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203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203B1
KR102663203B1 KR1020190044248A KR20190044248A KR102663203B1 KR 102663203 B1 KR102663203 B1 KR 102663203B1 KR 1020190044248 A KR1020190044248 A KR 1020190044248A KR 20190044248 A KR20190044248 A KR 20190044248A KR 102663203 B1 KR102663203 B1 KR 102663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unit
do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945A (ko
Inventor
박해룡
김용철
이경현
정홍희
이용흥
김정현
안병국
황우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203B1/ko
Priority to US16/675,521 priority patent/US11491850B2/en
Priority to CN201911142371.2A priority patent/CN111823810A/zh
Publication of KR20200121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not covered by groups F26B9/00 - F26B17/00
    • F26B19/005Self-contained mobile devices, e.g. for agricultural produ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2003/026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the devices being located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실내공조부;와 연결되어 의류 또는 신발 등의 피건조물의 건조가 가능한 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분야에서 차량의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의류 등과 같은 피건조물의 건조가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름과 같이 기온이 높을 때에는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를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코어를 통과하게 하여 냉각 및 제습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토출한다. 그리고,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을 때에는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를 히터코어를 통과하게 하여 승온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토출한다. 또한, 차량 내의 습도가 높아 차량의 유리창 등에 성에가 끼게 되는 경우,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를 냉각코어 및 히터코어를 통과하여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토출시켜 성에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최근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차량은 단순한 운행수단을 넘어서 다양한 편의성을 가진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레저 산업 등의 발달로 차량을 타고 이동하여 레저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레저 활동 후 탑승자의 의류 또는 신발 등이 젖은 채로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탑승자는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천시에도 의류 또는 신발 등이 젖은 채로 탑승하는 경우도 마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차량용 공조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890890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용 공조 분야에서 차량의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의류 등과 같은 피건조물의 건조가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부가 형성되고, 냉각코어 및 냉각코어의 하류지점에 배치된 히터코어가 마련되며,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부가 마련된 실내공조부;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납가능한 건조공간이 마련되고, 유입구가 실내공조부의 히터코어 하류지점에 연결되어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를 건조공간으로 유입하며, 토출구가 건조공간과 연결되어 건조공간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건조부; 및 실내공조부 및 건조부의 유입구 사이에 마련되고,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건조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가 유통가능한 건조부 유입구의 단면적은 건조부 토출구의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실내공조부의 냉각코어 및 히터코어의 사이에 마련되고, 냉각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선택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는 벤트토출구 및 플로어토출구로 구성되고,
공기토출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벤트토출구 또는 플로어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 통과되도록 조절하는 제1토출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공간 또는 건조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건조도어, 선택도어 및 제1토출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으며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선택도어가 공기를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하고,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유통시키며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2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선택도어가 공기를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 및 히터코어로 유통시키도록 하고,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3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선택도어가 공기를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하고,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 및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건조부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는 제4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도어는 제1선택도어 및 제2선택도어로 구성되고, 제1선택도어는 냉각코어를 지난 공기가 공기토출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고, 제2선택도어는 제1선택도어와 함께 냉각코어를 지난 공기가 히터코어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며,
공기토출부의 벤트토출구 및 플로어토출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제2토출도어;를 더 포함하고,
제2토출도어는 공기토출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벤트토출구 및 플로어토출구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거나 또는 통과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공간 또는 건조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건조도어, 제1선택도어, 제2선택도어, 제1토출도어 및 제2토출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으며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도록 하고, 제1토출도어 및 제2토출도어가 공기를 벤트토출구 및 플로어토출구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유통시키며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2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제1선택도어 및 제2선택도어가 공기를 공기토출부 및 히터코어로 유통시키도록 하고,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3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제1선택도어가 공기를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하고,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건조부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는 제4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건조부의 일측에는 탈취부가 마련되고, 탈취부를 통과한 공기는 피건조물을 탈취할 수 있다.
