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212B1 - 소재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소재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212B1
KR101997212B1 KR1020180119833A KR20180119833A KR101997212B1 KR 101997212 B1 KR101997212 B1 KR 101997212B1 KR 1020180119833 A KR1020180119833 A KR 1020180119833A KR 20180119833 A KR20180119833 A KR 20180119833A KR 101997212 B1 KR101997212 B1 KR 101997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rrel
holding
hol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원
Original Assignee
(주)엠앤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엠앤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1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재배출장치는, 외측테두리로 갈수록 상면이 하방경사진 받침유닛; 상하개방된 통구조로서, 내측에 소재가 수용되도록 하부개구부가 상기 받침유닛에 의해 차단되는 통유닛; 및 상기 받침유닛과 통유닛을 홀딩하고, 상기 통유닛을 승강시키는 구동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홀더가 상기 받침유닛을 홀딩하여 높이고정한 상태로 상기 통유닛을 상승시켜, 상기 통유닛의 하단부와 받침유닛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소재를 배출시킨다.

Description

소재배출장치{APPARATUS FOR DELIVERING MATERIALS}
본 발명은 소재배출장치로서, 수용된 소재를 배출하는 소재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를 담아서 이송시키는 소재이송설비에 있어서, 소재가 수용된 후 배출하는 소재배출장치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소재배출장치는 수용된 소재를 벨트컨베이어와 같은 일정 위치에 낙하시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재배출장치는 버킷과 같은 구조로서, 소재를 수용시키기 위해 소재가 인입되도록 상부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소재배출장치는 소재를 배출 시 역으로 이러한 상부개구부를 통해 소배를 배출하기 위해 상부개구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는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소재배출장치는 하측에서 소재가 안착되는 안착부(일례로서, 벨트컨베이어의 상부)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재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소재는 안착부에 낙하 시, 낙하거리로 인하여 안착부에 부딪히거나 소재끼리 충돌함으로써, 소재 자체가 손상되거나 소재의 코팅이 벗겨짐으로써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소재배출장치가 소재를 배출하기 위해 회전 시 안착부와 간섭(충돌)되어, 소재배출장치와 안착부가 손상되거나 안착부가 벨트컨베이어인 경우 안착부가 구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착부와의 이격거리(낙하높이)를 멀게(높게) 하는데, 이로 인하여 소재의 제품생산에 있어서 품질에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소재의 배출 시 소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소재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배출장치는, 외측테두리로 갈수록 상면이 하방경사진 받침유닛; 상하개방된 통구조로서, 내측에 소재가 수용되도록 하부개구부가 상기 받침유닛에 의해 차단되는 통유닛; 및 상기 받침유닛과 통유닛을 홀딩하고, 상기 통유닛을 승강시키는 구동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홀더가 상기 받침유닛을 홀딩하여 높이고정한 상태로 상기 통유닛을 상승시켜, 상기 통유닛의 하단부와 받침유닛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소재를 배출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유닛은, 상기 통유닛 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홀더로 홀딩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방사방향으로 하방경사진 경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유닛은 상기 하부개구부의 테두리에 지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재는 외측테두리에 지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부는, 내측으로 상방경사진 내측경사면과, 상기 내측경사면의 상측과 하측에 상기 내측경사면과 이어진 내측수직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돌출부는, 상기 외측테두리에 내측으로 상방경사진 외측경사면과, 상기 외측경사면의 상측과 하측에 상기 외측경사면과 이어진 외측수직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돌출부가 상기 지지홈부에 형합되게 접하면서 상기 지지홈부를 상방지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통유닛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하부개구부의 테두리까지 내측으로 하방경사진 가이드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홀더는, 홀더프레임; 상기 홀더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유닛을 홀딩하는 바닥홀딩부; 상기 홀더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통유닛을 승강시키는 통승강부; 및 상기 통승강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유닛을 홀딩하는 통홀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홀딩부는, 상기 홀더프레임의 하부에 레버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받침유닛이 걸리는 바닥걸림후크가 하단부에 형성된 바닥홀딩집게; 및 상기 홀더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홀딩집게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신축되면서 상기 바닥홀딩집게를 회전시키는 바닥홀딩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는 뿔 형상의 축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유닛은 상기 바닥걸림후크에 의해 걸림되어 매달리도록, 상기 축헤드의 측부가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승강부는, 