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212B1 - 주차라인 - Google Patents
주차라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3212B1 KR101983212B1 KR1020170081930A KR20170081930A KR101983212B1 KR 101983212 B1 KR101983212 B1 KR 101983212B1 KR 1020170081930 A KR1020170081930 A KR 1020170081930A KR 20170081930 A KR20170081930 A KR 20170081930A KR 101983212 B1 KR101983212 B1 KR 1019832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e
- parking
- horizontal line
- horizontal
- pillar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위한 주차라인은, 실내주차장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지지체로서 서로 이격배치되는 제1 기둥부재 및 제2 기둥부재 사이에 2 이상의 차량이 주차가능한 주차공간을 구획하는 주차라인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기둥부재의 일측을 향해 연장배치되되, 상기 제1 기둥부재 및 상기 제2 기둥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수평라인; 상기 제1 수평라인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수평라인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수평라인; 상기 제1 기둥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1 수평라인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라인의 일측단과 대응하는 상기 제2 수평라인의 일측단을 향해 연장 배치되는 제1 경사라인; 상기 제2 기둥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1 수평라인의 타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라인의 타측단과 대응하는 상기 제2 수평라인의 타측단을 향해 연장배치되는 제2 경사라인; 상기 제1 수평라인 상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라인 상의 일 지점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1 수평라인 및 제2 수평라인과 수직배치되는 수직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수평라인, 제2 수평라인, 제1 경사라인 및 제2 경사라인은 등변사다리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수평라인과 상기 제1 경사라인 상이의 끼인각 및 상기 제1 수평라인과 상기 제2 경사라인 사이의 끼인각은 둔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수평라인, 제2 수평라인, 제1 경사라인, 제2 수직라인에 의해 각각의 주차공간이 구획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차라인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차량 탑승자의 승하차가 용이한 주차공간을 구획하는 주차라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의 보유수가 늘어남에 따라 교통의 정체, 공해문제 발생 등의 여러문제가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차량의 주차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부지가 좁은 도심지역은 건물 내의 주차장을 구비하여 주차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나, 제한된 공간에 많은 주차대수를 확보하고자 1대당 주차면적을 최소한으로 설정하여 차량을 주차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차량 탑승자가 승하차하면서 차량 문을 열고 닫을때 옆차량과 접촉하여 찍힘 등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고, 초보운전자들은 좁은 주차공간 내에 주차시에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편안하고 안전한 주차를 하기 위한 주차공간 확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탑승자의 승하차가 용이한 주차공간을 구획하는 주차라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위한 주차라인은, 실내주차장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지지체로서 서로 이격배치되는 제1 기둥부재 및 제2 기둥부재 사이에 2 이상의 차량이 주차가능한 주차공간을 구획하는 주차라인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기둥부재의 일측을 향해 연장배치되되, 상기 제1 기둥부재 및 상기 제2 기둥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수평라인; 상기 제1 수평라인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수평라인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수평라인; 상기 제1 기둥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1 수평라인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라인의 일측단과 대응하는 상기 제2 수평라인의 일측단을 향해 연장 배치되는 제1 경사라인; 상기 제2 기둥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1 수평라인의 타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라인의 타측단과 대응하는 상기 제2 수평라인의 타측단을 향해 연장배치되는 제2 경사라인; 상기 제1 수평라인 상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라인 상의 일 지점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1 수평라인 및 제2 수평라인과 수직배치되는 수직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수평라인, 제2 수평라인, 제1 경사라인 및 제2 경사라인은 등변사다리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수평라인과 상기 제1 경사라인 사이의 끼인각 및 상기 제1 수평라인과 상기 제2 경사라인 사이의 끼인각은 둔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수평라인, 제2 수평라인, 제1 경사라인, 제2 경사라인 및 수직라인에 의해 각각의 주차공간이 구획된다.
상기 수직라인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수직라인 및 제2 수직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라인은 상기 제1 경사라인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수직라인은 상기 제2 경사라인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라인은, 상기 제1 경사라인과 대향되며, 상기 제1 경사라인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외측경계선; 및 상기 제2 수직라인과 대향되는 제1 내측경계선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 수직라인은, 상기 제2 경사라인과 대향되며, 상기 제2 경사라인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외측경계선; 및 상기 제1 수직라인과 대향되는 제2 내측경계선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제1 내측경계선 및 상기 제2 내측경계선은 상기 제1 수평라인 및 상기 제2 수평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차라인은 상기 각각의 주차공간 내에 주차되는 차량의 진입방향을 안내 가능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공간은 상기 주차공간에 주차를 위해 진입하는 차량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최외각의 제1 주차공간 및 우측 최외각의 제2 주차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주차공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후방주차를 안내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주차공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후방주차를 안내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라인은 건물내 주차장의 기둥 뒤편의 공간을 활용하여 주차공간을 구획함으로써, 탑승자의 승하차 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차문의 찍힘에 의한 차량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에 차량을 주차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에 차량을 주차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에 차량을 주차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에 차량을 주차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주차라인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평면도이다.
