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6651B1 -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6651B1
KR102676651B1 KR1020210178824A KR20210178824A KR102676651B1 KR 102676651 B1 KR102676651 B1 KR 102676651B1 KR 1020210178824 A KR1020210178824 A KR 1020210178824A KR 20210178824 A KR20210178824 A KR 20210178824A KR 102676651 B1 KR102676651 B1 KR 102676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distance
doub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9984A (ko
Inventor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디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디 filed Critical (주)제이엔디
Priority to KR1020210178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66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6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2 이상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주차 단위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구역은, 차량 진입 방향 가장 왼쪽에 위치하고, 차량 진입 방향의 좌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 주차면; 및 차량 진입 방향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고, 차량 진입 방향의 우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 주차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SPACE-EFFCIENCY IMPROVED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18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차량 등록 대수는 2320만대이고, 연평균 약 3%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새로 짓고 있는 건물이나 상가들은 주차 공간을 고려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주차 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고, 장소 이동시에는 항상 주차 문제를 고민하게 된다.
번화가 뿐만 아니라 거주지인 아파트, 빌라 등도 주차 공간 부족으로 불법 주차가 만연하고 있고, 주차로 인한 다툼도 흔하다. 또한, 잘못된 주차로 차주간의 분쟁으로 끝나지 않고, 이러한 상황을 인터넷에 올려 공중에 공개하여 사회적으로 문제되는 경우가 많고 갈등이 더 커지는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현재 많은 주차장이 3면의 주차면을 하나의 주차영역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주차 상태에 따라 다른 주차면의 주차가 어려워 지거나, 출차를 위해 탑승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차주 간의 분쟁이 생기기도 한다. 이에 차문을 열 수 있는 공간이 개선된 주차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주차 공간이 협소한 주차장인 경우 이중주차가 관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데, 이중주차된 차량의 방향이 잘못되면 출차를 위한 차량 이동 시 다른 차량과의 충돌로 시시비비를 가리기 어려운 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주차 시 비상등 또는 실내등을 켜두는 실수로 배터리가 방전되고, 이로 인해 긴급 출동 서비스를 불러야 하고, 일정에 차질을 빚는 경우가 잦다.
이에 차문 개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올바른 이중 주차를 유도하고, 배터리 방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주차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문 개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올바른 이중 주차를 유도하고, 배터리 방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2 이상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주차 단위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구역은, 차량 진입 방향 가장 왼쪽에 위치하고, 차량 진입 방향의 좌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 주차면; 및 차량 진입 방향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고, 차량 진입 방향의 우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 주차면;을 포함한다.
상기 주차 시스템은 상기 단위구역이 반복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일정 각도(θ)는 5°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상기 단위구역 일측에 이중주차 영역; 및 이중 주차 차량이 상기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주차하도록 유도하는 이중주차 유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주차 유도모듈은 상기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거울 및 상기 거울 상에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울은 지면과 평행한 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거울일 수 있다.
상기 이중주차 유도모듈은, 상기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지면과 평행한 단면이 포물선을 형성하는 포물경; 및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으로 상기 포물경의 초첨 위치에 구비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이중주차 차량의 헤드라이트가 상기 포물경에 반사되어 상이 맺히는 결상부; 및 상기 결상부 중앙 영역에 상기 포물경의 초점 영역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초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주차 유도모듈은,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중주차 차량의 방향이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지를 판단하는 이중주차판단부; 상기 이중주차판단부에서 비교한 거리 차이가 2cm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차주에게 알리는 스피커; 및 상기 이중주차판단부에서 비교한 거리 차이가 2cm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차주에게 알리는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차량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감지부는, CCTV로부터 주차장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영상획득부의 영상을 기초로 주차된 차량의 비상등 켜짐 및 실내등 켜짐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내의 주차 차량의 비상등 켜짐 및 실내등 켜짐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모듈;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델은 상기 영상에 대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함으로써 생성된 모델로서, 주차된 차량의 비상등 켜짐 및 실내등 켜짐에 대한 기준 정보를 학습하여 생성된 모델일 수 있다.
