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977B1 - 유기 el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el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977B1
KR102001977B1 KR1020147025254A KR20147025254A KR102001977B1 KR 102001977 B1 KR102001977 B1 KR 102001977B1 KR 1020147025254 A KR1020147025254 A KR 1020147025254A KR 20147025254 A KR20147025254 A KR 20147025254A KR 102001977 B1 KR102001977 B1 KR 102001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rdation film
layer
film
resin composition
retar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064A (ko
Inventor
도모카즈 기노히라
고헤이 후지이
다카시 모리타
?스케 야마나카
다쿠 하타노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광출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기판, 투명 전극, 발광층 및 금속 전극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로서, 상기 기판의 광출사측에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이,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 및 폴리아릴렌 에터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A)에 있어서의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와 폴리아릴렌 에터의 비율이,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폴리아릴렌 에터의 중량비로 65:35∼55:45이며,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또한 파장 550nm에서의 Nz 계수가 -0.25∼-0.05인, 유기 EL 표시 장치.

Description

유기 EL 표시 장치{ORGANIC E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판을 구비하고,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며 반사 방지 효과가 높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는, 관측자에 대하여 발광층의 이측(裏側)에 금속 전극을 갖고 있다. 이 표시 장치는, 외광이 존재하는 것에 의해, 그 금속 전극으로부터의 반사광이 발생하거나, 또한 관측자측의 풍경이 비쳐 들어가거나 하는 것에 의해, 현저히 표시 품위를 낮춰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금속 반사를 막을 목적으로 원편광판을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발광 소자의 전면(前面) 기판 상에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원편광판은 편광판과 4분의 1 파장판인 위상차 필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고분자 필름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 배향 필름 등을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위상차 필름을 원편광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위상차가 4분의 1 파장이 되는 어떤 특정한 파장만으로 양호한 반사 방지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가시광, 예컨대 파장 400nm∼700nm와 같은 광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반사 방지를 얻을 수 없고, 그 결과, 반사광이 물들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위상차 필름으로서 파장 450nm 및 550nm에서의 위상차가 |R(450)|<|R(55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단, |R(450)|, |R(550)|은 각각 파장 450nm, 550nm에서의 면내 위상차의 절대값(nm)을 나타낸다.) 반사 방지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내부에 구비된 금속 전극 등의 반사성이 큰 반사면에 의한 광 반사를, 광대역의 파장에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24922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반사 방지 필름을 유기 EL 소자에 이용한 경우, 시야각 특성이 불충분하여,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콘트라스트가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필름의 가요성이 불충분하여, 제조 공정에 있어서 필름이 파단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며 반사 방지 효과가 높은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으로서,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와 폴리아릴렌 에터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고,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및 파장 550nm에서의 Nz 계수가 특정한 범위에 있는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 [1]∼[12]가 제공된다.
[1] 광출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기판, 투명 전극, 발광층 및 금속 전극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로서,
상기 기판의 광출사측에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이,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 및 폴리아릴렌 에터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A)에 있어서의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와 폴리아릴렌 에터의 비율이,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폴리아릴렌 에터의 중량비로 65:35∼55:45이며,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또한
파장 550nm에서의 Nz 계수가 -0.25∼-0.05인, 유기 EL 표시 장치.
(단, Re450, Re550 및 Re650은 각각 측정 파장 450nm, 550nm 및 650nm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을 나타내고,
Nz 계수는 (nx-nz)/(nx-ny)를 나타내며,
nx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nz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2] 상기 위상차 필름의 Re450/Re550이 0.80 이상 0.90 이하인, [1]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3] 상기 위상차 필름의 파장 550nm에서의 복굴절 Δn(단, Δn=nx-ny이다)이 0.0020 이상 0.0050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4] 상기 위상차 필름의 두께가 80μm 이하인,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5] 상기 폴리아릴렌 에터가 페닐렌 에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6] 상기 위상차 필름의 측정 파장 550nm에서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Re550이 110nm∼150nm인,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7]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장척의 연신전 필름을, 그 장척 방향에 대하여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8]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과, 상기 P1층에 접하여 설치된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을 갖는 장척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그 장척 방향에 대하여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9]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과, 상기 P1층에 접하여 설치된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을 갖는 장척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그 장척 방향에 대하여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로 연신하여, P1층이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p1층과, P2층이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p2층을 갖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얻은 후, p2층을 박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10] 상기 열가소성 수지(B)가, 아크릴 수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8] 또는 [9]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11] 상기 장척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가, 상기 수지 조성물(A)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B)를 공압출 또는 공유연하여 얻어진 것인, [8]∼[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12] 상기 연신을, 상기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Tg)에 대하여, (Tg-15)℃ 이상 (Tg+1)℃ 이하의 온도에서 행한 것인, [7]∼[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며 반사 방지 효과가 높은 유기 EL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색미도(色味圖)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색미도이다.
도 5는 실시예 3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색미도이다.
도 7은 비교예 1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도이다.
도 8은 비교예 1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색미도이다.
도 9는 비교예 2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도이다.
도 10은 비교예 2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색미도이다.
도 11은 비교예 4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도이다.
도 12는 비교예 4에서 얻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색미도이다.
이하, 실시형태 및 예시물 등을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및 예시물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의 양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광출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기판, 투명 전극, 발광층 및 금속 전극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의 광출사측에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판을 구비한다.
(수지 조성물(A))
상기 위상차 필름은,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와 폴리아릴렌 에터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한다. 여기서,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가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다란,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입체 화학 구조가 신디오택틱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신디오택틱 구조란, 탄소-탄소 결합으로 형성되는 주쇄에 대하여, 측쇄인 페닐기가, 피셔 투영식에 있어서, 교대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입체 구조를 말한다.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택티시티(tacticity: 입체 규칙성)는, 동위체 탄소에 의한 핵 자기 공명법(13C-NMR법)에 의해 정량될 수 있다. 13C-NMR법에 의해 측정되는 택티시티는, 연속하는 복수개의 구성 단위의 존재 비율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연속하는 구성 단위가 2개인 경우는 다이아드, 3개인 경우는 트라이아드, 5개인 경우는 펜타드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란, 라세미 다이아드로 통상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의 신디오택티시티를 갖거나, 또는 라세미 펜타드로 통상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의 신디오택티시티를 갖는 것을 말한다.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는, 스타이렌 또는 스타이렌 유도체(이하, 적절히 스타이렌 및 스타이렌 유도체를 「스타이렌류」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단독중합체 또는 다른 임의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스타이렌 유도체란, 스타이렌의 벤젠환 또는 α 위치에 치환기가 치환된 것을 들 수 있다. 스타이렌류의 예를 들면, 스타이렌; 메틸스타이렌, 2,4-다이메틸스타이렌 등의 알킬스타이렌; 클로로스타이렌 등의 할로젠화 스타이렌; 클로로메틸스타이렌 등의 할로젠 치환 알킬스타이렌; 메톡시스타이렌 등의 알콕시스타이렌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스타이렌 또는 스타이렌 유도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에 이용되는 상기 임의의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아크릴로나이트릴, 무수 말레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뷰타다이엔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중에서도, 위상차 발현성이 높은 것, 및 폴리아릴렌 에터와의 상용성이라는 관점에서, 스타이렌 또는 스타이렌 유도체의 단독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스타이렌의 단독중합체인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이 바람직하다. 한편, 임의의 모노머를 공중합하는 경우에도, 폴리아릴렌 에터 수지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임의의 모노머의 중합비가 5중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통상 13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4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0 이상이며, 통상 30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7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00 이하이다. 이와 같은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하면,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높여, 위상차 필름의 내열성을 안정되게 개선할 수 있다.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통상 85℃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이와 같이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높이는 것에 의해,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를 효과적으로 높이고, 나아가서는 위상차 필름의 내열성을 안정되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의 제조를 안정되게 용이하게 행하는 관점에서,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통상 16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는, 예컨대,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 중 또는 용매의 부존재 하에서, 타이타늄 화합물 및 물과 트라이알킬알루미늄의 축합 생성물을 촉매로 하여, 스타이렌류를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좋다(일본 특허공개 소62-187708호 공보 참조). 또한, 폴리(할로젠화 알킬스타이렌)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평1-146912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해도 좋다.
