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278B1 -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278B1
KR102009278B1 KR1020120117475A KR20120117475A KR102009278B1 KR 102009278 B1 KR102009278 B1 KR 102009278B1 KR 1020120117475 A KR1020120117475 A KR 1020120117475A KR 20120117475 A KR20120117475 A KR 20120117475A KR 102009278 B1 KR102009278 B1 KR 102009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heater
expansion
expansion valv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986A (ko
Inventor
이혁수
박비오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278B1/ko
Priority to FR1360141A priority patent/FR2997100B1/fr
Priority to CN201310492074.7A priority patent/CN103774398B/zh
Priority to GB1318542.6A priority patent/GB2507195B/en
Priority to US14/057,236 priority patent/US9146056B2/en
Priority to DE102013111491.1A priority patent/DE102013111491B4/de
Publication of KR2014005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모드 변경에 따라 가변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다중 운전모드를 갖는 의류건조기에서 히터를 온하는 제1 운전모드 또는 히터를 오프하는 제2 운전모드 선택시 사용자의 운전모드 입력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에 따라 팽창변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냉매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응축시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덕트; 상기 건조덕트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 및 응축기;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와 함께 냉매압축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 및 팽창기; 및 상기 건조덕트를 통해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기는, 냉매압축사이클의 팽창경로에서 각각 별개의 냉매유로를 갖는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과 상기 제1 팽창변 또는 제2 팽창변 중 하나의 경로에 설치되어 당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히터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온(on)되어 상기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이 모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팽창기에 흐르는 냉매유량이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 A CLOTHES DRYER HAVING A EXPANSION VALVE WHICH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
본 발명은 운전모드 변경에 따라 가변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다중 운전모드를 갖는 의류건조기에서 히터를 온하는 제1 운전모드 또는 히터를 오프하는 제2 운전모드 선택시 사용자의 운전모드 입력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에 따라 팽창변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냉매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이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세탁물을 드럼 내부로 투입하고,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이다.
이중 건조기의 예를 들어보면, 상기와 같은 건조기는,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드럼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는 송풍팬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거나 혹은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드럼을 빠져나가는 공기는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을 가지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된다.
이때 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건조기를 분류할 수 있는데, 고온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하면서 응축기를 통해 공기를 이슬점 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식(순환식) 건조기와, 드럼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켜 버리는 배기식 건조기로 나뉘어진다.
상기 응축식 건조기의 경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해서는 공기를 이슬점 이하로 냉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드럼에 재공급되기 전에 상기 가열 수단을 통해 가열되어야 한다. 여기서, 응축 과정에서 냉각되면서 공기가 갖는 열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되고, 이를 건조에 필요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별도의 히터 등이 필요하게 된다.
배기식 건조기의 경우에도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온의 외기를 유입하여 가열 수단을 통해서 요구되는 온도 수준까지 가열할 필요가 있다. 특히,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는 가열 수단에 의해 전달된 열 에너지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외부로 배출되어 버리므로 열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열풍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및 사용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에너지 효율을 늘릴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소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히트펌프 시스템을 갖는 의류처리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두 개의 열교환기와 압축기 및 팽창기를 구비하고 있어, 배기되는 열풍이 갖는 에너지를 회수하여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데 재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배기 측에 증발기를, 드럼 유입 측에 응축기를 두어 증발기를 통해서 열에너지를 냉매로 전달한 후 응축기를 통해서 냉매가 갖는 열에너지가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로 전달되도록 하여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를 재차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히트펌프식 의류건조기에서 다중 운전모드에 따라 건조기를 운전 가능한 경우, 제1 운전모드(Speed Mode) 또는 에코 모드(Eco Mode)를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1 운전모드의 경우 히터를 온하여 건조 성능을 높이는 것이며, 제2 운전모드의 경우 히터를 오프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다중 운전모드에서 제1 운전모드와 에코 