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639B1 - 윤활유 배출 구조 - Google Patents

윤활유 배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639B1
KR102005639B1 KR1020170166383A KR20170166383A KR102005639B1 KR 102005639 B1 KR102005639 B1 KR 102005639B1 KR 1020170166383 A KR1020170166383 A KR 1020170166383A KR 20170166383 A KR20170166383 A KR 20170166383A KR 102005639 B1 KR102005639 B1 KR 102005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peripheral wall
wall
wall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419A (ko
Inventor
이사오 야부자키
아키라 츠치다
츠토무 이토오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4Lubricant guiding means in the wall of or integrated with the casing, e.g. grooves, channels,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2Cleaning of lubricants, e.g. filters or magnets
    • F16H57/0404Lubrican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3Lubricant guiding means mounted or supported o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87Friction gearings
    • F16H57/0489Friction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 CV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2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윤활유를 오일 팬측의 공간으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의 변속기 케이스(10)에, 변속 기구부(15)의 수용실(20)을 둘러싸는 주위벽부(11)가, 수용실(20)을 측방으로 개구시키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주위벽부(11)에, 연직선(VL) 방향으로 수용실(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일 팬(17)측의 공간[밸브 바디 수용실(30)]과, 수용실(20)을 연통하고, 윤활유(OL)의 복귀 구멍(12)이 형성된 윤활유 배출 구조(1)이며, 주위벽부(11)에는 연직선(VL) 방향으로 복귀 구멍(12)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수용실(20)과 오일 팬(17)측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윤활유 배출 구조 {LUBRICANT DISCHARGE STRUCTURE}
본 발명은 윤활유 배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기 케이스에 있어서의 윤활유 배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차량용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에는 변속 기구부의 수용실이, 변속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변속 기구부는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와, 이들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에 감아 걸린 벨트로 구성되어 있고, 변속 기구부는 수용실을 둘러싸는 주위벽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변속기 케이스에 있어서 주위벽부는 변속기 케이스의 측방에 수용실을 개구시키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수용실의 하측에는 오일 팬측의 공간이 위치하고 있다.
자동 변속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의 연직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주위벽부에는 연직선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의 영역에, 윤활유의 복귀 구멍이 개구되어 있다.
이 복귀 구멍은 오일 팬측의 공간에 연통하고 있고, 변속 기구부의 윤활, 냉각에 사용된 윤활유가, 복귀 구멍을 통해, 수용실로부터 오일 팬측으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20421호 공보
무단 변속기의 구동 시에는,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 사이의 회전의 전달이 벨트를 통해 행해진다.
그때에, 프라이머리 풀리나 세컨더리 풀리의 윤활, 냉각에 사용된 윤활유가 수용실의 내부에 비산된다. 그리고, 수용실의 내부에 비산된 윤활유는 주위벽부의 내주면 등을 타고 복귀 구멍이 형성된 영역까지 자중에 의해 도달한 후, 복귀 구멍으로부터 오일 팬측으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복귀 구멍은 더 많은 윤활유를 오일 팬측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위벽부에 있어서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한냉지에서의 자동 변속기의 구동 직후와 같이, 윤활유의 온도가 낮고, 윤활유의 유동성이 낮을 때에는, 윤활유의 복귀 구멍으로의 도달이 느려진다. 그렇게 하면, 오일 팬측으로 복귀되는 윤활유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윤활유의 온도가 낮고, 윤활유의 유동성이 낮을 때에, 윤활유를 오일 팬측으로 적절하게 복귀시키도록 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의 변속기 케이스에, 변속 기구부의 수용실을 둘러싸는 주위벽부가, 상기 수용실을 측방으로 개구시키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위벽부에, 연직선 방향으로 상기 수용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일 팬측의 공간과, 상기 수용실을 연통하고, 윤활유의 복귀 구멍이 형성된 윤활유 배출 구조이며,
상기 주위벽부에는 상기 연직선 방향으로 상기 복귀 구멍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상기 수용실과 상기 오일 팬측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위벽부의 내주를 타고 복귀 구멍을 향해 이동하는 윤활유를, 복귀 구멍의 앞의 연통 구멍으로부터 오일 팬측의 공간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윤활유의 수용실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윤활유의 온도가 낮고, 윤활유의 유동성이 낮을 때라도, 윤활유를, 보다 단시간에 오일 팬측의 공간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 배출 구조를 채용한 변속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 배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 배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윤활유 배출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차량용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의 변속기 케이스(10)에 적용한 윤활유 배출 구조(1)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 배출 구조(1)를 채용한 변속기 케이스(1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변속기 케이스(10)를 변속 기구부(15)의 수용실(20)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의 (b)는 도 1의 (a)에 있어서의 A-A 화살표도이며, 변속기 케이스(10)를 오일 팬(17)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a)에는 주위벽부(11)의 지면 전방측의 접합면(11a)에, 해칭을 그어 나타내고 있고, 도 1의 (b)에는 주위벽부(31)의 지면 전방측의 접합면(31a)과, 설치부(32)의 지면 전방측의 단부면(32a)에, 해칭을 그어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는 프라이머리 풀리(Pa)와, 세컨더리 풀리(Pb)와, 이들 프라이머리 풀리(Pa)와 세컨더리 풀리(Pb)에 걸쳐진 벨트(V)를 갖는 변속 기구부(15)를 갖고 있다.