폴리아릴렌 에터는, 아릴렌 에터 골격을 갖는 반복 단위를 주쇄에 갖는 중합체이다. 그 중에서도, 폴리아릴렌 에터로서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페닐렌 에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I]
Figure 112014085497125-pct00001
화학식 I 중, Q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젠 원자, 저급 알킬기(예컨대 탄소수 7개 이하의 알킬기), 페닐기, 할로알킬기, 아미노알킬기, 탄화수소옥시기, 또는 할로탄화수소옥시기(단, 그의 할로젠 원자와 산소 원자를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가 분리하고 있는 기)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Q1로서는 알킬기 및 페닐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I 중, Q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젠 원자, 저급 알킬기(예컨대 탄소수 7개 이하의 알킬기), 페닐기, 할로알킬기, 탄화수소옥시기, 또는 할로탄화수소옥시기(단, 그의 할로젠 원자와 산소 원자를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가 분리하고 있는 기)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Q2로서는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폴리아릴렌 에터는, 1종류의 구조 단위를 갖는 단독중합체(호모폴리머)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구조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코폴리머)여도 좋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단독중합체인 경우, 당해 단독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를 들면, 2,6-다이메틸-1,4-페닐렌 에터 단위(「-(C6H2(CH3)2-O)-」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단독중합체를 들 수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공중합체인 경우, 당해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를 들면, 2,6-다이메틸-1,4-페닐렌 에터 단위와 2,3,6-트라이메틸-1,4-페닐렌 에터 단위(즉, 「-(C6H(CH3)3-O-)-」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조합하여 갖는 랜덤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아릴렌 에터는, 아릴렌 에터 단위 이외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폴리아릴렌 에터는, 아릴렌 에터 단위와 그 이외의 구조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로 된다. 단, 폴리아릴렌 에터 중의 아릴렌 에터 단위 이외의 구조 단위의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히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5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중량%이다.
폴리아릴렌 에터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수지 조성물(A)에 있어서의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와 폴리아릴렌 에터의 비율은,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폴리아릴렌 에터의 중량비로 65:35∼55:45이고, 바람직하게는 63.5:36.5∼56.5:43.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2:38∼58:42이다. 수지의 조성이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연신에 의해 위상차 필름을 성형할 때에, 후술하는 Re450/Re550 및 Re650/Re550이 원하는 범위에 있는 위상차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히 손상시키지 않는 한, 수지 조성물(A)은, 상기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 및 폴리아릴렌 에터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수지 조성물(A)은,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 및 폴리아릴렌 에터 이외에도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 및 폴리아릴렌 에터 이외의 중합체의 양은,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 및 폴리아릴렌 에터의 합계량을 100중량부로 하여, 15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0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수지 조성물(A)은 배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배합제의 예를 들면, 층상 결정 화합물; 미립자;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내후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근적외선 흡수제 등의 안정제; 가소제: 염료 및 안료 등의 착색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배합제는, 1종류를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배합제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히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로 적절히 정해도 좋고, 예컨대 위상차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을 85%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이다.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는, 통상 1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이다.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가 높을 수록 위상차 필름의 내열성이 우수하다. 단, 유리전이온도를 과도하게 높게 하면 위상차 필름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는 통상 200℃ 이하이다.
(위상차 필름)
본 발명에 이용하는 위상차 필름은,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여기서, Re450, Re550 및 Re650은 각각 측정 파장 450nm, 550nm 및 650nm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을 나타낸다. 이것은 통상, 위상차 필름이 역(逆)파장 분산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것에 의해, 이 위상차 필름을 유기 EL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관찰 각도에 따른 색조의 변화를 작게 하거나, 넓은 파장에 있어서 리타데이션의 보정 등의 효과를 균질하게 얻어지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관하여, Re450/Re550이 0.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88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0.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e650/Re550이 1.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e450, Re550 및 Re650이 이들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 넓은 파장에의 리타데이션의 보정 등의 효과를 보다 균질하게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 필름은, 측정 파장 550nm에서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Re550이, 110nm 이상 15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위상차 필름을 1/4파장판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편광 필름과 적층함으로써 원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한편, 각 측정 파장에서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Re450, Re550 및 Re650)은, |nx-ny|×d(식 중, nx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d는 막 두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값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위상차 필름은, 파장 550nm에서의 복굴절 Δn이, 0.00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Δn은 0.00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Δn=nx-ny이며, nx 및 ny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Δn이 이 범위이면, 위상차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광학 특성의 경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위상차 필름은, 파장 550nm에서의 Nz 계수가 -0.25∼-0.05, 바람직하게는 -0.18∼-0.10이다. 여기서 Nz 계수는 (nx-nz)/(nx-ny)로 표시되는 값이다(식 중, nx 및 ny는 상기와 마찬가지이고, nz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z 계수가 이 범위인 위상차 필름은, 경사 연신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를 시야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광학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관점에서, 그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1997에 준거하여, 닛폰덴쇼쿠공업사(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제 「탁도계 NDH-300A」를 이용하여 5개소 측정하고, 그것으로부터 구한 평균값이다.
위상차 필름의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헤이즈를 낮은 값으로 하는 것에 의해, 위상차 필름을 조립한 표시 장치의 표시 화상의 선명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헤이즈는, JIS K7361-1997에 준거하여, 닛폰덴쇼쿠공업사제 「탁도계 NDH-300A」를 이용하여 5개소 측정하고, 그것으로부터 구한 평균값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위상차 필름은, ΔYI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ΔYI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착색이 없어 시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ΔYI는 ASTM E313에 준거하여, 닛폰덴쇼쿠공업사제 「분광색차계 SE2000」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측정을 5회 행하여, 그 산술 평균값으로서 구한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통상 5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8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이며, 통상 5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8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이다.
(그 밖의 층)
본 발명에 이용하는 위상차 필름은,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만을 갖는 필름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하는 위상차 필름은, 그 광학적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로, 임의로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 외의 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과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 외의 층을 갖는 적층체로서의 위상차 필름을, 이하, 「복층 위상차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복층 위상차 필름은, 위상차 필름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투명 수지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위상차 필름의 강도를 보충할 수 있는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B)를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B)로서는, 아크릴 수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 또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B)는, 후술하는 연신의 조건에서, 광학 이방성이 발현되지 않는 수지인 것이,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미연신 필름과의 공연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B)를 구성하는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아크릴 중합체란,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아크릴 중합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터, 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 등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아크릴 수지는 강도가 높고 경성이기 때문에, 아크릴 수지층에 의해서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으므로, 복층 위상차 필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과 탄소수 1∼15의 알칸올 또는 사이클로알칸올로부터 유도되는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8의 알칸올로부터 유도되는 구조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에스터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 i-프로필, 아크릴산 n-뷰틸, 아크릴산 i-뷰틸, 아크릴산 sec-뷰틸, 아크릴산 t-뷰틸, 아크릴산 n-헥실, 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 아크릴산 n-옥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n-데실, 아크릴산 n-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크릴산 에스터의 구체예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n-프로필, 메타크릴산 i-프로필, 메타크릴산 n-뷰틸, 메타크릴산 i-뷰틸, 메타크릴산 sec-뷰틸, 메타크릴산 t-뷰틸, 메타크릴산 n-헥실, 메타크릴산 n-옥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n-데실, 메타크릴산 n-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히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예컨대 하이드록실기, 할로젠 원자 등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은 치환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뷰틸,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4-하이드록시뷰틸, 메타크릴산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만의 중합체여도 좋고,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와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여도 좋다.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이외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 단량체, 및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단량체, 알켄일 방향족 단량체, 공액 다이엔 단량체, 비공액 다이엔 단량체, 카복실산 불포화 알코올 에스터 및 올레핀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들 아크릴 중합체 중, 폴리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는 고무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아크릴 수지의 가요성을 높여, 복층 위상차 필름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무 입자에 의해서 아크릴 수지층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당해 층의 표면에서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통상은, 아크릴 수지층의 표면의 미끄러짐성을 높일 수 있다.
