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136B1 -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136B1
KR102009136B1 KR1020197004155A KR20197004155A KR102009136B1 KR 102009136 B1 KR102009136 B1 KR 102009136B1 KR 1020197004155 A KR1020197004155 A KR 1020197004155A KR 20197004155 A KR20197004155 A KR 20197004155A KR 102009136 B1 KR102009136 B1 KR 102009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vinylidene fluoride
solar cell
film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163A (ko
Inventor
다츠노리 스미노
후쿠무 고모다
고지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2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4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08K5/526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with hydroxyaryl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계 봉지재에 직접 적층한 경우라도 내습열성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황변이 발생하기 어려운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1H-NMR에 의해 측정한 두미 결합과 두두 결합의 피크치의 비(두미 결합/두두 결합)가 11.5 이하이고, 또한질량평균분자량(Mw)이 1.30×105 이상인 불화비닐리덴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을 제막하여 두께가 10~200㎛인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으로 한다. 그리고, 이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 등의 전기 절연성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태양전지용 백시트로 한다.

Description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VINYLIDENE FLUORIDE RESIN COMPOSITION, RESIN FILM, BACK SHEET FOR SOLAR CELLS, AND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back sheet) 및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 등의 내후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되는 수지 필름의 변색 억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년, 지구 온난화 문제에 대응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각종 자연 에너지의 이용이 진행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태양전지가 주목을 끌고 있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은 옥외에서 장기간 사용되기 때문에 내구성에 대한 요구가 높고,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셀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봉지하고, 태양광이 조사되는 면은 유리로 덮고, 이면은 백시트로 보호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태양전지 모듈의 이면 보호용의 백시트를 구성하는 내후성 수지 필름 재료로서는, 기계적 강도, 내약품성 및 내후성이 뛰어난 것으로부터 불화비닐리덴계 수지가 주목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 백시트로서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층체를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이나, 무기 산화물을 코팅한 투명 고방습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또, 백시트는 태양전지 셀이나 배선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최하층에 설치되지만, 보호 목적에 부가하여 태양광의 반사율을 높이고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효율을 높일 목적으로 백색 시트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4 참조). 예를 들면, 백색의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은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에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함유시켜 필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일본 특허공개 2002-8397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17429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7123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8294호 공보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셀을 봉지하는 봉지재로서는 EVA 수지가 사용되고 있고, 이 EVA계 봉지재 상에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백시트가 열압착된다. 그렇지만, EVA계 봉지재와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이 직접 접촉하는 구성의 태양전지 모듈의 경우, 고온 고습의 조건하에서 내구성 시험을 행하면, 백시트(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가 황색으로 변색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계 봉지재에 직접 적층한 경우라도, 내습열성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변색하기 어려운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실험 검토를 행한 결과,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의 변색은 봉지재에 이용되고 있는 태양전지 모듈용 EVA 수지 중에 함유되는 힌더드 아민계의 광안정제에 기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고온·고습의 환경하에 장시간 놓이면, EVA 수지 중의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에 의해 EVA계 봉지재와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의 계면에 국소적으로 알칼리 분위기가 생기고, 이에 의해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에 탈불화 반응이 일어나 폴리엔 구조가 생성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EVA계 봉지재와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의 계면에 있어서의 알칼리 분위기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검토하여,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에 특정 구조의 불화비닐리덴계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내습열성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의 변색을 큰 폭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은, 1H-NMR에 의해 측정한 두미 결합과 두두 결합의 피크치의 비(두미 결합/두두 결합)가 11.5 이하이고 또한 질량평균분자량(Mw)이 1.30×105 이상인 불화비닐리덴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적어도 함유한다.
이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에서는 수지 성분 전질량당 상기 불화비닐리덴 수지를 50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면 수지 성분 100질량부당 0.01~5질량부 배합할 수가 있다.
