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270B1 - 차량 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차량 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270B1
KR102050270B1 KR1020147036972A KR20147036972A KR102050270B1 KR 102050270 B1 KR102050270 B1 KR 102050270B1 KR 1020147036972 A KR1020147036972 A KR 1020147036972A KR 20147036972 A KR20147036972 A KR 20147036972A KR 102050270 B1 KR102050270 B1 KR 102050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ans
vehicle
motor vehicle
angle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807A (ko
Inventor
프랑크 쉐퍼
옌스 아이스만
프리드헬름 랑호어스트
죄렌 크놉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3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03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being rigidly connected to a trailing gui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30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31Rigid axle suspensions with two trailing arms rigidly connected to th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30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34Stabilising mechanisms, e.g. for lateral stability
    • B60G2200/343Stabilising mechanisms, e.g. for lateral stability with an axle suspended by two pivoted rods in "V"-arrangement, the rods being coupled at its ape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60G2202/1524Pneumatic spring with two air springs per wheel, arranged before and after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6Mounting of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5Mounting of sub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2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for fixing suspension arm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61Adjustable during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60Subframe construction
    • B60G2206/601Hanger bra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40Variable track or wheelbas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프레임 및/또는 서브 프레임(2; 2a)을 구비하는 자동차, 특히 유틸리티 차량(UV)에 관한 것으로서, 서브 프레임은 특히 주행 방향(F)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세로 방향으로 서 있는 접촉면(10; 10a)을 추가 구조 유닛(6; 7; 8; 12)에 대한 연결면으로서 구비하고, 이들 추가 구조 유닛은 접촉면(10; 10a)을 관통하는 연결 수단(11)을 통해서 결합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개별 연결 수단(11)의 축(13)이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서 관통되는 접촉면(10; 10a)을 90°로부터 벗어나는 각도(α)로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 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MOTOR VEHICLE WITH A VEHICLE FRAME}
본 발명은 특히 주행 방향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세로 방향으로 서 있는 접촉면을 추가 구조 유닛에 대한 연결면으로서 구비하는 차량 프레임을 구비하며, 이들 추가 구조 유닛이 접촉면을 관통하는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 특히 유틸리티 차량(UV)에 관한 것이다.
섀시(chassis) 영역에서 구조 유닛들을 차량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대부분의 나사는, 결합된 구조 유닛과 프레임 부분 간의 접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 그리고 이로 인해 나사 축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 밀림(전단) 하중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제동 또는 가속 시에는, 세로 방향으로 서 있고 상호 나사 결합된 접촉면에서 그곳에 있는 나사에 전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고도의 힘이 차량의 세로 방향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나사가 접촉면을 수직으로 관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형의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서는, 접촉면에서 단지 제공된 나사 결합력의 약 10%만 전단력으로서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예비 응력의 수직력(normal force)은, 접촉면에 연결된 부품들이 접촉면의 평면에서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충분히 높은 수직력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큰 힘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많은 개수의 나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접촉면에서 마찰 값이 크게(문헌에 따르면 약 3배만큼) 변동되기 때문에, 연결 수단의 축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고도의 힘이 도입되는 상황하에서도 연결부의 해제 및 연결 수단의 전단을 신뢰할만하게 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형의 연결부를 과도하게 크게 형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높은 재료 비용 및 부품들의 추가 중량을 야기한다. 하지만, 원하는 경량의 구조 형상을 위해 그리고 더욱 콤팩트한 설치 공간의 필요성 때문에 나사 결합을 중량 및 크기에 있어서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자동차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개선예들은 추가의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4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 의해, 개별 연결 수단의 축이 접촉면에서 이 연결 수단에 의해 관통되는 접촉면을 90°로부터 벗어나는 각도로 통과함으로써, 나사 연결부의 힘은 수직 성분 및 가로 성분으로 분할된다. 이로써, 예비 응력의 비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형상 결합 부분이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한편으로는 나사의 공칭 크기가 축소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재료 비용 및 중량을 감소시킨다. 그밖에, 나사 연결부를 위한 체결 방법이 훨씬 덜 정확하게 선택될 수 있으므로, 공정 비용이 줄어들고, 연결의 신뢰성도 증가된다. 크기가 더 작은 나사에 의해 필요한 설치 공간도 작아질 수 있다. 최적으로는, 상기와 같은 나사 연결부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단지 인장 하중만을 받는다. 또한, 표면 품질에 대한 요건들도 까다롭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가급적 높은 예비 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연결 수단의 개별 축이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서 관통되는 접촉면을 이러한 접촉면에 위치하는 벡터(vector)에 대하여 30° 내지 60°의 각도로 통과하는 경우가 유리하다.