상기 학습은 머신러닝 및 딥러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주차장 출구, 주차장 엘리베이터, 및 주차장 에스컬레이터 중 하나 이상에 경고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분석모듈이 주차 차량의 비상등 켜짐 및 실내등 켜짐 중 하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경고모듈과 통신하여 차주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시스템은 주차면의 차량 전측 및 후측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거리센서;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수집된 거리 데이터로부터 주차 차량 좌우 간격의 적절 여부를 판단하는 주차유도모듈; 상기 주차유도모듈이 판단한 좌우 간격의 적절 여부를 차주에게 알리는 알림모듈; 및 상기 거리센서, 주차유도모듈 및 알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거리센서는, 차량 왼쪽 전측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거리센서; 차량 왼쪽 후측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거리센서; 차량 오른쪽 전측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3거리센서; 및 차량 오른쪽 후측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4거리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는 차량과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된 센싱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 데이터를 상기 주차유도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모듈은, 상기 거리센서의 거리 데이터를 전송 받고,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통신부; 기설정된 차량과의 기준거리 데이터를 설정, 저장 및 관리하는 기준부; 및 상기 거리 데이터를 상기 기준거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주차 차량 좌우 간격의 적절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부는 상기 거리센서와 각각 순차적으로 주차선 중앙과의 거리를 Sn(n은 1 이상의 정수)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거리 데이터는 센싱되는 차량과의 거리에 대해, 하기 식 1의 영역을 침범구간(Fn,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 설정하고, 하기 식 2의 영역을 확인구간(En,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 설정하고, 하기 식 3의 영역을 유도구간(On,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 설정할 수 있다.
[식 1]
(Sn-D) ≤ Fn ≤ Sn+L
(상기 식 1에서 Sn은 거리센서와 주차선 중앙과의 거리, D는 허용계수, Fn은 침범구간, n은 2 이상의 정수임)
[식 2]
Sn+L < En ≤ (Sn+D)
(상기 식 2에서 Sn은 거리센서와 주차선 중앙과의 거리, L은 주차라인 계수, D는 허용계수, En은 확인구간, n은 1 이상의 정수임)
[식 3]
(Sn+D) < On < S(n+1)-D
(상기 식 3에서 Sn은 거리센서와 주차선 중앙과의 거리, L은 주차라인 계수, D는 허용계수, On은 유도구간, n은 1 이상의 정수임).
상기 판단부는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이 침범구간, 확인구간, 또는 유도구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모듈은 차주에게 침범구간, 확인구간, 또는 유도구간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알림모듈은, 상기 거리센서, 주차유도모듈 및 제어부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는 통신부; 왼쪽 상측에 위치하는 제1도광판; 왼쪽 하측에 위치하는 제2도광판; 오른쪽 상측에 위치하는 제3도광판; 오른쪽 하측에 위차하는 제4도광판; 상기 제1도광판에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발광부; 상기 제2도광판에 일측에 구비되는 제2발광부; 상기 제3도광판에 타측에 구비되는 제3발광부; 및 상기 제4도광판에 타측에 구비되는 제4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거리 데이터가 상기 침범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1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거리 데이터가 상기 확인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2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거리 데이터가 상기 유도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3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준거리 데이터는 상기 유도구간 중 일부를 하기 식 4의 영역을 주의구간(Wn,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거리 데이터가 상기 주의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4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식 4]
(Sn+D) < Wn < (Sn+1.5D).
상기 제2발광은 광도를 거리에 반비례하여 발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문 개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올바른 이중 주차를 유도하고, 배터리 방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에서 차량의 후방 진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에서 차량의 전방 진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반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에서 이중주차 유도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에서 이중주차 유도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에서 이중주차 유도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차량감지부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거리센서의 구성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거리센서의 구성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거리센서로부터 차량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기준거리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기준거리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알림모듈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알림모듈의 작동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 및 '~부'들은 디 바이 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 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에서 차량의 후방 진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에서 차량의 전방 진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2 이상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주차 단위구역(10)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구역(10)은, 차량 진입 방향 가장 왼쪽에 위치하고, 차량 진입 방향의 좌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 주차면(11); 및 차량 진입 방향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고, 차량 진입 방향의 우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 주차면(12);을 포함한다.