한편, 수지 성분으로서 상기 불화비닐리덴 수지와 함께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를 수지 성분 전질량당 5~50질량%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산화티탄을 5~30질량부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은 전술한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10~200㎛인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태양전지용 백시트는 전술한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태양전지 모듈은 이 태양전지 백시트를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구조의 불화비닐리덴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계 봉지재에 직접 적층한 경우라도 내습열성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황변이 발생하기 어려운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을 실현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의 실시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이하 단지 수지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특정의 분자쇄 구조 및 분자량을 가지는 불화비닐리덴 수지(PVDF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함유한다.
[수지 성분]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의 50질량% 이상이 PVDF 수지이다. 그리고, 호모폴리머이고, 분자쇄에 있어서의 두미 결합과 두두 결합의 비율(R)(=두미 결합/두두 결합)이 11.5 이하이고, 또한 질량평균분자량(Mw)이 1.30×105 이상인 PVDF 수지를 함유한다. 이러한 분자쇄 구조의 PVDF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태양전지용 백시트로 이용한 경우에, 장기의 내습열성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알칼리 분위기의 발생을 방지하여 황색계의 변색을 억제할 수가 있다.
여기서, PVDF 수지가 호모폴리머인가 아닌가는 19F-NMR에 의해 확인할 수가 있다. 또, 비율(R)은 1H-NMR에 의해 일반적인 평가 조건(용매: DMSO-d6, 측정 온도: 60℃, 측정 주파수: 500 MHz)으로 측정한 두미 결합(2.87ppm)과 두두 결합(1.0ppm)의 피크치의 비이다.
또한, 질량평균분자량(Mw)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할 수가 있다. 그때의 측정 조건은 예를 들면, 용리(溶離)액: N, N′-디메틸폼아미드(브롬화리튬을 10mmol/L 함유), 표준 물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칼럼 온도: 50℃이다.
한편, PVDF 수지의 분자쇄에 있어서의 두미 결합과 두두 결합의 비율(R)(=두미 결합/두두 결합)이 11.5를 넘는 경우, 또는 PVDF 수지의 질량평균분자량(Mw)이 1.30×105 미만인 경우, 필름으로 했을 때에, 후술하는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황색계의 색으로 변색하는 경향이 강해져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필름의 제막성의 관점에서 PVDF 수지의 결합비(R)는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PVDF 수지의 질량평균분자량(Mw)은 2.00×1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자쇄 구조 및 분자량을 가지는 PVDF 수지의 함유량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지 성분의 전질량당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황변을 억제하는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전술한 PVDF 수지와 함께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배합량은 수지 성분 전질량당 5~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다른 소재와의 접착성을 높일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의 단독 중합체 또는 메타크릴산메틸과 다른 단량체(50질량% 미만)의 공중합체를 말한다. 메타크릴산메틸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2~4의 메타크릴산 에스터,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부틸 등의 탄소수 1~8의 아크릴산 에스터,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및 그 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전술한 특정의 분자쇄 구조 및 분자량을 가지는 PVDF 수지 이외의 PVDF 수지나,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이외의 수지를 배합할 수도 있다.
[산화방지제]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특정의 분자쇄 구조 및 분자량을 가지는 PVDF 수지와 함께 산화방지제가 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태양전지용의 이면 보호 시트에 이용했을 때에, 장기의 내습열성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황색계의 변색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산화방지제는 라디칼 포착제(radical scavenger)로서의 역할을 가지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과산화물 분해제로서의 역할을 가지는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이들을 병용함으로써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2, 6-디-tert-부틸-4-메틸페놀, n-옥타데실-3-(3', 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3', 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트리스(3, 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2, 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또,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서는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 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 4-디-tert-부틸페닐)-4 , 4'-비페닐렌디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산화방지제의 배합량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황변 억제 효과 및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수지 성분 100질량부당 0.01~5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질량부이다.