모드에서 모두 냉매의 유량은 동일하게 냉매순환사이클을 순환하므로 필요한 냉매 유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트펌프를 채용한 의류건조기에서 다중 운전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조기를 운전하는 경우, 팽창기의 경로를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으로 분지하여 냉매순환사이클에서 팽창기에 순환하는 냉매 유량을 변동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히트펌프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건조기의 제1 운전모드와 제2 운전모드에 따라 히터의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팽창기의 분지된 냉매경로 중 하나의 경로에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여 팽창기에 순환하는 유량 변동을 가능하게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양태로써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덕트; 상기 건조덕트를 통해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건조덕트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 및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와 함께 냉매압축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 및 팽창기;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팽창기는, 냉매압축사이클의 팽창경로에서 각각 별개의 냉매유로를 갖는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과 상기 제1 팽창변 또는 제2 팽창변 중 하나의 경로에 설치되어 당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히터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온(on)되어 상기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이 모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팽창기에 흐르는 냉매유량이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제2 팽창변이 설치되는 냉매유로에 구비되어 제2 팽창변의 냉매유로를 온/오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히터와 히트펌프가 함께 동작하거나, 히트펌프 동작 중 히터가 동작하여 히터가 온(on)되는 경우, 온(On)되어 제2 팽창변의 냉매유로를 개방하고, 히트펌프만 동작하거나, 히트펌프 동작 중 히터의 작동이 중지되어 히터가 오프(off)되는 경우, 오프(Off)되어 제2 팽창변의 냉매유로를 폐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건조기의 운전모드가 제1 운전모드(Speed Mode)인 경우 온(On)되어 제2 팽창변의 냉매유로를 개방하고, 건조기의 운전모드가 제2 운전모드(Eco Mode)인 경우 오프(Off)되어 제2 팽창변의 냉매유로를 폐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조기는, 사용자가 건조기의 운전모드를 선택 입력하는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운전모드 선택에 따라 건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건조기의 운전모드는, 제1 운전모드(Speed Mode) 및 제2 운전모드(Eco Mode);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1 운전모드인 경우 솔레노이드밸브 온/오프 스위치에 온(On) 명령을 전달하고, 제2 운전모드인 경우 솔레노이드밸브 온/오프 스위치에 오프(Off) 명령을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히터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하는 히터 온/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1 운전모드인 경우 히터 온/오프 스위치에 온(On) 명령을 전달하고, 제2 운전모드인 경우 히터 온/오프 스위치에 온(On)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기의 운전모드를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히트펌프식 의류건조기의 운전방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본체, 드럼, 건조덕트, 히트펌프, 및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히트펌프에서 팽창기는 각각 별개의 냉매경로를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팽창변 또는 제2 팽창변 중 하나의 경로에 설치되어 당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의 운전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건조기 운전방법은, 사용자가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를 통해 건조기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부가 히터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부가 솔레노이드밸브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압축사이클에서 냉매가 제1 팽창변과 제2 팽창변의 경로를 동시 순환하거나, 제1 팽창변과 제2 팽창변 중 어느 하나의 경로만을 순환하도록 하는 단계;에 따라 건조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팽창기에 순환하는 유량이 변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 건조기의 운전모드는, 제1 운전모드(Speed Mode) 또는 제2 운전모드(Eco Mode)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제1 운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히터를 온(On)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온(On)시키며,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제2 운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히터를 오프(Off)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프(Off)시킨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제1 운전모드인 경우, 히트펌프의 냉매압축사이클에서 냉매가 제1 팽창변과 제2 팽창변의 경로를 동시에 순환하고,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제2 운전모드인 경우, 히트펌프의 냉매압축사이클에서 냉매가 제1 팽창변과 제2 팽창변 중 어느 하나의 경로만을 순환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트펌프를 채용한 의류건조기에서 다중 운전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조기를 운전하는 경우, 팽창기의 경로를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으로 분지하여 냉매순환사이클에서 팽창기에 순환하는 냉매 유량을 변동 가능하게 조절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건조기의 운전사이클을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의류건조기의 제1 운전모드와 제2 운전모드에 따라 히터의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팽창기의 분지된 냉매경로 중 하나의 경로에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여 온/오프 선택함으로써 팽창기에 순환하는 유량 변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매우 간단한 제어구조로 효율적으로 히트펌프 및 냉매사이클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히트펌프식 건조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상기 건조기 내부에서 순환식 히트펌프를 도시한 부분 상세도.
