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910B1 -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910B1
KR102010910B1 KR1020190002371A KR20190002371A KR102010910B1 KR 102010910 B1 KR102010910 B1 KR 102010910B1 KR 1020190002371 A KR1020190002371 A KR 1020190002371A KR 20190002371 A KR20190002371 A KR 20190002371A KR 102010910 B1 KR102010910 B1 KR 102010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drum
drum
lay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석
신동주
방진영
임익순
신희덕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상기 케이블 드럼이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상단에 설치된 트레버스 프레임; 상기 트레버스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 드럼의 케이블을 상기 프레임부 상단 방향으로 끌어 올린 후,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 및 상기 방향 전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케이블 포설 시 도로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A CABLE LAYING APPARTU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CABLE AND CABLE LAY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케이블 포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던 종래의 케이블 포설 장치와 달리 별도의 하차 작업 없이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도로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케이블 포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발전으로 인한 전력 사용량의 증가로 초고압 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게 됨에 따라 초고압 케이블의 대형화, 장경간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초고압 케이블이 대형화, 장경간화로 인해 생산 공장에서 생산된 초고압 케이블을 설치될 현장까지 운송하기 위한 케이블 드럼 또한 대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초고압 케이블을 운송하는 케이블 드럼을 대형화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드럼의 높이를 크게 하거나 케이블 드럼의 폭을 크게 해야 하는데, 케이블 드럼 운반을 위해서는 일반 도로를 이용해야 하므로, 종래에는 케이블 드럼의 폭이 도로의 폭을 넘지 않도록 하면서 케이블 드럼의 높이를 크게 하는 방식으로 케이블 드럼을 대형화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육상 운송 시 교량이나 육교 하부를 통과해야 하므로 케이블 드럼의 높이는 최대 4~5미터 정도로 제한되어, 종래와 같이 케이블 드럼의 폭은 유지한 채 케이블 드럼의 높이를 크게 하는 방식으로는 케이블 드럼을 대형화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케이블 드럼의 높이를 크게 하는 방식과는 달리 케이블 드럼의 폭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케이블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으나, 종래에 제안된 방식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을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포설하는 것이어서 현장에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에서 많은 도로 차선을 점유하게 되어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는 바,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도로 점유를 최소화하면서도 케이블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케이블 포설 방식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5117호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이 아닌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도로 점유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케이블 드럼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를 도모하여 종래의 케이블 포설 장치가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별도의 하차 작업 없이 트레일러 대차 상의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케이블 드럼이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상단에 설치된 트레버스 프레임; 상기 트레버스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 드럼의 케이블을 상기 프레임부 상단 방향으로 끌어 올린 후,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 및 상기 방향 전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유압으로 폭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절이 가능한 가변 유압식 프레임부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일러 대차 상에서 케이블 드럼을 들어올리고 회전시키는 언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언더 롤러는 유압식 및 전동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언더 롤러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트레일러 대차 상의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하차 작업 없이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를 프레임부 내부에 정렬시키는 정렬 단계; 언더 롤러를 통해 트레일러 대차 상의 케이블 드럼을 들어올리고 회전시키는 리프팅 단계; 방향 전환부를 통해 케이블 드럼의 케이블을 상기 프레임부 상단 방향으로 끌어 올린 후,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단계; 상기 방향 전환 단계에서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된 케이블과 맨홀의 리드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 단계; 및 리드와이어를 당기거나, 방향 전환부와 언더롤러를 구동하여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포설하는 포설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렬 단계에 앞서 트레일러 대차에 실린 케이블 드럼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부의 폭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조절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던 종래와 달리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함으로써,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 드럼이 도로를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 포설하는 방식을 통해 케이블 드럼의 폭을 키울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케이블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케이블 드럼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부의 폭과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프레임부 내부에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를 정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케이블 포설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블(30)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가 요구됨에 따라 케이블(30)을 설치될 현장까지 운송하기 위한 케이블 드럼(20)의 대형화 또한 요구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종래에는 케이블 드럼(20)의 폭(Width)을 키우거나 케이블 드럼(20)의 높이(Height)를 키움으로써, 케이블 드럼을 대형화하고자 하였다.
