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175B1 -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 Google Patents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175B1
KR101988175B1 KR1020180074129A KR20180074129A KR101988175B1 KR 101988175 B1 KR101988175 B1 KR 101988175B1 KR 1020180074129 A KR1020180074129 A KR 1020180074129A KR 20180074129 A KR20180074129 A KR 20180074129A KR 101988175 B1 KR101988175 B1 KR 101988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ller
present
vehicle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오
Original Assignee
김용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오 filed Critical 김용오
Priority to KR102018007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이 제공된다. 상기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하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단부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케이스(bottom case),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을 채우고, 상기 하부 케이스보다 탄성력(elastic force)이 작은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Tubular markers comprising Secondary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와 연결된 하단부의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는 충진재로 채워진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선 유도봉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차선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불법 유턴이나 인근 차선으로부터의 합류를 방지하는 교통 안전시설물이며, 이러한 목적 이외에도 횡단보도의 표시, 보도와 차도의 분리표시, 안전지대의 표시, 버스전용차선의 표시 등 각종 경계를 표시하거나 과속으로 인한 급커브 길에서의 탈선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시선 유도봉은 도로상에 설치되어 노면표시를 보조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며,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중앙선이나 기타 차선에 자동차의 진행이나 진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언론에 따르면, 서울시가 최근 약 3년간 시내 파손된 도로표지병과 시선유도봉을 복구하기 위해 투자한 예산이 모두 4억원에 달했다. 또 기간 중 해당 시설물의 파손으로 인해 10건 넘는 차량사고도 발생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2014년 3190개, 2015년 4279개, 2016년 3441개의 시선 유도봉이 파손된 바 있다.
또한, 차량에 의해 구부러진 시선 유도봉이 급격하게 복구되는 과정에서 차량에 2차 충격을 가해, 차량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장수명의 시선 유도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 내구성의 시선 유도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조 비용이 감소된 시선 유도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조 비용이 감소된 시선 유도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하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단부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케이스(bottom case),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을 채우고, 상기 하부 케이스보다 형상의 복원 속도가 느린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충진재의 탄성력은 상기 하부 케이스보다, 작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충진재는, 복수의 기공을 갖는 폼(foam)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 내부에, 상기 충진재와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공이 제공되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하단부로 연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외부 케이스(outer case),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내부 케이스(inner cas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케이스보다 높은 강도를 갖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보다 큰 탄성력을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가 유닛 그룹(unit group)으로 정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는, 복수의 상기 유닛 그룹을 갖되, 복수의 상기 유닛 그룹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하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단부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케이스(bottom case),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을 채우고, 상기 하부 케이스보다 형상의 복원 속도가 느린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을 채우고,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는 상기 충진재에 의해, 상기 시선 유도봉이 외부 차량과의 충돌에서 눕혀진 후, 재기립하는 과정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선 유도봉과 차량의 2차 충돌이 예방되거나 최소화되어, 차량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따르면,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외부 케이스(outer case),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내부 케이스(inner ca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갖는 상기 외부 케이스,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갖는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의해,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상기 시선 유도봉의 파손이 예방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비교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2차 충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동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비교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2차 충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100)이 제공된다. 상기 시선 유도봉(100)은, 몸체(110) 및 하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지면(G)으로부터 제1 방향, 다시 말하면, 위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몸체(11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사부는 기호, 문자, 도형, 숫자, 그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 내부에, 후술되는 충진재(124)와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공(11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12)은 상기 몸체(110)의 상단부에서 상기 하단부(120)를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12)은 상기 몸체(110)의 상기 상단부에 제공된 홀, 및 상기 몸체(110) 내부의 비어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부(120)는 상기 몸체(110)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10)를 상기 지면(G)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단부(120)는 상기 몸체(110)와 일체(one body)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단부(120)는 상기 몸체(110)와 별도의 공정으로 제공된 후, 상기 몸체(1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단부(120)는, 하부 케이스(122), 충진재(124), 및 고정 부재(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2)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와 일체로 제공되거나, 또는 별도의 공정으로 제공된 후 상기 몸체(1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2)는 고무와 같이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122)의 윗부분에서 아랫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상기 시선 유도봉(100)에 충격을 가하는 경우, 상기 시선 유도봉(100)이 용이하게 눕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28)는 앙카 볼트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28)는 상기 하부 케이스(122)를 상기 지면(G)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2)는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충진재(124)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충진재(124)는 상기 하부 케이스보다 탄성력이 작은 물질, 예를 들어, 복수의 기공을 갖는 폼(foam)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충진재(124)는 메모리 폼, 우레탄 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충진재(124)는 상기 하부 케이스(122)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충진재(124)의 형상의 복원 속도는 상기 하부 케이스(122)보다 느릴 수 있다.