건조부의 건조공간 상부에 마련된 패널 형상이며, 패널 내부에 복수의 유통홀이 형성됨으로써 건조부로 유입된 공기가 건조공간으로 분사되도록 마련된 분배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의 건조공간 상부에 마련된 덕트 형상이며, 일측은 건조부의 유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분배홀이 건조부의 토출구와 대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건조공간에서 공기가 골고루 분배되도록 하는 분배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의류 등과 같은 피건조물의 건조가 가능하다.
특히, 차량의 주행 중에 피건조물이 건조되어 탑승자의 쾌적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건조부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각 모드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각 모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5 내지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건조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건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각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내지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각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 내지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건조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실내공조부 및 건조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부(120)가 형성되고, 냉각코어(160) 및 냉각코어(160)의 하류지점에 배치된 히터코어(180)가 마련되며,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부(140)가 마련된 실내공조부(100);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납가능한 건조공간(T)이 마련되고, 유입구(220)가 실내공조부(100)의 히터코어(180) 하류지점에 연결되어 히터코어(180)를 통과한 공기를 건조공간(T)으로 유입하며, 토출구(240)가 건조공간(T)과 연결되어 건조공간(T)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건조부(200); 및 실내공조부(100) 및 건조부(200)의 유입구(220) 사이에 마련되고, 히터코어(180)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부(200)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건조도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는 도 1과 같이 실내공조부(100)가 마련된다. 실내공조부(100)에는 냉각코어(160) 및 냉각코어(160)의 하류지점에 배치된 히터코어(180)가 마련된다. 공기유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는 냉각코어(160) 또는 냉각코어(160) 및 히터코어(180)를 통과하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실내공조부(100)의 일측에는 블로워팬(B)이 마련되어 공기유입부를 통해 실내공조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블로워팬(B)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공기유입부(120)가 형성된 지점에 블로워팬(B)이 마련되어 블로워팬(B)의 회전에 따라서 공기유입부(120)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가 유입된다.
냉각코어(160)에는 냉각수 등이 흐르며 냉각코어(160)를 지나는 공기는 냉각코어(160)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고, 공기 중의 수증기는 냉각코어(160)에서 응축되어 물방울이 맺히게 되면서 냉각코어(160)를 지나는 공기는 습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냉각 및 제습된 공기는 공기토출부(140)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날씨가 더운 여름 등에도 차량 내에서 탑승자는 온도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냉각코어(160)의 하류 지점에 마련된 히터코어(180)를 지나는 공기는 히터코어(180)와의 열교환을 통해 승온되게 된다. 이렇게 승온된 공기는 공기토출부(140)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날씨가 추운 겨울 등에도 차량 내에서 탑승자는 온도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코어(160)를 지나 제습된 공기가 히터코어(180)를 지나면 다시 승온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고온 및 저습한 공기가 공기토출부(140)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고온 저습한 공기는 우천차량의 유리창 등에 맺힌 성에를 제거하여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납가능한 건조공간(T)이 마련된 건조부(200)가 마련된다. 건조부(200)는 유입구(220)가 실내공조부(100)의 히터코어(180) 하류지점에 연결되고, 히터코어(180)를 통과하여 승온된 공기를 건조공간(T)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건조공간(T)에는 의류 또는 신발 등의 피건조물이 수납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탑승 및 운행시에 피건조물의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우천 상황 또는 레저활동 등으로 의류 또는 신발 등이 젖은 경우에도 피건조물의 건조가 가능하게 되어 탑승자의 쾌적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건조부(200)의 토출구(24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건조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된 건조부(200)의 내부에 건조공간(T)이 형성되고, 건조공간(T)의 상방에는 덮개(280)가 마련되어 덮개(280)가 개방되는 경우 피건조물의 투입구가 형성되며, 덮개(280)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건조부(200)가 밀폐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용 공조장치의 건조부(200)는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케이스 