변속 기구부(15)는 변속기 케이스(10)에 설치한 수용실(20)에 수용되어 있고, 수용실(20)에는 변속 기구부(15)의 프라이머리 풀리(Pa)와 세컨더리 풀리(Pb)가, 각각 서로 평행인 회전축(X1), 회전축(X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변속 기구부(15)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의 회전 구동력이 프라이머리 풀리(Pa)에 입력되면, 프라이머리 풀리(Pa)에 입력된 회전 구동력이 벨트(V)를 통해, 세컨더리 풀리(Pb)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변속기 케이스(10)에는 당해 변속기 케이스(10)의 측면으로부터 회전축(X1, X2)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11)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X1, X2) 방향으로 볼 때 주위벽부(11)는 변속 기구부(15)를 둘러싸는 환상을 이루고 있고, 이 주위벽부(11)의 내측이, 변속 기구부(15)를 수용하는 수용실(20)로 되어 있다.
변속기 케이스(10)에 있어서 주위벽부(11)는 수용실(20)을 변속기 케이스(10)의 측방[회전축(X1, X2) 방향]으로 개구시키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변속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의 연직선(VL)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프라이머리 풀리(Pa)와 세컨더리 풀리(Pb)는 수용실(20) 내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도 1의 (a)에 있어서의 주위벽부(11)의 지면 전방측의 접합면(11a)은 회전축(X1, X2)에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이 접합면(11a)에는 사이드 커버(16)[도 1의 (b), 가상선 참조]의 외주연이, 볼트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주위벽부(11)에 사이드 커버(16)를 고정함으로써, 밀폐된 수용실(20)이 형성된다.
수용실(20)의 오일 팬(17)[도 1의 (a), 가상선 참조]측의 하부에는, 컨트롤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 바디 수용실(30)[도 1의 (b) 참조]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밸브 바디 수용실(30)을 둘러싸는 주위벽부(31)는 도 1의 (a)에 있어서의 지면 전방측으로 팽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바디 수용실(30)은 오일 팬(17)측에서 볼 때 환상을 이루는 주위벽부(31)를 갖고 있고, 주위벽부(31)의 내측에는 컨트롤 밸브(50)[도 3의 (b) 참조]의 설치부(3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설치부(32)의 오일 팬(17)측의 단부면(32a)에는 볼트 구멍이나 오일 구멍이 개구되어 있고, 컨트롤 밸브(50)를 관통시킨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볼트 구멍에 나사 삽입하여, 컨트롤 밸브(50)를 설치부(32)에 설치하면, 변속기 케이스(10)측의 유로와 컨트롤 밸브(50) 내의 유로가, 오일 구멍을 통해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의 (b)에 있어서의 주위벽부(31)의 지면 전방측의 접합면(31a)은 회전축(X1, X2)에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이 접합면(31a)에는 오일 팬(17)의 외주연이, 볼트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주위벽부(31)에 오일 팬(17)을 고정함으로써, 이 오일 팬(17)의 내측에, 자동 변속기의 구동이나 윤활에 사용되는 윤활유(OL)의 저류 공간(오일 팬측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부(31)의 내측의 밸브 바디 수용실(30)은 「오일 팬측의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 배출 구조(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복귀 구멍(12)과, 윤활유 배출 구조(1)를 구성하는 연통 구멍(13)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의 (b)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윤활유 배출 구조(1)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의 (c)는 도 2의 (b)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며, 윤활유 배출 구조(1)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2의 (a)에서는 주위벽부(31)의 지면 전방측의 접합면(31a)과, 설치부(32)의 지면 전방측의 단부면(32a)에 해칭을 그어 나타내고 있다. 