상기 시선 유도봉(110)이 외부 차량과 충돌한 경우, 상기 충진재(124)가 압축되면서 상기 충진재(124) 내의 기공에 존재하던 공기가 상기 관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충진재(124)는 용이하게 압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시선 유도봉(110)이 차량에 충격을 가하지 않음은 물론, 차량에 의해 상기 시선 유도봉(110)이 받은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시선 유도봉(110)은 용이하게 눕혀질 수 있다.
이후, 차량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관통공(11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충진재(124)의 기공으로 유입되어, 압축되어 있는 상기 충진재(124)가 상대적으로 천천히 복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선 유도봉(110) 또한 상대적으로 천천히 재기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시선 유도봉(110)의 빠른 재기립으로 인한 차량의 2차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하부 케이스(122)의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충진재(124)가 생략된 시선 유도봉(10)이 외부 차량과 충돌하여 눕혀진 상태에서, 차량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선 유도봉(10)이 빠르게 재기립할 수 있고, 빠르게 재기립하는 상기 시선 유도봉(10)에 의해 차량이 상기 시선 유도봉(10)과 2차 충돌하여, 차량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된 봐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선 유도봉(110)이 외부 차량과의 충돌에서 눕혀진 후, 재기립하는 과정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수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시선 유도봉(100)과 차량의 2차 충돌이 예방되거나 최소화되어, 차량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100)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과 동일한 구성을 갖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20a)의 하부 케이스(122)의 형상이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122)의 윗부분에서 아랫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고, 고정 부재(128)가 상기 하부 케이스(122)의 평평한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지면(G)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과 동일한 구성을 갖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122)의 내부 공간에 상기 충진재(124)가 비스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상기 충진재(124)의 상부면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상기 충진재(124)는 상기 하부 케이스(122)의 상기 내부 공간을 채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일 측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충진재(124)의 두께가 두껍고,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타 측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충진재(124)의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경우, 상기 충진재(124)에 의한 복원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느릴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일 측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충진재(124)의 두께가 두껍고,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타 측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충진재(124)의 두께가 얇은 경우, 상기 일 측의 복원 속도가, 상기 타 측의 복원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주로 상기 일 측에서 상기 타 측으로 주행하여, 차량이 상기 시선 유도봉의 상기 일 측에서 충돌하는 경우, 상기 시선 유도봉이 보다 용이하게 눕혀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측의 두꺼운 상기 충진재(124)에 의해 재기립 속도가 늦어져, 2차 충돌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동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과 동일한 구성을 갖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122)의 내부 공간에 상기 충진재(124)의 요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충진재(124)의 상부면이, 상기 내부 공간의 중앙에서 상기 충진재(124)의 상부면보다 낮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부 공간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충진재(124)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상기 내부 공간의 중앙에서 상기 충진재(124)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을 수 있다.
