙으로부터 유리 섬유사(2)의 종단부와, 유리 섬유사(3)의 시단부를 인출하고, 겹쳐서, 폭(W1)이 30mm인 결합부(5)를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결합부(5)에 폴리아미드제의 수지사(4)를 스플라이서(MESDAN사제) 등을 이용하여, 감김부의 폭(W2)이 결합부(5)의 폭(W1)의 75%, 결합부 직경(R)이 2000μm가 되도록 감아서, 유리 섬유사(2, 3)가 결합부(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1)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서는,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1.20(=2400/2000)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주행 속도가 15m/분이 되도록 텐션을 가하면서, 매트릭스 수지로서의 열가소성 수지를 열용융시켜서 함침시키고, 이를 다이스를 통해 과잉의 수지를 제거한 후, 냉각에 의해 수지를 경화시키고, 절단함에 의해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중간 성형체(pellet)를 제조하였다. 그 후, 이 펠릿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실시하여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에는 47개의 결합부(5)를 가지는 48개의 유리 섬유 로빙을 이용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연결의 해제의 유무에 대해서는, 47개의 결합부(5)에 관해서, 주행 중에 해제가 일어나지 않았던 것을 ○, 해제가 일어난 것을 ×로 하였다.
상기 다이스 주행성에 관해서는, 47개의 결합부(5)에 관해서, 다이스에 막히지 않고 주행할 수 있던 것을 ○, 다이스에 막혀서 주행 불가가 된 것을 ×로 하였다.
상기 결합부(5)의 개섬도에 대해서는, 결합부(5)를 포함한 47개의 펠릿에 대하여, 펠릿의 단부로부터 잉크를 침투시켰을 때, 1개도 침투하지 않았던 것을 ◎, 모세관 현상에 의해 1~2개 침투한 것을 ○, 3개 이상 침투한 것을 ×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직경 23.3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4000개 집속되어 444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폭(W1)이 30mm인 결합부(5)를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결합부(5)에 폴리프로필렌제의 수지사(4)를 스플라이서(MESDAN사제) 등을 이용하여, 감김부의 폭(W2)이 결합부(5)의 폭(W1)의 75%, 결합부 직경(R)이 3000μm가 되도록 감아서 유리 섬유사(2, 3)가 결합부(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1)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서는,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1.48(=4440/3000)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대하여, 주행 속도가 10 m/분이 되도록 텐션을 가하면서, 매트릭스 수지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키고, 이를 다이스를 통해 과잉의 수지를 제거한 후, 플레이트에 감고, 80℃의 열프레스에 의해 수지를 경화시킴에 의해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에는 47개의 결합부(5)를 가지는 48개의 유리 섬유 로빙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을 평가하고, 이하대로 결합부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결합부(5)의 개섬도에 대해서는, 47개의 결합부(5)를 포함한 성형품에 대하여, 성형후의 결합부(5)를 포함하는 부분에, 미함침에 의한 백화가 없었던 것을 ◎, 1~2개소에 백화가 있었던 것을 ○, 3개소 이상에 백화가 있었던 것을 ×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직경 23.3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2000개 집속되어 222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결합부(5)의 폭(W1)이 30mm이며, 감김부의 폭(W2)이 결합부(5)의 폭(W1)의 75%, 결합부 직경(R)이 2000μm가 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1)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서는,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1.11(=2220/2000)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대하여, 실시예 2와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직경 16.7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2000개 집속되어 115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결합부(5)의 폭(W1)이 30mm이며, 감김부의 폭(W2)이 결합부(5)의 폭(W1)의 75%, 결합부 직경(R)이 1500μm가 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1)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서는,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0.77(=1150/1500)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대하여, 실시예 2와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직경 16.7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2000개 집속되어 115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결합부(5)의 폭(W1)이 30mm이며, 감김부의 폭(W2)이 결합부(5)의 폭(W1)의 75%, 결합부 직경(R)이 700μm가 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1)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서는,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1.64(=1150/700)가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직경 16.7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2000개 집속되어 115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결합부(5)의 폭(W1)이 30mm이며, 감김부의 폭(W2)이 결합부(5)의 폭(W1)의 75%, 결합부 직경(R)이 2000μm가 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1)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서는,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0.58(=1150/2000)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본 비교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직경 17.1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4000개 집속되어 240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결합부(5)의 폭(W1)이 15mm이며, 감김부의 폭(W2)이 결합부(5)의 폭(W1)의 75%, 결합부 직경(R)이 2000μm가 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1)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본 