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761B1 -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761B1
KR101875761B1 KR1020160149560A KR20160149560A KR101875761B1 KR 101875761 B1 KR101875761 B1 KR 101875761B1 KR 1020160149560 A KR1020160149560 A KR 1020160149560A KR 20160149560 A KR20160149560 A KR 20160149560A KR 101875761 B1 KR101875761 B1 KR 10187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pe
valve actuator
drying chambe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354A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4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7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로어패널(20)의 하부에 주행풍 유입관(31)과 배출관(32)이 형성되고 상부 개구면의 개폐를 위한 슬라이딩커버(40)를 구비한 건조함(30)이 설치된다. 전기 히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 에너지가 소비되지 않음으로써 차량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DEVICE FOR DRYING SHOES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히터를 사용하지 않고 젖은 신발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는 신발이 쉽게 젖는다. 눈길을 오래 걸은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더운 여름날, 운동량이 많은 경우에도 신발 속에 땀이 차서 신발이 젖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이유로 인해 신발이 젖은 채 차량에 탑승하게 되면 젖은 신발을 계속 신고 있어야 하므로 발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신발 속 세균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위생에도 좋지 않다.
그렇다고 신발을 벗게 되면 신발에서 나는 악취로 인해 상당한 불쾌감을 감내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신발 건조 장치는 주로 차량 실내에 건조함을 마련하고, 그 건조함에 전기 히터 및 배기팬을 설치하여 신발을 건조시키는 방식이거나, 또는 트렁크에 신발 거치대를 설치하고 차량 공조장치의 덕트로부터 거치대쪽으로 송풍관을 연결하여 히터의 온풍 또는 에어컨의 냉풍을 송풍함으로써 신발을 건조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별도의 전기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 히터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차내 다른 전기 전자 장치들로의 전력 공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차량의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또한, 트렁크쪽으로 덕트를 연장하여 온풍 및 냉풍을 송풍하는 경우에도 실내의 덕트로부터 트렁크까지 송풍관을 설치해야하므로 송풍관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것이 난해하였고, 신발이 트렁크에 보관되므로 신발을 벗고 차량에 탑승하거나 운행 후 다시 신발을 신는 것이 불편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5039호(2014.01.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 히터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되고, 차량 실내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로어패널의 하측면에 장착되고 상면이 차량 실내로 개방된 건조함과, 상기 건조함의 전면에 장착되어 건조함 내부로 주행풍을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상기 건조함의 후면에 장착되어 건조함내 습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플로어패널 상면의 건조함 앞쪽 부분에 설치되어 건조함을 개폐하는 슬라이딩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은 주행풍이 유입되는 전단부와, 전단부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연장된 중간부와, 중간부와 건조함의 전면을 연결하는 후단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단부의 입구 테두리에 입구 면적을 확장시키는 유입가이드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의 상단에 수직하방으로 물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의 물배출구와 동일한 수직선상의 내주면에 물흐름을 차단하는 물차단벽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과 배출관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와이어메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함의 일측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배기관에서 분기 형성된 바이패스관이 접촉된다.
상기 바이패스관과 건조함의 사이에 다수의 열교환핀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입관에 설치된 제1밸브와 제1밸브액추에이터,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제2밸브와 제2밸브액추에이터, 제1밸브액추에이터와 제2밸브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 및 제1밸브액추에이터와 제2밸브액추에이터의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건조함의 일측면에 배기관에서 분기 형성된 바이패스관이 접촉되고, 배기관의 바이패스관 상류 분기점 이후 부분에 제3밸브와 제3밸브액추에이터가 설치되고, 제3밸브액추에이터는 상기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해 작동 제어된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제3밸브가 닫히면 제1밸브와 제2밸브를 닫고 그 상태를 제1설정시간동안 유지한 뒤,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열고 그 상태를 제2설정시간동안 유지하는 제어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신발을 건조하게 되므로 전기 히터와 같이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차량내 여타 전기 및 전자 장치들에 전력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차량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건조함이 리어시트의 플로어패널 하측에 설치되므로 신발을 벗고 건조함에 수납하거나, 건조된 신발을 다시 신기가 매우 편리하다.