최근 안전한 차량에 대한 관심 및 캠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형차 보다 SUV나 6인승 이상의 차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고, 이로 인해 기존 주차면이 상대적으로 협소하게 되었다. 이는 주차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먼저 올바른 주차를 했더라도 이후 주차되는 옆 차량으로 인해 차문의 개폐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차주 간의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차문 개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과 같이 차량 이동 방향에 따라 좌측 주차면(11) 또는 우측 주차면(12) 중 하나는 후방 주차를 더욱 용이하게 하고, 다른 하나는 전방 주차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특히, 대부분 후방 주차를 하는 상황에서 도 3과 같이 좌측 주차면(11)에 전방 주차를 하게 되면, 차문 개폐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석 차문이 열리지 않는 공간인 옆차와의 간격을 더욱 줄일 수 있어 동일한 주차 공간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도 4와 같이 상기 단위구역(10)이 반복 배열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일정 각도(θ)는 5° 내지 15°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8° 내지 12°, 더욱 구체적으로 9° 내지 11°, 예를 들어 10°일 수 있다. 상기 각도 범위에서 차문 개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이웃하는 단위구역(10)에 영향이 없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상기 단위구역(10) 일측에 이중주차 영역(1); 및 이중 주차 차량이 상기 이중주차 영역(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주차하도록 유도하는 이중주차 유도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협소한 주차장에서는 이중주차가 관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데, 이중주차 시 차량 방향에 따라서 차량 이동 과정에서 다른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가 많고, 이런 경우 차주에 의한 운행으로 인정되지도 않기에 보험 처리도 어렵고, 시시비비를 가리는 과정에서 많은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이중주차 유도모듈(20)을 구비하여, 이중주차의 차량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유도해줌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이중주차 유도모듈(20)은 상기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거울 및 상기 거울 상에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울은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 방향과 정확히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어 이중주차하는 차주는 주차 과정에서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정면의 거울로 차량 좌우측면의 시인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올바른 차량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은 차량의 헤드라이트 영향을 최소화하여 차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거울은 지면과 평행한 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거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울은 지면과 평행한 단면만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 지면부터 상부까지 같은 단면이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로써, 차량마다 상이한 높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차량의 형상을 수용하고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거울을 오목 거울로 적용하는 경우 차량을 더욱 크게 볼 수 있어 차주가 이중주차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이중주차 유도모듈(20)은, 상기 이중주차 영역(1)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지면과 평행한 단면이 포물선을 형성하는 포물경(21); 및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으로 상기 포물경(21)의 초첨 위치에 구비되는 스크린(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물경(21)은 지면과 평행한 단면만 포물선이 형성되는 것으로 지면부터 상부까지 같은 단면이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로써, 차량마다 상이한 헤드라이트 높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수용하고 반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물경(21)은 평행으로 입사하는 빛을 모두 초점 위치로 반사하게 되며, 이중주차하는 차량이 이중주차 영역(1)과 정확히 평행이되면 차량의 헤드라이트 광이 포물경(21)을 통해 초첨 위치에 구비되는 스크린(23)에 상을 맺히게 할 수 있다. 차주는 스크린에 밝게 맺히는 스크린(23)의 헤드라이트의 반사광을 보고 이중주차 방향이 정확한 지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스크린(23)은 상기 이중주차 차량의 헤드라이트가 상기 포물경에 반사되어 상이 맺히는 결상부(231); 및 상기 결상부(231) 중앙 영역에 상기 포물경의 초점 영역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초점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3)은 상기 초점부(232)를 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방향의 이중주차 유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이중주차 유도모듈(20)은 이중주차 영역(1)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센서(241) 및 제2센서(242); 상기 제1센서(241) 및 제2센서(242)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중주차 차량의 방향이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지를 판단하는 이중주차판단부(미도시); 상기 이중주차판단부에서 비교한 거리 차이가 2cm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차주에게 알리는 스피커(25); 및 상기 이중주차판단부에서 비교한 거리 차이가 2cm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차주에게 알리는 표시부(2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241) 및 제2센서(242)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라이다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차량감지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감지부(400)는, CCTV로부터 주차장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410); 상기 영상획득부(410)의 영상을 기초로 주차된 차량의 비상등 켜짐 및 실내등 켜짐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내의 주차 차량의 비상등 켜짐 및 실내등 켜짐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모듈(430); 및 상기 제어부(400)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델은 상기 영상에 대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함으로써 생성된 모델로서, 주차된 차량의 비상등 켜짐 및 실내등 켜짐에 대한 기준 정보를 학습하여 생성된 모델일 수 있다.