종래에는 육상 운송을 위해 케이블 드럼(20)의 폭을 도로의 폭보다 작게 한 상태에서 케이블 드럼(20)의 높이를 키워 케이블 드럼(20)의 대형화를 도모하곤 하였는데, 교량이나 육교 하부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드럼(20)의 높이를 4 내지 5 미터 이상 키울 수 없어 상기 방식은 케이블 드럼(20)의 크기를 대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상기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드럼(20)의 폭을 키워 케이블 드럼(20)을 대형화하는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종래에 제안된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0)이 케이블 드럼(20)에 감긴 방향과 동일한 케이블 드럼(20)의 반경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다 보니, 케이블(20)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 드럼(20)이 도로의 공간을 지나치게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가 있어, 상기 방식이 현실적으로 활용되기는 어려웠다.
즉, 종래에 제안된 방식들은 케이블 드럼(20)의 대형화를 통해 사용자의 케이블(30)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었는 바, 본 발명은 케이블(30)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 드럼(20)이 차지하는 도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케이블 드럼(20)을 대형화할 수 있는 새로운 케이블 포설 장치와 케이블 포설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케이블 드럼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프레임부 내부에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를 정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트레일러 대차(10) 상의 케이블 드럼(20)으로부터 케이블(30)을 포설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케이블 드럼이 설치되는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 상단에 설치된 트레버스 프레임(Traverse Frame, 200), 상기 트레버스 프레임(20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 드럼(20)이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 드럼(20)의 케이블(30)을 상기 프레임부(100) 상단 방향으로 끌어 올린 후, 케이블(30)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300) 및 상기 방향 전환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별도의 하차 작업을 요하지 않으면서 인출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는 케이블(30)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300)를 구비함으로써, 케이블 드럼(20)에 감겨 있는 케이블(30)을 케이블 드럼(20)의 반경 방향이 아닌 케이블 드럼(20) 축 방향으로 포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케이블 포설 장치와 차별성을 가지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먼저,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부(100)는 케이블 드럼(20)이 트레일러 대차(10)에 실린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집합을 의미하며, 상기 프레임부(100)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텅 빈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부에 케이블 드럼(20)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10)가 들어갈 수만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무관하다.
여기서, 트레일러 대차(10)에 실린 케이블 드럼(20)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부(100)의 크기가 달라질 필요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프레임부(100)는 작업 현장에서 개별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의 집합일 수도 있겠으나,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부(100)는 가변 유압식 프레임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가변 유압식 프레임부는 유압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부(1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프레임을 의미하며, ⅰ) 트레일러 대차(10)에 실린 케이블 드럼(20)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다가, ⅱ) 케이블 드럼(20)의 크기가 커 기 설정된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는 프레임부(100) 내부에 케이블 드럼(20)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을 통해 프레임부(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케이블 드럼(20)의 크기에 관계 없이 프레임부(100) 내부에 케이블 드럼(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3을 통해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변 유압식 프레임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폭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상기 프레임부(100) 높이 조절과 동일하게 드럼(2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1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레버스 프레임(200)은 상기 프레임부(100) 상단에 설치된 레일의 일종으로, 케이블(30) 포설 과정에서 방향 전환부(300)가 케이블 드럼(2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인 방향 전환부(3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 상단에 설치된 트레버스 프레임(200)을 따라 이동하며 케이블 드럼(20)에 감겨져 있는 케이블(30)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 전환부(300)는 관통홀(311)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310)는 기 설정된 각도 및 간격으로 배치되어, 케이블 드럼(20)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30)을 프레임부(100) 상단 즉, 방향 전환부(300) 방향으로 끌어당기며, 방향 전환부(300) 방향으로 끌어당겨진 케이블(30)은 기 설정된 각도로 배치된 가이드부(310)들에 의해 케이블 드럼(2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된다.