도 3은 상기 히트펌프의 건조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팽창기가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을 구비하도록 하는 히트펌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운전모드에 따른 제어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운전모드에 따라 히트펌프식 건조기를 운전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히트펌프식 의류건조기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히트펌프식 건조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히트펌프의 건조방식을 블럭도를 통해 보여준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외부를 형성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드럼은 전방과 후방에서 서포터(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드럼의 후방에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흡기덕트(170)가 상기 드럼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기덕트에 의해 상기 드럼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흐르는 흡기유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기덕트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건조덕트(190)와는 별개로 본체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기덕트(17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세탁물의 건조에 필요한 고온의 공기가 되도록 가열하는 히터(1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180)는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받아 드럼에 공급되어야 할 열량을 충분하고 신속하게 공급하며, 냉매압축사이클이 정상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운용되도록 열량을 더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건조덕트(190)는, 배기식의 히트펌프를 적용한 건조기인 경우 순환식으로 덕트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나, 배기식이 아닌 순환식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배기덕트가 없이 순환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순환식 건조덕트인 경우, 건조에 필요한 열량을 단시간에 충분히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단순히 건조덕트에 의한 순환유로상의 공기만으로는 충분한 열량공급이 단시간에 되기 힘들기 때문에, 추가적인 열량을 단시간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흡기유로에 의한 공기와는 별개로 건조덕트(190)에 형성되는 순환유로에 의해 공급되기도 한다. 상기 건조덕트(190)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순환식인 경우 상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재공급하여 순환시키고, 배기식인 경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드럼에 유입된 공기는 세탁물을 건조시킨 후 상기 드럼의 전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면덕트(미도시)로 유입되어 린트필터(미도시)를 거쳐 건조덕트를 통해 다시 드럼으로 재공급되거나 후술할 배기덕트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덕트의 순환유로에는 드럼 속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기 외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덕트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상에 순차적으로 증발기(130) 및 응축기(140)가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130)와 응축기(140)는 일종의 열교환기로, 본 발명에서 히트펌프의 냉매압축사이클을 형성하여 내부에 흐르는 냉매에 의해 순환유로상의 공기(Ad)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흡기유로상의 히터(180) 또는 순환유로상의 응축기(140)에 의해 가열되어 드럼 내에 유입시 약 150~250℃ 정도의 고온의 건조공기가 된다. 이렇게 고온의 공기는 건조대상물과 접촉하여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킨다. 증발된 수분은 중온의 공기에 함유되어 드럼을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중온 다습한 공기를 순환시켜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제거해야 한다. 공기의 수분함유량은 온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기를 냉각시켜주면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30)와의 열교환에 의해 순환유로상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상기 증발기(13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다시 드럼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고온의 공기로 가열해야 하며, 이러한 공기의 가열을 상기 응축기(140)가 하게 되는 것이다.
냉매압축사이클은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상변화를 이용하여 주변과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증발기에서 냉매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온저압의 기체상태가 되고,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되며, 응축기에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여 고온고압의 액체상태가 되어서, 팽창기에서 압력이 강하되어 저온저압의 액체상태의 냉매가 되어 다시 증발기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에 의해 증발기에서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응축기에서 주변에 열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냉매압축사이클을 히트펌프라고도 한다.
본원에서 냉매압축사이클은 상기 증발기(130) 및 응축기(140)와 함께 압축기(150) 및 팽창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는 이러한 냉매압축사이클과 열교환하는 공기의 유로가 표시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증발기와 응축기를 통과하는 화살표 및 수평으로 증발기와 응축기를 연결하는 선은 냉매의 유로를 표시한 것이 아니라 공기의 유로를 표시한 것으로 공기가 증발기 등과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열교환을 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건조덕트(19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유로(도 3의 굵은 화살표에 따라 형성된 큰 순환라인) 상에 순차적으로 증발기(130)와 응축기(140)가 각각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순환유로상의 공기(Ad)는 냉매압축사이클에서 히트펌프와 열교환을 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순환유로상의 공기(Ad)는 증발기와 열교환에 의해 열을 흡수당하고, 응축기와 열교환에 의해 열을 흡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순환유로상의 공기는 스스로가 방출한 열을 다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압축사이클에서 주로 열교환을 담당하는 것은 증발기와 응축기인데,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당한 공기는 포함하고 있는 습기를 액화시켜 응축수로 흘러 보내고, 건조한 공기는 압축기 및 응축기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 건조한 공기로 변화된다.
이렇게 순환유로를 통해 냉매압축사이클과 열교환을 하여 고온의 공기로 변화된 공기는 흡기유로의 공기와 함께 드럼으로 들어가서 건조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에 유입되어 건조에 사용된 공기 중 일부는 재사용되지 않고 건조기 외부로 배기되고 일부는 재사용되며, 냉매압축사이클을 사용하여 폐열중 일부만을 흡수하여 재사용되는 공기에 이를 공급한다.
히트펌프식 의류건조기에서는 일반적으로 냉매압축사이클을 사용하여 폐열을 회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냉매압축사이클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적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냉매압축사이클의 경우 냉매가 적정 작동 온도와 압력에서 상변화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 증발기와 응축기 등의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팽창기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많은 열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열교환기나 압축기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의류건조기의 경우에는 공간적인 제약을 가지므로 열교환기와 압축기 등의 크기가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기덕트의 내부에 흡입되는 공기를 세탁물의 건조에 필요한 고온의 공기가 되도록 가열하는 히터(180)가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에 지속적으로 열량을 보충해 준다.