특히 강제 결합과 형상 결합 간의 최상의 조합을 위해서는, 연결 수단의 개별 축이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서 관통되는 접촉면을 이러한 접촉면에 위치하는 벡터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로 통과할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어 마찰 값이 μ=0.1인 경우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 있는 나사를 이용하는 표준 나사 결합에 비해, 전달할 가로 힘은 700%만큼 증가하고, 나사 간극 내에서의 세로 힘은 30%만큼 감소된다.
접촉면이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차량의 세로축에 대하여 그리고 차량의 가로축에 대하여 각을 이루고 있는 한, 주(主) 힘 방향도 축과 차량 프레임 사이에서, 다시 말해 가로 운동과 세로 운동 사이에서 각각 접촉면에 대하여 각을 이루어 작용하고, 이로 인해 그곳에 연결된 부품들 상호 간에 전단이 덜 촉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결부의 추가 안전성이 달성된다. 접촉면 평면에서의 힘 작용에 대한 상기와 같은 안전성을 위해서는, 마찰을 높이기 위한 골형성(ribbing) 또는 유사한 조치들이 접촉면에 제공되는 경우도 기여한다.
특히 관절 장치당 축방향으로 외부에 놓인 2개의 접촉면은 차량의 가로축에 대하여 서로 반대로 각을 이루고 있고, 이로써 마치 외벽과 같이 그 사이에 놓인 관절 장치를 감쌀 수 있다.
높은 안정성을 위해서 특히 유리하게, 연결 수단은 하나의 공동 평면에서, 특히 수평면에서 각각 쌍으로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각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있다.
본원에서는 연결 수단이 접촉면에서 수직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약 90°만큼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반대 힘 작용을 위해서는 - 말하자면 가속 및 제동 시에는 - 동일하게 양호한 지지가 제공된다.
정상적인 나사 결합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구조 유닛이 세로 방향 캐리어에 연결되어 있어서 접촉면이 주행 방향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서 있는 곳에서 높은 하중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구조 유닛은 말하자면 세로 방향 캐리어에 연결된 가로 방향 캐리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축, 탄성 유닛 또는 기타의 섀시 부분, 말하자면 에어 서스펜션 벨로우즈를 고정시키기 위해, 세로 방향 캐리어에 연결되어 있고 수직 성분을 갖는 캐리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수단을 절약하기 위해 그리고 효율적인 조립을 위해 특히 유리하게는, 개별 구조 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구조 유닛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 캐리어 및 가로 방향 캐리어까지도 관통하는 동시에 이들 부품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연결된 구조 유닛이 고정 수단을 위한 삽입 채널 및 이 채널의 축에 대하여 각을 이루는, 헤드 또는 카운터 부재용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 수단의 적합한 위치가 자동으로 보장되고, 연결 수단의 경사 위치를 위한 원뿔 모양의 쐐기 또는 그와 유사한 조치가 필요 없게 된다. 차량의 세로 방향 캐리어는 연결 수단의 관통을 위해, 예를 들어 간단히 장공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스러스트 베어링은 구조 유닛 내에 직접 통합되는 경우가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 기재되는 본 발명의 대상에 대한 실시예들에서 드러난다.