내에 내부케이스가 배치될 수 있고,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건조공간(T)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부케이스는 외부케이스에 별도 고정구조(후크 등)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케이스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케이스 하단에 메쉬 구조 등의 이물질받침대를 마련하여 피건조물의 외부에 붙은 이물질이 떨어질 수 있는 구조 등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부(200)의 유입구(220)가 실내공조부(100)와 연결되는 지점에는 건조부(200)의 유입구(220)와 실내공조부(100) 사이에 패드가 마련되어 건조부(200)의 유입구(220)와 실내공조부(100) 사이에서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실내공조부(100)에서 건조부(200)로 유통되는 공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경우 건조도어(300)가 마련된다. 건조도어(300)는 실내공조부(100) 및 건조부(200)의 유입구(220) 사이에 마련되어 히터코어(180)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부(200)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게 된다. 도 1에서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건조도어(300)가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폐쇄한 상태이며, 도 4에서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건조도어(300)가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건조도어(300)가 유입구(220)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실내공조부에서 건조부(200)로의 공기의 유통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경우 도 2 내지 3과 같이 공기가 유통가능한 건조부(200) 유입구(220)의 단면적은 건조부(200) 토출구(240)의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이처럼, 건조부(200) 유입구(220)의 단면적이 건조부(200) 토출구(24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토출구(2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건조부(200) 건조공간(T) 내부에서 공기가 고압으로 유지되게 된다. 결국, 고온 고압의 공기가 건조공간(T)에서 피건조물의 건조량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도 1과 같이 실내공조부(100)의 냉각코어(160) 및 히터코어(180)의 사이에 마련되고, 냉각코어(16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80)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선택도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도어(400)는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냉각코어(160)를 지난 공기가 히터코어(180)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선택도어(400)가 냉각코어(160)를 지난 공기가 히터코어(180)로 유입되지 않도록 히터코어(180)로 향하는 유로를 폐쇄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선택도어(400)가 냉각코어(160)를 지난 공기가 히터코어(180)로 유입되도록 히터코어(180)로 향하는 유로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처럼, 선택도어(400)의 개폐를 통해 냉각코어(160)를 지난 공기가 히터코어(180)로 유통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경우 도 1과 같이 실내공조부(100)의 공기토출부(140)는 벤트토출구(142) 및 플로어토출구(144)로 구성되고, 공기토출부(140)로 유입되는 공기가 벤트토출구(142) 또는 플로어토출구(144) 중 어느 하나 이상 통과되도록 조절하는 제1토출도어(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벤트토출구(142) 및 플로어토출구(144)는 차량의 실내공간과 연결된다. 플로어토출구(144)는 차량의 실내공간 바닥면으로 연결되어 탑승자의 하방에서 공기를 토출하고, 벤트토출구(142)는 차량의 실내공간 상방 또는 중앙부에서 공기를 토출한다. 한편, 도 1과 같이 제1토출도어(500)는 공기토출부(140)의 벤트토출구(142)로 향하는 유로를 폐쇄하며 플로어토출구(144)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제1토출도어(500)는 공기토출부(140)의 플로어토출구(144)로 향하는 유로를 폐쇄하며 벤트토출구(142)를 개방할 수도 있으며, 도 7과 같이 제1토출도어(500)는 공기토출부(140)에서 벤트토출구(142) 및 플로어토출구(144)로 향하는 유로를 동시에 개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경우 도 14와 같이 차량의 실내공간 또는 건조부(200)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건조도어(300), 선택도어(400) 및 제1토출도어(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건조도어(300), 선택도어(400) 및 제1토출도어(500)에 연결되어 이들을 각각 제어하며 실내공조부(100)에서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200)로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미리 저장된 모드설정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설정 및 자동제어에 의해서 건조도어(300), 선택도어(400) 및 제1토출도어(500)를 제어한다.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각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8에서는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만이 도시되어 있고, 건조공간(T)은 생략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와 같이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으며 건조부(200)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모드인 경우, 제어부(600)는 선택도어(400)가 공기를 실내공조부(100)의 공기토출부(140)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하고, 건조도어(300)가 공기를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드인 경우, 실내공조부(100)는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는 공기를 토출시키지 않고 건조부(200)로만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이다. 