차량이 상기 시선 유도봉에 충격을 가하는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122)의 상기 내부 공간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충진재(124)가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선 유도봉의 재기립 속도는, 상기 내부 공간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충진재(124)의 두께다 두꺼운 경우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3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충진재(124)의 수명 및 2차 충돌 방지가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과 동일한 구성을 갖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진재(124)가 상기 하부 케이스(122)의 내부 공간을 채우는 것은 물론, 상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따른 시선 유도봉은 상술된 제1 실시 예 및 그 변형 예들에 따른 시선 유도봉과 동일한 구성을 갖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가 외부 케이스(114) 및 내부 케이스(116)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14)는 상기 시선 유도봉이 연장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114a)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상기 복수의 개구부(114a)가 유닛 그룹으로 정의되는 경우, 복수의 유닛 그룹이 상기 외부 케이스(114)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유닛 그룹은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116)는 상기 외부 케이스(114)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부(114a)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10)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114a)를 갖는 상기 외부 케이스(114), 및 상기 외부 케이스(114) 내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부(114a)에 의해 노출된 상기 내부 케이스(116)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케이스(114)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갖고, 상기 내부 케이스(116)는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갖고, 상기 외부 케이스(114)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114a)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갖는 상기 내부 케이스(116)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상기 시선 유도봉의 파손이 예방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시선 유도봉
110: 몸체
112: 관통홀
114: 외부 케이스
114a: 복수의 개구부
116: 내부 케이스
120: 하단부
122: 하부 케이스
124: 충진재
128: 고쟁부재

Claims (7)

  1. 삭제
  2.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하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단부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케이스(bottom case);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을 채우고, 상기 하부 케이스보다 형상의 복원 속도가 느린 충진재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충진재의 두께가,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충진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으로 차량이 출동하는 경우보다, 빠르게 눕혀지고,
    상기 타측으로 눕혀진 경우 기립하는 속도가, 상기 일측으로 눕혀진 경우 기립하는 속도보다, 느린 것을 포함하고,
    차량의 주행방향과 상기 일측에 상기 타측으로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의 탄성력(elastic force)은 상기 하부 케이스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복수의 기공을 갖는 폼(foam)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고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내부에, 상기 충진재와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공이 제공되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하단부로 연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외부 케이스(outer case);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내부 케이스(inner case)를 포함하는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케이스보다 높은 강도를 갖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보다 큰 탄성력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상기 복수의 개구부가 유닛 그룹(unit group)으로 정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는, 복수의 상기 유닛 그룹을 갖되,
    복수의 상기 유닛 그룹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포함하는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KR1020180074129A 2018-06-27 2018-06-27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KR101988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29A KR101988175B1 (ko) 2018-06-27 2018-06-27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29A KR101988175B1 (ko) 2018-06-27 2018-06-27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175B1 true KR101988175B1 (ko) 2019-06-11

Family

ID=6684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129A KR101988175B1 (ko) 2018-06-27 2018-06-27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1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950U (ko) * 2007-05-31 2008-12-04 (주)율전안전 차선규제봉
KR100907304B1 (ko) * 2008-12-02 2009-07-13 주식회사 엠씨에스코리아 탄성볼라드
KR20120096577A (ko) * 2009-12-21 2012-08-3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코어/쉘 구성을 구비한 시선유도표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950U (ko) * 2007-05-31 2008-12-04 (주)율전안전 차선규제봉
KR100907304B1 (ko) * 2008-12-02 2009-07-13 주식회사 엠씨에스코리아 탄성볼라드
KR20120096577A (ko) * 2009-12-21 2012-08-3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코어/쉘 구성을 구비한 시선유도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3549B2 (en) Roadway safety barrier
KR20160105335A (ko) 적어도 하나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패키징용 디바이스를 조립하기 위한 블랭크
KR101988175B1 (ko)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WO2007004463A1 (ja) 車線分離標
KR101814783B1 (ko) 충격 흡수형 도로경계석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ES2336881B1 (es) Guardarail amortiguador.
KR101208583B1 (ko) 충격완화반사판이 구비된 가드레일
KR20070099909A (ko) 도로 분리 경계용 충격흡수장치
KR100769270B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101447906B1 (ko) 도로용 충격완화장치
KR101213075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1548952B1 (ko)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이 향상된 가드케이블
KR200150858Y1 (ko) 안전성이 강화된 가드레일(Guard rail)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200411786Y1 (ko)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
KR200341904Y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경계용 안전 펜스
KR101669595B1 (ko) 방향유도부재가 구비된 가드레일
AU2006235940A1 (en) Road safety barrier
CN107059700A (zh) 长波形护栏安装设备
KR10125687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357085Y1 (ko) 도로용 방호 장치
CN201567535U (zh) 防眩板补强固定座
KR101983212B1 (ko) 주차라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