차량 공조장치의 히터나 에어컨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공조 덕트로부터 건조함으로 송풍관을 추가 연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차량의 배기관에 바이패스관을 설치하고, 그 바이패스관을 건조함과 접촉시켜 배기가스열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신발의 건조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는 차량 실내의 플로어패널(20) 하측에 설치된다. 기본적으로는 리어시트(10) 앞쪽 공간의 양측부에 각각 1개소씩 설치되나 운전석과 조수석 앞쪽의 바닥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발 건조 장치는 건조함(30)과, 건조함(30)으로 주행풍을 유입시키는 유입관(31)과, 건조함(30)으로부터 습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32) 및 건조함(30)의 상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커버(4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함(30)은 플로어패널(20)의 하부 즉, 차량의 실내 공간 외측에 설치된다. 건조함(30)은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로서 플로어패널(20)의 하면에 볼팅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다. 건조함(3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플로어패널(2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실내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플로어패널(20)의 상면에는 상기 개구의 앞쪽(차량 전방 방향)에 가이드레일(45)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레일(45)에 슬라이딩커버(40)가 설치되어 상기 개구 즉, 건조함(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딩커버(40)의 상면에는 플로어매트와 동일한 재질의 매트가 부착되어 있어 이질감을 최소화하게 되며, 후단측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슬라이딩커버(4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조작홈(41)이 형성된다.
도 3(도면에서 왼쪽이 차량 전방 방향이고, 오른쪽이 차량 후방 방향이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함(30)의 전면에는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건조함(3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관(31)이 구비되고, 후면에는 건조함(30)의 내부에서 신발로부터 습기를 흡수한 습공기를 건조함(3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32)이 구비된다.
유입관(31)에는 관로 개폐를 위하여 제1밸브(51)가 설치되고, 배출관(32)에는 관로 개폐를 위하여 제2밸브(52)가 설치된다. 제1밸브(51)와 제2밸브(52)는 평소 미작동상태에서 관로를 차단하는 클로즈 상태를 유지한다.
제1밸브(51)와 제2밸브(52)는 모두 버터플라이밸브로서 개폐 작동을 위한 제1밸브액추에이터(51a)와 제2밸브액추에이터(52a)는 유입관(31)과 배출관(32)의 외주면에 각각 설치된다.
제1밸브액추에이터(51a)와 제2밸브액추에이터(52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60)가 차량 실내의 적절한 부위(예; 시트 하부, 도어 내부 등)에 설치되고, 제1밸브액추에이터(51a)와 제2밸브액추에이터(52a)의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스위치(70)는 탑승자가 조작이 편리하도록 도어트림의 암레스트에 설치된다. 조작스위치(70)는 각각의 밸브액추에이터마다 개별적으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 유입관(31)은 가장 앞쪽에 위치한 전단부(31a)와, 전단부(31a)에 경사지게 연장된 중간부(31b)와, 중간부(31b)와 건조함(30)을 연결하는 후단부(31c)로 이루어진다.
전단부(31a)는 차량 주행시 주행풍이 유입되는 입구로서 주행풍 유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단부(31a)의 테두리에는 관의 외측 방향으로 확산되는 형상의 유입가이드(31d)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단부(31a)의 내부에는 이물질(노면의 잡석, 작은 크기의 쓰레기, 벌레 등)의 침투를 막기 위해 와이어메쉬(81)가 설치된다.
