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697B1 - 연료유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유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3697B1 KR102013697B1 KR1020170022305A KR20170022305A KR102013697B1 KR 102013697 B1 KR102013697 B1 KR 102013697B1 KR 1020170022305 A KR1020170022305 A KR 1020170022305A KR 20170022305 A KR20170022305 A KR 20170022305A KR 102013697 B1 KR102013697 B1 KR 1020136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oil
- storage tank
- oil storage
- small compartment
- cei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02M37/0088—Multiple separate fuel tanks or tanks being at least partially partition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0—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heating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유 저장 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가 흡입위치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흡입되는 연료유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여 연료유의 이송효율의 악화를 개선할 수 있는 연료유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 해결수단으로서,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계속 유출되는 연료유를 가열하면서 복귀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연료유 이송장치에 있어서, 연료유 저장 탱크에, 그 공간의 일부를 다른 공간과 격리하는 동시에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유를 흡배하는 흡입관(5A)을 덮는 소구획(2A)을 설치하고, 이 소구획(2A)의 천장(2A2)에 연료유의 액면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승강 가능한 액면감자부재(LF)의 삽입통과구멍(2A10)을 형성하며, 삽입통과구멍(2A10)에는 천장(2A2)으로부터 소구획(2A)의 바닥부에 이르는 길이를 주어 액면감지부재(LF)가 승강 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둘레벽(30)의 상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해결수단으로서,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계속 유출되는 연료유를 가열하면서 복귀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연료유 이송장치에 있어서, 연료유 저장 탱크에, 그 공간의 일부를 다른 공간과 격리하는 동시에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유를 흡배하는 흡입관(5A)을 덮는 소구획(2A)을 설치하고, 이 소구획(2A)의 천장(2A2)에 연료유의 액면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승강 가능한 액면감자부재(LF)의 삽입통과구멍(2A10)을 형성하며, 삽입통과구멍(2A10)에는 천장(2A2)으로부터 소구획(2A)의 바닥부에 이르는 길이를 주어 액면감지부재(LF)가 승강 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둘레벽(30)의 상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유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연기관 등을 향하여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연료유 저장 탱크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발전기 등의 보일러에 이용되는 연료유는,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내연기관에 공급된다. 연료유 저장 탱크에 수용되는 연료유는, 예를 들어 저렴한 C중유가 이용된다.
연료유는, 비교적 온도에 의한 점도의 변화가 크다. 그래서, 점도가 낮아지는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가 가열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도 4는 연료유를 가열하는 구성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배관도이다.
연료유 이송장치(100)는, 예를 들어 선박의 바닥부 근방 등에 복수 마련되어 있는 연료유 저장 탱크(101)와, 이송펌프(102)를 이용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101) 내로부터 흡입되는 연료유를 가열하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settling tank)(103)와, 가열된 연료유를 청정화하여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104)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유 서비스 탱크(104)와 연료유 저장 탱크(101) 사이의 유로에는 연료유 저장 탱크(101)를 향하여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를 복귀시키는 유하펌프(105)가 구비되어 있다. 도 4 중의 부호 106은 히터를, 부호 107, 108은 밸브를, 부호 109는 온도센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연료유 저장 탱크(101) 내의 연료유는, 이송펌프(102)에 의하여 도입되어 연료유 세틀링 탱크(103)에 있어서 가열되며, 청정화되고나서 연료유 서비스 탱크(104)에 일시적으로 저류되는 순환루트를 통과한다. 연료유 서비스 탱크(104)에 저류되어 있는 연료유는, 내연기관 등의 소비량을 보전할 수 있는 양을 설정하여 유하펌프(105)에 의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101)에 되돌아간다.
연료유 세틀링 탱크(103) 및 또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104)로부터 연료유 저장 탱크(101) 내로 되돌아가는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는, 탱크 내의 연료유와 혼합되어, 탱크 내의 연료유를 부분적으로 30~40도로 가열한다. 가열에 의하여 점도가 저하된 연료유는, 이송효율을 방해하는 유동저항이 적어진다.