또한, 후기하는 복귀 구멍(12)과 연통 구멍(13)의 개구를 나타내는 영역에도 해칭을 그어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의 (c)에서는 수용실(20)의 개구를 막는 사이드 커버(16)와, 주위벽부(31)의 접합면(31a)의 맞춤면의 위치를, 부호 F로 나타내는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 배출 구조(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윤활유 배출 구조(1)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연통 구멍(13)과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3의 (b)에서는 주위벽부(31)의 지면 전방측의 접합면(31a)에, 해칭을 그어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복귀 구멍(12)과 연통 구멍(13)의 개구를 나타내는 영역에도 해칭을 그어 나타내고 있다. 또한, 컨트롤 밸브(50)와 오일 스트레이너(51)의 외형을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변속 기구부(15)의 수용실(20)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Pa)나 세컨더리 풀리(Pb)의 구동, 윤활, 그리고 냉각 등에 사용된 윤활유(OL)가, 프라이머리 풀리(Pa)나 세컨더리 풀리(Pb)로부터 배출된다.
그 때문에, 프라이머리 풀리(Pa)와 세컨더리 풀리(Pb)가 회전축(X1, X2) 주위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 배출되는 윤활유(OL)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회전축(X1, X2)의 직경 방향으로 방출되고, 수용실(20)의 내주면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실(20)의 저면(201)[도 2의 (c) 참조]이나, 주위벽부(11)의 내주면(11b)[도 2의 (b) 참조]에 부착된다.
그리고, 수용실(20)의 내주면에 부착된 윤활유(OL)는 수용실(20)의 내주면을 타고, 자중에 의해 수용실(20)의 하부를 향해 이동한다.
그 때문에, 자동 변속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의 연직선(VL)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주위벽부(11)에 있어서의 연직선(VL) 방향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수용실(20)과 오일 팬(17)측의 공간[밸브 바디 수용실(30)]을 연통시키는 복귀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오일 팬(17)측에서 볼 때 복귀 구멍(12)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도 2의 (a) 참조]을 갖고 있고, 수용실(20) 내에서 자중에 의해 연직선(VL) 방향의 하측으로 이동한 윤활유(OL)가, 이 복귀 구멍(12)을 통해, 오일 팬(17)측으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실(20)에는, 연직선(VL) 방향에 있어서의 복귀 구멍(12)보다도 상측이며, 프라이머리 풀리(Pa)와의 간섭을 피한 위치에, 유로를 둘러싸는 통상의 보스부(33)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X1) 방향으로 볼 때 보스부(33)는 프라이머리 풀리(Pa)의 원호상의 외주를 지나는 접선(TL)보다도 외측이고, 주위벽부(11)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접선(TL)은 프라이머리 풀리(Pa)로부터 벨트(V)가 이격되는 위치(P1)를 지나는 직경선(R)과, 프라이머리 풀리(Pa)의 외주의 교점 P2를 지나는 접선이다.