본 발명에서 히터(180)를 통해 지속적으로 열량을 보충해 주어야 건조에 필요한 열량이 충분히 공급되기 때문에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냉매압축사이클의 경우 냉매가 적정 작동 온도와 압력에서 상변화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열량이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냉매의 액압축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서 사이클이 안정적으로 작동되지 못하여 사이클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히터(180)에 의해 드럼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추가적으로 열량을 보충해 주어, 냉매압축사이클이 정상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기유로상에서는 추가적인 송풍팬(120)을 설치하여 더욱 풍부한 풍량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적인 송풍팬은 더욱 풍부한 풍량을 제공함에 의해 흡기유로상에서 히터(18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송풍팬(120)이 구비되는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순환 유로 상의 증발기 상류에서 일부 공기가 본체 외부로 배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은 상기 건조덕트(190)의 증발기(130) 상류에서 분기되는 배기덕트(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순환 유로 상의 증발기 상류에서 본체 외부로 일부 공기를 배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드럼에서 나오는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유로를 형성하고, 본체 외부로 일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매압축사이클이 처리가능한 범위에서만 드럼을 나온 중온 다습한 공기의 일부로부터 폐열을 흡수하고, 나머지 일부는 외부로 배기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냉매압축사이클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냉매압축사이클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히트펌프 건조기의 경우,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별도의 히터(18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히터를 작동시켜 빠른 건조를 도모하는 경우의 운전모드와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켜 에너지를 절감하는 운전모드가 있다.
통상적으로 히터를 작동하는 경우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냉매의 압축사이클 상에 냉매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히터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 냉매의 유량을 불필요하게 크게 할 필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은 다중 운전모드에 따른 냉매압축사이클에서 냉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변경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히트펌프 건조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조기의 다중 운전모드에서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히터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동시에 히트펌프의 팽창기를 제어하여 냉매압축사이클의 팽창유로에 순환되는 냉매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팽창기가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을 구비하도록 하는 히트펌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운전모드에 따른 제어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운전모드에 따라 히트펌프식 건조기를 운전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본체(100);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10);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덕트(190); 상기 건조덕트를 통해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80); 상기 건조덕트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130) 및 응축기(140); 및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와 함께 냉매압축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150) 및 팽창기(160);를 포함한다.
이에 히트펌프 건조기의 팽창변은 크게 캐필러리 튜브(Capillary Tube, 모세관) 또는 전자팽창밸브(LEV, Linear Expansion Valve)를 사용하며, 냉매압축사이클의 과열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경우, 단일 운전모드에서는 캐필러리 튜브(Capillary Tube)를 사용하여 압축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었으나, 다중 운전모드에 따라 팽창변을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자팽창밸브(LEV)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자팽창밸브(LEV)를 사용할 경우, 비용뿐만 아니라 전자팽창밸브(LEV)의 펄스(Pulse)를 제어하는데 띠른 운전 알고리즘 및 온도센서들이 부가적으로 필요하여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팽창기(160)를, 다중 운전모드에 적용될 수 있도록 냉매압축사이클의 팽창경로에서 각각 별개의 냉매유로를 갖는 제1 팽창변(161) 및 제2 팽창변(162);로 구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팽창변(161) 또는 제2 팽창변(162) 중 하나의 경로에 설치되어 당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63);를 포함하여 건조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팽창기에 흐르는 냉매유량이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 다중 운전모드는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건조기의 운전모드로써, 제1 운전모드(Speed Mode) 및 제2 운전모드(Eco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상기 제1 운전모드는, 히터와 히트펌프가 함께 동작하거나, 히트펌프 동작 중 히터가 동작하여 히터가 온(on)되는 경우로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운전모드는, 히트펌프만 동작하거나, 히트펌프 동작 중 히터의 작동이 중지되어 히터가 오프(off)되는 경우로 정의한다.
상기 제1 건조모드는 빠른 건조성능을 요구하는 경우 히터(heater)를 킨 상태에서 건조를 진행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비교적 크다. (Speed Mode)
그러나, 제2 건조모드는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히터(heater)를 끈 상태에서 건조를 진행하게 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Eco Mode)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63)가 상기 제2 팽창변(162)이 설치되는 냉매유로에 구비되어 제2 팽창변(162)의 냉매유로를 온/오프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63)는, 건조기의 운전모드가 제1 운전모드(Speed Mode)인 경우 온(On)되어 제2 팽창변(162)의 냉매유로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팽창냉매는 상기 제1 팽창변(161)의 냉매유로에도 냉매가 순환하게 되고, 상기 개방된 제2 팽창변(162)의 냉매유로에도 냉매가 순환되므로 팽창변의 유로 단면을 증가시켜 주게 된다.