비교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서는,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1.20(=2400/2000)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비교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본 비교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직경 17.1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4000개 집속되어 240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결합부(5)의 폭(W1)이 45mm이며, 감김부의 폭(W2)이 결합부(5)의 폭(W1)의 75%, 결합부 직경(R)이 2000μm가 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1)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본 비교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서는,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1.20(=2400/2000)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비교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본 비교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직경 23.3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2000개 집속되어 222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결합부(5)의 폭(W1)이 30mm이며, 감김부의 폭(W2)이 결합부(5)의 폭(W1)의 75%, 결합부 직경(R)이 1000μm가 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1)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본 비교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서는,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2.20(=2220/1000)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비교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본 비교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직경 16.7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2000개 집속되어 115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결합부(5)의 폭(W1)이 30mm이며, 감김부의 폭(W2)이 결합부(5)의 폭(W1)의 75%, 결합부 직경(R)이 4500μm가 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1)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본 비교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서는,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0.26(=1150/4500)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비교예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본 비교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직경 17.1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4000개 집속되어 240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로빙으로부터 유리 섬유사(2)의 종단부와, 유리 섬유사(3)의 시단부를 인출하여 크릴에 의해 연결하여 유리 섬유사 연결체를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본 비교예의 유리 섬유사(2, 3)가 크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본 비교예에서는, 우선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직경 17.1μm의 유리 필라멘트가 4000개 집속되어 2400tex의 질량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2, 3)를 각각 권심에 감아서 로빙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로빙으로부터 유리 섬유사(2)의 종단부와 유리 섬유사(3)의 시단부를 인출하여 에어 스플라이스에 의해 연결하여 유리 섬유사 연결체를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본 비교예의 유리 섬유사(2, 3)가 에어 스플라이스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연결의 해제의 유무, 다이스 주행성, 결합부(5)의 개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   2   3   4   5   6 
유리 필라멘트 직경 (μm) 17.1 23.3 23.3 16.7 16.7 16.7
유리 필라멘트 집속 개수 (본) 4000 4000 2000 2000 2000 2000
유리 섬유사의 질량(tex) 2400 4440 2220 1150 1150 1150
매트릭스 수지의 종류 열가소 열경화 열경화 열경화 열가소 열가소
수지사의 종류 PA PP PP PP PA PA
결합부의 폭W1   (mm) 30 30 30 30 30 30
결합부 직경(R)   (μm) 2000 3000 2000 1500 700 2000
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 1.20 1.48 1.11 0.77 1.64 0.58
연결의 해제의 유무  ○  ○  ○  ○  ○  ○
다이스 주행성  ○  ○  ○  ○  ○  ○
결합부의 개섬도  ◎  ◎  ◎  ◎  ○  ○
     비교예
 1   2   3   4   5   6 
유리 필라멘트 직경 (μm) 17.1 17.1 23.3 16.7 17.1 17.1
유리 필라멘트 집속 개수 (본) 4000 4000 2000 2000 4000 4000
유리 섬유사의 질량(tex) 2400 2400 2220 1150 2400 2400
매트릭스 수지의 종류 열가소 열가소 열가소 열가소 열가소 열가소
수지사의 종류 PA PA PA PA  -  -
결합부의 폭W1   (mm) 15 45 30 30  -  -
결합부 직경(R)   (μm) 2000 2000 1000 4500  -  -
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 1.20 1.20 2.22 0.26  -  -
연결의 해제의 유무  ×  ○  ○  ○  ○  ×
다이스 주행성  ○  ×  ○  ×  ×  ○
결합부의 개섬도  ◎  ◎  ×  ×  ×  ◎
표 1로부터,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실시예 1~6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의하면, 텐션을 가하였을 때에 연결이 해제되는 일이 없고, 다이스 주행성이 양호하며, 수지를 함침시킨 후, 지장 없이 다이스를 통할 수가 있으며, 결합부(5)의 개섬도가 양호하며, 성형품에서 뛰어난 외관 품질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특히,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이 0.64~1.55의 범위에 있는 실시예 1~4의 유리 섬유 연결체(1)에 있어서, 결합부(5)의 개섬도가 특히 양호하여, 결합부(5)에서의 수지 함침성이 특히 높고, 특히 뛰어난 외관 품질의 유리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표 2로부터, 결합부(5)의 폭(W1)이 20mm미만의 15mm인 비교예 1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의하면, 텐션을 가하였을 때에 연결이 해제되며, 결합부(5)의 폭(W1)이 40mm를 넘는 45mm인 비교예 2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의하면, 수지를 함침시킨 후, 다이스를 통할 때에 지장이 생긴다.