변속기 케이스(10)에는, 주위벽부(11)의 내주면(11b)을 따라 이동하는 윤활유(OL)를 복귀 구멍(12)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연장 돌출벽(40)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 돌출벽(40)은 보스부(33)와, 주위벽부(11)의 볼트 구멍(111)이 둘러싸는 볼트 자리부(112)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X1) 방향으로 볼 때 연장 돌출벽(40)은 보스부(33)로부터 볼트 자리부(112)측을 향함에 따라, 연직선(VL)의 방향의 높이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가상선(Lm)을 따라 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연장 돌출벽(40)의 볼트 자리부(112)측에는 연장 돌출벽(40)의 프라이머리 풀리(Pa)측(내주측)과 주위벽부(11)측(외주측)을 연통하는 절결부(41)가, 연장 돌출벽(4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장 돌출벽(40)에는 절결부(41)의 보스부(33)측에, 프라이머리 풀리(Pa)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벽(4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벽(42)은 절결부(41)로부터 보스부(33)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벽(42)은 절결부(41)를 넘어 복귀 구멍(12)측[도 3의 (a)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윤활유(OL)의 이동을 저해하기 위해, 가상선(Lm)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윤활유(OL)의 이동 진로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절결부(41)를 넘어 복귀 구멍(12)측[도 3의 (a)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이동한 윤활유(OL)는 돌출벽(42)에 의해 복귀 구멍(12)측으로의 이동이 저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장 돌출벽(40)에 있어서의 절결부(41)보다도 볼트 자리부(112)측은 주위벽부(11)의 내주를 복귀 구멍(12)측의 하방을 향해 이동하는 윤활유(OL)의 이동 방향을, 돌출벽(42)에 충돌하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유도벽(40a)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극저온(예를 들어, -40℃)의 환경 하에서의 엔진의 시동 직후와 같이, 윤활유(OL)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윤활유(OL)의 유동성이 현저하게 낮은 경우에, 절결부(41)를 넘을 수 있었던 윤활유(OL)는 절결부(41)의 끝에 위치하는 돌출벽(42)에 의해 이동이 저해된다.
이 경우에는, 돌출벽(42)의 부근에 윤활유(OL)가 체류하고, 체류한 윤활유(OL)의 양이 많아지면, 절결부(41)로부터 주위벽부(11)측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또한, 윤활유(OL)의 유동성이 높은 경우에는, 유도벽(40a)에 의해 유도되고 돌출벽(42)에 충돌한 윤활유(OL)는 이동 방향이, 돌출벽(42)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절결부(41)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전된다.
이 경우에도 윤활유(OL)가 절결부(41)로부터 주위벽부(11)측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X1, X2) 방향으로 볼 때 변속기 케이스(10)에는 돌출벽(42)과 주위벽부(11) 사이이며, 보스부(33)와 볼트 자리부(112) 사이의 영역에 연통 구멍(13)이 개구되어 있다.
이 연통 구멍(13)은 볼트 자리부(112)의 근방에서, 복귀 구멍(12)의 개구 방향[도 2의 (b)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위벽부(11)의 내측의 수용실(20)과, 밸브 바디 수용실(30)[오일 팬(17)측의 공간]이 연통 구멍(13)을 통해 서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 구멍(13)은 컨트롤 밸브(50)에 부설된 오일 스트레이너(51)의 상측이 되는 위치에 개구하고 있다.
상기한 복귀 구멍(12)은 컨트롤 밸브(50)의 상측이 되는 위치에 개구되어 있고, 컨트롤 밸브(50)는 오일 스트레이너(51)보다도 두껍고, 또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통 구멍(13)으로부터 밸브 바디 수용실(30)로 배출된 윤활유(OL)의 쪽이, 복귀 구멍(12)으로부터 밸브 바디 수용실(30)로 배출된 윤활유(OL)보다도,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에 도달할 때까지의 이동 거리가 짧으므로, 윤활유(OL)가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에, 보다 단시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윤활유 배출 구조(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변속 기구부(15)의 프라이머리 풀리(Pa)와 세컨더리 풀리(Pb)로부터, 수용실(20) 내에 방출된 윤활유(OL)는 수용실(20)의 저면(201)[도 2의 (c) 참조]이나, 주위벽부(11)의 내주면(11b)[도 2의 (b) 참조]에 부착된다.
그리고, 저면(201)에 부착된 윤활유(OL) 중, 연장 돌출벽(40)이 설치된 영역에 도달한 윤활유는 수용실(20)의 개구가 사이드 커버(16)에 의해 밀봉되어 있어 있으므로, 연장 돌출벽(40)의 절결부(41)로부터 연통 구멍(13)을 향해 낙하한다.