연료유 저장 탱크(101)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일부를 대상으로 하여 가열하기 위하여 다른 공간을 구분 지은 박스형상 소구획(112)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박스형상 소구획(112)은, 연료유 저장 탱크(101)로부터 연료유 세틀링 탱크(103)를 향하여 흡입되는 연료유의 이송효율을 낮추지 않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연료유 저장 탱크(101)에 되돌아가는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는, 저장되어 있는 연료유에 비하여 비중이 작아, 상승하여 확산되기 쉽지만, 박스형상 소구획(112) 내에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를 머물게 함으로써 확산이 방지된다. 이 결과, 연료유 저장 탱크(101) 내로부터 흡입되는 위치에 모여 있는 연료유는, 온도 저하가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증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이송효율이 악화되는 일이 없다.
도 5에 있어서 연료유 저장 탱크(101)에 설치된 박스형상 소구획(112)은, 바닥부 근방을 향한 개구를 가지는 벨마우스(110)에 연통하는 흡입 메인관(111)을 구비하고 있다.
흡입 메인관(111)은, 박스형상 소구획(112)에 의하여 덮여 있다. 박스형상 소구획(112)은, 공간을 구획하는 임의의 일측이 바닥면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절제된 절삭부(112A)를 가지고, 절삭부(112A)를 이용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101)의 내부와 박스형상 소구획 내부가 연통되어 있다.
박스형상 소구획(112)은, 벨마우스(110)로부터 연료유 저장 탱크(101) 내로 되돌아간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가, 벨마우스(110)의 위치에서 상승하여 떨어진 위치를 향하여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즉, 벨마우스(110)를 나온 연료유는, 상승하면 박스형상 소구획(112)의 천장(112B)에 충돌하여 튀어 되돌아돈다. 이 결과, 연료유는 박스형상 소구획(112) 내에서 난류를 일으켜 박스형상 소구획(112)의 내부에 머문다.
한편,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의 흐름을 벨마우스(110)의 주변에 집약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천장(112B)과의 사이에 틈을 두어 직각 방향으로 뻗는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인 칸막이(113)를 절삭부(112A)의 근방에 배치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는, 박스형상 소구획(112)의 천장(112B)에 더하여 천장(112B)과 평행한 칸막이(113)의 돌출판인 수평판(113A)에 충돌하여 난류가 되어, 박스형상 소구획(112) 내에서의 연료유와의 혼합성이 높아진다. 이 결과, 벨마우스(110)에 흡입되는 연료유와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와의 혼합률이 높아져 연료유의 가열효율이 높아진다.
연료유 저장 탱크(101)에 설치되어 있는 박스형상 소구획(112)은, 내부에 모이는 에어를 배출하여 연료유의 유입을 허용하기 위한 에어배출구멍(112B1)을 천장에 설치하고 있다.
에어배출구멍(112B1)은, 외부로 유출되는 연료유의 양을 적게 하여 박스형상 소구획(112) 내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유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작은 크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 부분이다.
한편, 에어배출구멍(112B1)과 마찬가지로 박스형상 소구획(112)에 뚫린 구멍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유의 액면의 변화에 추종하여 승강 가능한 액면감지부재로서 이용되는 레벨게이지(LG)를 세팅하기 위한 구멍(112B2)이 있다.
레벨게이지(LG)는, 오일면 위치에 따라서 승강 가능한 플로트(LF)를 구비하고 있다(도 6은 편의상 임의 위치에 플로트(LF)가 나타나 있음). 플로트(LF)는, 에어배출구멍(112B1)과 달리 큰 외경을 가진다. 따라서, 플로트(LF)를 삽입 통과시키는 구멍(112B2)은 에어배출구멍(112B1)보다 연료유가 외부에 유출되기 쉬워진다.
