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977B1 -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977B1
KR101345977B1 KR1020100138927A KR20100138927A KR101345977B1 KR 101345977 B1 KR101345977 B1 KR 101345977B1 KR 1020100138927 A KR1020100138927 A KR 1020100138927A KR 20100138927 A KR20100138927 A KR 20100138927A KR 101345977 B1 KR101345977 B1 KR 101345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refrigerant passage
refrigerant
heat
heat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098A (ko
Inventor
김규완
이동식
권기현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9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펌프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드럼 내부로 고온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히트펌프의 응축기 출구 측에 보조 응축기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기의 방열량을 늘려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온도와 응축온도를 낮추고, 증발온도의 낮아짐과 함께 외부로 배출한 열량만큼 응축온도가 추가로 더 낮아지도록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옷감별로 건조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를 제공하여 옷감의 변형이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히트펌프 의류건조기{Heat pump type dryer}
본 발명은 옷감별로 건조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한 히트펌프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응축식 건조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20)과, 드럼(120)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발생장치(140)와, 드럼(120)으로부터 배기된 공기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150)와, 열교환부(150)를 빠져나온 공기를 본체(110)의 후측 측 방향으로 분산 배기하는 배기부(16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히트펌프의 증발기와 응축기를 지나는 풍량을 제어하거나 압축기를 온/오프하는 방법으로 드럼 내에 투입되는 열량을 제어하여 옷감변형온도가 비교적 낮은 고급 모직물이나 견직물의 건조를 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옷감별로 건조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를 제공하여 옷감의 변형이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히트펌프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로 고온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히트펌프의 응축기 출구 측에 보조 응축기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기의 방열량을 늘려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온도와 응축온도를 낮추고, 증발온도의 낮아짐과 함께 외부로 배출한 열량만큼 응축온도가 추가로 더 낮아지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가 연결된 제1냉매유로; 상기 제1냉매유로 상에 병렬로 연결되되, 상기 응축기의 입구 측과 상기 응축기의 출구 측에 연결된 제2냉매유로; 상기 제2냉매유로의 출구 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히트펌프의 팽창장치 입구 측에서 합쳐지는 제3냉매유로 및 제4냉매유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냉매유로 및 상기 제4냉매유로 상에 상기 하나의 보조 응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3냉매유로 및 상기 제4냉매유로의 냉매가 혼합하지 않는 경로의 배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4냉매유로 상에는, 상기 보조 응축기의 입구 측에 보조 팽창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제1냉매유로 및 상기 제4냉매유로를 통과하는 경우 방열량이 최대가 되고, 상기 제2냉매유로 및 상기 제3냉매유로를 통과하는 경우 방열량이 최소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2,3,4냉매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유로에는 냉매흐름 절환밸브 또는 냉매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기 및 상기 보조 응축기의 방열량 비율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응축기에 외기를 도입하여 열교환을 하도록 마련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히트펌프 의류건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보조 응축기(36)를 추가하여, 응축기(35)의 방열량을 늘려 히트펌프(30)의 증발온도와 응축온도를 낮추고, 증발온도의 낮아짐과 함께 외부로 배출한 열량만큼 응축온도가 추가로 더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네 개의 냉매유로 선택을 통하여 건조온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각 냉매유로에 흐르는 냉매유량을 조절하여 낮은 온도에서도 건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냉매유로 상에 냉매흐름 절환밸브(70a,70b) 또는 냉매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응축기(35) 및 보조 응축기(36)의 방열량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드럼(10)에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예컨대, 60℃ 이하의 온도)로 공급하여 건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옷감별로 건조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를 제공하여 옷감의 변형이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의류건조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종래 의류건조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히트펌프 의류건조기는 의류 등을 건조시키는 드럼(10)과, 드럼(10)에서 배출된 공기가 순환하는 덕트(20)와, 덕트(20) 내의 공기를 원활히 순환하게 하는 팬(25)과, 드럼(10) 내부로 고온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덕트(20) 내에 설치되는 히트펌프(30)를 포함한다.
히트펌프(30)는 드럼(10)에 필요한 열량을 공급하고, 습해진 공기로부터 물을 응축시켜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증발기(31)와 압축기(33)와 응축기(35)와 팽창장치(37)와 냉매배관(60)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장치(37)는 도 1에서 도시한 팽창밸브나 도 3에서 도시한 모세관이 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도면부호 40은 압축기 냉각용 열교환기이며, 압축기 냉각용 열교환기(40)는 증발기(31) 입구 측 냉매배관에서 분기되어 압축기(33) 입구 측 냉매배관으로 연결된 냉매분기관로 상에 설치되어 있다. 압축기 냉각용 열교환기(40)는 압축기(33)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어, 압축기(33)를 냉각시킬 수 있다.
히트펌프(30)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10) 내부로 고온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응축기(35)의 출구 측에 보조 응축기(36)가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보조 응축기(36)를 추가하여, 응축기(35)의 방열량을 늘려 히트펌프(30)의 증발온도와 응축온도를 낮추고, 증발온도의 낮아짐과 함께 외부로 배출한 열량만큼 응축온도가 추가로 더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응축기(36)가 설치되는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기(35)가 연결되어 있는 냉매유로를 제1냉매유로(41)라고 한다.
제2냉매유로(42)는 제1냉매유로(41) 상에 병렬로 연결되며, 응축기(35)의 입구 측과 응축기(35)의 출구 측에 연결되어 있다.
제3냉매유로(43) 및 제4냉매유로(44)는 제2냉매유로(42)의 출구 측에서 분기되며, 분기된 제3냉매유로(43) 및 제4냉매유로(44)는 팽창장치(37) 입구 측에서 합쳐진다.
이와 같이 마련된 제3냉매유로(43) 및 제4냉매유로(44) 상에 하나의 보조 응축기(36)가 설치된다. 이때, 제3냉매유로(43) 및 제4냉매유로(44)의 냉매가 혼합하지 않는 경로의 배관으로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응축기(36)에는 외기를 도입하여 열교환을 하도록 송풍팬(80)이 마련되어 있다.
제4냉매유로(44) 상에는 보조 응축기(36)의 입구 측에 보조 팽창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2,3,4냉매유로(41,42,43,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유로에는 냉매흐름 절환밸브(70a,70b) 또는 냉매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응축기(35) 및 보조 응축기(36)의 방열량 비율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매유로(41) 상의 응축기(35) 출구 측에 솔레노이드 밸브(70a)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3냉매유로(43) 상의 보조 응축기(36) 입구 측에 솔레노이드 밸브(70b)가 설치되어 있다.
냉매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는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량제어밸브 등을 제1,2,3,4냉매유로(41,42,43,44)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매유로 상에 냉매흐름 절환밸브(70a,70b) 또는 냉매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응축기(35) 및 보조 응축기(36)의 방열량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드럼(10)에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예컨대, 60℃ 이하의 온도)로 공급하여 건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제1냉매유로(41) 및 제4냉매유로(44)를 통과하는 경우 방열량이 최대가 되고, 제2냉매유로(42) 및 제3냉매유로(43)를 통과하는 경우 방열량이 최소가 된다.
이와 같이, 네 개의 냉매유로 선택을 통하여 건조온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각 냉매유로에 흐르는 냉매유량을 조절하여 낮은 온도에서도 건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옷감별로 건조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를 제공하여 옷감의 변형이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드럼 20 : 덕트
30 : 히트펌프 31 : 증발기
33 : 압축기 35 : 응축기
36 : 보조 응축기 37 : 팽창장치
38 : 보조 팽창장치 41 : 제1냉매유로
42 : 제2냉매유로 43 : 제3냉매유로
44 : 제4냉매유로 60 : 냉매배관
70 : 냉매흐름 절환밸브 80 : 송풍팬