결국 전체적으로 팽창 사이클에서 냉매유로의 단면이 증가되므로, 상기 팽창기(160)는 빠른 건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냉매유량 확보할 수 있다.
반면, 건조기의 운전모드가 제2 운전모드(Eco Mode)인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63)는 오프(Off)되어 제2 팽창변(162)의 냉매유로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당연히 팽창냉매는 제1 팽창변(161)의 냉매유로에만 유입되게 되고, 전체적으로 팽창기의 냉매유로 단면을 감소시킨다.
이 경우 빠른 건조성능을 요구하는 운전모드가 아닌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경제적인 운전모드인 제1 운전모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조기는, 사용자가 건조기의 운전모드를 선택 입력하는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500); 상기 사용자의 운전모드 선택에 따라 건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온/오프 스위치(800);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입력부(500)는, 사용자가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버튼식 또는 터치식으로 건조기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500)에서 입력되는 건조기의 운전모드는, 제1 운전모드(Speed Mode) 및 제2 운전모드(Eco Mode);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본 발명의 건조기에서 냉매압축사이클 및 건조공기의 순환관계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500)에서 입력된 운전모드를 전달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는 제1 운전모드인 경우 솔레노이드밸브 온/오프 스위치(800)에 온(On) 명령을 전달하고, 제2 운전모드인 경우 솔레노이드밸브 온/오프 스위치(800)에 오프(Off) 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온/오프 스위치(700)는 솔레노이드 밸브(163)와 연결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온/오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63)가 온(on)되는 경우 팽창유로가 열림(open) 상태가 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63)가 오프(off)되는 경우 팽창유로가 닫힘(close)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히터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하는 히터 온/오프 스위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는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1 운전모드인 경우 히터 온/오프 스위치에 온(On) 명령을 전달하고, 제2 운전모드인 경우 히터 온/오프 스위치에 온(On)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5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기의 운전모드를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600);를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600)는 건조기의 외부 상면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중 운전모드에 따른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히트펌프 건조기의 내부 순환 유로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다중 운전모드라 함은, 건조공기의 순환유로 상에서 히터(180)를 온/오프(On/Off) 함으로써, 건조시간 및 에너지로 통칭되는 양대 건조성능 중 한 가지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운전모드를 지칭한다.
이에 빠른 건조성능을 우선으로 한 운전모드(Speed Mode)의 경우, 에너지 소비를 증가하여(에너지 효율 저감) 건조시간을 빠르게 한다.
그러나, 최소 에너지 사용을 우선으로 한 경제적인 운전모드(Eco Mode)에서는 경우, 건조시간이 다소 증가하나 에너지 소비를 저감시켜 경제성을 도모한다. (에너지 효율 증가)
제1 운전모드(Speed Mode)의 경우, 많은 열량(Heating)을 드럼(110)으로 유입하여 포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다량의 수분을 빠른 시간에 증발기(130)로 제습시켜주는 방식을 취한다. 이때 제습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히트펌프의 냉매유량을 증가시켜 주어야 하는데, 팽창변의 유로 단면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한다.
이러한 경우, 통상적으로 전자팽창밸브(LEV) 사용한 펄스(Pulse) 제어를 통해 냉매 유량을 제어하였으나, 이를 위해서는 팽창기(160)의 전자팽창밸브(LEV) 및 히터(180)의 코일(Coil)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전자팽창밸브(LEV)의 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제어알고리즘 등이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팽창기(160)에서 복수의 경로로 분지된 팽창유로에 팽창변(161, 162)으로써 복수의 캐필러리 튜브(도 4에 도시된 Capi_1 및 Capi_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팽창기(160)의 팽창유로는 냉매압축사이클의 냉매유로에서 두 개의 경로로 분지되고, 각각의 분지된 팽창유로에 각각 캐필러리 튜브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캐필러리 튜브(Capillary Tube)란, 직경이 0.8~2mm 정도, 길이는 냉동 장치의 용량, 운전조건, 냉매충전량 등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1m 전후인 모세관으로서 냉동 설비의 팽창 밸브 역할을 한다. 특히 소형 냉동장치, 즉 증발 부하가 적은 데 사용하며, 가정용 냉장고나 창문형 에어컨 및 쇼 케이스 등에 많이 쓰인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운전모드(Speed Mode)를 선택 시 하나의 팽창유로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163)에 단순히 온(On) 신호(솔레노이드 밸브 열림) 만을 부가하여 필요한 냉매유량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제2 운전모드(Eco Mode)를 선택하는 경우, 히터(180)가 오프(Off)되고, 히트펌프 운전 중 응축기(140)에서 방열된 열량만을 건조에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63)에 단순히 오프(Off) 신호(솔레노이드 밸브 닫힘)만을 부가하여 제2 팽창변(162)의 캐필러리 튜브(Capi_2)로의 냉매 순환을 차단하여 냉매유량을 조절한다.