박스형상 소구획(112)으로부터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가 유출되기 쉬워지면, 박스형상 소구획(112)에는, 유출된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 대신에 미가열로 인하여 비중이 큰 연료유가 절삭부(112A)로부터 흘러들어가기 쉬워진다. 결과적으로, 박스형상 소구획(112) 내에 모여 있는 연료유에 대한 가열부족이 발생하여, 점도 상승이 원인이 되어 연료유의 이송효율이 악화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연료유 저장 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가 흡입위치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흡입되는 연료유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여 연료유의 이송효율의 악화를 개선할 수 있는 연료유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계속 유출되는 연료유를 가열하면서 복귀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연료유 이송장치에 있어서, 연료유 저장 탱크에, 그 공간의 일부를 다른 공간과 격리하는 동시에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유를 흡배(吸排)하는 흡입관을 덮는 소구획을 설치하고, 이러한 소구획의 천장에 연료유의 액면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승강 가능한 액면감지부재의 삽입통과구멍을 형성하며, 삽입통과구멍에는 천장으로부터 상기 소구획의 바닥부에 이르는 길이를 주어 상기 액면감지부재가 승강 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둘레벽의 상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상 소구획의 천장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은 둘레벽의 일부에 의하여 박스형상 소구획 내부와 격절된다. 이에 따라, 구멍으로부터 박스형상 소구획 내의 연료유가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박스형상 소구획 내의 연료유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유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연료유 이송장치의 연료유 저장 탱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연료유 저장 탱크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연료유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연료유 저장 탱크에 이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연료유 저장 탱크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연료유 이송장치의 연료유 저장 탱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연료유 저장 탱크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연료유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연료유 저장 탱크에 이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연료유 저장 탱크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따른 연료유 이송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연료유 이송장치(1)는, 연료유 저장 탱크(2)에 연통하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3), 연료유 서비스 탱크(4)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유 세틀링 탱크(3)는, 연료유를 가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탱크이고, 도시하지 않은 히터에 의하여, 일례로서 70~80℃의 온도로 연료유가 가열된다.
연료유 저장 탱크(2)와 연료유 세틀링 탱크(3)는 이송관(5)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고, 그 도중에는, 이송펌프(6), 온도센서(7) 및 압력센서(8)가 배치되어 있다.
온도센서(7)는, 예를 들어 이송펌프(6)의 연료유 입구측의 온도를 계측하고 있다.
압력센서(8)는, 이송펌프(6) 내에 흡입되는 연료유의 압력 변화를 감시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압력 변화는, 연료유의 점도 변화에 따른 유동저항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특히, 점도가 높아져 유동저항이 증가한 경우에는, 이송펌프(6)의 입구측의 압력이 진공화 경향이 된다. 따라서, 진공화 경향의 압력 변화가 감지되면 연료유의 점도를 낮추기 위한 가열이 필요해진다.
연료유 세틀링 탱크(3)에는, 이송펌프(6)에 의하여 흡입된 연료유의 액면을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9)가 설치되어 있다.
레벨센서(9)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내에 연료유가 소정량 도입되었을 때의 액면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레벨센서(9)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내에 연료유가 소정량 도입된 것을 감지하면, 이송펌프(6)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연료유 서비스 탱크(4)는, 가열된 연료유를 청정화한 후, 일시적으로 저류하고, 내연기관 등을 향하여 연료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탱크이다. 연료유 저장 탱크(2)와 연료유 서비스 탱크(4)는 흡입관(10)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고, 그 도중에는, 유하펌프(11)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및 또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4)에 저류되어 있는 연료유의 일부는 유하펌프(11)에 의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2)에 유하되어 연료유 저장 탱크(2) 내의 연료유의 온도를 높인다.