상기 학습은 머신러닝 및 딥러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감지부(400)는 CCTV는 통신부를 구비한 CCTV를 새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기존의 CCTV를 활용함으로써 방대한 주차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초기 설치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차장 영상은 통신부를 구비한 CCTV로부터 직접 제공 받을 수도 있고, 상기 CCTV를 관리하는 서버 혹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는 환경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획득부(410)의 영상을 영상분석모듈(430)이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CCTV를 단순한 감시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차주에게 주차된 차량의 비상등 켜짐 및 실내등 켜짐 중 하나 이상을 알려줌으로써 기존 인프라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지능은 기존의 룰(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룰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 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고, 인공지능 기술은 머신 러닝 및 머신 러닝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머신 러닝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 기술은 딥러닝 등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차주가 차량을 주차하면 많은 차들이 에스코트 기능으로 약 15초간 헤드라이트가 켜진 채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모델은 이러한 데이터들을 학습함으로써 에스코트 기능 이후의 영상 분석을 수행하게 되며, 헤드라이트, 비상등 및 실내등의 켜짐 여부는 명암 차이 및 조도 차이를 중심으로 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신뢰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은 주차장 출구, 주차장 엘리베이터, 및 주차장 에스컬레이터 중 하나 이상에 경고모듈(50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분석모듈(430)이 주차 차량의 비상등 켜짐 및 실내등 켜짐 중 하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경고모듈(500)과 통신하여 차주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상기 경고모듈(500)은 주차장 출구, 주차장 엘리베이터, 및 주차장 에스컬레이터 등 차주가 주차 후 일정 시간 지난 후에 거쳐가는 경로에 설치됨으로써, 차량 에스코트 기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기 모델을 적용하는 영상분석모듈(430)에 최적화 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주차 시스템은 차량번호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분석모듈(430)에 의해 비상등, 실내등 또는 헤드라이트 켜짐으로 판단되는 차량과 커플링되어 미리 저장된 차주의 단말기로 알림 혹은 문자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은 주차면의 차량 전측 및 후측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거리센서(100);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수집된 거리 데이터로부터 주차 차량 좌우 간격의 적절 여부를 판단하는 주차유도모듈(200); 상기 주차유도모듈이 판단한 좌우 간격의 적절 여부를 차주에게 알리는 알림모듈(300); 및 상기 거리센서(100), 주차유도모듈(200) 및 알림모듈(300)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거리센서는, 차량 왼쪽 전측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거리센서(101); 차량 왼쪽 후측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거리센서(102); 차량 오른쪽 전측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3거리센서(103); 및 차량 오른쪽 후측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4거리센서(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101, 102, 103, 104)에 의해 측정된 거리 데이터로부터 차량의 주차가 제대로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이 주차면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쳤는 지 여부 뿐만 아니라, 비뚤하게 주차했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101, 102, 103, 104)는 2 이상의 주차면이 포함되는 주차영역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둥이 있는 경우 기둥에 구비될 수 있고, 벽면이 있는 경우 벽면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거리센서(101) 및 제3거리센서(103)가 배치될 기둥이 앞쪽으로 치우쳐 있어 차량 전면의 거리 측정이 어려운 경우, 기둥에서 연장되는 프레임, 기타 구조를 적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바닥에 별도의 프레임, 기타 구조를 적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거리센서가 배치되는 높이는 모든 차량 종류를 센싱할 수 있어야하므로, 지면에서 약 30cm 내지 100c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센서는 차량과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된 