Claims (5)

  1. 드럼 내부로 고온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히트펌프의 응축기 출구 측에 보조 응축기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기의 방열량을 늘려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온도와 응축온도를 낮추고, 증발온도의 낮아짐과 함께 외부로 배출한 열량만큼 응축온도가 추가로 더 낮아지도록 하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보조 응축기가 설치된 냉매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유로에는 냉매흐름 절환밸브 또는 냉매유량을 조절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기 및 상기 보조 응축기의 방열량 비율을 제어하도록 하는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가 연결된 제1냉매유로;
    상기 제1냉매유로 상에 병렬로 연결되되, 상기 응축기의 입구 측과 상기 응축기의 출구 측에 연결된 제2냉매유로;
    상기 제2냉매유로의 출구 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히트펌프의 팽창장치 입구 측에서 합쳐지는 제3냉매유로 및 제4냉매유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냉매유로 및 상기 제4냉매유로 상에 상기 하나의 보조 응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3냉매유로 및 상기 제4냉매유로의 냉매가 혼합하지 않는 경로의 배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냉매유로 상에는, 상기 보조 응축기의 입구 측에 보조 팽창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제1냉매유로 및 상기 제4냉매유로를 통과하는 경우 방열량이 최대가 되고,
    상기 제2냉매유로 및 상기 제3냉매유로를 통과하는 경우 방열량이 최소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응축기에 외기를 도입하여 열교환을 하도록 마련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KR1020100138927A 2010-12-30 2010-12-30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KR101345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927A KR101345977B1 (ko) 2010-12-30 2010-12-30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927A KR101345977B1 (ko) 2010-12-30 2010-12-30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098A KR20120077098A (ko) 2012-07-10
KR101345977B1 true KR101345977B1 (ko) 2014-01-03

Family

ID=4671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927A KR101345977B1 (ko) 2010-12-30 2010-12-30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278B1 (ko) * 2012-10-22 2019-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JP2016104111A (ja) 2014-11-19 2016-06-09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乾燥機
WO2016080788A1 (ko) * 2014-11-19 201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KR102663203B1 (ko) * 2019-04-16 2024-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13802347A (zh) * 2020-06-15 2021-12-17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用于干衣机的风道壳和干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712A (ja) 2005-11-25 2007-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乾燥機
JP2008079767A (ja) * 2006-09-27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装置
KR100896286B1 (ko) 2007-08-13 2009-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712A (ja) 2005-11-25 2007-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乾燥機
JP2008079767A (ja) * 2006-09-27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装置
KR100896286B1 (ko) 2007-08-13 2009-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098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2450B2 (en) Condensation dryer comprising a heat pump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24027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cy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13963B1 (ko)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2009278B1 (ko)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345977B1 (ko)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EP2725133A2 (en) Laundry machine
US10689791B2 (en) High efficiency vented dryer having a heat pump system
JP2007175528A (ja) 洗濯乾燥機
BR102013026926A2 (pt) Máquina de vestuário para lavar
JP6704598B2 (ja) 直接排出式ヒートポンプ衣類乾燥機
JP6389563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CN101173440B (zh) 一种采用热泵作为热源的洗衣干燥机干燥方法
WO2010044392A1 (ja) 塗装設備
KR20110019095A (ko) 에너지절약형 대형 의류 건조기
JP2006087484A (ja) 洗濯乾燥機
WO2016128849A1 (en) Clothes dry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clothes dryer
KR101274288B1 (ko)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JP2010046297A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KR101128857B1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KR102137574B1 (ko) 히트펌프 건조기
KR20110029578A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KR20090016915A (ko) 건조기
KR101750866B1 (ko) 의류건조기
KR20120014530A (ko) 의류건조기
EP3056603A1 (en) Clothes dry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clothes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