선택도어(400)는 냉각코어(160)에서 공기토출부(14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고, 건조도어(300)는 히터코어(180)에서 공기토출부(140)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모드인 경우에는 차량의 실내공간의 공기는 제어하지 않으며, 오직 건조부(200)만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의 경로 "A1"을 따라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는 공기유입부(120)를 통해 실내공조부(100)로 유입되어 냉각코어(160) 및 히터코어(180)를 지나며 승온 및 제습되어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통해 건조부(200)로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유통시키며 건조부(200)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2모드인 경우, 제어부(600)는 선택도어(400)가 공기를 실내공조부(100)의 공기토출부(140) 및 히터코어(180)로 유통시키도록 하고, 건조도어(300)가 공기를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드인 경우, 실내공조부(100)는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며 건조부(200)로는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이다. 선택도어(400)는 냉각코어(160)에서 공기토출부(14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유로 및 히터코어(18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모두 개방한다. 그리고, 건조도어(300)는 히터코어(180)에서 공기토출부(14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고, 히터코어(180)에서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모드인 경우에는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200)의 공기를 동시에 제어하게 된다.
도 5의 경로 "A2-1"를 따라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는 공기유입부(120)를 통해 실내공조부(100)로 유입되어 냉각코어 및 히터코어를 지나며 승온 및 제습되어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통해 건조부(200)로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경로 "A2-2"를 따라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는 냉각코어(160)를 지나며 냉각되어 공기토출부(140)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5에서는 제1토출도어(500)가 플로어토출구(144)를 폐쇄하고 벤트토출구(142)가 개방되어 벤트토출구(142)로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토출도어(500)의 제어에 따라서 냉각된 공기는 플로어토출구(144)로도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200)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3모드인 경우, 제어부(600)는 선택도어(400)가 공기를 실내공조부(100)의 공기토출부(140)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하고, 건조도어(300)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220) 및 실내공조부(100)의 공기토출부(140)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모드인 경우, 실내공조부(100)는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이다. 선택도어(400)는 냉각코어(160)에서 직접적으로 공기토출부(140)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며, 건조도어(300)는 히터코어(180)에서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연결되는 유로 및 공기토출부(14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모두 개방한다. 따라서, 제3모드인 경우에는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200)의 공기를 동시에 제어하게 된다.
도 6의 경로 "A3-1"을 따라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는 냉각코어(160) 및 히터코어(180)를 지나며 승온 및 제습되어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통해 건조부(200)로 토출되며, 히터코어(180)를 지난 공기가 분기되어 "A3-2"를 따라서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도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게 된다. 도 6에서는 제1토출도어(500)가 벤트토출구(142)를 폐쇄하고 플로어토출구(144)가 개방되어 플로어토출구(144)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토출도어(500)의 제어에 따라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는 벤트토출구(142)로도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건조부(200)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는 제4모드인 경우, 제어부(600)는 건조도어(300)가 공기를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모드인 경우, 실내공조부(100)는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만 공기를 토출시키며 건조부(200)로는 공기를 토출시키지 않는다. 건조도어(300)는 히터코어(180)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지나지 않도록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폐쇄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4모드인 경우에는 건조부(200)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만 공기가 토출되는 방식이다.