또한, 결합부 직경(R)에 대한 유리 섬유사(2) 또는 유리 섬유사(3)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R))이 2.00을 넘는 2.22인 비교예 3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의하면, 결합부(5)의 개섬도가 낮고, 상기 비의 값이 0.32 미만의 0.26인 비교예 4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1)에 의하면, 수지를 함침시킨 후, 다이스를 통할 때에 지장이 생기는 것 외에, 결합부(5)의 개섬도가 낮아진다.
또한, 유리 섬유사(2, 3)의 연결을 크릴에 의해 실시하는 비교예 5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에 의하면, 수지를 함침시킨 후, 다이스를 통할 때에 지장이 생기는 것 외에, 결합부(5)의 개섬도가 낮아지며, 유리 섬유사(2, 3)의 연결을 에어 스플라이스에 의해 실시하는 비교예 6의 유리 섬유사 연결체에 의하면, 텐션을 가하였을 때에 연결이 해제된다.

Claims (6)

  1. 제 1의 유리 섬유사와, 제 2의 유리 섬유사와, 겹쳐진 양 유리 섬유사의 단부에 수지사가 감겨진 결합부를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로서,
    그 결합부가 20~40mm의 범위의 폭을 구비하며,
    각 유리 섬유사의 직경과 그 결합부에 감겨진 그 수지사의 두께의 총합으로서의 결합부 직경이 500~5000μm의 범위이며, 각 유리 섬유사의 질량이 200~6000tex의 범위일 때, 그 결합부 직경에 대한 그 유리 섬유사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이 0.32~2.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사가 감겨진 감김부의 폭은, 상기 결합부의 폭의 60~1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직경에 대한 상기 유리 섬유사의 질량의 비의 값이 0.64~1.5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
  4. 제 1의 유리 섬유사와, 제 2의 유리 섬유사와, 겹쳐진 양 유리 섬유사의 단부에 수지사가 감겨진 결합부를 구비하며, 그 결합부가 20~40mm의 범위의 폭을 구비하며, 각 유리 섬유사의 직경과 그 결합부에 감겨진 그 수지사의 두께의 총합으로서의 결합부 직경이 500~5000μm의 범위이며, 각 유리 섬유사의 질량이 200~6000tex의 범위일 때, 그 결합부 직경에 대한 그 유리 섬유사의 질량의 비의 값(유리 섬유사의 질량/결합부 직경)이 0.32~2.00의 범위에 있는 유리 섬유사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사가 감겨진 감김부의 폭은, 상기 결합부의 폭의 60~1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직경에 대한 상기 유리 섬유사의 질량의 비의 값이 0.64~1.5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
KR1020197019379A 2017-12-11 2017-12-11 유리 섬유사 연결체 KR102020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44437 WO2019116432A1 (ja) 2017-12-11 2017-12-11 ガラス繊維糸連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030A KR20190086030A (ko) 2019-07-19
KR102020639B1 true KR102020639B1 (ko) 2019-09-10

Family

ID=6358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379A KR102020639B1 (ko) 2017-12-11 2017-12-11 유리 섬유사 연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00146B2 (ko)
EP (1) EP3546627B1 (ko)
JP (1) JP6390822B1 (ko)
KR (1) KR102020639B1 (ko)
CN (1) CN110475920B (ko)
WO (1) WO2019116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5713A (zh) * 2020-03-18 2020-06-05 殷石 一种打结式高性能合成纤维束
KR102459984B1 (ko) * 2020-06-10 2022-10-27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유리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 전자기기 하우징, 모빌리티 제품용 내장부품, 및 모빌리티 제품용 외장부품
CN114438763B (zh) * 2021-12-24 2023-03-31 振石集团华美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织物的连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1881A1 (en) 2002-03-20 2003-09-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sable splice for a stabilized absorb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plice
JP2008529945A (ja) 2005-02-15 2008-08-07 サン−ゴバン ベトロテックス フランス 強化ガラス糸のための付属品システム
JP2013500914A (ja) 2009-07-29 2013-01-10 ピーピージ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オハ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継ぎ合わせガラス繊維粗糸、並びにガラス繊維粗糸を継ぎ合わせ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330553A1 (en) 2012-06-12 2013-12-12 Ticona Llc Rod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rod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4458A (en) * 1969-07-16 1975-09-09 Ici Ltd Method of joining continuous strands
US3672148A (en) * 1970-04-27 1972-06-27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Sewn tire cord splice and method
JPH0640668A (ja) * 1991-04-26 1994-02-15 Asahi Fiber Glass Co Ltd ガラス繊維束並びにガラス繊維束の連結方法