한편, 주위벽부(11)의 내주면(11b)에 부착된 윤활유(OL)는 내주면(11b)을 타고, 복귀 구멍(12)이 형성된 하측을 향해 이동한다[도 1의 (a), 도 2의 (b) 참조].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이동하는 윤활유(OL)가 연장 돌출벽(40)이 설치된 영역에 도달하면, 윤활유(OL)의 이동 방향이 유도벽(40a)에 의해 돌출벽(42)에 충돌하는 방향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유도벽(40a)을 따라 이동한 윤활유(OL)가 돌출벽(42)에 충돌하면, 윤활유(OL)의 이동 방향이 돌출벽(42)에 의해 반전되고, 주위벽부(11)의 내주에 개구되는 연통 구멍(13)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저면(201)이나 내주면(11b)에 부착된 후, 연통 구멍(13)까지 도달한 윤활유(OL)는 최종적으로 연통 구멍(13)을 통해 수용실(20)로부터 밸브 바디 수용실(30) 내로 배출된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 팬(17)측에서 볼 때 연통 구멍(13)은 오일 스트레이너(51)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통 구멍(13)을 통해 밸브 바디 수용실(30) 내에 배출된 윤활유(OL)는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의 근방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비해, 연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연장 돌출벽(40)이 설치된 영역에 도달한 윤활유(OL)는 복귀 구멍(12)이 형성된 영역을 우회하고 나서 밸브 바디 수용실(30)에 배출된다.
그 때문에, 연장 돌출벽(40)이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복귀 구멍(12)까지의 거리와, 복귀 구멍(12)으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까지의 거리의 분만큼 이동 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윤활유(OL)의 온도가 낮고, 윤활유(OL)의 유동성이 낮을 때에, 윤활유(OL)의 오일 팬(17)측으로의 복귀, 특히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까지의 복귀가 나빠진다.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기 케이스(10)에는 수용실(20)과 밸브 바디 수용실(30)을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13)을 연장 돌출벽(40)이 설치된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연장 돌출벽(40)이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까지의 윤활유(OL)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윤활유(OL)의 온도가 낮고, 윤활유(OL)의 유동성이 낮을 때에, 윤활유(OL)의 오일 팬(17)측으로의 복귀, 특히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까지의 복귀가 나빠지는 정도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에서는
(1)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의 변속기 케이스(10)에, 변속 기구부(15)의 수용실(20)을 둘러싸는 주위벽부(11)가, 수용실(20)을 측방[프라이머리 풀리(Pa), 세컨더리 풀리(Pb)의 회전축(X1, X2)을 따르는 방향]으로 개구시키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주위벽부(11)에, 연직선(VL) 방향으로 수용실(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일 팬(17)측의 공간[밸브 바디 수용실(30)]과, 수용실(20)을 연통하고, 윤활유(OL)의 복귀 구멍(12)이 형성된 윤활유 배출 구조(1)이며,
주위벽부(11)에는 연직선(VL) 방향으로 복귀 구멍(12)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수용실(20)과 오일 팬(17)측의 공간[밸브 바디 수용실(30)]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주위벽부(11)의 내주면을 타고 복귀 구멍(12)을 향해 이동하는 윤활유(OL)를, 복귀 구멍(12)의 앞의 연통 구멍(13)으로부터 밸브 바디 수용실(30)(오일 팬측의 공간)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윤활유(OL)의 수용실(20)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윤활유(OL)의 온도가 낮고, 윤활유(OL)의 유동성이 낮을 때라도, 윤활유(OL)를, 보다 단시간에 밸브 바디 수용실(30)로 복귀시킬 수 있다.