도 7의 경로 "A4-1"은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벤트토출구(142)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경로 "A4-2"는 냉각된 공기가 벤트토출구(142)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경로 "A4-3"은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플로어토출구(144)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경로 "A4-4"는 냉각된 공기가 플로어토출구(144)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4가지 경로는 예시일 뿐 선택도어(400) 및 제1토출도어(500)의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냉각되거나 또는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는 중온의 공기를 유통시키며 건조부로는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5모드인 경우, 제어부(600)는 선택도어(400)가 공기를 공기토출부(140) 및 히터코어(180)로 유통시키도록 하며, 건조도어(300)가 히터코어를 지난 공기를 공기토출부(140) 및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유통시키도록 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모드인 경우에는 건조부(200) 및 차량의 실내공간의 공기를 동시에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건조부(200)로는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유통되고,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는 냉각된 공기 및 승온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어 중온의 공기가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8의 경로 "A5-1"은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건조부(200)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A5-2"은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벤트토출구(142)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경로 "A5-3"는 냉각된 공기가 벤트토출구(142)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경로 "A5-4"은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플로어토출구(144)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경로 "A5-5"는 냉각된 공기가 플로어토출구(144)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경우 도 9 내지 13과 같이 선택도어(400)는 제1선택도어(420) 및 제2선택도어(4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선택도어(420)는 냉각코어(160)를 지난 공기가 직접적으로 공기토출부(140)로 유입되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한다. 도 10의 경우 냉각코어(160)를 지난 공기가 직접적으로 공기토출부(140)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의 경우 냉각코어(160)를 지난 공기가 직접적으로 공기토출부(140)로 유입되지 못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도 9 내지 13과 같이 공기토출부(140)의 벤트토출구(142) 및 플로어토출구(144)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제2토출도어(520);를 더 포함하고, 제2토출도어(520)는 공기토출부(140)로 유입되는 공기가 벤트토출구(142) 및 플로어토출구(144)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거나 또는 통과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9 내지 13에는 제2토출도어(520)가 플로어토출구(144)에 형성되어 있으나, 설계 변경에 따라서 제2토출도어(520)는 벤트토출구(142)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과 같이 제2토출도어(520)가 플로어토출구(144)에 형성된 경우, 제2토출도어(520)는 공기토출부(140)의 플로어토출구(144)의 개폐를 하게 된다.
한편, 도 14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공간 또는 건조부(200)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건조도어(300), 제1선택도어(420), 제2선택도어(440), 제1토출도어(500) 및 제2토출도어(52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건조도어(300), 제1선택도어(420), 제2선택도어(440), 제1토출도어(500) 및 제2토출도어에 연결되어 이들을 각각 제어하며 실내공조부(100)에서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200)로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미리 저장된 모드설정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설정 및 자동제어에 의해서 건조도어(300), 제1선택도어(420), 제2선택도어, 제1토출도어(500) 및 제2토출도어(520)를 제어한다.
도 9 내지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각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13에서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만이 도시되어 있고, 건조공간(T)은 생략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9와 같이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으며 건조부(200)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모드인 경우, 제어부(600)는 건조도어(300)가 공기를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유통시키도록 하고, 제1토출도어(500) 및 제2토출도어(520)가 공기를 벤트토출구(142) 및 플로어토출구(144)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드인 경우, 실내공조부(100)는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는 공기를 토출시키지 않고 건조부(200)로만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이다. 건조도어(300)는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개방하여 히터코어(180)를 지난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건조부(200)로 유통되도록 한다. 한편, 제1토출도어(500)는 벤트토출구(142)를 폐쇄하고, 제2토출도어(520)는 플로어토출구(144)를 폐쇄하여 실내공조부(100)가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는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모드인 경우에는 차량의 실내공간의 공기는 제어하지 않으며, 오직 건조부(200)만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9의 경로 "B1"을 따라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는 공기유입부(120)를 통해 실내공조부(100)로 유입되어 냉각코어(160) 및 히터코어(180)를 지나며 승온 및 제습되어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통해 건조부(200)로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유통시키며 건조부(200)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2모드인 경우, 제어부(600)는 제1선택도어(420) 및 제2선택도어(440)가 공기를 공기토출부(140) 및 히터코어(180)로 유통시키도록 하고, 건조도어(300)가 공기를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드인 경우, 실내공조부(100)는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는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며 건조부(200)로는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이다. 제1선택도어(420)는 냉각코어(160)에서 공기토출부(14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며, 제2선택도어(440)는 냉각코어(160)에서 히터코어(180)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한다. 그리고, 건조도어(300)는 히터코어(180)에서 공기토출부(14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고, 히터코어(180)에서 건조부(200)의 유입구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모드인 경우에는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200)의 공기를 동시에 제어하게 된다.