상기 전단부(31a)와 후단부(31c)는 높이차를 가지고 평행한 관계에 있다. 전단부(31a)가 후단부(31c)에 비해 낮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경사지게 형성된 중간부(31b)에 의해 연결된다. 중간부(31b)는 주행풍의 유입경로중에 상향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단부(31a)를 통해 노면으로부터 튄 물이 유입되어도 물은 중간부(31b)를 거슬러 오르다가 다시 역행하여 흘러내림으로써 건조함(30)으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중간부(31b)의 후단(후단부(31c)에 연결되기 이전 부분)에는 수직 하방으로 물배출구(31e)가 형성된다. 또한 중간부(31b)의 후단에는 상기 물배출구(31e)와 동일 수직선상에 내주면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물차단벽(31f)이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여 주행풍 압력에 의해 물방울이 중간부(31b)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더라도 상기 물차단벽(31f)에 막혀 낙하한 후 물배출구(31e)를 통해 유입관(31)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차량 주행시 주행풍을 건조함(30) 내부로 도입하기 위해 제1밸브(51)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유입관(31)을 통해 건조함(3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유입관(31)에서 상기 제1밸브(51)는 전단부(31a)나 후단부(31c)에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설치 공간 확보에 보다 유리한 중간부(31b)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관(32)은 건조함(30)의 후면에 연결되며 주행시 침투한 물 배출에 유리하도록 끝부분이 하방으로 굽힘 성형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출관(32)의 내측으로 침투한 물은 배출관(32)을 통해 배출되는 주행풍에 쓸려 배출관(32) 외부로 배출된다.
수평인 중간 부분에 제2밸브(52)가 설치되어 있고, 배출구의 내측에는 이물질 침투 방지를 위해서 와이어메쉬(82)가 설치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는 배기관(90)을 통해 배출되는 엔진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신발을 건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기관(90)에 바이패스관(91)을 형성하되, 바이패스관(91)이 건조함(30)의 일측면으로 연장되어 바이패스관(91)이 건조함(30)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배기가스의 고열이 전도 및 복사를 통해 건조함(30)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고 대류 순환되어 건조함(30) 내부에 습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도에 의한 열 전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바이패스관(91)과 건조함(30)의 사이에는 다수의 열교환핀(100)이 설치된다. 이들 열교환핀(100)은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져 일괄적인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배기관(90)에는 바이패스관(91)의 상류 분기점 직후 부분에 제3밸브(53)가 설치되고, 제3밸브액추에이터(53a)가 해당 위치의 배기관(90) 외주면에 설치된다. 제3밸브(53)는 평소 미작동 상태에서 배기관(90)을 개방하는 오픈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3밸브액추에이터(53a) 역시 상기 스위치(70) 조작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60)에 의해 작동 제어된다.(상기 스위치(70)는 각 밸브액추에어터 전용의 조작스위치가 집합된 스위치모듈이나 간편히 스위치(70)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신발이 젖은 경우 탑승자는 조작홈(41)을 이용하여 슬라이딩커버(45)를 밀어 플로어패널(20) 하부의 건조함(30)을 개방한다.
건조함(30) 내부에 보관된 슬리퍼를 꺼내고 대신 젖은 신발과 양말 등을 건조함(30) 내부에 수납한다.
상기 조작홈(41)을 잡고 슬라이딩커버(45)를 당겨 건조함(30)을 폐쇄한다.
그리고, 도어 암레스트에 구비된 스위치(70)를 조작하여 제1밸브(51)와 제2밸브(52)를 열어준다. 전자제어유니트(60)는 각 밸브의 스위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밸브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밸브들을 열어주게 된다.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주행풍이 유입관(31)을 통해 건조함(30) 내부로 유입되고, 건조함(30)을 통과하면서 신발로부터 수분을 빼앗아 배출관(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차량 주행 속도 증가에 따라 건조함(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주행풍의 압력과 속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보다 활발한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는 차량 주행중 발생하는 주행풍만으로도 신발을 건조할 수 있다.