제2 운전모드(Eco Mode)의 경우, 제1 운전모드(Speed Mode) 대비 적은 냉매유량으로도 건조기 순환유로 상의 제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일 캐필러리 튜브(Capi_1) 운용만으로 건조운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히터(180) 및 솔레노이드 밸브(163)의 온/오프(On/Off)를 제어 연동하기 위한 단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에 개시된 본 발명의 히트펌프식 의류건조기의 운전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500)를 통해 건조기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부(300)가 히터(180)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부(300)가 솔레노이드밸브(163)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에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압축사이클에서 냉매가 제1 팽창변(161)과 제2 팽창변(162)의 경로를 동시 순환하거나, 제1 팽창변(161)과 제2 팽창변(162) 중 어느 하나의 경로만을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건조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팽창기에 순환하는 유량이 변동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의 운전모드는, 제1 운전모드(Speed Mode) 또는 제2 운전모드(Eco Mode)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제1 운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히터를 온(On)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온(On)시키며,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제2 운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히터를 오프(Off)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프(Off)시킨다.
또한,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제1 운전모드인 경우, 히트펌프의 냉매압축사이클에서 냉매가 제1 팽창변과 제2 팽창변의 경로를 동시에 순환하고,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제2 운전모드인 경우, 히트펌프의 냉매압축사이클에서 냉매가 제1 팽창변과 제2 팽창변 중 어느 하나의 경로만을 순환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운전모드에서는 대량의 냉매가 사이클에서 순환하는 경우 열교환 효율이 커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코 모드에서는 적정량의 냉매가 사이클에서 순환되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 : 건조기 10 : 구동모터
15 : 배기덕트 100 : 본체
110 : 드럼 120 : 송풍팬
130 : 증발기 140 : 응축기
150 : 압축기 160 : 팽창기
161 : 제1 팽창변 162 : 제2 팽창변
163 : 솔레노이드 밸브 170 : 건조덕트
180 히터 185 : 히터 하부
190 : 건조덕트 200 : 도어
300 : 제어부 500 : 다중 운전모드 선택입력부
600 : 표시부 700 : 히터 온/오프 스위치
800 : 솔레노이드 밸브 온/오프 스위치
P : 냉매순환로 Ad : 건조기 순환공기

Claims (13)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덕트;
    상기 건조덕트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 및 응축기;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와 함께 냉매압축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 및 팽창기;
    상기 건조덕트를 통해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운전모드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다중 운전모드 선택입력부; 및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의 출구와 상기 증발기의 입구 사이에는 냉매압축사이클의 팽창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팽창경로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팽창경로 및 제2팽창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팽창기는, 상기 제1팽창경로에 구비되는 제1 팽창변 및 상기 제2팽창경로에 구비되는 제2 팽창변;과 상기 제1팽창경로 및 상기 제2팽창경로 중 하나의 팽창경로에 설치되어 당해 팽창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히터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온(on)되게 제어하여 상기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이 모두 개방되고 상기 냉매압축사이클의 냉매는 상기 제1팽창경로 및 제2팽창경로를 통과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히터가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off)되게 제어하여 상기 제1 팽창변 또는 상기 제2 팽창변 중 하나만 개방되고 상기 냉매압축사이클의 냉매는 상기 제1팽창경로 또는 제2팽창경로 중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제2 팽창변이 설치되는 냉매유로에 구비되어 제2 팽창변의 냉매유로를 온/오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히터와 히트펌프가 함께 동작하거나, 히트펌프 동작 중 히터가 동작하여 히터가 온(on)되는 경우, 온(On)되어 제2 팽창변의 냉매유로를 개방하고,
    히트펌프만 동작하거나, 히트펌프 동작 중 히터의 작동이 중지되어 히터가 오프(off)되는 경우, 오프(Off)되어 제2 팽창변의 냉매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건조기의 운전모드를 선택 입력하는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운전모드 선택에 따라 건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온/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건조기의 운전모드는, 제1 운전모드(Speed Mode) 및 제2 운전모드(Eco Mode);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운전모드는, 히터와 히트펌프가 함께 동작하거나, 히트펌프 동작 중 히터가 동작하여 히터가 온(on)되는 경우이며,
    상기 제2 운전모드는, 히트펌프만 동작하거나, 히트펌프 동작 중 히터의 작동이 중지되어 히터가 오프(off)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1 운전모드인 경우 솔레노이드밸브 온/오프 스위치에 온(On) 명령을 전달하고,