도 10의 경로 "B2-1"를 따라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는 공기유입부(120)를 통해 실내공조부(100)로 유입되어 냉각코어 및 히터코어를 지나며 승온 및 제습되어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통해 건조부(200)로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도 10의 경로 "B2-2"를 따라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는 냉각코어(160)를 지나며 냉각되어 공기토출부(140)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10에서는 제1토출도어(500)가 플로어토출구(144)를 폐쇄하고 벤트토출구(142)가 개방되어 벤트토출구(142)로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토출도어(500)의 제어에 따라서 냉각된 공기는 플로어토출구(144)로도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3모드인 경우, 제어부(600)는 제1선택도어(420)가 공기를 실내공조부(100)의 공기토출부(140)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하고, 건조도어(300)가 공기를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모드인 경우, 실내공조부(100)는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이다. 제1선택도어(420)는 냉각코어(160)에서 직접적으로 공기토출부(140)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며 냉각코어(160)에서 직접적으로 히터코어(180)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한다. 제2선택도어(440)는 냉각코어(160)에서 직접적으로 히터코어(180)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한다. 건조도어(300)는 히터코어(180)에서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한다. 따라서, 제3모드인 경우에는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200)의 공기를 동시에 제어하게 된다.
도 11의 경로 "B3-1"을 따라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는 냉각코어(160) 및 히터코어(180)를 지나며 승온 및 제습되어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통해 건조부(200)로 토출되며, 냉각코어(160)를 통과한 후 분기되어 히터코어(180)를 지난 공기는 "B3-2"를 따라서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도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게 된다. 도 11에서는 제1토출도어(500)가 벤트토출구(142)를 폐쇄하며 제2토출도어(520)가 플로어토출구(144)가 개방되어 플로어토출구(144)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토출도어(500) 및 제2토출도어(520)의 제어에 따라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는 벤트토출구(142)로도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와 같이 건조부(200)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는 제4모드인 경우, 제어부(600)는 건조도어(300)가 공기를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모드인 경우, 실내공조부(100)는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만 공기를 토출시키며 건조부(200)로는 공기를 토출시키지 않는다. 건조도어(300)는 히터코어(180)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지나지 않도록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를 폐쇄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4모드인 경우에는 건조부(200)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만 공기가 토출되는 방식이다. 도 12의 경로 "B4-1"은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벤트토출구(142)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경로 "B4-2"는 냉각된 공기가 벤트토출구(142)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경로 "B4-3"은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플로어토출구(144)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경로 "B4-4"는 냉각된 공긱가 플로어토출구(144)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4가지 경로는 예시일 뿐 제1선택도어(420), 제2선택도어, 제1토출도어(500) 및 제2토출도어의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냉각되거나 또는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3과 같이 차량의 실내공간으로는 중온의 공기를 유통시키며 건조부(200)로는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5모드인 경우, 제어부(600)는 제1선택도어(420) 및 제2선택도어(440)가 공기를 공기토출부(140) 및 히터코어(180)로 유통시키도록 하며, 건조도어(300)가 히터코어(180)를 지난 공기를 공기토출부(140) 및 건조부(200)의 유입구(220)로 유통시키도록 한다.