고무 입자를 형성하는 고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에스터 중합체 고무, 뷰타다이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고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터 중합체 고무로서는, 예컨대, 뷰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량체 단위의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뷰틸 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아크릴산 에스터 중합체 고무 및 뷰타다이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고무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 입자에는 2종류 이상의 고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그들 고무는,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어도 좋지만, 층상으로 된 것이어도 좋다. 고무가 층상으로 된 고무 입자의 예로서는, 뷰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스타이렌을 그래프트화한 고무 탄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한쪽 또는 양쪽과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층(쉘)이, 코어-쉘 구조로 층을 형성하고 있는 입자를 들 수 있다.
고무 입자는, 수 평균 입자경이 0.05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0.3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 평균 입자경을 상기 범위 내로 하는 것에 의해, 아크릴 수지층의 표면에 적절한 요철을 형성하여, 복층 위상차 필름의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무 입자의 양은, 아크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이다. 고무 입자의 양을 상기 범위 내로 하는 것에 의해 복층 위상차 필름의 내충격성을 높여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히 손상시키지 않는 한, 아크릴 중합체 및 고무 입자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아크릴 중합체 이외에 다른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단, 본 발명의 이점을 현저히 발휘시키는 관점에서는, 아크릴 수지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및 고무 입자 이외의 중합체의 양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 및 고무 입자 이외의 중합체의 구체적인 양은, 예컨대 아크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중량부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을 현저히 발휘시키는 관점에서는, 아크릴 수지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이외의 중합체의 양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 이외의 중합체의 구체적인 양은, 예컨대 아크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중량부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통상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며, 통상 1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다.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수지 펠렛을 고온에서 건조했을 때의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연신 시에서의 아크릴 중합체의 배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이 발휘하는 광학적 기능을 저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를 TgA로 하면, TgA-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TgA-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연신의 온도 조건에서 P1층의 파단을 막을 수 있고, Δn, Re550 및 Re450/Re550이 원하는 범위에 있는 위상차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B)를 구성하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중합체의 반복 단위 중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이며, 주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 및 측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주쇄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로서는, 예컨대, 포화 지환식 탄화수소(사이클로알케인) 구조, 불포화 지환식 탄화수소(사이클로알켄, 사이클로알카인)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 강도,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사이클로알케인 구조 및 사이클로알켄 구조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사이클로알케인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는, 하나의 지환식 구조당,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의 범위일 때에, 기계 강도, 내열성 및 필름의 성형성이 고도로 균형 잡혀 적합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중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중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 이 범위에 있으면,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예로서는, 노보넨계 중합체, 단환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환상 공액 다이엔계 중합체, 바이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노보넨계 중합체는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노보넨계 중합체의 예로서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다른 임의의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수소화물;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다른 임의의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 수소화물은, 성형성, 내열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특히 적합하다. 여기서 「(공)중합체」란,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말한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바이사이클로[2.2.1]헵트-2-엔(관용명: 노보넨), 트라이사이클로[4.3.0.12,5]데카-3,7-다이엔(관용명: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7,8-벤조트라이사이클로[4.3.0.12,5]데카-3-엔(관용명: 메타노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 테트라사이클로[4.4.0.12,5.17,10]도데카-3-엔(관용명: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및 이들 화합물의 유도체(예컨대, 환에 치환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치환기로서는, 예컨대 알킬기, 알킬렌기, 극성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복수개가 환에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개환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헵텐, 사이클로옥텐 등의 모노 환상 올레핀류 및 그의 유도체; 사이클로헥사다이엔, 사이클로헵타다이엔 등의 환상 공액 다이엔 및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개환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 및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는, 예컨대, 단량체를 공지된 개환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 중합 또는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좋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부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등의 탄소수 2∼20의 α-올레핀 및 이들의 유도체; 사이클로뷰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등의 사이클로올레핀 및 이들의 유도체; 1,4-헥사다이엔, 4-메틸-1,4-헥사다이엔, 5-메틸-1,4-헥사다이엔 등의 비공액 다이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부가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및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는, 예컨대, 단량체를 공지된 부가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 중합 또는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좋다.
단환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로서는, 예컨대,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헵텐, 사이클로옥텐 등의 단환을 갖는 환상 올레핀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환상 공액 다이엔계 중합체로서는, 예컨대, 1,3-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공액 다이엔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를 환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중합체; 사이클로펜타다이엔, 사이클로헥사다이엔 등의 환상 공액 다이엔계 모노머의 1,2- 또는 1,4-부가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바이닐 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로서는, 예컨대, 바이닐사이클로헥센, 바이닐사이클로헥세인 등의 바이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모노머의 중합체 및 그의 수소화물;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등의 바이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모노머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에 포함되는 방향환 부분을 수소화하여 이루어지는 수소화물; 바이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모노머, 또는 바이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모노머와 이들 바이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모노머에 대하여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의, 방향환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예컨대, 다이블록 공중합체, 트라이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이상의 멀티블록 공중합체, 및 경사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도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다. 유리전이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고온 하에서의 내구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고, 지나치게 높은 것은, 내구성은 향상되지만 통상의 연신 가공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를 TgA로 하면, TgA-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TgA-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연신의 온도 조건에서 P1층의 파단을 막을 수 있고, 또한 Re450/Re550이 원하는 범위에 있는 위상차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B)를 구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로서는, 카보네이트 결합 (-O-C(=O)-O-)에 의한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이면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로서는, 비스페놀 Z를 유래로 하는 하기 화학식 II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A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SABIC사제의 렉산(LEXA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II]
Figure 112014085497125-pct00002
화학식 II에 있어서, R1∼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젠 원자, 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R9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9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Z는, 그것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탄소수 4∼11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소환을 형성하는 잔기이다. 상기 탄소환은, 탄소수가 6인 포화 탄소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1(또는 R3)은, 탄소수 1∼10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R6(또는 R8)은, 탄소수 1∼10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II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A는, 화학식 III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II]
Figure 112014085497125-pct00003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로서는, 상기 반복 단위 A에 더하여, 비스페놀 A를 유래로 하는 하기 화학식 IV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B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 반복 단위 B가 화학식 V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복 단위 A와 반복 단위 B의 조합에 있어서, 화학식 II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A의 1몰에 대하여, 화학식 IV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B의 양이 0.6몰 이상 1.5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의 조성을 상기 적합한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연신 시에 광학 이방성의 발현이 작은 수지로 할 수 있다.
[화학식 IV]
Figure 112014085497125-pct00004
화학식 IV에 있어서, R10∼R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젠 원자, 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화학식 V]
Figure 112014085497125-pct0000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Tg는, 통상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유리전이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고온 하에서의 내구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고, 지나치게 높은 것은, 내구성은 향상되지만 통상의 연신 가공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열가소성 수지(B)는, 예컨대 배합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배합제의 예로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A)이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배합제와 마찬가지의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배합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배합제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히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이용하는 위상차 필름은, 상기의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한다. 통상은, 수지 조성물(A)을 성형하여 장척의 연신전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연신전 필름에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위상차 필름을 얻는다. 여기서, 필름이 「장척」이란, 그 폭에 대하여, 적어도 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10배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보관 또는 운반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장척의 필름은 제조 라인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제조 공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이 때문에,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각 공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인라인으로 간편하면서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신전 필름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유연법 등을 이용해도 좋지만, 제조 효율의 관점, 및 필름 중에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을 잔류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용융 압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용융 압출 성형은, 예컨대 T 다이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연신전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μm 이하이다.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리타데이션 및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가요성 및 취급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얻어진 연신전 필름을 연신하면, 필름에 리타데이션이 발현되어,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 이 때, 발현된 리타데이션은 역파장 분산성을 갖게 된다. 역파장 분산성을 발현하는 기구는, 다음과 같다고 추찰된다.