(2) 주위벽부(11)에는 복귀 구멍(12)과 연통 구멍(13) 사이에, 복귀 구멍(12)을 향하는 윤활유(OL)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벽(42)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복귀 구멍(12)을 향하는 윤활유(OL)가 돌출벽(42)에 충돌하므로, 윤활유(OL)의 이동 방향을, 연통 구멍(13)을 향하는 측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 많은 윤활유(OL)를, 연통 구멍(13)으로부터 밸브 바디 수용실(30)측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3) 주위벽부(11)의 내주에는 윤활유(OL)를 돌출벽(42)으로 유도하는 유도벽(40a)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윤활유(OL)를 돌출벽(42)에 확실하게 충돌시켜, 윤활유(OL)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변경된 윤활유(OL)의 이동 방향을, 연통 구멍(13)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으로써, 더 많은 윤활유(OL)를, 연통 구멍(13)으로부터 밸브 바디 수용실(3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4) 주위벽부(11)에는 당해 주위벽부(11)의 내주로부터 수용실(20) 내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벽(40)이 설치되어 있고, 연장 돌출벽(40)에는 당해 연장 돌출벽(40)의 내주측과 외주측을 연통하는 절결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연통 구멍(13)은 연장 돌출벽(40)의 주위벽부(11)측에서 절결부(41)에 대향하고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연장 돌출벽(40)을 따라 이동하는 윤활유(OL)를, 절결부(41)로부터 연통 구멍(13)을 향해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윤활유(OL)를, 연통 구멍(13)으로부터 밸브 바디 수용실(3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5) 연장 돌출벽(40)에는 당해 연장 돌출벽(4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절결부(41)보다 앞쪽에, 돌출벽(42)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돌출벽(42)에 의해 이동이 저해된 윤활유(OL)를, 절결부(41)로부터 연통 구멍(13)을 향해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윤활유(OL)를, 연통 구멍(13)으로부터 밸브 바디 수용실(3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극저온(예를 들어, -40℃)의 환경 하에서의 엔진의 시동 직후와 같이, 윤활유(OL)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윤활유(OL)의 유동성이 현저하게 낮은 경우에는, 주위벽부(11)의 내주에 부착된 윤활유(OL)는 어느 정도의 질량의 덩어리가 될 때까지, 복귀 구멍(12)을 향해 이동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질량의 덩어리가 된 윤활유(OL)는 연직선(VL)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이동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연장 돌출벽(40)의 도중에 절결부(41)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41)의 하방에서 연통 구멍(13)을 개구시킴으로써, 어느 정도의 질량의 덩어리가 된 윤활유(OL)를 적극적으로 밸브 바디 수용실(3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절결부(41)보다도 보스부(33)측에 돌출벽(42)이 설치되어 있고, 덩어리가 된 윤활유(OL)가 절결부(41)를 넘은 경우라도, 윤활유(OL)의 복귀 구멍(12)측으로의 이동이 돌출벽(42)에 의해 저지된다.
그렇게 하면, 돌출벽(42)에 의해 이동이 저해된 윤활유(OL)에, 새롭게 도달한 윤활유(OL)의 덩어리가 합류하면, 커진 윤활유(OL)의 덩어리가 절결부(41)로부터 연통 구멍(13)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유동성이 낮은 윤활유(OL)의 덩어리를 연통 구멍(13)으로 유도하고, 더 많은 윤활유(OL)를, 연통 구멍(13)으로부터 밸브 바디 수용실(3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윤활유(OL)의 유동성이 높은 경우에는, 유도벽(40a)에 의해 유도되고 돌출벽(42)에 충돌한 윤활유(OL)는 이동 방향이, 돌출벽(42)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절결부(41)측으로 반전된다. 따라서, 절결부(41)로부터 배출된 윤활유(OL)를, 연통 구멍(13)을 향해 적절하게 유도할 수 있다.
(6) 연장 돌출벽(40)에는 당해 연장 돌출벽(4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절결부(41)보다도 전방측의 유도벽(40a)이, 윤활유(OL)를 돌출벽(42)으로 유도하는 유도벽(40a)으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윤활유(OL)의 유동성이 높은 경우에는, 유도벽(40a)에 의해 유도되고 돌출벽(42)에 충돌한 윤활유(OL)는 이동 방향이, 돌출벽(42)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절결부(41)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전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윤활유(OL)를, 절결부(41)로부터 주위벽부(11)측의 하방으로 배출시키고, 연통 구멍(13)으로부터 밸브 바디 수용실(3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7) 밸브 바디 수용실(30)(오일 팬측의 공간)에 있어서 연통 구멍(13)은 복귀 구멍(12)보다도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의 근방에서 개구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연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연장 돌출벽(40)이 설치된 영역에 도달한 윤활유(OL)가,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까지의 이동 거리가 짧아진다.
이에 의해, 윤활유(OL)의 온도가 낮고, 윤활유(OL)의 유동성이 낮을 때에, 윤활유(OL)의 오일 팬(17)측으로의 복귀, 특히 오일 스트레이너(51)의 흡입구(51a)까지의 복귀가 나빠지는 정도를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변형예에 관한 윤활유 배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보스부(33)의 프라이머리 풀리(Pa)측[회전축(X1)측]을 우회시켜, 윤활유(OL)를 복귀 구멍(12)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연장 돌출벽(40)을 이용하여, 윤활유 배출 구조(1)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했다.