도 13의 경로 "B5-1"은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건조부(200)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B5-2"은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벤트토출구(142)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경로 "B5-3"는 냉각된 공기가 벤트토출구(142)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경로 "B5-4"은 승온 및 제습된 공기가 플로어토출구(144)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경로 "B5-5"는 냉각된 공기가 플로어토출구(144)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건조부(200)의 일측에는 탈취부(260)가 마련되고, 탈취부(260)를 통과한 공기는 피건조물을 탈취할 수 있다. 탈취부(260)에는 클러스터이오나이저 또는 광촉매 등을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건조물의 살균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1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건조부(200)의 건조공간(T) 상부에 마련된 패널 형상이며, 패널 내부에 복수의 유통홀이 형성됨으로써 건조부(200)로 유입된 공기가 건조공간(T)으로 분사되도록 마련된 분배패널(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건조부(200)는 이해를 돕기 위해 덮개(280)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부(200)에 분배패널(290)이 마련되고, 분배패널(29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건조부(290)로 유입된 공기는 분배패널(290) 상에서 분배되며 복수의 유통홀을 통과하여 건조공간(T)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분배패널(290)상에서 복수의 유통홀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건조공간(T)으로 공기가 골고루 분사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건조부(200)의 건조공간(T) 상부에 마련된 덕트 형상이며, 일측은 건조부(200)의 유입구(220)와 연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분배홀(296)이 건조부의 토출구와 대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건조공간(T)에서 공기가 골고루 분배되도록 하는 분배덕트(2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건조부(200)는 이해를 돕기 위해 덮개(280)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부(200)에 분배덕트(295)가 마련되고, 분배덕트(295)의 일측은 건조부(200)의 유입구(220)와 연결된다. 그리고, 분배덕트(295)의 분배홀(296)이 건조부(200)의 토출구(240)와 대각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분배홀(296)을 통해 건조공간(T)으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부(200)의 토출구(240)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분배홀(295)과 토출구(240)가 대각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건조공간(T)에서 공기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실내공조부
200 : 건조부
300 : 건조도어
400 : 선택도어
500 : 제1토출도어
600 : 제어부

Claims (18)

  1.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부가 형성되고, 냉각코어 및 냉각코어의 하류지점에 배치된 히터코어가 마련되며,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부가 마련된 실내공조부;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납가능한 건조공간이 마련되고, 유입구가 실내공조부의 히터코어 하류지점에 연결되어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를 건조공간으로 유입하며, 토출구가 건조공간과 연결되어 건조공간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건조부; 및
    실내공조부 및 건조부의 유입구 사이에 마련되고,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건조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가 유통가능한 건조부 유입구의 단면적은 건조부 토출구의 단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공조부의 냉각코어 및 히터코어의 사이에 마련되고, 냉각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선택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는 벤트토출구 및 플로어토출구로 구성되고,
    공기토출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벤트토출구 또는 플로어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 통과되도록 조절하는 제1토출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공간 또는 건조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건조도어, 선택도어 및 제1토출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으며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선택도어가 공기를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하고,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유통시키며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2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선택도어가 공기를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 및 히터코어로 유통시키도록 하고,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3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선택도어가 공기를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하고,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 및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건조부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는 제4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선택도어는 제1선택도어 및 제2선택도어로 구성되고, 제1선택도어는 냉각코어를 지난 공기가 공기토출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고, 제2선택도어는 제1선택도어와 함께 냉각코어를 지난 공기가 히터코어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며,
    공기토출부의 벤트토출구 및 플로어토출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제2토출도어;를 더 포함하고,