파장 400nm∼700nm의 가시 영역에 있어서, 통상, 양의 고유 복굴절값을 갖는 폴리아릴렌 에터의 파장 분산성이, 음의 고유 복굴절값을 갖는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파장 분산성보다도 커져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A)에서는, 저파장측에서는 폴리아릴렌 에터의 배향에 의한 영향보다도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배향에 의한 영향이 약간 크고, 또한, 장파장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배향에 의한 영향이 보다 크게 나타나도록, 그 배합 등이 조정되어 있다.
여기서, 연신전 필름을 연신하는 것에 의해 발현되는 리타데이션은, 통상,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A)이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에터가 배향되는 것에 의해 발현되는 리타데이션과,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가 배향되는 것에 의해 발현되는 리타데이션의 차가 된다. 그렇다면, 상기와 같이 장파장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의 영향이 커지도록 조정되어 있으면, 역파장 분산성의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연신의 조작으로서는, 예컨대, 롤 사이의 주속(周速)의 차를 이용하여 장척 방향으로 1축 연신하는 방법(종1축 연신); 텐터를 이용하여 폭 방향으로 1축 연신하는 방법(횡1축 연신); 종1축 연신과 횡1축 연신을 순서대로 행하는 방법(축차 2축 연신); 연신전 필름의 장척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경사 연신)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사 연신을 채용하면 통상은 경사 방향에 지상축을 갖는 장척의 위상차 필름이 얻어지기 때문에, 장척의 위상차 필름으로부터 직사각형의 제품을 잘라낼 때의 낭비가 적어, 대면적의 위상차 필름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사 방향」이란, 평행하지도 않고, 직교도 아닌 방향을 의미한다.
경사 연신의 구체적인 방법의 예로서는, 텐터 연신기를 이용한 연신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텐터 연신기로서는, 예컨대, 연신전 필름의 좌우(즉, 수평으로 반송되는 연신전 필름을 MD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의 필름 폭 방향 양단의 좌우)에 있어서, 다른 속도의 송급력, 인장력 또는 인취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텐터 연신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예컨대, TD 방향 또는 MD 방향으로 좌우 등속도의 송급력, 인장력 또는 인취력을 부가하여 좌우 이동하는 거리가 같고 궤도를 비직선으로 하는 것에 의해 경사 방향의 연신을 달성할 수 있는 텐터 연신기도 들 수 있다. 또, 예컨대, 이동하는 거리를 좌우로 다른 거리로 하는 것에 의해 경사 방향의 연신을 달성할 수 있는 텐터 연신기도 들 수 있다.
연신을 경사 방향으로 행하는 경우, 연신전 필름의 장척 방향에 대하여 연신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0° 이상 50° 이하로 되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장척 방향에 대하여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에 배향각을 갖는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 여기서 「배향각」이란, 장척의 위상차 필름의 MD 방향과, 당해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이다.
위상차 필름을 직사각형 형상의 필름편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당해 직사각형의 변 방향에 대하여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에 지상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배향각이 장척 방향에 대하여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에 있으면, 장척의 위상차 필름으로부터 직사각형의 제품을 잘라낼 때에, 장척 방향에 대하여 평행 또는 직교하는 방향에 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필름편을 잘라낼 수 있기 때문에, 제조 효율이 좋고, 또한 대면적화도 용이하다.
연신할 때의 필름 온도는,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를 TgA로 하여, TgA-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TgA-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TgA-13℃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TgA+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TgA+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TgA+1℃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TgA-2℃ 이하인 것이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고, TgA-11℃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은, 1.2배∼6배가 바람직하고, 2.5배∼5.0배가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이 범위이면, 두께가 얇고,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며, 또한 Re550이 원하는 범위에 있는 위상차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연신의 횟수는, 1회여도 좋고, 2회 이상이어도 좋다.
또, 위상차 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전술한 것 이외의 공정을 행해도 좋다. 예컨대, 연신되기 전에 연신전 필름에 대하여 예열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상기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척의 연신전 필름은, 상기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을 갖는 장척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여도 좋다. 연신전 필름 적층체는 P2층을 1층만 구비하고 있어도 좋지만, 2층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예를 들면, 제 1의 P2층과, P1층과, 제 2의 P2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신전 필름 적층체는, 강도가 높은 P2층에 의해서 P1층을 양측에서 끼우도록 하여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P1층으로부터의 블리드 아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P1층으로부터의 블리드 아웃이란, P1층에 포함되는 일부의 성분(예컨대 배합제)이 P1층의 표면으로 배어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연신전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공압출 T 다이법,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라미네이션법 등의 공압출 성형법; 드라이 라미네이션 등의 필름 라미네이션 성형법; 공유연법; 및 수지 필름 표면에 수지 용액을 코팅하는 등의 코팅 성형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압출 성형법은, 제조 효율이나, 연신전 필름 적층체에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을 잔류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압출 성형법을 채용하는 경우, 연신전 필름 적층체는, 예컨대, 수지 조성물(A)과 열가소성 수지(B)를 공압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공압출 성형법으로는, 예컨대, 공압출 T 다이법,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라미네이션법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공압출 T 다이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압출 T 다이법에는 피드 블록 방식 및 멀티 매니폴드 방식이 있지만, 두께의 격차를 적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멀티 매니폴드 방식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압출 T 다이법을 채용하는 경우, T 다이를 갖는 압출기에 있어서의 수지의 용융 온도는, 수지 조성물(A) 및 열가소성 수지(B)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80℃ 높은 온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높은 온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180℃ 높은 온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 높은 온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기에서의 용융 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수지의 유동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고,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수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연신함으로써,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상기 P1층이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층(이하, 「p1층」이라고도 한다.)과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상기 P2층이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층(이하, 「p2층」이라고도 한다.)을 갖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가 얻어진다. 연신의 방법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어느 것이나 채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 적층체는, 전체로서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또한 파장 550nm에서의 Nz 계수가 -0.25∼-0.05인 경우에는, 그대로 위상차 필름으로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p1층에 있어서 별한되는 위상차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원하는 광학 특성을 얻는 관점에서, 연신에 의해서 p2층에서 별한되는 위상차의 절대값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p2층에서는 위상차를 발현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2층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은 1nm 초과 10n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B)의 유리전이온도를 TgB로 하면, 연신전 필름의 연신 온도는, TgB보다 10℃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TgB보다도 20℃∼60℃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의 연신 배율은, 1.1배∼6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연신을 행하는 것에 의해, 연신 시의 P1층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p2층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을 상기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 적층체로부터 p2층을 박리하여 위상차 필름을 얻어도 좋다. 이 경우는 p2층이 발현하는 위상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p1층이 원하는 광학 특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연신전 필름 적층체의 P2층의 두께 및 연신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p2층을 박리하는 경우에는, 박리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B)로서 아크릴 수지 또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전 필름 적층체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P2층의 두께의 범위는, P1층의 두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배 이하이다. 연신전 필름 적층체가 복수의 P2층을 갖고 있는 경우는, 각각의 층이 단층으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의 P2층과, P1층과, 제 2의 P2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연신하여 제 1의 p2층과, p1층과, 제 2의 p2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얻고, 이 위상차 필름 적층체로부터 제 1 및 제 2의 p2층을 박리하여 위상차 필름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강도가 높은 P2층에 의해서 P1층을 양측에서 끼우도록 하여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P1층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고, 높은 연신 배율로 연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높은 연신 배율로 연신함으로써 수지 조성물(A)의 배향에 의한 위상차의 발현이 커지기 때문에, p1층을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p2층을 박리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드 코팅층)
상기의 위상차 필름은, 그 적어도 한쪽 면에, 하드 코팅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은 하드 코팅층을 한쪽 면에만 갖고 있어도 좋고, 양쪽 면에 갖고 있어도 좋지만, 적어도 편광 필름과 적층하는 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하드 코팅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이 하드 코팅층을 갖고 있는 것에 의해, 원편광판의 반사 방지 효과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보호 필름의 경도를 보강하기 위한 층이며, JIS K5600-5-4에서 나타내는 연필 경도 시험(시험판은 유리판을 이용한다)으로 「H」 이상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하드 코팅층이 설치된 위상차 필름은, 그 연필 경도가 4H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재료(하드 코팅 재료)로서는, 열이나 광경화성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 실리콘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아크릴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유기 하드 코팅 재료; 이산화규소 등의 무기계 하드 코팅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하드 코팅 재료로서는, 접착력이 양호하며,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및 다작용 아크릴레이트계 하드 코팅 재료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의 두께에 제한은 없고, 적절히 결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1μm∼2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3μm∼10μm이다.