최근 고밀도 도심지역에서 차량이 많아짐에 따라 주차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부지가 좁은 도심지역은 건물 내의 주차장을 구비하여 주차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나 차량 1대당 주차면적이 좁게 배치됨에 따라 차량 탑승자가 승하차 시 차량 문을 열고 닫으면서 옆차량의 접촉하여 찍힘 등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고, 미숙한 운전자들은 좁은 주차공간 내에 주차시에 접촉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둥뒤의 공간을 활용하여 주차라인을 구획함으로써 탑승자의 승하차 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주차시 접촉사고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주차라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라인(100)은 제1 기둥부재(50a)와 제2 기둥부재(50b) 사이에 구비되어 2 이상의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공간(70)을 구획한다. 주차라인(100)은 제1 수평라인(110) 및 제1 수평라인(110)으로부터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수평라인(1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수평라인(110)과 제2 수평라인(120)을 연결하여 주차공간(70)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경사라인(130) 및 제2 경사라인(14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경사라인(130)은 제1 기둥부재(50a)와 인접하여 제1 수평라인(110)의 일측단으로부터 제2 수평라인(120)의 일측단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경사라인(140)은 제2 기둥부재(50b)와 인접하여 제1 수평라인(110)의 타측단으로부터 제1 수평라인(110)의 타측단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수평라인(110), 제2 수평라인(120), 제1 경사라인(130) 및 제2 경사라인(140)은 등변사다리꼴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평라인(110)과 제1 경사라인(130)의 끼인각(θ1)과 제1 수평라인(110)과 제2 경사라인(140)의 끼인각(θ2)은 각각 둔각(90<θ1<180, 90<θ2<180)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기둥부재(50) 뒤의 공간 및 주차공간에 따라 경사라인들(130,140)의 각도를 조정하여 주차라인을 구획할 수 있다. 제1 수평라인(110) 및 제2 수평라인(120)과 수직배치되는 수직라인(150)을 구비하며, 수직라인(150)은 주차공간(70)을 제1 주차공간(70a) 및 제2 주차공간(70b)로 구획하여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수평라인(110), 제2 수평라인(120), 제1 경사라인(130), 제2 경사라인(140) 및 수직라인(150)에 의해 각각의 주차공간(70)이 구획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주차라인(100)의 주요구성은 도 2에 설명한 주요 구성을 같이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2의 수직라인(150)의 변형된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수평라인(110) 및 제2 수평라인(120)과 수직배치되는 수직라인(15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수직라인(152) 및 제2 수직라인(1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라인(152)은 제1 경사라인(13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수직라인(154)은 제2 경사라인(1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제1 수직라인(152)의 좌측에는 제1 주차공간(70a)을 형성할 수 있고, 도면을 기준으로 제2 수직라인(154)의 우측에는 제2 주차공간(70b)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수직라인(152)과 제2 수직라인(154) 사이의 제3 주차공간(70c)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수직라인(152) 및 제2 수직라인(154)을 구비함으로써, 주차공간(70)을 제1 주차공간(70a) 제2 주차공간(70b) 제3 주차공간(70c)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2 수직라인(154)까지 구비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차공간(70)의 면적에 따라 수직라인(150)을 더 구비하여 구획할 수 있다. 위의 본 발명에 따른 주차라인(100)을 구비함으로써 주차공간(70)을 크게 늘리지 않고 한정된 공간 내에서도 효율적인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주차라인(100)의 주요구성은 도 2에 설명한 주요 구성을 같이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4의 제1 수직라인(152) 및 제2 수직라인(154)의 변형된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직라인(152)은 제1 외측경계선(152a) 및 제1 내측경계선(15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경계선(152a)은 제1 경사라인(130)과 대향되어 제1 경사라인(130)과 나란하게 구획될 수 있으며, 제1 내측경계선(152b)은 제2 수직라인(154)과 대향되어 수평라인들(110,120)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2 외측경계선(154a)은 제2 경사라인(140)과 대향되어 제2 경사라인(140)과 나란하게 구획될 수 있으며, 제2 내측경계선(154b)은 제1 수직라인(152)과 대향되어 수평라인들(110,120)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제1 외측경계선(152a)의 좌측에는 제1 주차공간(70a-1)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내측경계선(152b) 우측에는 제1 승하차공간(72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외측경계선(154)의 우측에는 제2 주차공간(70b-1)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외측경계선(154) 좌측에는 제2 승하차공간(72b)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경계선(152b)과 제2 내측경계선(154b) 사이의 제3 주차공간(70c)을 형성할 수 있다. 