한편, 이때 탑승자는 스위치(70) 조작을 통해 제3밸브액추에이터(53a)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3밸브(53)를 배기관(90) 폐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가 바이패스관(91)을 통해 흐르게 되므로 바이패스관(91)과 직접 접촉되어 있는 건조함(30)으로 배기가스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바이패스관(91)과 건조함(30)의 사이에 다수의 열교환핀(10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로부터 건조함(30) 내부로의 열전달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열을 건조함(30) 내부로 전달할 때 상기 제1밸브(51)와 제2밸브(52)는 클로즈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폐쇄된 건조함(30) 내부에 열이 누적되어 신발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신발로부터 수분 증발이 활발하게 이루어게 된다. 이후 적절한 시간(예: 약 3 ~ 5분)이 경과하면 상기 제1밸브(51)와 제2밸브(52)를 다시 열어줌으로써 건조함(30) 내의 수분 함량이 많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새로운 주행풍으로 신발 건조를 가속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스위치(70)를 자주 조작하는 것이 번거로우므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60)로 하여금 밸브들을 자동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밸브(51)와 제2밸브(52)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행풍에 의해서만 건조를 실시하다가, 건조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70)를 조작하여 제3밸브(53)를 닫게 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60)는 제1밸브(51)와 제2밸브(52)를 닫고 그 상태를 제1설정시간(가열시간)동안 유지한 뒤,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1밸브(51)와 제2밸브(52)를 열고 그 상태를 제2설정시간(환기시간)동안 유지하는 제어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설정시간과 제2설정시간은 임의의 크기로 설계자가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는 값이다. 단, 제1설정시간(제1밸브와 제2밸브가 닫히고 제3밸브가 열려서 배기가스열이 건조함 내부로 전달되는 가열 상태)이 과도하게 길어지면 신발이 열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사전 반복 실험을 통해 적절하게 설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제2설정시간은 건조함(30)의 환기가 목적이므로 수 초 정도의 짧은 시간이면 충분하다.
사용자가 스위치(70)를 모두 off 상태로 조작하면 제1밸브(51)와 제2밸브(52)는 차단 상태로 돌아가 미사용상태에서 건조함 내부로 이물질 및 벌레 등이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제3밸브(53)는 개방 상태로 돌아가 배기관(90)을 통해 정상적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전기 히터를 이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젖은 신발을 말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기 히터에 의한 전력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차량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이러한 신발 건조함은 플로어패널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을 침범하지 않음으로써 탑승자의 발 놓을 공간은 여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건조함을 차량 실내에서 직접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신발을 벗고 건조함에 수납하거나 건조된 신발을 다시 꺼내 신기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외부에서 유입되는 주행풍을 이용하므로 건조함에 길이가 짧은 유입관과 배출관만을 설치하면 되며, 종래와 같이 공조덕트에서 트렁크로 송풍관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건조함에 직접 접촉되는 바이패스관을 통해 배기가스열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신발 건조 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리어시트 20 : 플로어패널
30 : 건조함 31 : 유입관
32 : 배출관 40 : 슬라이딩커버
45 : 가이드레일 51 : 제1밸브
52 : 제2밸브 53 : 제3밸브
60 : 전자제어유니트 70 : 스위치
81,82 : 와이어메쉬 90 : 배기관
91 : 바이패스관 100 : 열교환핀

Claims (11)

  1. 차량 실내의 플로어패널의 하측면에 장착되고 상면이 차량 실내로 개방된 건조함과, 상기 건조함의 전면에 장착되어 건조함 내부로 주행풍을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상기 건조함의 후면에 장착되어 건조함내 습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플로어패널 상면의 건조함 앞쪽 부분에 설치되어 건조함을 개폐하는 슬라이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에 설치된 제1밸브와 제1밸브액추에이터,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제2밸브와 제2밸브액추에이터, 제1밸브액추에이터와 제2밸브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 및 제1밸브액추에이터와 제2밸브액추에이터의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함의 일측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배기관에서 분기 형성된 바이패스관이 접촉되고, 배기관의 바이패스관 상류 분기점 이후 부분에 제3밸브와 제3밸브액추에이터가 설치되고, 제3밸브액추에이터는 상기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해 작동 제어되며,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제3밸브가 닫히면 제1밸브와 제2밸브를 닫고 그 상태를 제1설정시간동안 유지하여 바이패스관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건조함 내부에 누적시켜 건조함 내부를 가열하고, 이후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열고 그 상태를 제2설정시간동안 유지하여 주행풍에 의해 건조함 내부를 환기시키는 제어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주행풍이 유입되는 