하드 코팅층은, 희망에 따라, 굴절률의 조정, 굽힘 탄성률의 향상, 체적 수축률의 안정화, 및 내열성, 대전 방지성 및 방현성 등의 향상을 도모할 목적으로, 각종 필러(filler)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팅층은,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및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이나 대전 방지성을 조정하기 위한 필러로서는, 예컨대 산화타이타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세륨, 오산화안티몬, 주석을 도핑한 산화인듐(ITO), 안티몬을 도핑한 산화주석(IZO), 알루미늄을 도핑한 산화아연(AZO), 및 불소를 도핑한 산화주석(FTO) 등을 들 수 있다. 필러로서는,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산화안티몬, ITO, IZO, ATO, FTO가 바람직하다. 이들 필러의 일차 입자경은, 통상 1nm∼100nm, 바람직하게는 1nm∼30nm이다.
방현성을 부여하기 위한 필러로서는, 평균 입경이 0.5μm∼1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μm∼7.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μm∼4.0μ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방현성을 부여하는 필러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불화바이닐리덴 수지 및 그 밖의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가교 아크릴 수지, 가교 폴리스타이렌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의 유기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러; 또는 산화타이타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인듐, 산화아연,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ITO, 불화마그네슘, 산화규소 등의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필러를 들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은 1.57∼1.61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이 이 범위이면, 반사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위상차 필름은 또한, 필름의 미끄러짐성을 좋게 하는 매트층, 반사 방지층, 방오층 등의 추가적인 임의의 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편광 필름)
본 발명에 이용하는 원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상기의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이,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적층한다.
적층에 이용하는 편광 필름은, 장척 방향에 흡수축을 갖는 장척의 편광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척의 위상차 필름과 장척의 편광 필름을 장축 방향을 같게 하여 적층하는 것만으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의 방향과 편광판의 흡수축의 방향을 적절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원편광판의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장척의 편광 필름은, 예컨대,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흡착시킨 후, 붕산욕 중에서 1축 연신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흡착시켜 연신하고, 추가로 분자쇄 중의 폴리바이닐알코올 단위의 일부를 폴리바이닐렌 단위로 변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좋다. 또, 편광 필름으로서, 예컨대, 그리드 편광판, 다층 편광판 등의, 편광을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편광 필름을 이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바이닐알코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편광 필름의 두께(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μm∼80μm이다.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는 경우, 접착제를 이용해도 좋다. 접착제로서는, 광학적으로 투명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수성 접착제, 용제형 접착제, 2액 경화형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수성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바이닐알코올계의 수성접착제가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층(접착층)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μm 이하이다.
편광 필름에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에 제한은 없지만,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롤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접합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접합 전에, 위상차 필름의 표면에,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는,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얻어진 원편광판은, 필요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여,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반사 방지 필름을 유기 EL 표시 장치의 광출사면측에, 위상차 필름을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발광층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에 의해 외광 존재 하에서도 시인성이 좋은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기판)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기판은, 투명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두께는, 통상 50μm∼2.0mm 정도이다. 기판에 이용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유리 재료, 수지 재료,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복합 재료로서는, 예컨대, 유리판에 보호 플라스틱 필름 또는 보호 플라스틱층을 설치한 것 등이 이용된다.
상기의 수지 재료, 보호 플라스틱 재료로서는, 예컨대, 불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바이닐, 폴리불화바이닐, 폴리스타이렌, ABS 수지, 폴리아마이드, 폴리아세탈,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 에터, 폴리설폰,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에터이미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액정성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에터설폰, 폴리에터에터케톤, 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실리콘 수지, 비정질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의 수지 재료여도, 유기 EL 표시 장치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 재료이면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판은, 유기 EL 표시 장치의 용도에도 따르지만, 수증기나 산소 등의 가스 배리어성이 양호한 것이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에 수증기나 산소 등의 투과를 방지하는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가스 배리어층으로서는, 예컨대,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타이타늄 등의 무기 산화물을 스퍼터링법이나 진공 증착법 등의 물리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전극)
투명 전극은 통상은 양극으로서 이용되고, 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선, 주사선과, 구동 소자인 TFT(박막 트랜지스터)와 함께 전극 배선 패턴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투명 전극의 재질은, 통상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금속, 합금,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전극의 재질의 구체예로서는, 산화인듐주석(ITO), 산화인듐, 산화인듐아연(IZO), 산화아연, 산화제2주석, 또는 금 등의 박막 전극 재료를 들 수 있다. 투명 전극은 정공이 주입되기 쉽도록, 일함수가 큰(4eV 이상) 투명 재료인 ITO, IZO, 산화인듐, 금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전극은, 시트 저항이 수백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재질에도 따르지만, 그 두께는, 예컨대 0.005μm∼1μ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층)
발광 소자의 발광층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저분자형 및 고분자형의 어느 것이나 이용할 수 있다. 발광층은, 예컨대, 투명 전극층측으로부터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이 적층된 구조, 발광층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구조, 정공 주입층과 발광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조, 발광층과 전자 주입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조, 추가로, 정공 주입층과 발광층 사이에 정공 수송층을 개재시킨 구조, 발광층과 전자 주입층 사이에 전자 수송층을 개재시킨 구조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발광 파장을 조정하거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상기의 각 층에 적당한 재료를 도핑할 수도 있다.
(금속 전극층)
금속 전극층은 통상은 음극으로서 이용된다. 금속 전극층의 재료로서는, 통상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금, 마그네슘 합금(예컨대, MgAg 등),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AlLi, AlCa, AlMg 등), 은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전극층은, 전자가 주입되기 쉽도록 일함수가 작은(4eV 이하) 마그네슘 합금, 알루미늄, 은 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금속 전극층은 시트 저항이 수백Ω/□ 이하가 바람직하고, 이 때문에, 금속 전극층의 두께는, 예컨대 0.005μm∼0.5μ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해도 좋다. 한편,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부 및 %는,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한, 「Mw」란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각 특성의 측정은 하기에 기초하여 행했다.
(필름의 두께)
필름의 각 층 및 필름 전체의 막 두께는, 필름을 에폭시 수지에 포매(包埋)한 후, 마이크로톰(microtome)(야마토공업사(Yamato Kohki Industrial Co., Ltd.)제 「RUB-2100」)을 이용하여 슬라이스하고,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단면을 관찰하여 측정했다.
〔리타데이션, Nz 계수 및 복굴절〕
위상차 필름의 표면을 플라스틱용 연마포로 연마하여 각 층을 단층으로 했다. 이 단층의 상태로서, J. A. Woollam사제 분광 엘립소미터 M-2000U를 이용하여, 측정 파장 450nm, 550nm 및 650nm에서, 각 층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x, 각 층의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y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를 각각 측정했다. 이들 값과 각 층의 두께 d(nm)를 이용하여, 다음 식에 의해 각 파장에서의 각 층의 리타데이션 Re, 파장 550nm에서의 Nz 계수 및 파장 550nm에서의 복굴절 Δn을 산출했다.