센싱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 데이터를 상기 주차유도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거리측정이 가능한 센서이면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라이다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을 참고하면, 또 다른 구체예에서 주차면이 벽면에 인접한 주차면이거나, 주차면 옆에 기둥이 없는 경우 상기 제3 및 제4 거리센서는 인접한 옆 주차 영역에 구비되어 목적하는 주차영역의 차량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거리센서의 측정방향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센서와 대응되는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13를 참조하면 Z×cos(a)-M으로 상기 일 구체예에 따른 거리센서와 대응되는 차량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101, 102, 103, 104)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는 통신부를 통해 주차유도모듈(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모듈(200)은, 상기 거리센서(101, 102, 103, 104)의 거리 데이터를 전송 받고,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통신부; 기설정된 차량과의 기준거리 데이터를 설정, 저장 및 관리하는 기준부; 및 상기 거리 데이터를 상기 기준거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주차 차량 좌우 간격의 적절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기준부는 상기 거리센서(101, 102, 103, 104)와 각각 순차적으로 주차선 중앙과의 거리를 Sn(n은 1 이상의 정수)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거리 데이터는 센싱되는 차량과의 거리에 대해, 하기 식 1의 영역을 침범구간(Fn,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 설정하고, 하기 식 2의 영역을 확인구간(En,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 설정하고, 하기 식 3의 영역을 유도구간(On,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 설정할 수 있다.
[식 1]
(Sn-D) ≤ Fn ≤ Sn+L
(상기 식 1에서 Sn은 거리센서와 주차선 중앙과의 거리, D는 허용계수, Fn은 침범구간, n은 2 이상의 정수임)
[식 2]
Sn+L < En ≤ (Sn+D)
(상기 식 2에서 Sn은 거리센서와 주차선 중앙과의 거리, L은 주차라인 계수, D는 허용계수, En은 확인구간, n은 1 이상의 정수임)
[식 3]
(Sn+D) < On < S(n+1)-D
(상기 식 3에서 Sn은 거리센서와 주차선 중앙과의 거리, L은 주차라인 계수, D는 허용계수, On은 유도구간, n은 1 이상의 정수임).
상기 식 1 내지 식 3에서 S1 내지 S4는 도 14에서와 같이 거리센서(101, 102)로부터 주차라인의 중앙까지의 거리를 설정한 것이며, 이는 주차라인이 약 10cm 내지 20cm로 폭(2×L)에 관계 없이 그 폭의 중앙 위치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n은 거리센서와 가장 가까운 주차라인을 1로하고 순차적으로 넘버링 할 수 있다.
상기 식 1 내지 식 3(이후 식 4)에서 D는 해당 주차장 주차면의 좌우 폭 및 주차되는 차량의 좌우 폭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cm 내지 20cm 사이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모듈(200)은 상기 거리센서(101, 102, 103, 104)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거리 데이터를 상기 기준부의 설정과 비교하여 침범구간, 확인구간 및 유도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정보는 알림모듈로 전송되어 판단된 구간에 대응되는 발광부의 발광 방식을 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이 침범구간, 확인구간, 또는 유도구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모듈은 차주에게 침범구간, 확인구간, 또는 유도구간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도 14는 S2를 기준으로하는 기준부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S1, S2, S3 등 다른 주차라인 영역에 대한 설정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하고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14는 차량 좌측면의 거리를 센싱하는 제1거리센서(101) 및 제2거리센서(102)를 예시로 설명하지만, 차량 우측면의 거리를 센싱하는 제3거리센서(103) 및 제4거리센서(104) 역시 대칭되도록 적용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주차센서(101) 및 제2주차센서(102)는 주차하는 차량의 좌측면 거리를 측정하게 되며, 그 거리가 주차라인을 침범하는 거리(S2+L) 이하이면 해당 차량은 좌측 주차면을 침범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침범구간에 주차한 것으로 정의한다. 침범구간의 최소 거리를 S2-D로 하는 것은 좌측 주차면에 주차하는 차량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주차센서(101) 및 제2주차센서(102)에서 측정된 거리가 확인을 필요로 하는 구간(S2+L < E2 ≤ (S2+D))이면 해당 차량의 우측과의 비교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확인구간에 주차한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제1주차센서(101) 및 제2주차센서(102)에서 측정된 거리가 올바르게 주차된 구간((S2+D) < O2 < S3-D)이면 해당 차량은 옆 주차면의 주차에 영향이 없도록 잘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고 유도구간에 주차한 것으로 정의한다.