도 1은 예를 들어 측면에 배치된 축 성분 캐리어 및 이 캐리어의 연결 영역에 고정된 가로 방향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틸리티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하나의 가로 방향 캐리어를 통해서 연결된 2개의 세로 방향 캐리어 섹션을 비스듬히 위로부터 본 상세한 사시도로서, 가로 방향 외부에서는 추가로 섀시 성분 캐리어가 세로 방향 캐리어에 연결되어 가로 방향 캐리어와 결합되어 있으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어셈블리를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와 유사한 사시도로부터 일 구조 유닛의 연결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어셈블리를 위로부터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경사 나사 결합과 수직 나사 결합의 힘-경로-그래프이고,
도 8은 에어 서스펜션 벨로우즈의 측면도이며,
도 9는 위로부터 본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에어 서스펜션 벨로우즈의 연결 상태를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자동차(1)는 본 실시예에서 유틸리티 차량(UV)을 형성하고, 차량 프레임(2) 및/또는 대략 도 8에 도시된 에어 서스펜션 벨로우즈 캐리어와 같은 서브 프레임(2a)을 구비한다. 차량 프레임(2)은 통상적으로 2개의 측면 세로 방향 캐리어(3) 및 복수의 가로 방향 캐리어(4)를 포함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량 프레임(2)에는 하나 이상의 차축(5), 예컨대 후방 차축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건설 차량 또는 오프로드 차량(offroad vehicle)도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주행 방향(F)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세로 방향으로 서 있고 연결면으로서 이용되는 접촉면(10, 10a)에는 추가의 구조 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세로 방향으로 서 있는 접촉면(10)은 예를 들어 세로 방향 캐리어(3)의 외부 면 또는 내부 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가로 방향으로 서 있는 접촉면(10a)은 예컨대 축(5)의 확장된 차동장치에 의해서 또는 가로 방향 캐리어(4)의 전면 혹은 후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구조 유닛들은, 이들이 접촉면(10, 10a)을 관통하는 연결 수단, 예컨대 로크 너트(lock nut)에 의해 고정된 나사 등을 통해서 고정되도록 상기 접촉면(10, 10a)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개별 연결 수단(11)의 축(13)은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서 관통되는 접촉면(10, 10a)을 90°로부터 벗어나는 각도(α)로 통과하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상기 접촉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서있다. 로크 너트에 의해 고정된 나사 대신에, 말하자면 도 10에서와 같이 블라인드 홀(blind hole)도 제공될 수 있으며, 블라인드 홀 내에 나사(11)가 삽입 결합 된다. 리벳 결합 또는 핀 결합도 가능하다.
특히 연결 수단(11)의 개별 축(13)은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서 관통되는 접촉면(10, 10a)을, 이 접촉면(10, 10a) 내에 놓여 있는 벡터에 대하여 30° 내지 60°의 각도(α)로 통과한다. 최적으로는, 연결 수단(11)의 개별 축(13)기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서 관통되는 접촉면(10, 10a)을, 이 접촉면(10, 10a) 내에 놓여 있는 벡터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로 통과한다. 이때 연결 수단(11)은 대략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공동 평면에서, 특히 수평면에서 각각 쌍으로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각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하나의 수평면에 공동으로 놓여 있는 한 쌍의 연결 수단(11)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수단 쌍은 위·아래로 겹쳐서 또는 옆으로 나란히 놓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2개 연결 수단(11) 간의 각도는 서로에 대하여 약 90°지만, 이 각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높은 예비 응력을 위해 최적화된 경우에 해당한다.
유리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수단(11)의 방향이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차량의 세로축(14)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차량의 가로축(15)에 대해서도 각을 이룬 형태로 놓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 수단의 방향은 발생하는 두 가지 주요 힘 방향 중에 한 가지 주요 힘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놓이지 않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구조 유닛(6 혹은 7 및 8)이 차량 프레임(2)의 2개의 측면 세로 방향 캐리어(3)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구조 유닛(8)은 2개의 세로 방향 캐리어(3)를 서로 연결시키는 가로 방향 캐리어(4)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연결된 구조 유닛(6 혹은 7)은 각각 세로 방향 캐리어(3)에 연결된 그리고 수직 성분을 갖는 캐리어(6a 혹은 7a)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특히 축(5), 탄성 유닛(12) 또는 기타의 섀시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말하자면 에어 서스펜션 벨로우즈의 홀더로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 서스펜션 벨로우즈 캐리어는 특히 도 8 내지 도 10에 따른 서브 프레임(2a)에 의해서도 도시되어 있다. 그곳에는 에어 서스펜션 벨로우즈를 위해서 - 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 연결 수단(11)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는 클램핑 아이(16)(clamping eye)가 제공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결합은 반드시 차량 프레임(2)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섀시에 할당된 상기와 같은 서브 프레임(2a) 또는 섀시 내에 있는 유사한 유닛들과도 관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개별 구조 유닛(6 혹은 7)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 수단(11)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연결 수단은 구조 유닛(6 혹은 7)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 캐리어(3) 및 가로 방향 캐리어(8)까지도 관통하는 동시에 이들 모두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재료 및 조립 비용을 절약하는 구조 방식은 특히 도 6에 따른 단면도에서 잘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세로 방향 캐리어(3)가 가로 방향 내부 면에서 또한 보강 금속 판(3a)에 의해 중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보강 금속 판에는 세로 방향으로 가로 방향 캐리어(8)까지 뻗는 제1 접촉면(10)이 연결되고, 외부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뻗는 제2 접촉면(10)이 구조 유닛(7)에 작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예컨대 도 4 참조).