    제2 운전모드인 경우 솔레노이드밸브 온/오프 스위치에 오프(Off)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히터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하는 히터 온/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기의 운전모드를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9. 본체, 드럼, 건조덕트, 히트펌프, 및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히트펌프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의 출구와 상기 증발기의 입구 사이에는 냉매압축사이클의 팽창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팽창경로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팽창경로 및 제2팽창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팽창기는, 상기 제1팽창경로에 구비되는 제1팽창변 및 상기 제2팽창경로에 구비되는 제2 팽창변과, 상기 제1팽창경로 및 상기 제2팽창경로 중 하나의 팽창경로에 설치되어 당해 팽창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다중 운전모드 선택 입력부를 통해 건조기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부가 히터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부가 솔레노이드밸브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압축사이클에서 냉매가 제1 팽창변과 제2 팽창변의 경로를 동시 순환하거나, 제1 팽창변과 제2 팽창변 중 어느 하나의 경로만을 순환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히터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온(on)되어 상기 제1 팽창변 및 제2 팽창변이 모두 개방되고 상기 냉매압축사이클의 냉매는 상기 제1팽창경로 및 제2팽창경로를 통과하고,
    상기 히터가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오프(off)되어 상기 제1 팽창변 또는 제2 팽창변 중 하나만 개방되고 상기 냉매압축사이클의 냉매는 상기 제1팽창경로 또는 상기 제2팽창경로 중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의 운전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운전모드는,
    히터와 히트펌프가 함께 동작하거나 히트펌프 동작 중 히터가 동작하는 제1 운전모드와,
    히트펌프만 동작하거나 히트펌프 동작 중 히터가 오프되어 있는 제2 운전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의 운전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제1 운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히터를 온(On)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온(On)시키며,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가 제2 운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히터를 오프(Off)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의 운전방법.
  13. 삭제
KR1020120117475A 2012-10-22 2012-10-22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200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75A KR102009278B1 (ko) 2012-10-22 2012-10-22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FR1360141A FR2997100B1 (fr) 2012-10-22 2013-10-18 Appareil de traitement de linge ayant une vanne d'expansion qui est variable en fonction du mode de fonctionnement
CN201310492074.7A CN103774398B (zh) 2012-10-22 2013-10-18 具有根据驱动模式变化的膨胀阀的衣物处理设备
GB1318542.6A GB2507195B (en) 2012-10-22 2013-10-18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expansion valves which are variable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US14/057,236 US9146056B2 (en) 2012-10-22 2013-10-18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expansion valve which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DE102013111491.1A DE102013111491B4 (de) 2012-10-22 2013-10-18 Bekleidungstrockner und Betriebsverfahren eines Bekleidungstrockn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75A KR102009278B1 (ko) 2012-10-22 2012-10-22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986A KR20140050986A (ko) 2014-04-30
KR102009278B1 true KR102009278B1 (ko) 2019-08-09

Family

ID=4972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475A KR102009278B1 (ko) 2012-10-22 2012-10-22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46056B2 (ko)
KR (1) KR102009278B1 (ko)
CN (1) CN103774398B (ko)
DE (1) DE102013111491B4 (ko)
FR (1) FR2997100B1 (ko)
GB (1) GB25071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12966B1 (en) * 2012-01-05 2017-08-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EP2612965B1 (en) * 2012-01-05 2018-04-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and method for drying laundry
KR102009278B1 (ko) * 2012-10-22 2019-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EP2735642A1 (en) * 2012-11-26 2014-05-2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er with a variable drum rotation speed and a variable fan rotation speed
EP3031975B1 (en) * 2014-12-08 2019-08-21 LG Electronics Inc. Condensing type clothes dryer having a heat pump cy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ndensing type clothes dryer having a heat pump cycle
CN104695193A (zh) * 2015-02-12 2015-06-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热泵干衣机及其控制方法
CN105605910B (zh) * 2016-02-18 2018-09-21 郏松筠 一种热量循环式热泵烘干装置的运行模式和结构
EP3467187B1 (en) 2017-10-09 2021-12-22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configured for being used in a machine for drying laundry and machine for drying laundry equipped with such a filter
KR102619008B1 (ko) * 2018-02-12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CN110965292A (zh) * 2018-09-29 2020-04-0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882128B (zh) * 2020-07-02 2023-09-29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热泵干衣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6173A1 (en) * 2007-08-02 2009-02-05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6555A (en) * 1964-06-26 1969-02-11 Charles E Mccutcheon Jr Dry cleaning