상기 홀더프레임에 설치되며, 수평구동축을 가진 모터; 상기 수평구동축의 피니언기어에 기어체결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 시 승강하는 수직랙; 및 상기 수직랙과 통홀딩부를 연결하는 승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홀딩부는, 상기 승강부재에 레버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통유닛이 걸리는 통걸림후크가 하단부에 형성된 통홀딩집게; 및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통홀딩집게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신축되면서 상기 통홀딩집게를 회전시키는 통홀딩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유닛은 상기 통걸림후크에 의해 걸림되어 매달리도록, 상기 통걸림후크에 걸리는 걸림돌출라인이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배출장치는, 통유닛에 소재가 인입되는 상부개구부와는 별도로 소재가 배출되는 하부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하부개구부를 차단하는 받침유닛이 하측의 안착부에 최대한 인접된 상태에서 통유닛만을 상측으로 올리도록 구성됨으로써, 통유닛의 하단부가 받침유닛과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통해 소재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배출됨에 따라, 소재의 배출 시 소재를 높은 위치에서 떨어뜨리지 않게 되어 소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종국적으로 제품에 대한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재배출장치는 받침유닛에 방사방향으로 하방경사진 경사부재가 구성됨으로써, 소재의 배출이 종래의 낙하방식이 아닌 하강슬라이드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 배출 시 소재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소재를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통유닛의 가이드경사부가 더해짐으로써 더욱더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재배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재배출장치에서 구동홀더의 하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소재배출장치에서 통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소재배출장치에서 소재가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소재배출장치에서 받침유닛과 통유닛을 나타낸 종단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재배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소재배출장치에서 구동홀더의 하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소재배출장치에서 통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소재배출장치에서 소재가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소재배출장치에서 받침유닛과 통유닛을 나타낸 종단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재배출장치는 받침유닛(100), 통유닛(200), 및 구동홀더(3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유닛(100)은 외측테두리로 갈수록 상면이 하방경사진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통유닛(200)은 상하개방된 통구조로서, 내측에 소재(10)가 수용되도록 하부개구부(200b)가 받침유닛(100)에 의해 차단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홀더(300)는 받침유닛(100)을 홀딩하고, 통유닛(200)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홀더(300)가 받침유닛(100)을 홀딩하여 높이고정한 상태로 통유닛(200)을 상승시켜, 통유닛(200)의 하단부와 받침유닛(100)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통해 소재(10)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종래기술의 소재배출장치는 소재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통로인 상부개구부만 형성된 구조로서, 수용된 소재를 다시 상부개구부를 통해 배출하기 위해 회전되어 기울려서 상부개구부가 하측을 향해야 하는데, 이러한 회전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안착부(컨베이어벨트와 같이 소재가 떨어져서 안착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당히 높게 위치해야 됨에 따라, 소재가 높은 위치에서 떨어져서 안착부 및 소재끼리 충돌되어 제품불량이 발생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소재배출장치는 통유닛(200)에 소재(10)가 인입되는 상부개구부(200a)와는 별도로 소재(10)가 배출되는 하부개구부(200b)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하부개구부(200b)를 차단하는 받침유닛(100)이 하측의 안착부(1)에 최대한 인접된 상태에서 통유닛(200)만을 상측으로 올리도록 구성됨으로써, 통유닛(200)의 하단부가 받침유닛(100)과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통해 소재(10)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배출됨에 따라, 소재(10)의 배출 시 소재(10)를 높은 위치에서 떨어뜨리지 않게 되어 소재(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종국적으로 제품에 대한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받침유닛(100)은 중심축(110)과, 경사부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심축(110)은 구동홀더(300)에 의해 홀딩되는 부분으로서, 받침유닛(100)이 통유닛(200)의 하부개구부(200b)를 덮어서 차단 시 통유닛(200) 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중심축(110)의 상부에는 뿔 형상의 축헤드(110a)가 형성됨으로써, 통유닛(200)의 상부개구부(200a)를 통해 인입되는 소재(10)가 축헤드(110a)의 경사진 상면을 통해 하방슬라이드되어 경사부재(12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축헤드(110a)는 통유닛(200)에 인입되면서 받침유닛(100)에 떨어지는 소재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며, 나아가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더욱더 효과적인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재(120)는 중심축(110)의 하부에 연결되며, 방사방향으로 하방경사진다.