이 경우에 말하는 유하펌프(11)의 명칭은, 연료유 서비스 탱크(4)가 연료유 저장 탱크(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 이유이다. 즉, 상위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4)로부터, 이보다 하위의 연료유 저장 탱크(2)에 연료유를 흘려 떨어뜨리듯이 계속 유출하는 것을 의미하여 유하라는 표현으로 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및 연료유 서비스 탱크(4)가 각각 흡입관(10)에 연통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양쪽의 탱크(3, 4) 또는 어느 한 쪽의 탱크로부터 연료유 저장 탱크(2)를 향한 연료유의 유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각 탱크(3, 4) 연료유의 출구의 유로에 밸브(12)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연료유 이송장치(1)는, 이송펌프(6)에 의하여 연료유 저장탱크(2)로부터 연료유 세틀링 탱크(3)에 흡입된 연료유가 가열되고, 가열된 연료유가 청정화된 후에 연료유 서비스 탱크(4)에 도입되며, 저류된 연료유가 내연기관 등으로의 공급에 대비된다.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및 또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4)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저류되어 있는 연료유의 일부는, 유하펌프(11)에 의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2)로 되돌아간다. 이 결과, 연료유 저장 탱크(2) 내의 연료유는 가열된 연료유와 혼합됨으로써 부분적으로 36~40℃로 가열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펌프끼리의 가동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이송펌프(6)가 15분 정도, 그리고 유하펌프(11)가 45분 정도를 선택되어 교대로 가동된다. 이 시간 중에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은, 예를 들어 상술한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내의 레벨센서(9)에 의하여 연료유의 액면이 감지될 때까지의 시간에 대응시킬 수 있다. 즉, 이송펌프(6)의 회전수, 구동전류 등의 정격에 근거한 유량으로 연료유를 유출하였을 때의 가동시간 내에 연료유의 액면이 레벨센서(9)에 의하여 감지되면 연료유의 유동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 연료유의 점도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 가동시간을 넘을 경우에는 연료유의 점도가 높아 유동성이 나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레벨센서(9)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내에 도입되는 연료유가 소정량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면, 이송펌프(6)의 가동을 정지시켜 연료유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정박 중 등과 같이 연료유의 소비가 없을 때에는,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이 짧고, 레벨센서(9)가 작동할 때까지의 시간이 예를 들어 6분 정도이다.
이송펌프(6)를 이용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2)로부터 연료유 세틀링 탱크(3)를 향하여 연료유를 흡입하는 루트는, 도 1에 있어서 부호 F1~F5로 나타나고 있다. 유하펌프(11)를 이용하여 연료유 서비스 탱크(4)로부터 연료유 저장 탱크(2)를 향하여 연료유를 유하시키는 루트는,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F10~F12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1)는, 그 주요부의 구성이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712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유 이송장치(1)의 특징은, 연료유 저장 탱크의 구조에 있다. 특히, 가열이 완료된 연료가 흡인구 근방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료유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유 이송장치(1)에 이용되는 연료유 저장 탱크(2)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연료유 저장 탱크(2)의 내부에는, 도 5에 있어서 부호 112로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로 박스형상 소구획(2A)이 설치되어 있다.
박스형상 소구획(2A)에는, 도 5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로, 공간을 구획하는 임의의 일측에 절삭부(2A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을 이루는 칸막이 부재(2B)가 설치되어 있다.
박스형상 소구획(2A)의 측부에 있어서 절삭부(2A1)와 반대측의 측부에는, 이송관(5)에 연통하는 흡입 메인관(5A)이 관통되어 있고, 흡입 메인관(5A)의 선단에는 박스형상 소구획(2A)의 바닥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흡인구로서 이용되는 벨마우스(2C)가 접속되어 있다.
박스형상 소구획(2A)의 천장(2A2)에는, 연료유의 액면감지부재인 레벨게이지(편의상, 부호 LG에 의하여 나타냄)의 플로트(편의상, 부호 LF에 의하여 나타냄)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과구멍(2A10)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구멍(2A10)에는, 박스형상 소구획(2A)의 천장(2A2)으로부터 바닥부에 이르는 길이를 주어 플로트(LF)가 승강 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둘레벽(30)의 상부가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통과구멍(2A10)은, 도 6에 나타낸 경우와 달리, 박스형상 소구획(2A)의 내부와 격절되어 있으므로, 근방의 연료유가 외부로 유출될 수 없다.
둘레벽(30)은 삽입통과구멍(2A10)으로부터 박스형상 소구획(2A)의 바닥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데, 바닥부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박스형상 소구획(2A)의 바닥부에 접촉, 또는 바닥부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도록 떨어져 있다.
박스형상 소구획(2A)의 바닥부측에 위치하는 둘레벽(30)의 단부에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개구부(30A, 30A')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개구부(30A)는, 단부에 도달하는 절삭이 이용되고, 도 3의 (b)에 나타내는 개구부(30A')는, 직사각형의 개구가 이용되어 있다.