전단부와, 전단부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연장된 중간부와, 중간부와 건조함의 전면을 연결하는 후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의 입구 테두리에 입구 면적을 확장시키는 유입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상단에 수직하방으로 물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물배출구와 동일한 수직선상의 내주면에 물흐름을 차단하는 물차단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배출관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와이어메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과 건조함의 사이에 다수의 열교환핀이 설치되되, 상기 다수의 열교환핀들은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져 일괄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49560A 2016-11-10 2016-11-10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KR10187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560A KR101875761B1 (ko) 2016-11-10 2016-11-10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560A KR101875761B1 (ko) 2016-11-10 2016-11-10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354A KR20180052354A (ko) 2018-05-18
KR101875761B1 true KR101875761B1 (ko) 2018-07-06

Family

ID=6245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560A KR101875761B1 (ko) 2016-11-10 2016-11-10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781A (ko) 2021-07-20 2023-01-2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308B1 (ko) * 2017-06-26 2019-03-13 한국기계연구원 이동식 커피찌꺼기 건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642U (ja) * 1991-11-20 1993-06-15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オープンカーの幌屋根収納ケース
JPH078024U (ja) * 1993-07-12 1995-02-03 河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乾燥機
CN2708632Y (zh) * 2004-04-07 2005-07-13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呼和浩特分院 自然风饲草干燥设备
KR200392492Y1 (ko) * 2005-05-31 2005-08-17 문운기 자연풍을 이용한 차량용 공조기
KR100650187B1 (ko) * 2005-04-22 2006-11-27 주식회사 금성하이텍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1637680B1 (ko) * 2014-09-19 2016-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642U (ja) * 1991-11-20 1993-06-15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オープンカーの幌屋根収納ケース
JPH078024U (ja) * 1993-07-12 1995-02-03 河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乾燥機
CN2708632Y (zh) * 2004-04-07 2005-07-13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呼和浩特分院 自然风饲草干燥设备
KR100650187B1 (ko) * 2005-04-22 2006-11-27 주식회사 금성하이텍 에어 드라이어의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200392492Y1 (ko) * 2005-05-31 2005-08-17 문운기 자연풍을 이용한 차량용 공조기
KR101637680B1 (ko) * 2014-09-19 2016-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2708632(2005.07.13.)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781A (ko) 2021-07-20 2023-01-2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354A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761B1 (ko) 차량용 신발 건조 장치
ES2770145T3 (es) Secador continuo con un intercambiador de calor
ES2219539T3 (es) Automovil con cajon para guardar paraguas.
JP2003276425A (ja) 自動車用の空気調和システム
US10195922B2 (en) Motor vehicle with an additional cooling system
WO2004071854A1 (en) Ventilated vehicle cab
KR101572676B1 (ko) 차량의 환기장치
JP4770621B2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US2984415A (en) Heating and ventilat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KR101508234B1 (ko) 차량용 시트 공조 장치
KR101645067B1 (ko) 자동세차기의 방향제 분사장치
US2300357A (en) Combination heating and cooling unit for motor vehicles
KR102074691B1 (ko) 공조장치 내의 증발기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263398A (ja) 蒸気発生装置
KR100601834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KR10213338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356252Y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477975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091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7374087U (zh) 一种空调箱及汽车
KR20040015919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CN211526565U (zh) 一种加湿组件,采用该加湿组件的空调冷风机
CN114403773A (zh) 车用暖风烘鞋装置及采用车用暖风烘鞋装置的车辆
KR2012001580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285812B1 (ko)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