이러한 경사부재(120)로 인하여, 소재(10)의 배출이 종래의 낙하방식이 아닌 하강슬라이드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 배출 시 소재(10)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소재(10)를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부재(120)는 외측테두리에 지지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통유닛(200)은 지지돌출부(121)에 대응되도록 하부개구부(200b)의 테두리에 지지홈부(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돌출부(121)가 하측에서 지지홈부(210)에 삽입되면서 지지홈부(210)를 상방지지함으로써, 종국적으로 받침유닛(100)이 통유닛(200)을 상방지지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통유닛(200)의 지지홈부(210)는 내측으로 상방경사진 내측경사면(210a)과, 상기 내측경사면(210a)의 상측과 하측에 내측경사면(210a)과 이어진 내측수직면(210b)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사부재(120)의 지지돌출부(121)는 외측테두리에 내측으로 상방경사진 외측경사면(121a)과, 상기 외측경사면(121a)의 상측과 하측에 외측경사면(121a)과 이어진 외측수직면(121b)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돌출부(121)는 지지홈부(210)에 형합되게 접하는 형상구조를 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사부재(120)의 지지돌출부(121)는, 통유닛(200)의 지지홈부(210)를 상방지지함으로써 종국적으로 받침유닛(100)이 통유닛(200)을 상방지지하면서 통유닛(200)의 하부개구부(200b)를 차단하여 통유닛(200)의 내측에 소재(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두 개의 외측수직면(121b) 사이에 외측경사면(121a)이 배치됨으로써 통유닛(200)의 지지홈부(210)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드 가이드되는 구조를 이루고 아울러 소재(10)가 배출되면서 경사부재(120)의 외측 테두리에 잔여 소재(10)가 남지 않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통유닛(200)은 내측면으로부터 하부개구부(200b)의 테두리까지 내측으로 하방경사진 가이드경사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경사부(220)는 통유닛(200)에서 내측면 측에 위치된 소재(10)가 받침유닛(100)의 경사부재(12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만약 가이드경사부(220)가 없다면 소재(10)의 배출 시 소재(10)가 통유닛(200)의 내측면 측에 남을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만약 가이드경사부(220)가 없이 받침유닛(100)의 경사부재(120)가 통유닛(200)의 내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구조를 취한다면(이러한 경우 통유닛(200)의 하부개구부(200b)가 더 큰 직경을 가지게 됨, 즉 통유닛(200)의 하부개구부(200b) 테두리가 통유닛(200)의 내측면 하단과 동일하게 됨), 소재(10)가 수용되는 통유닛(200)의 내측 공간 크기가 경사부재(120)의 더 높은 배치에 의해 작아짐으로써 소재(10)가 수용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종국적으로, 본 발명은 가이드경사부(220)와 경사부재(120)의 조합에 의하여 소재(10)가 가이드경사부(220)와 경사부재(120)를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하방이동하는 구조가 이루어짐으로써, 상술된 한계점 및 단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소재(10) 배출 시 소재(10)에 대한 손상을 가장 최소화하면서 소재(10)를 하측으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홀더(300)는 받침유닛(100)과 통유닛(200)을 홀딩하고, 통유닛(200)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홀더(300)는 홀더프레임(310), 바닥홀딩부(320), 통승강부(330), 및 통홀딩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홀더프레임(310)은 바닥홀딩부(320)와 통승강부(330)가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세부적인 설계구조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바닥홀딩부(320)와 통승강부(330)가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인 배치구조를 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홀더프레임(310)은 소재이송설비의 승강대차(L)에 고정되어 소재배출장치 전체가 승강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승강대차(L)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대차에 고정되어 소재배출장치 전체가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소재배출장치가 다양한 소재이송설비에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홀더프레임(320)에는 후술되는 구동부재들인 바닥홀딩실린더(322), 모터(331), 통홀딩실린더(342)의 