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507B1 -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507B1
KR101997507B1 KR1020170149267A KR20170149267A KR101997507B1 KR 101997507 B1 KR101997507 B1 KR 101997507B1 KR 1020170149267 A KR1020170149267 A KR 1020170149267A KR 20170149267 A KR20170149267 A KR 20170149267A KR 101997507 B1 KR101997507 B1 KR 10199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enter fascia
limit switch
hinge
fasc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419A (ko
Inventor
장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9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5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단부에 각각 힌지돌부가 형성되고, 삼면이 구비되며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터페시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된 결합홈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센터페시아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센터페시아가 회전되어 삼면 중 어느 일면이 탑승자 쪽을 향하도록 일정각도로 회전된 후에 정지되도록 센터페시아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전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센터페시아가 3면으로 구성되고, 운전자나 탑승자가 취향에 따라 3면 중 1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Center Fascia Rota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각종 정보를 볼 수 있는 센터페시아를 회전시켜서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선호하는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내부 전면에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서 조수석까지 센터페시아가 마련된다.
센터페시아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오디오, 공조 장치의 제어스위치, 내비게이션 등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센터페시아는 차체 인스투르먼트 패널 내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오디오, 공조 장치의 제어스위치, 네비게이션 등이 모두 함께 집합되어 있다.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가 진행됨에 따라 오디오, 공조장치의 제어스위치 등이 아날로그 적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네비게이션을 제공하는 화면을 대형화하면서 함께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자율 주행 차량이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게 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뿐만 아니라 뉴스, 인터넷, 음악뿐만 아니라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센터페시아가 하나의 디스플레이로만 구성되면, 차량의 실내 디자인에 한계가 있으며 기존의 아날로그 적인 감성을 충족할 수 없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0027(2003.10.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센터페시아를 삼각 기둥 형상으로 구성하고, 운전자나 탑승자가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에 디지털적인 감성과 아날로그적인 감성 및 미적감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부에 각각 힌지돌부가 형성되고, 삼면이 구비되며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터페시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된 결합홈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센터페시아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센터페시아가 회전되어 삼면 중 어느 일면이 탑승자 쪽을 향하도록 일정각도로 회전된 후에 정지되도록 센터페시아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전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결합홈부의 측면에 결합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마련되는 제1기어와, 센터페시아의 일측 힌지돌부에 결합되고,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어수단은, 구동부가 연결되는 반대쪽 센터페시아의 힌지돌부의 외측에서 120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되, 정삼각형상으로 이루는 3개의 작동돌기와, 결합홈부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장착브래킷에 구비되는 리밋스위치와, 리밋스위치가 작동되면 리밋스위치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브래킷에는, 도넛 형상의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며, 가이드 돌출부의 내경은 힌지돌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가이드돌출부의 외경은 3개의 작동돌기가 이루는 정삼각 형상에 내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페시아의 3면으로 구성되되, 3면이 각각 다르게 구성하고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의 취향에 따라 디지털 감성이나 아날로그 감성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회전하는 센터페시아가 구비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하는 센터페시아의 회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센터페시아 회전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센터페시아의 일단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센터페시아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장착브래킷의 일면을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회전하는 센터페시아가 구비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하는 센터페시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센터페시아 회전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센터페시아의 일단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센터페시아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장착브래킷의 일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에 장착브래킷(110)으로 결합되는 센터페시아(10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힌지돌부(120)와, 구동부(130)와, 회전 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100)의 전면에 결합홈부(101)가 차량의 측면방향(좌우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홈부(101)에 양측에 센터페시아(105)가 힌지 결합되되, 결합홈부(101)의 일측에 마련된 후술하는 구동부(130)에 센터페시아(105)의 일측부가 결합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의 전면 일측에는 속도나 RPM 을 나타내는 계기판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결합홈부(101)가 마련된다.
센터페시아(105)의 양측부에는 각각 힌지 돌부(120)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각각 결합홈부(101)의 측벽과 구동부(1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센터페시아(105)는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일정길이의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삼면으로 구성되며, 각 면에는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된다.
예로서, 센터페시아(105)의 일면에는, 네비게이션, 영상 등을 화면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2면에는 아날로그 형태(다이얼이나 원형 형태의 게기판)로 공조장치의 작동계나 오디오 장치의 작동계가 구비되며, 3면에는 아무것도 구비되지 않고 실내 장식용으로 가니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홈부(101)의 일측에는 센터페시아(105)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30)가 장착브래킷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에는 센터페시아(105)가 120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센터페시아(105)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수단(140)이 마련된다.
구동부(13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31)와, 구동모터(131)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1기어(132)와, 제1기어(132)에 치합되며 센터페시아(105)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기어(133)로 구성된다. 제2기어(133)는 센터페시아(105)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돌부(120)에 고정된다.
여기서, 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1)만으로 구성하여 센터페시아(105)의 힌지돌부를 구동모터(131)의 구동축에 직접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구동모터(131)에 직접적으로 부하가 작용하는 피하기 위하여 동력 전달을 위한 제1기어(132)와 제2기어(133)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제어수단(140)은 센터페시아(105)의 타측에 형성된 힌지돌부(120)의 외측에 12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3개의 작동돌기(141)와, 결합홈부(101)의 측면부에 리밋스위치(142)와, 센터페시아(105)의 회전시 3개의 작동돌기 중 하나의 작동돌기(141)가 리밋스위치(142)를 작동시키면 리밋스위치(142)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131)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구동모터(131)의 구동으로 센터페시아(105)가 회전된 후에 센터페시아(105)에 마련된 3개의 작동돌기(141) 중 하나의 작동돌기(141)가 리밋스위치(142)를 작동시키면 리밋 스위치(142)에 연결된 제어부(143)가 리밋스위치(142)의 작동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131)의 구동을 제어하여 센터페시아(105)의 회전을 멈추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리밋스위치(142)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의 결합홈부(101) 측면에 직접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지만,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센터페시아(105)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결합홈부(101)의 일측에 고정되는 별도의 장착브래킷(110)에 결합하여 구성한다.
장착브래킷(110)의 일면(센터페시아를 향하는면)에는 도넛 형상으로 된 가이드돌출부(146)가 형성되며, 가이드돌출부(146)에는 리밋스위치(142)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돌출부(146)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3개의 작동돌기(141)가 정삼각 형상을 이룰 때, 그 외경이 삼각형상을 내접하는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센터페시아(105)가 회전될 때 3개의 작동돌기(141)가 가이드 돌출부(146)의 외주면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센터페시아(105)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 한다.
그리고, 가이드 돌출부(146)의 내경은 센터페시아(105)에 형성된 힌지돌부(120)가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돌부(1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구동부(13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이나 운전석 근방의 암레스트 등에 마련되는 조작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운전자나 탑승자가 센터페시아(105)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구동모터(131)가 작동되어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센터페시아(105)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센터페시아(105)의 측부에 구비된 3개 작동돌기(141) 중 하나의 작동돌기(141)가 장착브래킷(110)에 구비되는 리밋스위치(142)를 누르면서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리밋스위치(142)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43)로 전송하게 되며, 제어부(143)는 이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31)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이로써 센터페시아(105)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인스트루먼트 패널
101: 결합홈부 105: 센터페시아
110: 장착브래킷
120: 힌지돌부
130: 구동부
131: 구동모터 132: 제1기어
133: 제2기어
140: 회전 제어수단
141: 작동돌기 142: 리밋스위치
143: 제어부
145: 끼움홈
146: 가이드 돌출부

