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614B1 -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614B1
KR101991614B1 KR1020180004227A KR20180004227A KR101991614B1 KR 101991614 B1 KR101991614 B1 KR 101991614B1 KR 1020180004227 A KR1020180004227 A KR 1020180004227A KR 20180004227 A KR20180004227 A KR 20180004227A KR 101991614 B1 KR101991614 B1 KR 10199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nergy supply
longitudinal member
supply system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646A (ko
Inventor
슈테판 브라우쎄
필립 하인츠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8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에너지 공급 수단; 및 제1 에너지 공급 수단을 둘러싸는 제1 하우징(100)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100)은 자동차의 몸체의 제1 종방향 부재(104) 및 제2 종방향 부재(105)에 체결 가능하며, 제1 하우징(100)은 제1 종방향 부재(104)로부터 제2 종방향 부재(105)로 그리고 그 반대로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되는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ENERGY SUPPLY SYSTEM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다양한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에너지 공급 수단으로서 트랙션 배터리 또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공급 수단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구동 수단으로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에너지는 예를 들면 화학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에너지는 자동차를 구동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는 전기적으로만 또는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DE 10 2010 050 826 A1은 차체의 2개의 종방향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트랙션 배터리를 개시한다. 트랙션 배터리는 변형 요소를 통하여 종방향 부재에 연결된다. 그러나, 자동차의 측면 충격 시, 힘을 흡수하여 트랙션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종방향 부재가 횡방향 지주에 의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의 구성 공간이 제한된다. 따라서, 횡방향 지주는 트랙션 배터리에 사용될 수 없는 구성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에너지 공급 시스템 및 청구항 10에 따른 자동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나타난다.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제1 에너지 공급 수단 및 제1 에너지 공급 수단을 둘러싸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은 박스형 디자인일 수 있고 제1 에너지 공급 수단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제1 하우징이 제1 에너지 공급 수단의 대부분을 둘러싸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하우징은 자동차의 몸체의 제1 및 제2 종방향 부재에 체결 가능하다. 본원에서 종방향 부재는 특히 몸체의 지지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종방향 부재는 자동차의 횡방향 단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종방향 부재가 자동차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하우징은 제1 종방향 부재로부터 제2 종방향 부재로 그리고 그 반대로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예를 들면, 에너지 공급 수단을 동적 작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1 하우징이 특히 경질(stiff) 디자인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부재 및 제1 하우징 사이의 연결은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예를 들면, 연결은 비교적 큰 힘이 있는 경우에만 해제될 수 있는 반면, 종래 기술에서는, 충격 에너지를 변형 요소의 변형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비교적 작은 힘이 있는 경우에 이미 연결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제1 하우징이 제1 종방향 부재에 체결 가능하게 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특히 변형 저항성 디자인일 수 있고/있거나 종방향 부재로부터 제1 하우징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수단은 U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압출된 프로파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제1 종방향 부재는 특히 자동차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변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변형 요소는 특히 변형 요소에 작용하는 힘이 역치를 초과할 때 변형되는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제1 하우징이 변형되기 전에 변형 요소가 변형되도록 역치가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의 손상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요소는, 예를 들면, 후속하여 공개된 DE 10 2016 110 787 A1에 기재되어 있다. 제1 하우징은 변형 요소에 의해 제2 종방향 부재에 체결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종방향 부재는 자동차의 횡방향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몸체의 횡방향 프레임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은 단일 부분 또는 단일 부품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제1 하우징이 특히 힘을 쉽게 전달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설치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1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손상, 습기 및 먼지로부터 제1 하우징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공급 수단은 제1 및 제2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은 제1 및 제2 체결 수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 가능할 수 있다. 제1 체결 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체결 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용접될 수 있다. 제1 체결 수단은, 예를 들면, 암나사산을 갖는 너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체결 수단은 수나사산을 갖는 나사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체결 수단이 제1 체결 수단에 나사 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체결 수단이 돌출되는 요홈을 가질 수 있다. 본 설명의 범위 내에서, 요홈은 특히 만입부(indentation)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만입부는, 예를 들면, 그에 인접한 영역에 비해 보다 작은 벽 두께를 갖는 하우징의 영역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미의 요홈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제2 에너지 공급 수단과, 제2 에너지 공급 수단을 둘러싸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2 하우징은 연결 수단에 의해 제1 종방향 부재에 체결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수단은 제1 및 제2 하우징을 제1 종방향 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구성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후술하는 설명에 의해 명확해진다. 본원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 및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2개의 종방향 부재에 체결된 에너지 공급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확대된 상세를 도시한다.