도 6에서는 또한, 각각 연결된 구조 유닛(6 혹은 7)이 연결 수단(11)을 위한 삽입 채널 및 이 삽입 채널을 축방향으로 제한하고 상기 연결 수단(11)의 헤드 또는 카운터 부재를 위한 맞댐면(9)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맞댐면(9)은, 도 4 및 도 5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응하는 경사면이 제공됨으로써 구조 유닛(7) 내부에 통합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별도의 쐐기 또는 유사한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가로 방향으로 내부에 있는 가로 방향 캐리어(8)는 나사 헤드 또는 너트를 위해 상기와 같이 비스듬한 맞댐면(9)과 미리 통합되어 제공된다.
도 7에서는, 경사 위치에 의해서 단지 인장 하중만을 받는(곡선 Ⅱ 참조) 나사(11)가 전단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곡선 Ⅰ 참조) 나사보다 훨씬 더 큰 힘을 전달한다는 사실이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다름 아닌 서로에 대하여 각을 이루면서 쌍으로 마주 놓인 나사들의 경우에는 힘 도입시에 접촉면(10 혹은 10a)을 따라 계속해서 인장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이 보장될 수 있다.
3각형 커넥팅 로드 장치(도 1) 또는 4점 커넥팅 로드 장치(도 2 및 도 3)도 섀시에 연결되어 있는 추가의 부분들과 마찬가지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1: 자동차
2: 차량 프레임
2a: 서브 프레임
3: 세로 방향 캐리어
4: 가로 방향 캐리어
5: 차축
6: 구조 유닛
6a: 수직 성분을 갖는 캐리어
7: 구조 유닛
7a: 수직 성분을 갖는 캐리어
8: 가로 방향 캐리어
9: 맞댐면
10: 접촉면
10a: 접촉면
11: 연결 수단
12: 에어 서스펜션 벨로우즈
13: 연결 수단의 축
14: 세로축
15: 가로축
16: 클램핑 아이

Claims (14)

  1. 차량 프레임 및/또는 서브 프레임(2; 2a)을 구비한 자동차 또는 유틸리티 차량(UV)이며, 상기 서브 프레임이 주행 방향(F)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세로 방향으로 서 있는 접촉면(10; 10a)을 추가 구조 유닛(6; 7; 8; 12)에 대한 연결면으로서 구비하며, 상기 구조 유닛이 접촉면(10; 10a)을 관통하는 연결 수단(11)을 통해서 연결된, 자동차에 있어서,
    개별 연결 수단(11)의 축(13)은 연결 수단에 의해서 관통되는 접촉면(10; 10a)을 90°로부터 벗어나는 각도(α)로 통과하고,
    연결 수단(11)은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차량의 세로축(14)에 대하여 그리고 차량의 가로축(15)에 대하여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11)의 개별 축(13)은 연결 수단에 의해서 관통되는 접촉면(10; 10a)을 상기 접촉면(10; 10a)에 위치하는 벡터(vector)에 대하여 30° 내지 60°의 각도(α)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11)의 개별 축(13)은 연결 수단에 의해서 관통되는 접촉면(10; 10a)을 상기 접촉면(10; 10a)에 위치하는 벡터에 대하여 45°의 각도(α)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11)은 로크 너트에 의해 고정된 나사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11)은 하나의 공동 평면에서 또는 수평면에서, 각각 쌍으로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각을 이루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7. 제6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11)은 서로에 대하여 90°만큼 각을 이루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조 유닛(6; 7; 8; 12)은 세로 방향 캐리어(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된 구조 유닛(8)은 세로 방향 캐리어(3)에 연결된 가로 방향 캐리어(4)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된 구조 유닛(6; 7)은, 축(5), 탄성 유닛(12) 또는 기타의 섀시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세로 방향 캐리어(3)에 연결된, 수직 성분을 갖는 캐리어(6a; 7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11. 제10항에 있어서, 연결된 구조 유닛(2a)은 에어 서스펜션 벨로우즈(12)의 홀더를 형성하거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12. 제9항에 있어서, 개별 구조 유닛(6; 7)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 수단(11)은 구조 유닛(6; 7)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 캐리어(3) 및 가로 방향 캐리어(4)도 관통하여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 연결된 구조 유닛(6; 7; 8)은, 연결 수단(11)을 위한 삽입 채널 및 상기 삽입 채널의 축에 대하여 각을 이루는 또는 직각을 이루는 연결 수단(11)의 헤드 또는 카운터 부재를 위한 맞댐면(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14. 제13항에 있어서, 맞댐면(9)은 구조 유닛(6; 7; 8) 내에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
KR1020147036972A 2012-07-03 2013-06-06 차량 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 KR102050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13148.8 2012-07-03
DE102012013148.8A DE102012013148A1 (de) 2012-07-03 2012-07-03 Kraftfahrzeug mit einem Fahrzeugrahmen
PCT/EP2013/061651 WO2014005786A1 (de) 2012-07-03 2013-06-06 Kraftfahrzeug mit einem fahrzeugrahm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807A KR20150035807A (ko) 2015-04-07
KR102050270B1 true KR102050270B1 (ko) 2019-11-29