주차공간(70)과 승하차공간(72)을 구획함으로써, 차량의 주차시에 라인을 따라 정확한 위치에 주차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탑승자가 탑승위치에서 차량의 문을 열고 닫을때 옆차와 부딪히지 않고 용이하게 차량 탑승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측경계선(152b)과 제2 내측경계선(154b) 사이에 보조경계선(155)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보조경계선(155)을 구비함으로써 제3 주차공간(70c)과 제4 주차공간(70d)으로 구획할 수 있다. 위의 도면에서는 제4 주차공간(70d)까지만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차공간(70)의 면적에 의해 보조경계선(155)을 더 구비하여 구획함으로써 주차공간(70)을 더 구획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라인(100)은 주차공간(70) 내에 주차되는 차량의 진입방향을 안내가능한 표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160)는 제1 표시부(160a) 및 제2 표시부(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60a)는 차량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최외각의 제1 주차공간(70a-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표시부(160b)는 차량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최외각의 제2 주차공간(70b-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60a)는 제1 주차공간(70a-1)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후방주차를 안내할 수 있고, 제2 표시부(160b)는 제2 주차공간(70b-1)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후방주차를 안내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제1 주차공간(70a-1) 우측의 제3 주차공간(70c)에 제3 표시부(160c)를 배치하여 제3 주차공간(70c)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전방주차를 안내하고 있다. 도 5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제1 주차공간(70a-1) 우측의 제3 주차공간(70c) 및 제3 주차공간(70c) 우측의 제4 주차공간(70d)에 제3 표시부(160c) 및 제4 표시부(160d)를 배치하여 제3 주차공간(70c) 및 제4 주차공간(70d)에 진입하는 차량의 전방주차 및 후방주차를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주차환경에 따라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160)를 삼각형으로 구비하여 진입방향을 나타내었으나, 전면주차 또는 후면주차라는 글씨로 대체하거나 삼각형 표시부의 색을 다르게 구비하는 등 주차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면 표시부(160)의 형태는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60)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진입방향을 손쉽게 알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주차함에 있어서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에 차량을 주차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라인에 차량을 주차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변사다리꼴 주차라인(100)에 표시부들(160)의 안내에 맞추어 차량들(10a, 10b, 10c, 10d)을 전방주차 또는 후방주차함으로써 각각의 차량들(10a, 10b, 10c, 10d)의 사이의 공간이 넓어짐에 따라 승하차공간(72)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의 문을 열고 닫기 용이하여 차문의 접촉에 의한 차량(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차량 50: 기둥부재 70: 주차공간
72: 승하차공간 100: 주차라인 110: 제1 수평라인
120: 제2 수평라인 130: 제1 경사라인 140: 제2 경사라인
150: 수직라인 152: 제1 수직라인 152a: 제1 외측경계선
152b: 제1 내측경계선 154: 제2 수직라인 154a: 제2 외측경계선
154b: 제2 내측경계선 155: 보조경계선 160: 표시부
72: 승하차공간 100: 주차라인 110: 제1 수평라인
120: 제2 수평라인 130: 제1 경사라인 140: 제2 경사라인
150: 수직라인 152: 제1 수직라인 152a: 제1 외측경계선
152b: 제1 내측경계선 154: 제2 수직라인 154a: 제2 외측경계선
154b: 제2 내측경계선 155: 보조경계선 160: 표시부
Claims (5)
- 실내주차장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지지체로서 서로 이격배치되는 제1기둥부재(50a) 및 제2기둥부재(50b) 사이에 2이상의 차량이 주차가능한 주차공간(70)을 구획하는 주차라인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부재(50a)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기둥부재(50b)의 일측을 향해 연장배치되되, 상기 제1기둥부재 및 상기 제2기둥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수평라인(110);
상기 제1수평라인(110)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수평라인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수평라인(120);
상기 제1기둥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1수평라인(110)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수평라인의 일측단과 대응하는 상기 제2수평라인(120)의 일측단을 향해 연장 배치되는 제1경사라인(130);
상기 제2기둥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1수평라인(110)의 타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수평라인의 타측단과 대응하는 상기 제2수평라인(120)의 타측단을 향해 연장배치되는 제2경사라인(140); 및