식 1 내지 식 4에서 n은 주차영역의 주차면 수에 1을 더한 값일 수 있으며, 침범구간에서 n이 2 이상으로 설정된 것은 거리센서(101, 102)와 가장 가까운 왼쪽 주차면에는 주차라인을 침범하더라도 이는 오히려 옆 주차면에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주차이므로 이를 고려하였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기준거리 데이터는 상기 유도구간 중 일부를 하기 식 4의 영역을 주의구간(Wn,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 설정할 수 있다.
[식 4]
(Sn+D) < Wn < (Sn+1.5D).
도 15을 참고하면, 거리센서의 측정된 거리가 (Sn+D)인 유도구간에 해당되지만, 차량의 크기가 작아서가 아니라 오히려 오른쪽으로 많이 치우쳐 주차되는 상황을 감지하기 위함이며, 이런 경우 우측에 주차된 차량 또는 우측 주차면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어 주의구간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발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알림모듈(300)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알림모듈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알림모듈의 작동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알림모듈(300)은 상기 거리센서(100), 주차유도모듈(200) 및 제어부(400)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는 통신부(미도시); 왼쪽 상측에 위치하는 제1도광판(331); 왼쪽 하측에 위치하는 제2도광판(332); 오른쪽 상측에 위치하는 제3도광판(333); 오른쪽 하측에 위차하는 제4도광판(334); 상기 제1도광판(331)에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발광부(351); 상기 제2도광판(332)에 일측에 구비되는 제2발광부(352); 상기 제3도광판(333)에 타측에 구비되는 제3발광부(353); 및 상기 제4도광판(334)에 타측에 구비되는 제4발광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모듈은 4개의 도광판을 포함하고, 각각의 도광판에 별도로 구비되는 발광부를 구비함으로써, 각각 상이하게 발광하는 발광부의 발광에 따라 차주에게 주차되는 차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거리 데이터가 상기 침범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1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은 점멸 또는 제1색의 발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거리 데이터가 상기 확인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2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발광은 광도를 거리에 반비례하여 발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발광이 거리에 반비례하여 광도를 달리하는 제1 내지 제4 도광판으로 차주는 차량의 주차가 어떠한 상황인지 직감적이고, 즉각적이고, 시각적으로 바로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발광은 차주에게 주의를 인식하도록 적색으로 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발광은 상기 발광부의 최대 광도의 y%로 발광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y%는 아래 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y=(Sn+D-x)/(D-L)×100 (여기서 x는 거리센서에서 센싱된 거리)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제2발광은 광도를 거리에 비례하여 발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발광은 차주에게 안전를 인식하도록 청색으로 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발광은 상기 발광부의 최대 광도의 y%로 발광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y%는 아래 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y=(x-Sn)/(D-L)×100 (여기서 x는 거리센서에서 센싱된 거리)
도 17을 참고하면, 차량의 주차 상태에 따라 상기 알림모듈(300)은 다양한 신호를 차주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제2발광이 거리에 반비례하는 광도로 발광하는 것을 기준으로하면 (a)는 차량이 좌측으로 치우쳐 주차한 것이고, (c)는 우측으로 치우쳐 주차한 것이며, (b)는 주차면 가운데 정확하게 주차한 것임을 차주에게 직감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d)는 차량 앞쪽이 좌측으로 치우치고, 뒤쪽이 우측으로 치우쳐 주차한 것이며, (e)는 차량 앞쪽이 우측으로, 뒤쪽이 좌측으로 치우쳐 주차한 것으로 차주에게 직감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거리 데이터가 상기 유도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3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발광은 제2색으로 발광할 수 있고, 또는 소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거리 데이터가 상기 주의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4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발광은 제3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이중주차 영역 10: 단위구역
11: 좌측 주차면 12: 우측 주차면
20: 이중주차 유도모듈 21: 포물경
23: 스크린 231: 결상부
232: 초점부 241: 제1센서
242: 제2센서 25: 스피커
26: 표시부
100: 거리센서 101: 제1거리센서
102: 제2거리센서 103: 제3거리센서
104: 제4거리센서 110: 센싱부
130: 통신부 200: 주차유도모듈
300: 알림모듈 331: 제1도광판
332: 제2도광판 333: 제3도광판
334: 제4도광판 351: 제1발광부
352: 제2발광부 353: 제3발광부
354: 제4발광부 400: 차량감지부