Claims (4)

  1. 양단부에 각각 힌지돌부가 형성되고, 삼면이 구비되며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터페시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된 결합홈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센터페시아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센터페시아가 회전되어 삼면 중 어느 일면이 탑승자 쪽을 향하도록 일정각도로 회전된 후에 정지되도록 센터페시아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전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회전 제어수단은,
    구동부가 연결되는 반대쪽 센터페시아의 힌지돌부의 외측에서 120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되, 정삼각형상으로 이루는 3개의 작동돌기와,
    결합홈부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장착브래킷에 구비되는 리밋스위치와,
    리밋스위치가 작동되면 리밋스위치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장착브래킷에는,
    도넛 형상의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며,
    가이드돌출부의 내경은 힌지돌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가이드돌출부의 외경은 3개의 작동돌기가 이루는 정삼각 형상에 내접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결합홈부의 일측부의 장착브래킷에 결합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마련되는 제1기어와,
    센터페시아의 일측 힌지돌부에 결합되고,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70149267A 2017-11-10 2017-11-10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KR10199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267A KR101997507B1 (ko) 2017-11-10 2017-11-10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267A KR101997507B1 (ko) 2017-11-10 2017-11-10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419A KR20190053419A (ko) 2019-05-20
KR101997507B1 true KR101997507B1 (ko) 2019-07-09

Family

ID=6667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267A KR101997507B1 (ko) 2017-11-10 2017-11-10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5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870B2 (ja) * 1994-02-04 2000-08-21 宇部興産株式会社 窒化珪素粉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870U (ja) * 2000-11-06 2001-06-08 株式会社シスミック 表示装置
KR200330027Y1 (ko) 2003-07-16 2003-10-11 박준호 차량용 센터페시아 어셈블리
KR20080048183A (ko) * 2006-11-28 2008-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회전형 조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870B2 (ja) * 1994-02-04 2000-08-21 宇部興産株式会社 窒化珪素粉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419A (ko)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6640A1 (en) Multi mode screen device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multi mode screen device in a vehicle
EP1707410B1 (en) Control operation device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
US6474688B1 (en) Steering arrangement incorporated with a display/control panel
JP6124685B2 (ja) 表示装置
JP2002347538A (ja) 車載機器制御装置
US20170113552A1 (en) Mechanically reconfigurable instrument cluster
JP2003200788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駆動制御装置および駆動制御方法
JP2020500760A (ja) 回転ディスプレイ
JP7253991B2 (ja) 自律走行車両用統合操作装置
KR101997507B1 (ko)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CN109291857A (zh) 车载显示屏装置
US10144287B2 (en) Vehicle display device
KR101997501B1 (ko)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JPH092168A (ja) 車載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10411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JP2003185013A (ja) 車両用変速制御装置
KR101870504B1 (ko) 스티어링 휠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JP6649789B2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100706405B1 (ko) 차량에 구비되는 모니터의 작동구조
JP4578775B2 (ja) 操作メニュー表示装置
JPH0716970U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ロック機構
KR100366596B1 (ko) 자동차의 오디오/비디오 모니터 장착구조
JPH04224432A (ja) 車載テレビジョン装置
JPH10297381A (ja) 車載用表示装置
KR20100115634A (ko) 차량의 통합형 리모콘 스위치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