상기 제1수평라인 상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수평라인 상의 일 지점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1수평라인(110) 및 제2수평라인(120)과 수직배치되는 수직라인(15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수평라인(110), 제2수평라인(120), 제1경사라인(130) 및 제2경사라인(140)은 등변사다리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수평라인(110)과 상기 제1경사라인(130) 사이의 끼인각(θ1) 및 상기 제1수평라인(110)과 상기 제2경사라인(140) 사이의 끼인각(θ2)은 둔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수평라인(110), 제2수평라인(120), 제1경사라인(130), 제2경사라인(140) 및 수직라인(150)에 의해 제1주차공간(70a) 및 제2주차공간(70b)이 구획되는, 주차라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라인(150)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수직라인(152) 및 제2수직라인(15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수평라인(110), 제2수평라인(120), 제1경사라인(130), 제2경사라인(140) 및 제1수직라인(152), 제2수직라인(154)에 의해 제1주차공간(70a), 제2주차공간(70b) 및 제3주차공간(70c)이 구획되는, 주차라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라인(150)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내측경계선(152b) 및 제2내측경계선(154b)과, 상기 제1경사라인(130) 및 제2경사라인(140)과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외측경계선(152a) 및 제2외측경계선(154a)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라인(130)과 제1외측경계선(152a)에 의해 제1주차공간(70a-1)이, 상기 제2경사라인(140)과 제2외측경계선(154a)에 의해 제2주차공간(70b-1)이, 상기 제1내측경계선(152b)과 제2내측경계선(154b)에 의해 제3주차공간(70c)이 구획되고,
상기 제1외측경계선(152a)과 제1내측경계선(152b)에 의해 제1승하차공간(72a)이, 상기 제2외측경계선(154a)과 제2내측경계선(154b)에 의해 제2승하차공간(72b)이 구획되는, 주차라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라인은 각각의 주차공간(70a, 70b, 70c)내에 주차되는 차량의 진입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160)를 더 포함하는, 주차라인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1930A KR101983212B1 (ko) | 2017-06-28 | 2017-06-28 | 주차라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1930A KR101983212B1 (ko) | 2017-06-28 | 2017-06-28 | 주차라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812A KR20190001812A (ko) | 2019-01-07 |
KR101983212B1 true KR101983212B1 (ko) | 2019-08-28 |
Family
ID=6501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1930A KR101983212B1 (ko) | 2017-06-28 | 2017-06-28 | 주차라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32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6651B1 (ko) * | 2021-12-14 | 2024-06-19 | (주)제이엔디 |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3739Y1 (ko) * | 1989-07-21 | 1992-06-08 | 전영일 | 도로 표지구 |
JP3013604B2 (ja) * | 1991-06-21 | 2000-02-2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立体駐車場 |
KR20140115579A (ko) | 2013-03-21 | 2014-10-01 | (주)세니츠코퍼레이션 | 주차장 구조물 |
-
2017
- 2017-06-28 KR KR1020170081930A patent/KR10198321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812A (ko) | 2019-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9451B1 (ko) | 매립형 중앙 분리대 | |
KR101983212B1 (ko) | 주차라인 | |
JP4489551B2 (ja) | 車両のボディー構造 | |
CN100473574C (zh) | 车辆前部构造 | |
JP4854222B2 (ja) | 車両の前部構造 | |
KR19980012737U (ko) |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 |
KR200436308Y1 (ko) | 차광 및 차선 유도 기능을 가진 교통 안전 난간 | |
CN110065440A (zh) | 汽车导视装置 | |
CN204547905U (zh) | 车辆并线提示灯 | |
US3290088A (en) | Vehicle construction | |
KR102715942B1 (ko) | 회전 교차로에서의 차량 진입 안내 및 제어방법 | |
KR20160044076A (ko) | 버스용 보조 노선 안내장치 | |
JP2002160583A (ja) | 車輌用バックミラ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3144571B2 (ja) | 自動車のドア構造 | |
JPWO2002100671A1 (ja) | フロントピラーによる視界死角軽減のためのフロントガラスの固定構造 | |
KR102687307B1 (ko) | 개방형 지주와 경사형 이음재를 적용한 차량 방호 울타리 | |
KR101988175B1 (ko) | 2차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 |
CN211335544U (zh) | 新型天窗结构及其汽车 | |
KR101061936B1 (ko) | 자동차의 주행 유도 장치 | |
KR200164288Y1 (ko) |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측면밀러 | |
KR101925977B1 (ko) | 차량 충돌시 지주가 밀리면서 충격흡수가 가능한 중앙분리대 | |
JP3075027U (ja) | 駐車誘導レール | |
JPS628168Y2 (ko) | ||
KR20230163188A (ko) | 차량 바퀴 유도 장치 | |
KR200148891Y1 (ko) | 실내용 초광폭 보조밀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