개구부(30A, 30A')는, 연료유 저장 탱크(2) 내의 에어배출과 함께 플로트(LF)에 의한 액면감지시의 연료유가 도입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박스형상 소구획(2A)의 바닥부측 단부가 박스형상 소구획(2A)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도록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30A, 30A')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에어배출구멍의 기능을 삽입통과구멍(2A10)에 포함시키는 것이나 삽입통과구멍(2A10)과는 별도로 에어배출구멍을 설치하는 것의 어느 것도 선택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유 이송장치(1)에 따르면, 연료유 저장 탱크(2)의 천장에 설치되는 구멍, 즉 레벨게이지(LG) 삽입통과를 위한 삽입통과구멍이 박스형상 소구획 내부와 격절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박스형상 소공간(2A)의 천장 근방의 연료유가 삽입통과구멍으로부터 외부에 유출되는 일이 없다. 더욱이, 개구부(30A, 30A') 또는 박스형상 소구획(2A)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틈을 설치함으로써 박스형상 소구획(2A) 내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이용되므로, 구성의 간략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박스형상의 소구획에 기존 구조부로서 이용되는 레벨게이지의 플로트를 삽입통과하는 구멍을 소구획의 내부와 격절함으로써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가 유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격절 가능한 둘레벽을 설치한다는 간단한 구성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를 소구획 내에 머무르게 할 수 있어,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취출되는 연료유의 점도 품질의 저하를 억제하여 이동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1: 연료유 이송장치
2: 연료유 저장 탱크
2A: 박스형상 소구획
2A2: 천장
2A10: 삽입통과구멍
3: 연료유 세틀링 탱크
4: 연료유 서비스 탱크
5: 이송관
6: 이송펌프
30: 둘레벽
30A, 30A': 개구부
2: 연료유 저장 탱크
2A: 박스형상 소구획
2A2: 천장
2A10: 삽입통과구멍
3: 연료유 세틀링 탱크
4: 연료유 서비스 탱크
5: 이송관
6: 이송펌프
30: 둘레벽
30A, 30A': 개구부
Claims (4)
- 연료유 저장 탱크와, 그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흡입된 연료유를 가열하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와, 가열된 연료유를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에 복귀시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를 구비하여 상기 연료유를 순환시킬 수 있는 연료유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는, 바닥부를 향하여 개구하는 벨마우스를 가지는 흡입 메인관과,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 내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공간과 구분 지어져 상기 흡입 메인관을 덮는 것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소구획을 구비하고,
상기 소구획은, 연료유의 액면의 변화에 추종하여 승강 가능한 액면감지부재의 삽입통과구멍을 천장에 형성하며, 그 삽입통과구멍에는, 상기 천장으로부터 상기 소구획의 바닥부에 이르는 길이를 주어 상기 액면감지부재가 승강 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내벽의 상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구획은,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다른 공간과 연통하는 절삭부가 설치되고, 그 절삭부의 근방에는, 상기 바닥부에 고정되어 상기 천장과의 사이에 틈을 설치하여 직각 방향으로 뻗는 칸막이 부재가 구비되며, 그 칸막이 부재의 상기 천장측에는, 그 천장에 평행하는 돌출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둘레벽은, 상기 소구획의 바닥부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둘레벽은, 상기 소구획의 바닥부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그 바닥부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도록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244559A JP6410325B2 (ja) | 2016-12-16 | 2016-12-16 | 燃料油移送装置 |
JPJP-P-2016-244559 | 2016-12-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0428A KR20180070428A (ko) | 2018-06-26 |
KR102013697B1 true KR102013697B1 (ko) | 2019-08-23 |
Family
ID=6260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2305A KR102013697B1 (ko) | 2016-12-16 | 2017-02-20 | 연료유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410325B2 (ko) |
KR (1) | KR102013697B1 (ko) |
CN (1) | CN108204320B (ko) |
TW (1) | TWI64380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91255B (zh) * | 2018-08-07 | 2023-12-05 | 高密市中科容器厂 | 一种机动车燃油箱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89708A (en) * | 1982-04-14 | 1984-12-25 | Kyodo Kisen Kaisha, Ltd | Heating apparatus for heating liquid in a tank |