즉, 케이블 드럼(20)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 드럼(20)에 감긴 케이블(30)이 최초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드럼(20)의 반경 방향으로 포설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는 상기 방향 전환부(300)를 통해 케이블(30)이 최종적으로는 케이블 드럼(20)의 축 방향으로 포설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 드럼(20)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30)이 풀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드럼(20)과 케이블 드럼(20)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10) 사이의 일정한 간격과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는 트레일러 대차(10) 상에 위치하여 케이블 드럼(20)을 일정한 높이만큼 들어올리고 회전시키는 복수 개의 언더 롤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언더 롤러(400)는 대형화된 케이블 드럼(20)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유압식 및 전동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언더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트레일러 대차(10)에서 케이블 드럼(20)을 일정한 높이만큼 들어올릴 수만 있다면 유압식 언더 롤러 외에 다른 종류의 언더 롤러를 활용하더라도 무관하다.
마지막으로, 제어부(미도시)는 방향 전환부(300)의 트레버스 프레임(200) 상에서의 이동 또는 언더 롤러(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어부는 방향 전환부(300)와 언더 롤러(400)의 구동을 동기화하여 케이블 포설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무선으로 방향 전환부(300)와 언더 롤러(400)가 동기화되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방향 전환부(300)와 언더 롤러(400)의 구동을 유선으로 제어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여기서는 앞서 케이블 포설 장치에 대한 설명과 중복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트레일러 대차 상의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별도의 하차 작업 없이 상기 케이블 포설 방법은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를 프레임부 내부에 정렬시키는 정렬 단계(S210), 언더 롤러를 통해 트레일러 대차 상의 케이블 드럼을 들어올리고 회전시키는 리프팅 단계(S220), 방향 전환부를 통해 케이블 드럼의 케이블을 상기 프레임부 상단 방향으로 끌어 올린 후,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단계(S230), 상기 방향 전환 단계(S230)에서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된 케이블과 맨홀의 리드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 단계(S240) 및 상기 연결 단계(S240) 이후, 리드와이어를 당기거나, 방향 전환부와 언더롤러를 구동하여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포설하는 포설 단계(S250)를 포함한다.
이 때,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를 프레임부 내부에 설치 및 정렬하기 위해서는 프레임부의 크기가 케이블 드럼의 크기보다 커야 하므로, 케이블 포설 시, 케이블 드럼의 크기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통해 프레임부를 제조할 수도 있겠으나, 상기 프레임부가 가변식 유압 프레임부여서 트레일러 대차에 실린 케이블 드럼의 높이에 따라 프레임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프레임부 내부에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를 정렬시킬 수도 있다.