JPH06316378A (ja) * 1993-05-07 1994-11-15 Asahi Fiber Glass Co Ltd ガラス繊維束の糸継ぎ方法
EP1712506A1 (en) * 2000-03-02 2006-10-18 Owens Corning A package of strand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247129A (ja) * 2002-02-21 2003-09-05 Toray Ind Inc 糸繋ぎ方法
JP4272117B2 (ja) * 2004-06-07 2009-06-0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コードの接続方法
JP2007069985A (ja) 2005-08-09 2007-03-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ロービング包装体、ガラスロービング梱包体及びその梱包方法
EP2348143B1 (en) * 2008-11-10 2014-02-26 Toray Industries, Inc. Fiber bundle with pieced part,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carbon fiber
CN201660552U (zh) * 2010-04-27 2010-12-01 巨石集团成都有限公司 打结器辅助装置
JP2012161960A (ja) 2011-02-04 2012-08-30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
DE202014105956U1 (de) * 2014-12-10 2015-02-02 Schlatter Deutschland Gmbh & Co. Kg Anordnung von zwei Schussfäden in einer Web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1881A1 (en) 2002-03-20 2003-09-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sable splice for a stabilized absorb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plice
JP2008529945A (ja) 2005-02-15 2008-08-07 サン−ゴバン ベトロテックス フランス 強化ガラス糸のための付属品システム
JP2013500914A (ja) 2009-07-29 2013-01-10 ピーピージ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オハ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継ぎ合わせガラス繊維粗糸、並びにガラス繊維粗糸を継ぎ合わせ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330553A1 (en) 2012-06-12 2013-12-12 Ticona Llc Rod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rod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030A (ko) 2019-07-19
CN110475920A (zh) 2019-11-19
WO2019116432A1 (ja) 2019-06-20
JPWO2019116432A1 (ja) 2019-12-19
EP3546627A1 (en) 2019-10-02
EP3546627B1 (en) 2021-04-07
EP3546627A4 (en) 2020-07-08
US10900146B2 (en) 2021-01-26
JP6390822B1 (ja) 2018-09-19
CN110475920B (zh) 2020-11-06
US20200123682A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639B1 (ko) 유리 섬유사 연결체
CA1269552A (en) Reinforced optical fiber and production of the same
US10011930B2 (en) Non-weft unidirectional fiber-reinforced fabrics
JP6492979B2 (ja) ガラス繊維集束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150650A (ja) ガラスロービ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繊維強化複合樹脂材
TWI717577B (zh) 玻璃纖維紗連結體
CN1329330C (zh) 掺加丝线粘合剂的纤维玻璃制品
EP0628392A1 (en) Structure of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903962B2 (ja) ガラスロービ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繊維強化複合樹脂材
JP2019073407A (ja) ガラスロービング及びガラス繊維強化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US20110129608A1 (en) Methods of applying matrix resins to glass fibers
JP2017007289A (ja) パイプ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US6767625B2 (en) Method for making a charge of moldable material
JP4829865B2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ペレットの製造方法
US20100203329A1 (en) Powder coated roving for making structural composites
KR910001804B1 (ko) 피복 광섬유
US9931794B2 (en) Fabrication of composite structures
WO2023089969A1 (ja) 合糸ロービングの製造方法、合糸ロービング、及びガラス繊維強化樹脂成形体
CN110656421A (zh) 一种增强玻璃强纤维布的制备方法
KR102382233B1 (ko) 다층 중간기재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9108229A (ja) ガラス繊維集束体
JP6972539B2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200065A1 (ja) 接合ストラン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3517599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用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基材及び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成形体の製造方法
JPH02145304A (ja) 繊維強化樹脂品成形用ペレッ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