Family

ID=4857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972A KR102050270B1 (ko) 2012-07-03 2013-06-06 차량 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352781B2 (ko)
EP (1) EP2870055B1 (ko)
JP (1) JP6153607B2 (ko)
KR (1) KR102050270B1 (ko)
CN (1) CN104428196B (ko)
BR (1) BR112014027686A2 (ko)
DE (1) DE102012013148A1 (ko)
RU (1) RU2620445C2 (ko)
WO (1) WO2014005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1761A1 (de) 2015-11-05 2017-05-11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anordnung sowie Querträger und Stütze für eine solche Fahrwerkanordnung
CN205768443U (zh) * 2015-11-30 2016-12-07 亨德里克森美国有限责任公司 框架悬挂器托架、框架悬挂器组件、悬架和铸件
CN105752158A (zh) * 2016-02-26 2016-07-13 李培培 一种工业汽车锁紧装置
DE102016007367A1 (de) * 2016-06-16 2017-10-19 Hochschule für Angewandte Wissenschaft und Kunst - Hildesheim/Holzminden/Göttingen Starres Fahrwerk für Nutzfahrzeuge
US10711435B2 (en) * 2016-08-03 2020-07-14 Caterpillar Inc. Frame assembly for machine
US11673443B2 (en) 2020-07-30 2023-06-13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Suspension system for electric heavy-duty vehicle
CN115366602B (zh) * 2022-08-23 2024-03-08 襄阳长源东谷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双桥式l形梁空气悬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6561A1 (en) * 2009-07-10 2011-0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ody part for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2026A (en) * 1953-11-16 1957-02-19 Metalastik Ltd Resilient suspensions for vehicle axle boxes or casings
FR92950E (fr) 1966-11-03 1969-01-17 Citroen Sa Andre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 montage d'un essieu d'un véhicule automobile.
US3694001A (en) * 1970-08-31 1972-09-26 Dura Corp Constant moment coil spring - air bag suspension
SU1392763A1 (ru) * 1986-07-18 1995-11-20 Камск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о производству большегрузных автомобилей Ра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IT1210803B (it) * 1987-06-16 1989-09-29 Ferrari Eng Struttura portante di una autovettura
US5088279A (en) * 1990-03-30 1992-02-18 General Electric Company Duct support assembly
DE4018592A1 (de) * 1990-06-09 1991-12-12 Porsche Ag Karosserie fue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einen personenkraftwagen
US5549320A (en) * 1995-04-26 1996-08-27 Paccar Inc. Combined vehicle suspension torque rod and sway bar
DE19525367A1 (de) * 1995-07-12 1996-09-12 Daimler Benz Ag Halterung zur Befestigung von Bauteilen an Kraftfahrzeugen
JPH09142194A (ja) * 1995-11-20 1997-06-03 Toray Ind Inc ダンプカー用荷箱
SE511126C2 (sv) * 1997-12-30 1999-08-09 Volvo Lastvagnar Ab V-stagsfäste för fordon
US6213507B1 (en) * 1998-05-20 2001-04-10 The Boler Company Vehicle trailer frame cross member/suspension assembly mount
JP3690713B2 (ja) 1999-02-22 2005-08-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ブフレームの取付構造
US6398236B1 (en) * 1999-07-16 2002-06-04 Holland Neway International, Inc. Lift axle suspension with axle reservoir
US6250413B1 (en) * 1999-07-26 2001-06-26 Gilbert H Horton Motor mount for a go-cart
DE19949372C2 (de) * 1999-10-13 2002-07-04 Koegel Fahrzeugwerke Ag Rahmenkonstruktion und Verbindungselement hierfür
US6585286B2 (en) * 2000-12-12 2003-07-01 The Boler Company Vehicle suspension
DE10118623A1 (de) * 2001-05-18 2002-12-05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Achsschwinge
US20050280238A1 (en) * 2004-06-18 2005-12-22 The Boler Company Roll stable vehicle suspension system
DE102006009289A1 (de) 2006-03-01 2007-10-04 Audi Ag Hilfsrahmen zur Befestigung an einer Karosserie eines Kraftwagens
CN100519305C (zh) * 2006-05-16 2009-07-29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接头及带有其的车架主梁及该主梁的连接方法