Re=|nx-ny|×d
Nz=(nx-nz)/(nx-ny)
Δn=nx-ny
〔유리전이온도〕
시차 주사 열량계(세이코인스트루먼츠사(Seiko Instruments Inc.)제 EXSTAR6220)를 이용하여 승온 속도 20℃/분에서 측정했다.
〔강도(가요성)〕
장척의 위상차 필름과 장척의 편광자를 연속적으로 접합할 때의, 파단 발생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조출(繰出)부터 접합의 도중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고서 전장(全長)에서 접합 가능했다.
B: 조출부터 접합의 도중에 파단이 수회 발생했다.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
반사판 및 원편광판을 원편광판의 위상차 필름측이 반사판과 접하도록 적층한 모델로, 4×4 매트릭스를 이용한 광학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것에 의해 콘트라스트 및 색미를 계산하여, 콘트라스트도 및 색미도(색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로서 표시했다. 콘트라스트도에 있어서, 색이 진할수록 고콘트라스트라는 것을 나타낸다. 색미도에 있어서, 색이 연할수록 색 어긋남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유리 기판에 위상차 필름이 접하도록 원편광판을 배치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사시 표시 특성을 육안에 의해 확인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A: 밖의 경치의 비쳐 들어감이나 색미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B: 밖의 경치의 비쳐 들어감이나 색미 변화가 간신히 보인다.
C: 밖의 경치의 비쳐 들어감이나 색미 변화가 조금 보인다.
D: 밖의 경치의 비쳐 들어감이나 색미 변화가 크게 보인다.
[실시예 1]
(연신전 필름의 제조)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이데미쓰고산사(Idemitsu Kosan Co., Ltd.)제 「자레크(XAREC) 130ZC」, Mw 180,000) 58부와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알드리치사 카탈로그 No. 18242-7) 42부와 산화 방지제 1부를 2축 압출기로 혼련하여, 투명한 수지 조성물(A)의 펠렛을 제작했다. 이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는 134℃였다.
열가소성 수지(B)로서, 아크릴 중합체 및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스미토모화학사(Sumitomo Chemical Co., Ltd.)제 「HT55Z」, 유리전이온도 108℃)의 펠렛을, 필름 성형 장치의 한쪽의 1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시켰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A)의 펠렛을, 필름 성형 장치의 다른 쪽의 1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시켰다.
2종 3층의 공압출 성형용의 필름 성형 장치를 준비하여,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B)를, 눈크기 10μm의 리프 디스크 형상의 폴리머 필터를 통해서, 필름 성형 장치의 멀티 매니폴드 다이(다이스 립의 표면 거칠기 Ra=0.1μm)의 한쪽 매니폴드에 공급했다.
또한, 용융된 수지 조성물(A)을, 눈크기 10μm의 리프 디스크 형상의 폴리머 필터를 통해서, 필름 성형 장치의 다른 쪽의 매니폴드에 공급했다.
열가소성 수지(B)와 수지 조성물(A)을, 원하는 두께의 수지층이 얻어지도록 압출 조건을 조정하면서, 상기 멀티 매니폴드 다이로부터 260℃에서 동시에 압출하여,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의 3층 구성의 필름상으로 했다. 이와 같이 필름상으로 공압출된 용융 수지를, 표면 온도 115℃로 조정된 냉각 롤에 캐스팅하고, 이어서 표면 온도 120℃로 조정된 2개의 냉각 롤 사이에 통과시켰다. 이것에 의해, P2층과, P1층과, P2층을 이 순서로 구비한 3층 구조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공압출 공정). 각 층의 두께 비는, P2층:P1층:P2층=2:1:2였다.
(연신 필름의 제조)
이어서, 이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텐터 연신기로, 지상축이 MD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진 방향이 되도록 경사 연신했다. 연신 시의 온도는,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보다 3℃ 낮은 온도인 131℃, 연신 배율은 3.2배로 했다. 이것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의 3층 구성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 각 층의 두께 비는, p2층:p1층:p2층=2:1:2였다. 이어서, 이 위상차 필름 적층체로부터 양면의 p2층을 박리하여, p1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49μm의 장척의 위상차 필름 A를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 A는 권취하여 필름 롤로 했다. 위상차 필름 A의 배향을 확인한 바, 지상축은 MD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져 있었다. 이 위상차 필름 A는, Re550이 140nm이고, 또한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며, Re450/Re550은 0.87이었다. 또한, Δn은 0.0028이며, Nz 계수는 -0.12였다.
(원편광판의 제조)
두께 80μm의 장척의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을 0.3%의 요오드 수용액 중에서 염색했다. 그 후, 4%의 붕산 수용액 및 2%의 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서 5배까지 연신한 후, 50℃에서 4분간 건조시켜 장척의 편광자를 제조했다.
이 장척의 편광자의 편면에, 상기의 위상차 필름 A를,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조출하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롤 라미네이터로 접합했다. 조출부터 접합의 도중에 파단은 발생하지 않고, 전장에서 접합 가능했다. 이것을 직사각형으로 잘라내어 원편광판 A를 제조했다.
이 원편광판 A를 이용한 모델로, 4×4 매트릭스를 이용한 광학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것에 의해 콘트라스트 및 색미를 계산하여, 콘트라스트도 및 색미도로서 표시했다.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이 원편광판 A를 유기 EL 표시 장치에 적용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시야각 특성을 육안에 의해 확인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의 양을 57부,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의 양을 43부로 한 것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한 수지 조성물(A)의 펠렛을 제작했다. 이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는 136℃였다. 수지 조성물(A)로서 이것을 이용하는 것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2층과, P1층과, P2층을 이 순서로 구비한 3층 구조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공압출 공정). 각 층의 두께 비는, P2층:P1층:P2층=3:1:3이었다.
이어서, 이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텐터 연신기로, 지상축이 MD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진 방향이 되도록 연신 배율 2.8배로 경사 연신했다. 연신 시의 온도는,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보다 15℃ 낮은 온도인 121℃로 했다. 이것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의 3층 구성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 각 층의 두께 비는, p2층:p1층:p2층=3:1:3이었다. 이어서, 이 위상차 필름 적층체로부터 양면의 p2층을 박리하여, p1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35μm의 장척의 위상차 필름 B를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 B는 권취하여 필름 롤로 했다. 위상차 필름 B의 배향을 확인한 바, 지상축은 MD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져 있었다. 이 위상차 필름 B는, Re550이 141nm이며, 또한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Re450/Re550은 0.88이었다. 또한, Δn은 0.0040이며, Nz 계수는 -0.14였다.
이 위상차 필름 B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원편광판 B를 제작했다. 위상차 필름 B는, 롤의 조출부터 접합의 도중에 파단은 발생하지 않고, 전장에서 접합 가능했다. 얻어진 원편광판 B를 이용하여 콘트라스트 및 색미의 계산, 및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도 3, 도 4 및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의 양을 64부,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의 양을 36부로 한 것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한 수지 조성물(A)의 펠렛을 제작했다. 이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는 127℃였다. 수지 조성물(A)로서 이것을 사용하고, 열가소성 수지(B)로서 지환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닛폰제온사(Zeon Corporation)제 「제오노어(Zeonor) 1060」, 유리전이온도 100℃)의 펠렛을 이용하는 것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2층과, P1층과, P2층을 이 순서로 구비한 3층 구조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공압출 공정). 각 층의 두께 비는, P2층:P1층:P2층=1:1:1이었다.