410: 영상획득부 430: 영상분석모듈
500: 경고모듈

Claims (6)

  1. 2 이상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주차 단위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구역은,
    차량 진입 방향 가장 왼쪽에 위치하고, 차량 진입 방향의 좌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 주차면; 차량 진입 방향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고, 차량 진입 방향의 우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 주차면; 상기 단위구역 일측에 이중주차 영역; 및 이중 주차 차량이 상기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주차하도록 유도하는 이중주차 유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주차 유도모듈은,
    상기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중주차 차량의 방향이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지를 판단하는 이중주차판단부; 상기 이중주차판단부에서 비교한 거리 차이가 특정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차주에게 알리는 스피커; 및 상기 이중주차판단부에서 비교한 거리 차이가 특정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차주에게 알리는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시스템은 상기 단위구역이 반복 배열되는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각도(θ)는 5° 내지 15°인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주차 유도모듈은 상기 이중주차 영역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거울 및 상기 거울 상에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지면과 평행한 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거울인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KR1020210178824A 2021-12-14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KR102676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824A KR102676651B1 (ko) 2021-12-14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824A KR102676651B1 (ko) 2021-12-14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984A KR20230089984A (ko) 2023-06-21
KR102676651B1 true KR102676651B1 (ko) 2024-06-19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7977A (ja) * 2013-06-10 2014-12-18 Ihi運搬機械株式会社 Ev車両用の搬送装置
KR101983637B1 (ko) * 2019-03-29 2019-05-29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7977A (ja) * 2013-06-10 2014-12-18 Ihi運搬機械株式会社 Ev車両用の搬送装置
KR101983637B1 (ko) * 2019-03-29 2019-05-29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558B1 (ko) 자율주행차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89569B1 (ko) 다기능 스마트 객체인식 사고방지 표지 안내판 및 그것을 이용한 사고방지방법
KR101237200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0486742B2 (en) Parking assist system using light projections
CN102779430B (zh) 基于视觉的夜间后碰撞警告系统、控制器及其操作方法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CN105894810B (zh) 用于监视在停车场上行驶的车辆的方法和设备
US20200074859A1 (en) Parking system
CN109643365B (zh) 用于识别车库门的开启状态的方法与装置
US11355006B1 (en) Crosswalk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dication around crosswalk
KR101124294B1 (ko) 어안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제어 연동 주차관리 시스템
KR20200059755A (ko) 라이다 센서 검증시험 모의장치
KR102045837B1 (ko)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KR102144772B1 (ko) 가변구간 설치용 차선 변환시스템
US2024007587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nvironment lighting device of a vehicle
KR20190048582A (ko)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 알림 기능을 갖는 주차 안내 시스템
KR102676651B1 (ko)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KR102426517B1 (ko) 영상 기반의 객체 인식 및 주변 환경 감지를 통한 보행 신호 제어 장치
KR102515036B1 (ko) 가변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안전운전 유도 정보 표출 시스템 및 그 표출 방법
WO2018069354A2 (de) Stereometrische objektflussinteraktion
KR20230089984A (ko) 공간 활용형 주차 시스템
KR20230089980A (ko) 센서와 기존 cctv를 활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KR20170001540A (ko)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
KR102565897B1 (ko) 주차장에 진입하는 특수차량의 정보를 인공지능에 의해 인식하여 주차부스로 안내하는 시스템
KR101693262B1 (ko) 자동차 운행 가이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