[산화티탄]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에는 산화티탄을 배합할 수도 있다. PVDF 수지는 내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수지 필름 자체의 내후성은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지만, 산화티탄을 배합함으로써 태양전지용 백시트로 사용한 경우에 태양광의 반사율을 높여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만, 산화티탄의 배합량이 수지 성분 100질량부당 5질량부 미만인 경우, 태양광의 반사율을 높이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수지 성분 100질량부당 30질량부를 넘어 산화티탄을 배합하면, 수지 조성물 중의 분산이 불균일하게 되거나 필름의 제막이 곤란하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산화티탄을 배합하는 경우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당 5~3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배합되는 산화티탄으로서는 염화물법 또는 황산염법에 의해 얻어지는 루틸형 또는 아나타제형 결정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염화물법에 의해 산화티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TiCl4를 산화하여 TiO2 입자로 한다. 또, 황산염법에 의해 산화티탄(TiO2)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황산 및 티탄을 함유하는 광석을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을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TiO2를 생성시킨다.
실용적으로는 내후성 열화에 의한 착색이 적은 루틸형의 결정 구조의 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지 조성물 중의 분산성을 높이고, 또한 수지 분해 작용을 저감하기 위해, 최표면에 무기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산화티탄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의 입자경은 침강법에 의해 산출한 평균 입자경이고 0.0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의 입자경이 0.05㎛보다 작으면 가시광선의 투과에 의한 투명성을 나타내게 되고, 또 산화티탄의 입자경이 2㎛를 넘으면 수지 조성물에의 분산성이 열화하여 응집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에는 전술한 산화티탄 이외에 무기 안료로서 산화아연, 황화아연 또는 황산바륨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고, 또 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화티탄 이외의 금속 산화물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에는 전술한 각 성분에 부가하여 산화방지제, 분산제, 커플링제, 열안정제,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방담(防曇)제 및 자외선 흡수제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은 특정의 분자쇄 구조 및 분자량을 가지는 PVDF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제막성이 뛰어나고, EVA계 봉지재에 직접 적층한 경우라도 내습열성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황변이 발생하기 어려운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이 얻어진다.
(제2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이하 단지 수지 필름이라고도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 필름은 전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수지 조성물을 제막한 것이고, 그 두께는 10~200㎛이다. 또한, 수지 필름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는 기계적 강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고, 또 200㎛를 넘으면 제막성이 저하한다.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의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예를 들면 용융 압출 성형 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막할 수가 있다. 각종 제막 방법 중에서도 압출기에 의해 필름용 T-다이를 이용하여 제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 원료로는 용융 혼련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도 좋지만, 개개의 원료를 배합하여, 직접, 단축 또는 2축의 압출기에 공급하고, 예를 들면 150~260℃의 온도에서 그들을 용융하여 필름용 T-다이를 통해 압출함으로써 제막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은 특정의 분자쇄 구조 및 분자량을 가지는 PVDF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EVA계 봉지재에 직접 적층한 경우라도 알칼리 분위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은 고온·고습의 환경하에서, 장기간 내구성 시험을 행해도 황변하기 어려워 태양전지의 백시트용으로서 극히 유용하다.
(제3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태양전지용 백시트(이하 단지 백시트라고도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백시트는 전술한 제2의 실시 형태의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과,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필름 등의 전기 절연성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첩합(貼合)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이들 필름의 첩합에는 각종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가능하다. 또, PET계 필름 등의 다른 수지 필름은 백시트에 전기 절연성, 차폐성, 수증기 배리어(barrier)성(방습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백시트는 특정의 분자쇄 구조 및 분자량을 가지는 PVDF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EVA계 봉지재에 직접 적층한 경우라도 알칼리 분위기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장기간의 내습열성의 내구성 평가를 행해도 EVA계 봉지재와 접하고 있는 면의 황변의 정도가 극히 작다.