이어서 이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텐터 연신기로, 우선 MD 방향으로 연신 배율 1.4배로 종1축 연신하고, 다음으로 지상축이 MD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진 방향이 되도록 연신 배율 1.6배로 경사 연신했다. 연신 시의 온도는, 종1축 연신 및 경사 연신 모두,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2℃ 높은 온도인 129℃로 했다. 이것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의 3층 구성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 각 층의 두께 비는, p2층:p1층:p2층=1:1:1이었다. 이어서, 이 위상차 필름 적층체로부터 양면의 p2층을 박리하여, p1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99μm의 장척의 위상차 필름 C를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 C는 권취하여 필름 롤로 했다. 위상차 필름 C의 배향을 확인한 바, 지상축은 MD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져 있었다. 이 위상차 필름 C는, Re550이 139nm이며, 또한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Re450/Re550은 0.96이었다. 또한, Δn은 0.0014이며, Nz 계수는 -0.22였다.
이 위상차 필름 C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원편광판의 제작을 시도한 바, 위상차 필름 C는, 롤의 조출부터 접합의 도중에 파단이 수회 발생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위상차 필름 C를 직사각형으로 잘라냈다. 한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장척의 편광자를 제조하여, 직사각형으로 잘라냈다. 이 편광자의 편면에, 상기의 위상차 필름 C를, 위상차 필름 C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연신 방향이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롤 라미네이터로 접합하여 원편광판 C를 제조했다. 이 원편광판 C를 이용하여 콘트라스트 및 색미의 계산, 및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도 5, 도 6 및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 58부 대신에, 비결정성 폴리스타이렌(PS 재팬사제 「HH102」, 유리전이온도 101℃) 57부를 이용하고,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의 양을 43부로 한 것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한 수지 조성물(A')의 펠렛을 제작했다. 이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는 141℃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A)의 펠렛 대신에, 이 수지 조성물(A')의 펠렛을 이용하는 것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과,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과,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을 이 순서로 구비한 3층 구조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공압출 공정). 각 층의 두께 비는, P2층:P1'층:P2층=2:1:2였다.
이어서, 이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텐터 연신기로, 지상축이 MD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진 방향이 되도록 경사 연신했다. 연신 시의 온도는,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보다 2℃ 높은 온도인 143℃, 연신 배율은 3.0배로 했다. 이것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의 3층 구성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 각 층의 두께 비는, p2층:p1'층:p2층=2:1:2였다. 이어서, 이 위상차 필름 적층체로부터 양면의 p2층을 박리하여, p1'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99μm의 장척의 위상차 필름 D를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 D는 권취하여 필름 롤로 했다. 위상차 필름 D의 배향을 확인한 바, 지상축은 MD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져 있었다. 이 위상차 필름 D는, Re550이 138nm였지만,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지 않았다. 또한, Nz 계수는 +1.12였다.
이 위상차 필름 D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원편광판의 제작을 시도한 바, 위상차 필름 D는, 롤의 조출부터 접합의 도중에 파단이 수회 발생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위상차 필름 D를 직사각형으로 잘라냈다. 한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장척의 편광자를 제조하여, 직사각형으로 잘라냈다. 이 편광자의 편면에, 상기의 위상차 필름 D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롤 라미네이터로 접합하여 원편광판 D를 제조했다. 이 원편광판 D를 이용하여 콘트라스트 및 색미의 계산, 및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도 7, 도 8 및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의 양을 63부,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의 양을 37부로 한 것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한 수지 조성물(A)의 펠렛을 제작했다. 이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는 129℃였다. 이 수지 조성물(A)의 펠렛을 단축 압출기로 용융시켜, 압출용의 다이에 공급하여, 압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연신전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전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MD 방향 및 TD 방향으로 동시 2축 연신했다. 연신 시의 온도는,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보다 3℃ 높은 온도인 132℃, 연신 배율은 MD 방향이 1.3배, TD 방향이 1.2배로 했다. 이것에 의해, 두께 62μm의 장척의 위상차 필름 E를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 E는 권취하여 필름 롤로 했다. 위상차 필름 E의 배향을 확인한 바, 지상축은 MD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었다. 이 위상차 필름 E는, Re550이 142nm이며, 또한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Re450/Re550은 0.95였다. 또한, Δn은 0.0023이며, Nz 계수는 -1.00이었다.
이 위상차 필름 E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원편광판의 제작을 시도했다. 위상차 필름 E는, 롤의 조출부터 접합의 도중에 파단은 발생하지 않고, 전장에서 접합 가능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위상차 필름 E를 직사각형으로 잘라냈다. 한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장척의 편광자를 제조하여, 직사각형으로 잘라냈다. 이 편광자의 편면에, 상기의 위상차 필름 E를, 위상차 필름 E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연신 방향이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롤 라미네이터로 접합하여 원편광판 E를 제조했다. 이 원편광판 E를 이용하여 콘트라스트 및 색미의 계산, 및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도 9, 도 10 및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의 양을 76부,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의 양을 24부로 한 것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한 수지 조성물(A)의 펠렛을 제작했다. 이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는 115℃였다. 이 수지 조성물(A)의 펠렛을 단축 압출기로 용융시켜, 압출용의 다이에 공급하여, 압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두께 100μm의 연신전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이 연신전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지상축이 MD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진 방향이 되도록 경사 연신을 시도했다. 연신 시의 온도는,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보다 12℃ 낮은 온도인 103℃로 했지만, 연신 배율이 1.5배에 달한 시점에서 필름이 파단되어, 위상차 필름을 얻는 것은 불가능했다.
[비교예 4]
셀룰로스 에스터의 필름(가네카사(KANEKA CORPORATION)제, 상품명 「KA」)을 경사 연신하여, 두께 100μm의 장척의 위상차 필름 F를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 F는 권취하여 필름 롤로 했다. 위상차 필름 F의 배향을 확인하면, 지상축은 MD 방향에 대하여 45° 경사져 있었다. 이 위상차 필름 F는, Re550이 140nm이며, 또한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었다. 또한, Nz 계수는 +1.13이었다.
이 위상차 필름 F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원편광판 F를 제작했다. 위상차 필름 F는, 롤의 조출부터 접합의 도중에 파단은 발생하지 않고, 전장에서 접합 가능했다. 얻어진 원편광판 F를 이용하여 콘트라스트 및 색미의 계산, 및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도 11, 도 12 및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85497125-pct00006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발명의 유기 EL 장치는 고콘트라스트이고 색 어긋남이 작아,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의 유기 EL 장치는, 콘트라스트가 낮고 색 어긋남이 커서, 시야각 특성이 뒤떨어지는 것이다.

Claims (14)

  1. 광출사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기판, 투명 전극, 발광층 및 금속 전극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EL 표시 장치로서,
    상기 기판의 광출사측에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이,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 및 폴리아릴렌 에터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A)에 있어서의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와 폴리아릴렌 에터의 비율이,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폴리아릴렌 에터의 중량비로 65:35∼55:45이며,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또한
    파장 550nm에서의 Nz 계수가 -0.25∼-0.05인, 유기 EL 표시 장치.
    (단, Re450, Re550 및 Re650은 각각 측정 파장 450nm, 550nm 및 650nm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을 나타내고,
    Nz 계수는 (nx-nz)/(nx-ny)를 나타내며,
    nx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nz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Re450/Re550이 0.80 이상 0.90 이하인 유기 EL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파장 550nm에서의 복굴절 Δn(단, Δn=nx-ny이다)이 0.0020 이상 0.0050 이하인 유기 EL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두께가 80μm 이하인 유기 EL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렌 에터가 페닐렌 에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측정 파장 550nm에서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Re550이 110nm∼150nm인 유기 EL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장척의 연신전 필름을, 그 장척 방향에 대하여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유기 EL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과, 상기 P1층에 접하여 설치된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을 갖는 장척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그 장척 방향에 대하여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유기 EL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P1층과, 상기 P1층에 접하여 설치된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P2층을 갖는 장척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를, 그 장척 방향에 대하여 40° 이상 50° 이하의 범위로 연신하여, P1층이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p1층과, P2층이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p2층을 갖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얻은 후, p2층을 박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유기 EL 표시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가, 아크릴 수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유기 EL 표시 장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의 연신전 필름 적층체가, 상기 수지 조성물(A)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B)를 공압출 또는 공유연하여 얻어진 것인, 유기 EL 표시 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을, 상기 수지 조성물(A)의 유리전이온도(Tg)에 대하여, (Tg-15)℃ 이상 (Tg+1)℃ 이하의 온도에서 행한 것인, 유기 EL 표시 장치.