도 3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된 2개의 하우징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배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제1 하우징(100)에 둘러싸인 제1 에너지 공급 수단과, 제2 하우징(101)에 둘러싸인 제2 에너지 공급 수단을 포함한다. 2개의 하우징(100, 101)은 연결 수단(102)에 의해 차체의 제1 종방향 부재(104)에 체결된다. 또한, 2개의 하우징(100, 101)은 변형 요소(106)에 의해 제2 종방향 부재(105)에 체결된다.
2개의 하우징(100, 101), 연결 수단(102) 및 변형 요소(106)는 2개의 종방향 부재(104, 105) 사이에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변형 요소(106)는 비교적으로 큰 힘에 의해서만 변형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 힘은, 예를 들면, 하우징(100, 101)이 변형되는 힘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종방향 부재(104, 105) 사이의 신뢰할 수 있는 힘의 전달이 하우징(100, 101)에 의해 달성된다. 그렇지만, 큰 힘이 발생하면, 에너지 공급 수단의 손상의 위험이 감소된다.
예를 들면, 연결 수단(102)은 U자형 단면을 갖는 압출된 프로파일로서 설계될 수 있다. 하우징(100, 101)은 연결 수단(102)에 의해 함께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 101)은 나사(107)를 통해 변형 요소(106)에 체결된다. 대안적으로, 하우징(100, 101)은 2개의 나사를 통해 변형 요소(106)에 체결될 수도 있다.
도 3은 2개의 하우징(100, 101)이 각각 요홈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나사(202)는 요홈을 통하여 돌출하여, 나사(202)에 의해 2개의 하우징(100, 101)이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체결된다(도 4). 이를 위하여, 너트(301)가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체결된다. 예를 들면, 너트(301)는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용접될 수 있다. 하우징(100, 101)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하기 위해, 나사(202)가 너트(301)에 나사 결합된다. 연결 상태에서, 와셔(303)가 또한 나사 헤드 및 하우징(100, 101)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00)는 손상, 습기 및 먼지로부터 하우징(100, 101)을 보호한다.

Claims (10)

  1. 제1 에너지 공급 수단 및 상기 제1 에너지 공급 수단을 둘러싸는 제1 하우징(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자동차의 몸체의 제1 종방향 부재(104) 및 제2 종방향 부재(105)에 체결 가능한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1 종방향 부재(104) 사이의 연결 수단(102); 및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종방향 부재(105) 사이의 변형 요소(1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연결 수단(102)에 의해 상기 제1 종방향 부재(104)에 체결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변형 요소(106)에 의해 상기 제2 종방향 부재(105)에 체결 가능하며,
    상기 제1 하우징(100), 상기 연결 수단(102), 및 상기 변형 요소(106)는 상기 제1 종방향 부재(104)로부터 상기 제2 종방향 부재(105)로 그리고 그 반대로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방향 부재(105)는 상기 자동차의 횡방향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0)은 단일 부분 또는 단일 부품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베이스 플레이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제1 체결 수단(301) 및 제2 체결 수단(20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제1 체결 수단(301) 및 상기 제2 체결 수단(202)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체결 가능하며, 상기 제1 체결 수단(301)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수단(202)은 상기 제1 체결 수단(301)에 나사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 수단(202)이 돌출되는 요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제2 에너지 공급 수단 및 상기 제2 에너지 공급 수단을 둘러싸는 제2 하우징(10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1)은 상기 연결 수단(102)에 의해 상기 제1 종방향 부재(104)에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에너지 공급 시스템; 및
    제1 종방향 부재(104) 및 제2 종방향 부재(105)를 갖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제1 종방향 부재(104) 및 상기 제2 종방향 부재(105)에 체결되는, 자동차.