다만, 프레임부가 가변식 유압 프레임부인 경우에는 상기 정렬 단계(S200)에 앞서 트레일러 대차에 실린 케이블 드럼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부의 높이 또는 프레임부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 단계(S200)를 더 포함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 단계(S230)에서는 케이블 드럼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 드럼에 감긴 케이블이 최초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드럼(20)의 반경 방향으로 포설된다고 하더라도,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가 포함된 방향 전환부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는 케이블이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포설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방향 전환 단계(S230)를 통해 케이블을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포설할 수 있게 됨으로써,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 드럼이 도로 상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케이블 드럼을 대형화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의 반경 방향이 아닌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케이블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케이블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 드럼이 도로를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케이블 드럼의 폭을 키울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케이블의 대형화 및 장경간화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트레일러 대차
20: 케이블 드럼
30: 케이블
100: 프레임부
200: 트레버스 프레임
300: 방향 전환부
310: 가이드부
311: 관통홀
400: 언더 롤러

Claims (7)

  1. 별도의 하차 작업 없이 트레일러 대차 상의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케이블 드럼이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상단에 설치된 트레버스 프레임;
    상기 트레버스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 드럼의 케이블을 상기 프레임부 상단 방향으로 끌어 올린 후,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 및
    상기 방향 전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유압으로 폭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절이 가능한 가변 유압식 프레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트레일러 대차 상에서 케이블 드럼을 들어올리고 회전시키는 언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롤러는 유압식 및 전동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언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트레일러 대차 상의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하차 작업 없이 케이블 드럼이 실린 트레일러 대차를 프레임부 내부에 정렬시키는 정렬 단계;
    언더 롤러를 통해 트레일러 대차 상의 케이블 드럼을 들어올리고 회전시키는 리프팅 단계;
    방향 전환부를 통해 케이블 드럼의 케이블을 상기 프레임부 상단 방향으로 끌어 올린 후,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단계;
    상기 방향 전환 단계에서 케이블 드럼의 축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된 케이블과 맨홀의 리드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 단계; 및
    리드와이어를 당기거나, 방향 전환부와 언더롤러를 구동하여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포설하는 포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단계에 앞서 트레일러 대차에 실린 케이블 드럼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부의 폭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조절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방법.
KR1020190002371A 2019-01-08 2019-01-08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KR10201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71A KR102010910B1 (ko) 2019-01-08 2019-01-08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71A KR102010910B1 (ko) 2019-01-08 2019-01-08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910B1 true KR102010910B1 (ko) 2019-08-14

Family

ID=6762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371A KR102010910B1 (ko) 2019-01-08 2019-01-08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9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4313Y2 (ja) * 1990-03-30 1997-01-29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作業車
KR20120020437A (ko) * 2010-08-30 2012-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용 받침대
KR20150087041A (ko) * 2014-01-21 2015-07-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 풀림대 기구
KR20160037291A (ko) * 2014-09-26 2016-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 포설장치
KR20180035117A (ko) 2016-09-28 2018-04-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용 이동대차,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4313Y2 (ja) * 1990-03-30 1997-01-29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作業車
KR20120020437A (ko) * 2010-08-30 2012-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용 받침대
KR20150087041A (ko) * 2014-01-21 2015-07-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 풀림대 기구
KR20160037291A (ko) * 2014-09-26 2016-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 포설장치
KR20180035117A (ko) 2016-09-28 2018-04-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용 이동대차,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4014B2 (en) Cable lay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cable
US11305963B2 (en) Cable laying method using cable lay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cable
CN102471042B (zh) 移动式起重机
KR101447509B1 (ko)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에 이용되는 케이블 포설장비
JP2007187025A (ja) 風力発電装置の設置機構及び設置方法
KR102079506B1 (ko) 원추형멀티활차 무대전용윈치
JP4699508B2 (ja) タイヤ式門型クレーン及びタイヤ式門型クレーンシステム
KR102010910B1 (ko)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CN107893430A (zh) 预制综合管廊拼装用的安装车
KR102013575B1 (ko) 유압식 갠트리 크레인
CN105060034A (zh) 电缆施放装置及设备
JPH09267972A (ja) ケーブルドラム駆動装置
KR200203613Y1 (ko) 공중배선 가선장치
KR101415232B1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 설비
KR102366100B1 (ko) 교량시공을 위한 가변형 삭도 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JP5027015B2 (ja) ケーブル搬送装置
JPH09256323A (ja) 橋桁架設装置
JP6865151B2 (ja) 重量物搬送台車
JP2011089346A (ja) 構造物の構築方法
JPH11268888A (ja) 法面における施工設備
JPH0923553A (ja) 昇降装置における電源ケーブルの巻出装置と巻出方法
JP7307652B2 (ja) 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JPH1136225A (ja) 斜めケーブルの引込・架設方法及び装置
JP2005206355A (ja) ケーブルクレーン
JP2004167597A (ja) ルーパキャリッジの懸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