(제4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태양전지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의 태양전지 모듈(10)은 광기전력 소자인 태양전지 셀(5)이 EVA계 봉지재(2)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그리고, 태양광(6)이 조사되는 면에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기판(1)이 적층되고, 이면측에는 전술한 제3의 실시 형태의 백시트(3)가 적층되어 있고, 이들 주위에는 프레임(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EVA계 봉지재(2)와 백시트(3)는 100~150℃의 가열 프레스에 의해 첩합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전지 모듈(10)은 백시트(3)에 특정의 분자쇄 구조 및 분자량을 가지는 PVDF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EVA계 봉지재(2)에 백시트(3)가 직접 적층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습열성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의 백시트(3)의 황변을 억제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고, 그 내습열성을 평가하였다.
<원료>
(1) 불화비닐리덴(PVDF) 수지
PVDF 수지로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것을 이용하였다. 또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No. A~F의 PVDF 수지는 모두 호모폴리머이다.
Figure 112019014700882-pat00001
(2)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미츠비시레이온사제 하이펫 HBS000)
: 아크릴산부틸(n-BA)과 메타크릴산부틸(BMA)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MFR(230℃, 10kg 가중)은 4~7g/10분.
(3) 산화티탄(듀퐁사제 R960)
: 입자경이 약 0.35㎛. 순티탄분이 약 89질량%.
(4) 산화방지제(아데카사제 2112)
: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평가 시료의 제작 방법>
(실시예 1)
먼저, No. A의 불화비닐리덴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산화티탄을 22질량부, 산화방지제를 1질량부 배합한 혼합물을 φ30mm의 2축 압출기에 의해 혼련하여 컴파운드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이 컴파운드를 φ40mm의 단축 압출기로 압출 온도 250℃에서 T-다이를 이용하여 필름 성형하여 두께 30㎛의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No. A의 불화비닐리덴 수지를 80질량%,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를 20질량% 함유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산화티탄을 22질량부, 산화방지제를 1질량부 배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 및 조건으로 두께 30㎛의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No. B의 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 및 조건으로 두께 30㎛의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No. C의 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 및 조건으로 두께 30㎛의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산화방지제를 배합하지 않는 것 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방법 및 조건으로 두께 30㎛의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5)
No. D~F의 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 및 조건으로 두께 30㎛의 필름을 얻었다.
<평가 방법>
(PVDF 수지 특성)
(1) 비율(R)(두미 결합/두두 결합)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No. A~F의 PVDF 수지에 대해 하기 측정기 및 측정 조건으로 평가를 행하고, 2.87ppm의 피크치와 1.0ppm의 피크치의 비율에 의해 두미 결합과 두두 결합의 비(R치)를 산출하였다.
·측정기: NMR(Bruker AVANCEIII500)
·핵종: 1H(-NMR)
·용매: DMSO-d6
·측정 온도: 60℃
·측정 주파수: 500MHz
(b) 질량평균분자량(Mw)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No. A~F의 PVDF 수지에 대해 GPC 장치를 이용하여 하기 측정 조건으로 평가하였다.
·칼럼: Shodex GPC KD-806×2+KD802
·용리액: N, N′-디메틸폼아미드(브롬화리튬: 10mmol/L 함유)
·표준 물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칼럼 온도: 50℃
(필름의 내습열성)
전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지 필름으로부터 10cm×10cm의 시료를 잘라, 프레스기에 의해 가열 온도 230℃, 압력 5MPa의 조건으로 태양전지 모듈용 EVA 수지 필름(EVA계 봉지재)과 첩합시켜 적층물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들 시료에 대해 내습열성 평가로서 JIS C8990에 준거하여 환경 시험기를 이용하여 온도 85℃±2℃, 상대습도 85%±5%의 조건으로 1000시간의 덤프히트(dump heat) 시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EVA 첩합면의 필름의 황변도는 JIS K7105에 준거하여 색차 측정을 행하고 ΔYI(옐로우 인덱스)치를 산출하여 그 값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때 ΔYI치가 10 이하이면 실용상 문제없는 레벨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112019014700882-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작한 실시예 1~3의 수지 필름은 비교예 1~5의 수지 필름에 비해 황변도가 큰 폭으로 저감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하고 있는 PVDF 수지의 두미 결합과 두두 결합의 비(R)가 근사치를 나타내는 실시예 2와 비교예 1, 실시예 3과 비교예 3을 각각 비교하면, PVDF 수지의 질량평균분자량이 1.30×105 이상인 실시예 2, 3은 PVDF 수지의 질량평균분자량이 1.30×105 미만인 비교예 1, 3에 비해 황변도가 적었다.