  13.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 및 폴리아릴렌 에터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A)에 있어서의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와 폴리아릴렌 에터의 비율이,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폴리아릴렌 에터의 중량비로 65:35∼55:45이며,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또한
    파장 550nm에서의 Nz 계수가 -0.25∼-0.05인, 위상차 필름.
    (단, Re450, Re550 및 Re650은 각각 측정 파장 450nm, 550nm 및 650nm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을 나타내고,
    Nz 계수는 (nx-nz)/(nx-ny)를 나타내며,
    nx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nz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14.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판으로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이, 40°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위상차 필름이,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 및 폴리아릴렌 에터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A)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A)에 있어서의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와 폴리아릴렌 에터의 비율이,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타이렌계 중합체:폴리아릴렌 에터의 중량비로 65:35∼55:45이며,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또한
    파장 550nm에서의 Nz 계수가 -0.25∼-0.05인, 원편광판.
    (단, Re450, Re550 및 Re650은 각각 측정 파장 450nm, 550nm 및 650nm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을 나타내고,
    Nz 계수는 (nx-nz)/(nx-ny)를 나타내며,
    nx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nz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KR1020147025254A 2012-03-15 2013-03-07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001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9423 2012-03-15
JPJP-P-2012-059423 2012-03-15
PCT/JP2013/056336 WO2013137113A1 (ja) 2012-03-15 2013-03-07 有機el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064A KR20140146064A (ko) 2014-12-24
KR102001977B1 true KR102001977B1 (ko) 2019-07-19

Family

ID=4916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254A KR102001977B1 (ko) 2012-03-15 2013-03-07 유기 el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048457B2 (ko)
JP (2) JP6269477B2 (ko)
KR (1) KR102001977B1 (ko)
CN (2) CN104169754B (ko)
TW (1) TWI607248B (ko)
WO (1) WO2013137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9754B (zh) * 2012-03-15 2017-05-31 日本瑞翁株式会社 有机el显示装置
US20140322554A1 (en) * 2013-04-26 2014-10-30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4650573B (zh) * 2013-11-22 2017-11-17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用于制作高频天线基板的复合材料、高频天线基板及其制作方法
WO2016067976A1 (ja) * 2014-10-27 2016-05-06 三井化学株式会社 高分子圧電フィルム
KR102306657B1 (ko) * 2015-03-12 2021-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JP2017040825A (ja) * 2015-08-20 2017-02-23 株式会社クラレ 複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並びに偏光板
US20180327532A1 (en) * 2015-11-18 2018-11-15 Zeon Corporation Optical film and polarizing plate
WO2017154233A1 (ja) * 2016-03-10 2017-09-14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蒸着マスク、蒸着マスク用マスク部材、及び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と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1391876B2 (en) * 2017-02-28 2022-07-19 Zeon Corporation Optically anisotropic laminat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9131684A1 (ja) * 2017-12-28 2019-07-0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偏光板用積層体、偏光板、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9176918A1 (ja) * 2018-03-16 2019-09-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200136388A (ko) * 2018-03-30 2020-12-07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이방성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1459322A (zh) * 2019-01-22 2020-07-2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透视型电极用层叠体以及透视型电极用层叠体的制造方法
JPWO2020218068A1 (ko) * 2019-04-26 2020-10-29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2121A (ja) * 1999-07-29 2001-02-16 Teijin Ltd 位相差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8146003A (ja) * 2006-09-14 2008-06-2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クリル系樹脂およびスチレン系樹脂を含む位相差フィルム
JP2010078905A (ja) * 2008-09-26 2010-04-08 Nippon Zeon Co Ltd 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18137A (ja) * 2009-12-03 2011-06-16 Nippon Zeon Co Ltd 輝度向上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7708A (ja) 1985-11-11 1987-08-17 Idemitsu Kosan Co Ltd スチレン系重合体の製造法
JPH0784503B2 (ja) 1987-12-04 1995-09-13 出光興産株式会社 新規スチレン系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59121A (ja) * 1992-08-11 1994-03-04 Toray Ind Inc 位相差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49222A (ja) 2000-03-02 2001-09-14 Teijin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発光表示素子
JP4051439B2 (ja) * 2003-02-25 2008-02-2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シンジオタクチックポリスチレン/ポリフェニレンオキシドブレンド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4618675B2 (ja) * 2005-02-08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素子、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330268A (ja) * 2005-05-25 2006-12-07 Teijin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学フィルム
EP1998196B9 (en) * 2006-02-28 2014-12-31 Teijin Limited Layered polarization film, phase difference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252611B2 (ja) * 2006-09-15 201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光学積層体、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5252335B2 (ja) * 2006-10-27 2013-07-31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2009076544A (ja) * 2007-09-19 2009-04-09 Canon Inc 有機el素子
WO2010035720A1 (ja) * 2008-09-29 2010-04-0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5640745B2 (ja) * 2008-12-26 2014-12-1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輝度向上フィルム
JP5446577B2 (ja) * 2009-08-17 2014-03-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解析プログラム及び文書解析システム
JP2011042121A (ja) * 2009-08-21 2011-03-03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発泡管の製造方法
JP2011113004A (ja) * 2009-11-30 2011-06-09 Nippon Zeon Co Ltd 位相差フィルム
JP5923864B2 (ja) * 2011-04-20 2016-05-2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CN104169754B (zh) * 2012-03-15 2017-05-31 日本瑞翁株式会社 有机el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2121A (ja) * 1999-07-29 2001-02-16 Teijin Ltd 位相差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8146003A (ja) * 2006-09-14 2008-06-2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クリル系樹脂およびスチレン系樹脂を含む位相差フィルム
JP2010078905A (ja) * 2008-09-26 2010-04-08 Nippon Zeon Co Ltd 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18137A (ja) * 2009-12-03 2011-06-16 Nippon Zeon Co Ltd 輝度向上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15216A (zh) 2017-11-03
TW201400886A (zh) 2014-01-01
US9285525B2 (en) 2016-03-15
WO2013137113A1 (ja) 2013-09-19
JP2018060227A (ja) 2018-04-12
JPWO2013137113A1 (ja) 2015-08-03
US20150048339A1 (en) 2015-02-19
US20150219816A1 (en) 2015-08-06
CN104169754A (zh) 2014-11-26
KR20140146064A (ko) 2014-12-24
CN107315216B (zh) 2020-02-04
TWI607248B (zh) 2017-12-01
CN104169754B (zh) 2017-05-31
JP6269477B2 (ja) 2018-01-31
US9048457B2 (en) 201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977B1 (ko) 유기 el 표시 장치
US10254459B2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wideband lambda/4 pl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4803035B2 (ja)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923864B2 (ja) 有機el表示装置
KR102112427B1 (ko) 유기 el 표시 장치용 원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101811290B1 (ko) 위상차 필름 적층체 및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JP6168045B2 (ja) 位相差フィルム積層体、位相差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並びに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044468B2 (ja)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TWI639030B (zh) Laminated bod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tarda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PS liquid crystal panel
WO2017038415A1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JP6303275B2 (ja) 位相差フィルム積層体、位相差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用途
JP2014123059A (ja) 位相差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積層体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6330367B2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6485348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複合体、液晶表示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8109778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