JPH01308594A (ja) * 1989-04-18 1989-12-13 Toshiba Corp 洗濯機
DE4330456C1 (de) * 1993-09-08 1995-03-16 Blomberg Werke Gmbh Wäschetrockner
US5806204A (en) * 1997-06-13 1998-09-15 Mmats, Inc. Material dryer using vacuum drying and vapor condensation
CN2380593Y (zh) 1999-03-23 2000-05-31 中山威力集团公司 保健型内循环干衣机
US7055262B2 (en) * 2003-09-29 2006-06-06 Self Propelled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ists, Llc Heat pump clothes dryer
JP4108072B2 (ja) 2004-09-07 2008-06-25 三洋電機株式会社 乾燥機
DE102005041145A1 (de) 2005-08-29 2007-03-01 Alpha-Innotec Gmbh Wäschetrockner
JP2007289558A (ja) * 2006-04-27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JP4889545B2 (ja) * 2007-03-30 2012-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乾燥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洗濯乾燥機
JP2009034306A (ja) 2007-08-01 2009-02-19 Panasonic Corp 衣類乾燥装置
ITPN20080015A1 (it) * 2008-02-27 2009-08-28 Imat Spa "macchina asciuga biancheria a pompa di calore"
US7958738B2 (en) * 2008-06-06 2011-06-14 Colmac Coil Mfg., Inc. Direct expansion ammonia refrigeration system and a method of direct expansion ammonia refrigeration
JP5253909B2 (ja) 2008-07-25 2013-07-31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JP5161317B2 (ja) * 2008-11-14 2013-03-13 藤塚 洋子 洗濯機
ES2373135B1 (es) 2009-12-14 2012-12-13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Aparato doméstico que comprende un sistema de expansión.
US8528227B2 (en) * 2010-07-26 2013-09-1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nt cycle capacity acceleration
US8353114B2 (en) * 2010-07-26 2013-01-1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cycle with auxiliary heating
US8601717B2 (en) * 2010-07-26 2013-12-1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cycle capacity enhancement
US8533975B2 (en) * 2010-10-29 2013-09-1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cycle elevation by modification of cycle start condition
US8572865B2 (en) * 2010-10-29 2013-11-0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hybrid dryer tub for airflow improvement
KR101345977B1 (ko) * 2010-12-30 2014-01-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JP2012205630A (ja) * 2011-03-29 2012-10-25 Panasonic Corp 洗濯乾燥機
DE102011078922A1 (de) 2011-07-11 2013-01-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bluft-Wäschetrocknung mit Zusatzheizung und Wärmetauscheraggregat
EP2586905B1 (en) * 2011-10-25 2020-07-2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laundry dryer with a heat pump system
KR102009278B1 (ko) * 2012-10-22 2019-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WO2014187494A1 (en) * 2013-05-23 2014-11-27 Arcelik Anonim Sirketi Heat pump type laundry dryer and method of drying laundry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6173A1 (en) * 2007-08-02 2009-02-05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07195B (en) 2015-03-11
FR2997100B1 (fr) 2019-05-03
GB2507195A (en) 2014-04-23
CN103774398A (zh) 2014-05-07
US20140109435A1 (en) 2014-04-24
DE102013111491A1 (de) 2014-04-24
CN103774398B (zh) 2016-12-07
GB201318542D0 (en) 2013-12-04
FR2997100A1 (fr) 2014-04-25
US9146056B2 (en) 2015-09-29
DE102013111491B4 (de) 2019-10-10
KR20140050986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278B1 (ko)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613966B1 (ko) 의류처리장치
US9976242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a heat pump cycle
US1024027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cy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32013B1 (ko)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한 응축식 의류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8347520B2 (en) Drying unit and laundry washing/dry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drying unit
KR101989522B1 (ko) 의류건조기
JP6389563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JP2007175528A (ja) 洗濯乾燥機
JP2016220743A (ja) 衣類乾燥機
CN101173440A (zh) 一种采用热泵作为热源的洗衣干燥机干燥方法
WO2018123845A1 (ja) 衣類乾燥機
JP2007143712A (ja) 洗濯乾燥機
JP2006087484A (ja) 洗濯乾燥機
JP2018114037A (ja) 衣類乾燥機
JP2008183335A (ja) 洗濯乾燥システム
JP2013031503A (ja) 洗濯乾燥機、乾燥制御方法および洗濯方法
KR102348960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95158A (ko) 의류 건조기
KR101771455B1 (ko) 의류건조기
JP2016154604A (ja) 衣類乾燥機
KR101177476B1 (ko) 의류 처리 시스템
KR101750866B1 (ko) 의류건조기
WO2013064236A1 (en) A laundry dryer with a heat pump system and air recirculation
JP2018183402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