구동원인 전기나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케이블과 에어호스가 내장된 케이블베어(C)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홀딩부(320)는 홀더프레임(310)에 설치되어 받침유닛(100)을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바닥홀딩부(320)는 바닥홀딩집게(321)와, 바닥홀딩실린더(3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홀딩집게(321)는 홀더프레임(310)의 하부에 레버방식으로 설치되며, 받침유닛(100)이 걸리는 바닥걸림후크가 하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유닛(100)이 바닥걸림후크에 의해 걸림되어 매달리도록, 상기 받침유닛(100)의 중심축(110)의 상부에 형성된 뿔 형상의 축헤드(110a)는, 측부가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바닥걸림후크는 축헤드(110a)에서 돌출된 측부의 하면에 단부가 걸어짐으로써 받침유닛(100)을 홀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닥홀딩실린더(322)는 홀더프레임(310)에 설치되며, 바닥홀딩집게(32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신축되면서 바닥홀딩집게(321)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바닥홀딩실린더(322)는 홀더프레임(310)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실린더로드(322a)가 상측으로 수축하면 바닥홀딩집게(321)의 상단부가 연동되어 상승하면서 회전됨으로써, 바닥홀딩집게(321)의 하단부가 하강하면서 회전되어 바닥걸림후크가 받침유닛(100)의 축헤드(110a)에 걸어짐에 따라, 받침유닛(100)이 바닥홀딩집게(321)에 의해 홀딩된다.
나아가, 상기 바닥홀딩집게(321)는 복수 개가 축헤드(110a) 둘레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받침유닛(100)을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참고로, 일례로서 상기 바닥홀딩실린더(322)는 홀더프레임(3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하부연장하우징(310a)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홀딩집게(321)는 하부연장하우징(310a)의 하부에 설치된 하단플레이트(310b)의 브라켓(310c)에 형성된 힌지축(310d)에 회전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통승강부(330)는 홀더프레임(310)에 설치되어 통유닛(200)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승강부(330)는, 모터(331), 수직랙(332), 및 승강부재(33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모터(331)는 홀더프레임(310)에 설치되며, 수평구동축(331a)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직랙(332)은 수평구동축(331a)의 피니언기어(미도시)에 기어체결되어 피니언기어의 회전 시 승강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수평구동축(331a)은, 구동벨트(331b), 기어박스(331c), 및 연결구동축(331d)을 매개로 하여 수직랙(332)과 연결되며,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는 연결구동축에서 수직랙(332) 측 단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333)는 수직랙(332)과 통홀딩부(340)를 연결하는데, 이에 따라 수직랙(332)이 승강 시 통홀딩부(340)도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통홀딩부(340)는 통승강부(330)에 설치되어 통유닛(200)을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홀딩부(340)는 통홀딩집게(341)와, 통홀딩실린더(34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통홀딩집게(341)는 승강부재(333)에 레버방식으로 설치되며, 통유닛(200)이 걸리는 통걸림후크가 하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유닛(200)은 통걸림후크에 의해 걸림되어 매달리도록, 통걸림후크에 걸리는 걸림돌출라인(230)이 내측면에 형성되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유닛(200)의 내부에 형성된 소재(10)의 수용공간에 최대한 간섭되지 않도록 통유닛(2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홀딩실린더(342)는 승강부재(333)에 설치되며, 통홀딩집게(34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신축되면서 통홀딩집게(341)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통홀딩실린더(342)는 승강부재(333)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실린더로드가 승강부재(333)의 중심방향으로 수축되면 통홀딩집게(341)의 상단부가 연동되어 승강부재(333)의 중심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통홀딩집게(341)의 하단부가 승강부재(333)의 방사방향으로 회전하여 통걸림후크가 통유닛(200)의 걸림돌출라인(230)에 걸어짐에 따라, 통유닛(200)이 통홀딩집게(341)에 의해 홀딩된다.