윤활유 배출 구조(1)는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 돌출벽(4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호형 돌출벽(43)을 보스부(33)에 설치한 구성의 윤활유 배출 구조(1A)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돌출벽(43)을 보스부(33)로부터 볼트 자리부(112)측으로 돌출시켜 설치함과 함께, 이 돌출벽(43)의 곡률 반경이 큰 면을 볼트 자리부(112)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 돌출벽(43)의 선단(43a)측으로 윤활유(OL)의 이동을 저지하면서, 이동이 저지된 윤활유(OL)를 연통 구멍(13)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 돌출벽(43)과 연통 구멍(13)을 갖는 윤활유 배출 구조(1A)로 함으로써도, 상기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벽부(11)의 내주면(11b)으로부터, 수용실(20)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벽(44)을 설치하고, 이 돌출벽(44)을, 보스부(33)와 볼트 자리부(112)의 호상의 외주끼리를 접속하는 가상선(Lm)까지 미치는 길이로 형성하고, 이 돌출벽(44)에 의해, 윤활유(OL)를 연통 구멍(13)으로 유도하는 구성으로 한 구성의 윤활유 배출 구조(1B)로 해도 된다.
이 돌출벽(44)과 연통 구멍(13)을 갖는 윤활유 배출 구조(1B)로 함으로써도, 상기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1, 1A, 1B : 윤활유 배출 구조
10 : 변속기 케이스
11 : 주위벽부
11a : 접합면
11b : 내주면
12 : 복귀 구멍
13 : 연통 구멍
15 : 변속 기구부
16 : 사이드 커버
17 : 오일 팬
20 : 수용실
21 : 주위벽부
21a : 접합면
30 : 밸브 바디 수용실
31 : 주위 벽부
31a : 접합면
32 : 설치부
32a : 단부면
33 : 보스부
40 : 연장 돌출벽
40a : 유도벽
41 : 절결부
42, 43, 44 : 돌출벽
50 : 컨트롤 밸브
51 : 오일 스트레이너
51a : 흡입구
111 : 볼트 구멍
112 : 볼트 자리부
201 : 저면
Lm : 가상선
OL : 윤활유
Pb : 세컨더리 풀리
Pa : 프라이머리 풀리
R : 직경선
TL : 접선
V : 벨트
VL : 연직선
X1 : 회전축
X2 : 회전축

Claims (7)

  1.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의 변속기 케이스에, 변속 기구부의 수용실을 둘러싸는 주위벽부가, 상기 수용실을 측방으로 개구시키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위벽부에, 연직선 방향으로 상기 수용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일 팬측의 공간과, 상기 수용실을 연통하고, 윤활유의 복귀 구멍이 형성된 윤활유 배출 구조이며,
    상기 주위벽부에는 상기 연직선 방향으로 상기 복귀 구멍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상기 수용실과 상기 오일 팬측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위벽부에는, 당해 주위벽부의 내주로부터 상기 수용실 내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장 돌출벽에는 당해 연장 돌출벽의 내주측과 외주측을 연통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은 상기 연장 돌출벽의 외주측에서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 돌출벽에는, 당해 연장 돌출벽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절결부보다 앞쪽에, 돌출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배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돌출벽에는, 당해 연장 돌출벽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절결부보다도 전방측이, 상기 윤활유를 상기 돌출벽으로 유도하는 유도벽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배출 구조.
  3.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의 변속기 케이스에, 변속 기구부의 수용실을 둘러싸는 주위벽부가, 상기 수용실을 측방으로 개구시키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위벽부에, 연직선 방향으로 상기 수용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일 팬측의 공간과, 상기 수용실을 연통하고, 윤활유의 복귀 구멍이 형성된 윤활유 배출 구조이며,
    상기 주위벽부에는 상기 연직선 방향으로 상기 복귀 구멍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상기 수용실과 상기 오일 팬측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 팬측의 공간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은 상기 복귀 구멍보다도 오일 스트레이너의 흡입구의 근방에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배출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벽부에는, 상기 복귀 구멍과 상기 연통 구멍 사이에 돌출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배출 구조.