    제2토출도어는 공기토출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벤트토출구 및 플로어토출구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거나 또는 통과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공간 또는 건조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건조도어, 제1선택도어, 제2선택도어, 제1토출도어 및 제2토출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으며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도록 하고, 제1토출도어 및 제2토출도어가 공기를 벤트토출구 및 플로어토출구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유통시키며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2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제1선택도어 및 제2선택도어가 공기를 공기토출부 및 히터코어로 유통시키도록 하고,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공간 및 건조부로 승온 및 제습된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3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제1선택도어가 공기를 실내공조부의 공기토출부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하고,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건조부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는 제4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건조도어가 공기를 건조부의 유입구로 유통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조부의 일측에는 탈취부가 마련되고, 탈취부를 통과한 공기는 피건조물을 탈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조부의 건조공간 상부에 마련된 패널 형상이며, 패널 내부에 복수의 유통홀이 형성됨으로써 건조부로 유입된 공기가 건조공간으로 분사되도록 마련된 분배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조부의 건조공간 상부에 마련된 덕트 형상이며, 일측은 건조부의 유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분배홀이 건조부의 토출구와 대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건조공간에서 공기가 골고루 분배되도록 하는 분배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90044248A 2019-04-16 2019-04-16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63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48A KR102663203B1 (ko) 2019-04-16 2019-04-16 차량용 공조장치
US16/675,521 US11491850B2 (en) 2019-04-16 2019-11-06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201911142371.2A CN111823810A (zh) 2019-04-16 2019-11-20 车辆用空调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48A KR102663203B1 (ko) 2019-04-16 2019-04-16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45A KR20200121945A (ko) 2020-10-27
KR102663203B1 true KR102663203B1 (ko) 2024-05-03

Family

ID=7283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248A KR102663203B1 (ko) 2019-04-16 2019-04-16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91850B2 (ko)
KR (1) KR102663203B1 (ko)
CN (1) CN1118238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2485A (zh) * 2021-06-08 2021-08-10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空气调节方法和系统、车辆以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306A (ja) 2002-11-06 2004-06-03 Denso Corp 車両空調用天井吹出装置
JP2007143712A (ja) 2005-11-25 2007-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乾燥機
KR101592318B1 (ko) 2014-12-09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890890B1 (ko) 2012-02-22 2018-08-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565B1 (ko) * 2000-12-22 2007-02-15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존 공기조화장치
KR200294396Y1 (ko) * 2002-08-02 2002-11-07 장경희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냉온 장치
KR100951674B1 (ko) * 2007-02-15 2010-04-0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풍향조절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5798B1 (ko) * 2009-02-17 2015-02-2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550931B1 (ko) * 2009-09-18 2015-09-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공조시스템
KR101345977B1 (ko) * 2010-12-30 2014-01-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JP6217522B2 (ja) * 2014-05-21 2017-10-25 株式会社デンソー 加湿装置
KR101776478B1 (ko) * 2016-03-28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조장치를 이용한 제습 장치
JP6562045B2 (ja) * 2017-07-28 2019-08-2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防曇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306A (ja) 2002-11-06 2004-06-03 Denso Corp 車両空調用天井吹出装置
JP2007143712A (ja) 2005-11-25 2007-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乾燥機
KR101890890B1 (ko) 2012-02-22 2018-08-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592318B1 (ko) 2014-12-09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45A (ko) 2020-10-27
US20200331325A1 (en) 2020-10-22
US11491850B2 (en) 2022-11-08
CN111823810A (zh)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6889B (zh) 车用空调设备
KR10266320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0503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875761B1 (ko)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JP3997346B2 (ja) 自動車の暖房装置または空調装置内で混合空気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配置
JP6032353B2 (ja) 空調システムのための専用床抽気
CN205468423U (zh) 用于机动车辆的低轮廓通风系统
KR1015203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3598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8003307A1 (ja) シート送風装置
USRE20178E (en) System fob air conditioning
KR2014012004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113062A (ko) 공조장치 내의 증발기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15658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151004Y1 (ko) 차량용 공기 조화 케이스
KR200392492Y1 (ko) 자연풍을 이용한 차량용 공조기
KR20130067553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H0127930Y2 (ko)
KR101149243B1 (ko) 차량용 쿨 박스의 연결구조
JPH07285315A (ja) トランクルーム空調装置
KR1013078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Z36525U1 (cs) Vozidlo hromadné přepravy s tepelnou regulací prostoru pro cestující pomocí klimatizační jednotky
KR10140343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99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