나아가, 상기 통홀딩집게(341)는 복수 개가 승강부재(333) 둘레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통유닛(200)을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참고로, 일례로서 상기 통홀딩집게(341)는 승강부재(333)의 테두리에 장착된 베어링축(333a)에 연결되어 원활하게 회전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재배출장치는 통유닛(200)에 소재(10)가 인입되는 상부개구부(200a)와는 별도로 소재(10)가 배출되는 하부개구부(200b)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하부개구부(200b)를 차단하는 받침유닛(100)이 하측의 안착부(1)에 최대한 인접된 상태에서 통유닛(200)만을 상측으로 올리도록 구성됨으로써, 통유닛(200)의 하단부가 받침유닛(100)과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통해 소재(10)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배출됨에 따라, 소재(10)의 배출 시 소재(10)를 높은 위치에서 떨어뜨리지 않게 되어 소재(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종국적으로 제품에 대한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재배출장치는 받침유닛(100)에 방사방향으로 하방경사진 경사부재(120)가 구성됨으로써, 소재(10)의 배출이 종래의 낙하방식이 아닌 하강슬라이드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 배출 시 소재(10)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소재(10)를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통유닛(200)의 가이드경사부(220)가 더해짐으로써 더욱더 증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안착부 10 : 소재
100 : 받침유닛 110 : 중심축
110a : 축헤드 120 : 경사부재
121 : 지지돌출부 121a : 외측경사면
121b : 외측수직면
200 : 통유닛 200a : 상부개구부
200b : 하부개구부 210 : 지지홈부
210a : 내측경사면 210b : 내측수직면
220 : 가이드경사부 230 : 걸림돌출라인
300 : 구동홀더 310 : 홀더프레임
310a : 하부연장하우징 310b : 하단플레이트
310c : 브라켓 310d : 힌지축
320 : 바닥홀딩부 321 : 바닥홀딩집게
322 : 바닥홀딩실린더 322a : 실린더로드
330 : 통승강부 331 : 모터
331a : 수평구동축 331b : 구동벨트
331c : 기어박스 331d : 연결구동축
332 : 수직랙 333 : 승강부재
333a : 베어링축 340 : 통홀딩부
341 : 통홀딩집게 342 : 통홀딩실린더
C : 케이블베어 L : 승강대차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외측테두리로 갈수록 상면이 하방경사진 받침유닛; 상하개방된 통구조로서, 내측에 소재가 수용되도록 하부개구부가 상기 받침유닛에 의해 차단되는 통유닛; 및 상기 받침유닛과 통유닛을 홀딩하고, 상기 통유닛을 승강시키는 구동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홀더가 상기 받침유닛을 홀딩하여 높이고정한 상태로 상기 통유닛을 상승시켜, 상기 통유닛의 하단부와 받침유닛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소재를 배출시키며,
    상기 받침유닛은, 상기 통유닛 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홀더로 홀딩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방사방향으로 하방경사진 경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통유닛은 상기 하부개구부의 테두리에 지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재는 외측테두리에 지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부는, 내측으로 상방경사진 내측경사면과, 상기 내측경사면의 상측과 하측에 상기 내측경사면과 이어진 내측수직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돌출부는, 상기 외측테두리에 내측으로 상방경사진 외측경사면과, 상기 외측경사면의 상측과 하측에 상기 외측경사면과 이어진 외측수직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돌출부가 상기 지지홈부에 형합되게 접하면서 상기 지지홈부를 상방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유닛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하부개구부의 테두리까지 내측으로 하방경사진 가이드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배출장치.