US7857348B2 (en) * 2006-06-08 2010-12-28 Metalsa Servicios S De Rl Multi-function cross members for truck frames
US7488023B2 (en) * 2007-06-28 2009-02-10 Magna International Front end module lower beam body on frame joint
EP2334539B1 (en) * 2008-09-12 2015-02-25 Volvo Group North America, LLC Structural joint for a commercial vehicle frame and a frame made with a structural joint
FR2936223B1 (fr) * 2008-09-23 2010-09-17 Airbus France Dispositif de liaison entre une entree d'air et une motorisation d'une nacelle d'aeronef
AU2008365642B2 (en) 2008-12-23 2015-07-09 Volvo Lastvagnar Ab Subframe with guiding means and vehicle comprising said subframe
DE102009019787A1 (de) 2009-05-02 2010-11-04 Man Nutzfahrzeuge Ag Trägeranordnung für einen Fahrzeugrahmen eines Nutzfahrzeuges
JP5071588B2 (ja) * 2009-12-25 2012-1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5625071B2 (ja) * 2010-02-12 2014-11-12 ボルボ グループ ノース アメリカ,エルエルシー ロール特性が改善されたフォーバーリンク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
US8998293B2 (en) * 2010-06-22 2015-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flow control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8579308B2 (en) * 2012-02-23 2013-11-12 Arvinmeritor Technology, Llc Suspension module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manufacture
US8998260B2 (en) * 2012-02-24 2015-04-07 Corey M. Kausch Frame support, suspension stop, and method of improving a motor vehicle
US9150253B2 (en) * 2012-05-18 2015-10-06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6561A1 (en) * 2009-07-10 2011-0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ody part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8196A (zh) 2015-03-18
BR112014027686A2 (pt) 2017-06-27
RU2620445C2 (ru) 2017-05-25
KR20150035807A (ko) 2015-04-07
EP2870055B1 (de) 2016-10-12
US20150175206A1 (en) 2015-06-25
JP6153607B2 (ja) 2017-06-28
EP2870055A1 (de) 2015-05-13
CN104428196B (zh) 2017-03-29
WO2014005786A1 (de) 2014-01-09
RU2014148098A (ru) 2016-08-20
DE102012013148A1 (de) 2014-01-09
US9352781B2 (en) 2016-05-31
JP2015525695A (ja)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270B1 (ko) 차량 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
US9718484B2 (en) Running gear unit for a rail vehicle
US20230226865A1 (en) Towing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KR101993502B1 (ko) 차량 프레임 및 관절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US8136825B2 (en) Tubular axle beam suspension mount
US8801072B2 (en) Vehicular fastening structure
US9186947B2 (en) Axle fixation for a sprung vehicle axle
US9919719B2 (en) Running gear frame for a rail vehicle
US20190375355A1 (en) Method for joining members and joined body
RU2677751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ереднего обвязочного бруса, пола и головного борта грузового кузова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на шасси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EP3250401B1 (en) A bush pin and a mounting assembly for a v-stay for a vehicle
CN108974126B (zh) 用于机动车辆的后桥的副车架
US11180168B2 (en) Chassis frame with drive unit
CN209064189U (zh) 一种商用车第三横梁结构
US20090134593A1 (en) mounting system for a v-stay in a large vehicle
CN104029577B (zh) 地面运输机械用的驱动桥
DE102017218796B4 (de) Achsaufhängung
KR101664505B1 (ko)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파단형 티엠 마운트 브라켓
US11072352B2 (en) Railcar truck bolster
WO2020022083A1 (ja) フック取付構造
SE540075C2 (en) Sub-frame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leasing a front section of the sub-frame
CN220015909U (zh) 一种带销定位工程车钢板弹簧总成
US10300951B2 (en) Tie string attachment between vehicle sub-frame and rear floor
KR101404908B1 (ko) 후면범퍼의 하부(下部)에 장착되는 트레일러 견인장치
CN104340003A (zh) 悬架臂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