또, 사용하고 있는 PVDF 수지의 분자량이 근사치를 나타내는 실시예 3과 비교예 4를 비교하면, PVDF 수지의 두미 결합과 두두 결합의 비(R)가 11.5 이하인 실시예 3은, PVDF 수지의 두미 결합과 두두 결합의 비(R)가 11.5를 넘고 있는 비교예 4에 비해 황변도가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지재에 직접 적층한 경우라도, 내습열성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황변이 발생하기 어려운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 투명 기판
2 EVA계 봉지재
3 백시트
4 프레임
5 태양전지 셀
6 태양광
10 태양전지 모듈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불화비닐리덴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적어도 함유하고, 상기 불화비닐리덴 수지가, 1H-NMR에 의해 측정한 두미 결합과 두두 결합의 피크치의 비(두미 결합/두두 결합)가 8.0 이상 11.5 이하이고, 질량평균분자량(Mw)이 1.30×105 이상인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과,
    힌더드 아민계의 광안정제 함유 수지의 적층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의 수지 성분 전질량당 상기 불화비닐리덴 수지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의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상기 산화방지제를 0.01~5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의 수지 성분 전질량당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를 5~5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물.

KR1020197004155A 2011-07-13 2012-07-12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KR102009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5248 2011-07-13
JP2011155248 2011-07-13
PCT/JP2012/067828 WO2013008885A1 (ja) 2011-07-13 2012-07-12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樹脂フィルム、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870A Division KR20140036310A (ko) 2011-07-13 2012-07-12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163A KR20190020163A (ko) 2019-02-27
KR102009136B1 true KR102009136B1 (ko) 2019-08-09

Family

ID=475061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155A KR102009136B1 (ko) 2011-07-13 2012-07-12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KR1020147000870A KR20140036310A (ko) 2011-07-13 2012-07-12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870A KR20140036310A (ko) 2011-07-13 2012-07-12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18634B2 (ko)
EP (1) EP2733176A4 (ko)
JP (1) JP5937075B2 (ko)
KR (2) KR102009136B1 (ko)
CN (1) CN103687907B (ko)
WO (1) WO2013008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8193A4 (en) * 2011-11-10 2015-07-29 Denki Kagaku Kogyo Kk FLUOROUS RESIN FOIL AND SOLAR CELL MODULE
KR20130096997A (ko) * 2012-02-23 2013-09-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태양광모듈용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57933A1 (ja) * 2012-10-10 2014-04-17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樹脂フィルム、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4179462A (ja) * 2013-03-14 2014-09-25 C I Kasei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側封止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5745288B (zh) * 2014-07-01 2017-06-09 旭硝子株式会社 粉体涂料用组合物、粉体涂料和涂装物品
CN104479271B (zh) * 2014-12-31 2016-08-24 明冠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用薄膜及其制备方法
WO2016143549A1 (ja) * 2015-03-09 2016-09-15 株式会社クレハ フッ化ビニリデン重合体組成物、重合体フィルム、積層体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
CN106279904A (zh) * 2016-08-18 2017-01-04 苏州度辰新材料有限公司 一种挤出型太阳能背板及其制备方法
CN107256902B (zh) * 2016-09-08 2019-02-19 广州奥鹏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膜及其制备方法
CN110117401A (zh) * 2019-05-16 2019-08-13 浙江名江南家居有限公司 一种抗老化且耐磨的吧椅座的制备方法
JP7477271B2 (ja) * 2019-08-08 2024-05-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加飾され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調製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8851A (ja) * 2009-07-10 2011-01-27 Denki Kagaku Kogyo Kk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114A (ja) * 1983-09-08 1985-04-05 Unitika Ltd ポリ弗化ビニリデンモノフィラメント
JPH0645292B2 (ja) 1985-09-09 1994-06-15 日本電装株式会社 車両用エアコンデイシヨナ