  5. 외측테두리로 갈수록 상면이 하방경사진 받침유닛; 상하개방된 통구조로서, 내측에 소재가 수용되도록 하부개구부가 상기 받침유닛에 의해 차단되는 통유닛; 및 상기 받침유닛과 통유닛을 홀딩하고, 상기 통유닛을 승강시키는 구동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홀더가 상기 받침유닛을 홀딩하여 높이고정한 상태로 상기 통유닛을 상승시켜, 상기 통유닛의 하단부와 받침유닛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소재를 배출시키며,
    상기 구동홀더는, 홀더프레임; 상기 홀더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유닛을 홀딩하는 바닥홀딩부; 상기 홀더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통유닛을 승강시키는 통승강부; 및 상기 통승강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유닛을 홀딩하는 통홀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홀딩부는,
    상기 홀더프레임의 하부에 레버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받침유닛이 걸리는 바닥걸림후크가 하단부에 형성된 바닥홀딩집게; 및
    상기 홀더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홀딩집게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신축되면서 상기 바닥홀딩집게를 회전시키는 바닥홀딩실린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배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통유닛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홀더로 홀딩되는 중심축의 상부에는 뿔 형상의 축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유닛은 상기 바닥걸림후크에 의해 걸림되어 매달리도록, 상기 축헤드의 측부가 측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배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승강부는,
    상기 홀더프레임에 설치되며, 수평구동축을 가진 모터;
    상기 수평구동축의 피니언기어에 기어체결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 시 승강하는 수직랙; 및
    상기 수직랙과 통홀딩부를 연결하는 승강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배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홀딩부는,
    상기 승강부재에 레버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통유닛이 걸리는 통걸림후크가 하단부에 형성된 통홀딩집게; 및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통홀딩집게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신축되면서 상기 통홀딩집게를 회전시키는 통홀딩실린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배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유닛은 상기 통걸림후크에 의해 걸림되어 매달리도록, 상기 통걸림후크에 걸리는 걸림돌출라인이 내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배출장치.
KR1020180119833A 2018-10-08 2018-10-08 소재배출장치 KR101997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33A KR101997212B1 (ko) 2018-10-08 2018-10-08 소재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33A KR101997212B1 (ko) 2018-10-08 2018-10-08 소재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212B1 true KR101997212B1 (ko) 2019-07-08

Family

ID=6725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833A KR101997212B1 (ko) 2018-10-08 2018-10-08 소재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2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535A (ja) * 1995-07-18 1997-04-22 Louise Foerdertechnik Gmbh & Co ばら積み材料の取出し装置
KR20110111990A (ko) * 2010-04-06 2011-10-12 남상경 도넛츠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535A (ja) * 1995-07-18 1997-04-22 Louise Foerdertechnik Gmbh & Co ばら積み材料の取出し装置
KR20110111990A (ko) * 2010-04-06 2011-10-12 남상경 도넛츠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6041B2 (ja) 荷降ろしシステム、およびタイヤトレッド搬送機の荷降ろし方法
EP0220543B1 (fr) Installation pour briqueter la paroi intérieure d'une enceinte
FR2638774A1 (fr) Installation automatisee pour la pose d'une maconnerie sur une paroi
KR101324016B1 (ko) 기판 언로드 장치 및 기판 언로드 방법
KR101997212B1 (ko) 소재배출장치
CN114242342B (zh) 一种带有自动上盘功能的框绞机
JP4447490B2 (ja) 容器の段ばらし装置
CN106457511B (zh) 研磨台更换装置及半导体元件制造装置的构成零件更换装置
KR101517610B1 (ko) 승강형 코팅장치
JP4551252B2 (ja) 容器の段積み段ばらし装置
CN115466917B (zh) 一种热镀锌设备
CN215592504U (zh) 一种干熄焦提升机自动对位系统
JP4551259B2 (ja) 容器の段積み段ばらし装置
CN210876343U (zh) 座椅滑轨装配次品筛分装置
CN112875347A (zh) 一种卸料装置及使用该卸料装置的负压散料输送系统
JPH04159924A (ja) 蒸籠などの自動供給装置
CN219602292U (zh) 一种铝棒生产线自动卸料装置
JP4887987B2 (ja) 天井走行台車の移載機位置決め装置
JP2000085971A (ja) ドラム缶積上装置及びドラム缶積上方法
JP2006151524A (ja) 昇降型の搬送受け渡し装置
CN109969725B (zh) 塞棒自动生产系统
JPH0811667B2 (ja) ボビンの搬送装置
CN219526031U (zh) 一种电机定子吊装工装
JP2528416B2 (ja) 移載装置
CN217528764U (zh) 一种钢条收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