JPH0249107Y2 (ko) * | 1984-09-17 | 1990-12-25 | ||
JPH06298184A (ja) * | 1993-03-22 | 1994-10-25 | Nippon High Hiiito Eng Kk | 船舶の燃料油タンクの加熱方法で、タンクを 大小の部分に分割し夫々局所的に加熱する方式 |
JP3600269B2 (ja) * | 1994-05-24 | 2004-12-15 | 天信 千々波 | 燃料油移送装置 |
JP3807596B2 (ja) * | 2001-04-13 | 2006-08-09 |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 熱効率の良好な燃料油貯蔵タンク |
JP4846251B2 (ja) * | 2004-03-17 | 2011-12-28 |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 燃料油貯蔵タンク中の燃料油の加熱方法 |
CN201096261Y (zh) * | 2007-10-24 | 2008-08-06 |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 一种油箱自动供油控制装置 |
US20100243228A1 (en) * | 2009-03-31 | 2010-09-30 | Price Richard J | Method and Apparatus to Effect Heat Transfer |
KR101454725B1 (ko) * | 2011-01-12 | 2014-10-27 | 도요타 지도샤(주) | 연료 공급 장치 |
US8726886B2 (en) * | 2011-08-24 | 2014-05-20 | Robert Bosch Gmbh | Fuel supply system and anti-siphon jet pump |
CN102583521B (zh) * | 2012-01-12 | 2014-03-26 |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 用于加热炉的供油设备 |
CN203114468U (zh) * | 2013-01-18 | 2013-08-07 | 中国石油大学(华东) | 一种柴油机燃油加热辅助装置 |
JP5819375B2 (ja) * | 2013-09-20 | 2015-11-24 |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 燃料油の加熱方法 |
JP6093681B2 (ja) * | 2013-10-10 | 2017-03-08 |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 アスファルトの移送方法 |
JP6287640B2 (ja) * | 2014-07-01 | 2018-03-07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タンク装置 |
CN204900113U (zh) * | 2015-08-27 | 2015-12-23 | 上海船舶研究设计院 | 强制对流换热的船舶燃油预热系统 |
JP6443639B2 (ja) * | 2016-12-16 | 2018-12-26 |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 燃料油移送装置 |
JP6447618B2 (ja) * | 2016-12-16 | 2019-01-09 |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 燃料油移送装置 |
JP6440329B2 (ja) * | 2016-12-16 | 2018-12-19 |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 燃料油移送装置 |
-
2016
- 2016-12-16 JP JP2016244559A patent/JP6410325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2-10 TW TW106104481A patent/TWI643808B/zh active
- 2017-02-20 KR KR1020170022305A patent/KR1020136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4-07 CN CN201710224285.0A patent/CN108204320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0428A (ko) | 2018-06-26 |
TW201823140A (zh) | 2018-07-01 |
JP2018095310A (ja) | 2018-06-21 |
TWI643808B (zh) | 2018-12-11 |
CN108204320A (zh) | 2018-06-26 |
JP6410325B2 (ja) | 2018-10-24 |
CN108204320B (zh) | 2020-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0044B1 (ko) | 연료유 이송장치 | |
US9248735B2 (en) | Liquid fuel trap device | |
JP4582807B2 (ja) | 射出成形機の作動油の気泡除去器及び作動油タンク | |
JP5133093B2 (ja) | 鞍型燃料タンク | |
KR102013697B1 (ko) | 연료유 이송장치 | |
CN109476360B (zh) | 包括减摩装置的船舶 | |
KR102040750B1 (ko) | 추가 저장 용적을 가지는 연료 탱크 | |
CN110090471A (zh) | 一种液箱和液体循环装置 | |
KR102036622B1 (ko) | 연료유 이송장치 | |
CN110103703A (zh) | 防吸空燃油箱及工程机械 | |
KR102020474B1 (ko) | 연료유 이송장치 | |
US2217655A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gas from liquid | |
KR20120112486A (ko) | 내연 기관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 |
KR101271337B1 (ko) |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버블생성 억제장치 | |
JP4643515B2 (ja) | フロート弁を備えた燃料油のポンプユニット | |
JP5810938B2 (ja) | 燃料タンク構造 | |
JP2016079951A (ja) | 水位維持装置とポンプ設備および水位維持方法並びにポンプの運転方法 | |
JP4710348B2 (ja) | ポンプ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体供給装置 | |
JP2008201320A (ja) | 燃料タン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