  5.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의 변속기 케이스에, 변속 기구부의 수용실을 둘러싸는 주위벽부가, 상기 수용실을 측방으로 개구시키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위벽부에, 연직선 방향으로 상기 수용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일 팬측의 공간과, 상기 수용실을 연통하고, 윤활유의 복귀 구멍이 형성된 윤활유 배출 구조이며,
    상기 주위벽부에는 상기 연직선 방향으로 상기 복귀 구멍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상기 수용실과 상기 오일 팬측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위벽부에는, 상기 복귀 구멍과 상기 연통 구멍 사이에 상기 주위벽부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돌출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배출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벽부의 내주에는, 상기 윤활유를 상기 돌출벽으로 유도하는 유도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배출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벽부의 내주에는, 상기 윤활유를 상기 돌출벽으로 유도하는 유도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배출 구조.
KR1020170166383A 2016-12-10 2017-12-06 윤활유 배출 구조 KR102005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9931 2016-12-10
JP2016239931A JP6879727B2 (ja) 2016-12-10 2016-12-10 潤滑油排出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419A KR20180067419A (ko) 2018-06-20
KR102005639B1 true KR102005639B1 (ko) 2019-07-30

Family

ID=6263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383A KR102005639B1 (ko) 2016-12-10 2017-12-06 윤활유 배출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6879727B2 (ko)
KR (1) KR102005639B1 (ko)
CN (2) CN1082237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9727B2 (ja) * 2016-12-10 2021-06-02 ジヤトコ株式会社 潤滑油排出構造
JP7171130B2 (ja) * 2018-07-03 2022-11-15 ジヤトコ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8430A (ja) * 2012-11-14 2014-05-29 Honda Motor Co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オイル排出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07984D0 (en) * 1987-04-03 1987-05-07 Gkn Axles Lubrication of gearing
JPH0329755U (ko) * 1989-08-02 1991-03-25
JP3005528B1 (ja) * 1998-07-24 2000-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
JP4220443B2 (ja) * 2004-08-06 2009-02-04 ジヤトコ株式会社 変速制御用アクチュエータの冷却構造
JP5059920B2 (ja) * 2010-08-31 2012-10-31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
JP5297473B2 (ja) * 2011-02-04 2013-09-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5722117B2 (ja) * 2011-05-17 2015-05-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オイル排出構造
US8834307B2 (en) * 2011-10-06 2014-09-16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5480873B2 (ja) * 2011-11-24 2014-04-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
JP5649620B2 (ja) * 2012-07-13 2015-01-07 ジヤトコ株式会社 変速機ケースにおける潤滑油排出構造
WO2014054411A1 (ja) * 2012-10-04 2014-04-10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における摩擦締結要素の潤滑構造
JP6129139B2 (ja) * 2014-10-30 2017-05-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減速機の潤滑構造
JP6879727B2 (ja) * 2016-12-10 2021-06-02 ジヤトコ株式会社 潤滑油排出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8430A (ja) * 2012-11-14 2014-05-29 Honda Motor Co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オイル排出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419A (ko) 2018-06-20
JP7126801B2 (ja) 2022-08-29
JP6879727B2 (ja) 2021-06-02
JP2018096416A (ja) 2018-06-21
CN113294514A (zh) 2021-08-24
CN108223771B (zh) 2021-03-12
CN108223771A (zh) 2018-06-29
JP2021152409A (ja)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639B1 (ko) 윤활유 배출 구조
CN104487740B (zh) 挡板和具有该挡板的变速器
US9528595B2 (en)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060060424A1 (en) Baffle plate
US20170114886A1 (en) Vehicle drive device
US20170009872A1 (en) Power transfer device
CN104968975A (zh) 车辆用驱动装置
CN108431384B (zh) 涡轮增压器
EP3306138B1 (en) Belt type stepless transmission
US10837541B2 (en) Lubricant guiding structure in automatic transmission
US20180283533A1 (en) Control device unit installation structure for transmission
JP6562050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US10309520B2 (en) Snubber with scoop feature for automotive transmission
KR20190008093A (ko) 자동 변속기
US20220260150A1 (en) Vehicle drivetrain lubrication system
KR20190008092A (ko) 자동 변속기
JP6478893B2 (ja) 自動変速機
KR101547728B1 (ko) 변속기 케이스에 있어서의 윤활유 배출 구조
US11215274B2 (en) Lubrication mechanism for vehicle drive-force transmitting apparatus
JP2019143744A (ja) 駆動装置
JP2017061865A (ja) 可変オイルポンプ
JP5983104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240183440A1 (en) Driving force transmission device
US20240229921A1 (en) Unit
JP2018150947A (ja) 駆動力伝達ギ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