JPH01297450A (ja) 1988-05-25 1989-11-30 Sekisui Chem Co Ltd 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成形体
JP3170105B2 (ja) * 1993-07-01 2001-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TW342537B (en) 1995-03-03 1998-10-11 Atochem North America Elf Polymeric electrode, electrolyte, article of manufacture and composition
WO1999005212A1 (fr) * 1996-01-31 1999-02-04 Kureha Chemical Industry Co., Ltd. Compositions de resine de fluorure de vinylidene et articles moules obtenus
JPH11172064A (ja) 1997-12-16 1999-06-29 Kureha Chem Ind Co Ltd フッ素樹脂組成物
JP2000174296A (ja) 1998-12-07 2000-06-23 Bridgestone Corp 太陽電池用カバー材、封止膜及び太陽電池
JP2002083978A (ja) 2000-09-05 2002-03-22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02338706A (ja) 2001-05-16 2002-11-27 Denki Kagaku Kogyo Kk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フィルム
JP2004039569A (ja) 2002-07-05 2004-02-05 Daikin Ind Ltd 電極用添加剤
JP5125012B2 (ja) 2006-07-25 2013-01-23 凸版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封止用シート
KR101780925B1 (ko) 2007-06-15 2017-10-10 알케마 인코포레이티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배면시트를 구비한 태양광 모듈
JP2009071236A (ja) 2007-09-18 2009-04-02 Tomoegawa Paper Co Ltd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
JPWO2010005029A1 (ja) * 2008-07-11 2012-01-05 三菱樹脂株式会社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
EP2397519B1 (en) * 2009-02-13 2015-11-25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Vinylidene fluoride-based resin film
CN102666715B (zh) * 2009-11-30 2014-06-25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聚偏氟乙烯系树脂组合物、薄膜、背板及太阳能电池组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8851A (ja) * 2009-07-10 2011-01-27 Denki Kagaku Kogyo Kk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18634B2 (en) 2016-04-19
US20140137936A1 (en) 2014-05-22
KR20190020163A (ko) 2019-02-27
CN103687907B (zh) 2017-02-15
EP2733176A4 (en) 2014-12-31
CN103687907A (zh) 2014-03-26
JPWO2013008885A1 (ja) 2015-02-23
WO2013008885A1 (ja) 2013-01-17
JP5937075B2 (ja) 2016-06-22
KR20140036310A (ko) 2014-03-25
EP2733176A1 (en)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136B1 (ko)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US11898023B2 (en) Polyolefin photovoltaic backsheet comprising a stabilized polypropylene layer
JP466215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充填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充填材の製造方法
US11905398B2 (en) Film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JP2010535267A (ja) カプセル材料および関連するデバイス
EP2711179B1 (en) Protection film for solar cell application and solar cell having same
JP4762377B2 (ja) アモルファスシリコン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140329952A1 (en) Polychlorotrifluoroethylene film and backside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JP200715009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充填材の製造方法
WO2014057933A1 (ja)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樹脂フィルム、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624550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充填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充填材の製造方法
EP3716343A1 (en) Sealing material for solar cells and solar cell module
JP5812817B2 (ja)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樹脂フィルム、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1056701A (ja) 太陽電池用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060485A (ja) 接着性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用封止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用中間フィルム、太陽電池及び合わせガラス
EP3469021B1 (en) Multilayer assembly comprising silane-grafted polyolefin
JP2012019179A (ja) 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組成物
US20190283385A1 (en) Self-priming adhesive
JP2016164228A (ja) 樹脂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