KR1020180004227A 2017-01-16 2018-01-12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 KR101991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0685.0A DE102017100685A1 (de) 2017-01-16 2017-01-16 Energieversorg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7100685.0 2017-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46A KR20180084646A (ko) 2018-07-25
KR101991614B1 true KR101991614B1 (ko) 2019-06-20

Family

ID=6271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227A KR101991614B1 (ko) 2017-01-16 2018-01-12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59305B2 (ko)
JP (1) JP6546982B2 (ko)
KR (1) KR101991614B1 (ko)
CN (1) CN108312827B (ko)
DE (1) DE102017100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0787A1 (de) * 2016-06-13 2017-12-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gehäuse einer Traktions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8205765A1 (de) * 2018-04-17 2019-10-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ontageanordnung eines elektrisch antreibbaren Kraftfahrzeugs
JP7283006B2 (ja) * 2019-08-27 2023-05-30 メルセデス・ベンツ グループ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電動トラック
DE102019133496B3 (de) * 2019-12-09 2020-12-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eilkarosserie für ein wenigstens teilweise elektrisch betriebenes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6558A (ja) * 2010-11-16 2012-06-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の支持構造
KR101488425B1 (ko) * 2013-09-10 2015-02-03 주식회사 아이티엔지니어링 전기자동차용 언더바디
JP2015150927A (ja) 2014-02-12 2015-08-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の車載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2011B2 (ja) * 2005-06-02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JP4935112B2 (ja) * 2006-02-28 2012-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パックの車載構造
JP5130699B2 (ja) * 2006-11-27 2013-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燃料電池の車載方法
JP4420018B2 (ja) * 2006-12-28 2010-0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DE102007023392A1 (de) 2007-05-18 2008-11-2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chutzgehäuse für eine Fahrzeugbatterie
JP5034675B2 (ja) * 2007-05-22 2012-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
CN102481831B (zh) * 2009-05-28 2015-06-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以及车辆
FR2951129A1 (fr) * 2009-10-12 2011-04-15 Plastic Omnium Cie Structure de vehicule comprenant une batterie
KR101230350B1 (ko) * 2010-01-27 2013-0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팩
DE102010050826A1 (de) 2010-11-09 2012-05-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mindest einer Traktionsbatterie
DE102011051698A1 (de) 2011-07-08 2013-01-10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Bodenstruktur für ein Fahrzeug
KR101272006B1 (ko) 2011-09-05 2013-06-05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자동차 차체
JP5364767B2 (ja) * 2011-09-26 2013-12-1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支持構造
DE102012000622A1 (de) 2012-01-14 2013-07-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anordnung für ein Fahrzeug mit Elektroantrieb
DE102013008428B4 (de) * 2013-05-16 2017-05-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Lagerung mindestens eines, in einem Gehäuse angeordneten Antriebsenergiespeichers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3011754A1 (de) * 2013-07-13 2014-09-11 Daimler Ag Fahrzeug mit einem elektrischen Energiespeicher
DE102014224545A1 (de) 2014-12-01 2016-06-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peicherzellenbau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Speicherzellenbaueinheit
JP6118381B2 (ja) * 2015-09-30 2017-04-1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用バッテリー
JP6512162B2 (ja) 2016-04-21 2019-05-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DE102016110787A1 (de) 2016-06-13 2017-12-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gehäuse einer Traktions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6558A (ja) * 2010-11-16 2012-06-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の支持構造
KR101488425B1 (ko) * 2013-09-10 2015-02-03 주식회사 아이티엔지니어링 전기자동차용 언더바디
JP2015150927A (ja) 2014-02-12 2015-08-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の車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59305B2 (en) 2019-04-16
CN108312827A (zh) 2018-07-24
US20180201109A1 (en) 2018-07-19
DE102017100685A1 (de) 2018-07-19
CN108312827B (zh) 2021-01-12
JP6546982B2 (ja) 2019-07-17
JP2018114970A (ja) 2018-07-26
KR20180084646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614B1 (ko) 자동차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
KR101942653B1 (ko) 자동차의 트랙션 배터리의 배터리 하우징
US9821850B2 (en) Impact load reduction structure
US9862419B2 (en) Protective frame structure
WO2009031331A1 (ja) 電気自動車
JP5961672B2 (ja) 緩み止め締結ユニット
CN103594864A (zh) 一种电池箱连接器
KR102050270B1 (ko) 차량 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
US9358864B2 (en) Device for fastening a battery module to a bodyshell of a motor vehicle
CN102422029B (zh) 使第一、第二和第三部分依次附接的装置及附接后的组件
WO2009044072A3 (fr) Impacteur de choc pour groupe motopropulseur automobile
US20170008365A1 (en) Stabilizer bushing
CN104070947A (zh) 车辆牵引设备、车辆结构元件及包括车辆结构元件的车辆
US9911952B2 (en) Battery module for a motor vehicle
JP2006100272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2014046765A (ja) 車両の充電口構造
JP2005075344A (ja) 自動車用バンパ
KR101908970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RU2674267C2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провода заземления к алюминиевому элементу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точк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заземления на алюминиевом элементе
US7900984B2 (en) Interface joint for motor vehicle
CN216002382U (zh) 一种前大灯装置安装溃缩结构
CN215513249U (zh) 车架连接结构及燃料电池车
CN215474857U (zh) 无人驾驶汽车用激光雷达
CN215322412U (zh) 一种拼接式防撞小卡车保险杠
CN208615662U (zh) 一种拖车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