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837B1 -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837B1
KR102045837B1 KR1020180025739A KR20180025739A KR102045837B1 KR 102045837 B1 KR102045837 B1 KR 102045837B1 KR 1020180025739 A KR1020180025739 A KR 1020180025739A KR 20180025739 A KR20180025739 A KR 20180025739A KR 102045837 B1 KR102045837 B1 KR 10204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lot
signal
passage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325A (ko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탑라이트 주식회사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라이트 주식회사,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83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Controlling traffic signals according to detected number or speed of vehicles
    • H05B33/0845
    • H05B37/0209
    • H05B37/0218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 내의 신호등이 없는 교차통로에서 원활한 차량 흐름을 유도함 물론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주차장 내의 교차통로 진입 구간 상에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교차통로로 진행하는 차량을 방향지시등이 포함되도록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얻은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차량의 방향지시등 점멸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 서버와, 상기 교차통로 근방의 각 통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교차통로로 진입하기 전의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교차통로 상의 차량이 진입하는 모든 방향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주의 신호를 현시하는 진로예고기를 포함하는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LIGHT CONTROL SYSTEM OF PARKING LOT WITH DISPLAY DEVICE FOR DRIVING DIRECT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주차장 내의 교차통로에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교통 상황에 따라 주의 신호를 현시하는 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장 내의 신호등이 없는 교차통로에 먼저 진입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어 주의 및 서행하도록 미리 경고함으로써 원활한 차량 흐름을 유도함 물론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차량이 수시로 출입하는 오피스, 아파트형공장, 오피스텔, 아파트(공통주택) 등 다양한 집합건물이나 인구밀집지역의 빌딩, 대형마트, 백화점, 쇼핑몰 등에는 대규모의 주차장이 여러 층 및 구역으로 나뉘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대형 주차장은 다수의 주차블록(구획)과 통로로 이루어지는데,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는 통로를 운행하면서 빈 주차블록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주차블록별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통로의 천장에는 유도성 확보와 주차의 편의 등을 위해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주차장의 안전과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차량과 사람을 감지해 자동으로 개별 조도를 조절하는 조명제어 시스템이 대부분의 주차장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주차장 내에는 신호등이 없기 때문에 교차통로에서는 서행 또는 정지하고 좌우를 신중히 살핀 후 진입 및 주의하여 통과해야 하고, 두 차량이 마주쳤을 때는 서로 교신하며 통행 우선순위를 정하여 선진입한 차량 또는 직진 차량에 진로를 양보해야 한다.
따라서 주차장 내 차량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주차 및 출차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자칫 운전자의 방심이나 판단 착오로 인한 접촉 사고나 추돌 사고와 같은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2018-0009551 A(2018.01.29) KR 10-1463941 B1(2014.11.14)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이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주차장 내의 신호등이 없는 교차통로에 먼저 진입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미리 알리어 주의 및 서행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구축함으로써 원활한 차량 흐름을 유도함 물론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주차장 내의 교차통로에 진입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미리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주차장 내의 교차통로 진입 구간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교차통로로 진행하는 차량을 방향지시등이 포함되도록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얻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의 방향지시등 점멸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 서버와, 상기 교차통로와 연결되는 각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교차통로로 진입하기 전의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교차통로 상의 차량이 진입하는 모든 방향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주의 신호를 현시하는 진로예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차량감지센서들 중 차량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감지센서가 있으면, 상기 진로예고기들이 제1주의 신호를 현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점멸 정보에 따른 차량의 예상 진행 방향에 해당하는 통로 상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감지센서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진로예고기들 중 상기 차량들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는 진로예고기가 제2주의 신호를 현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주차장 내의 신호등이 없는 교차통로에 먼저 진입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미리 알리어 주의 및 서행하도록 안내함으로써 원활한 차량 흐름을 유도함 물론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차량감지센서는, 상기 교차통로로 진입하기 전의 어떤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을 인지하고 속도를 계측하여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차량감지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속도 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거나,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얻은 영상 정보 분석을 통해 해당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그 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진로예고기들 중 상기 차량들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는 진로예고기가 제3주의 신호를 현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양쪽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 및 서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어 주차장 내에서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으로, 상기 주차장 내의 통로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점등 및 디밍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와, 상기 주차장 내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램프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센서 및 상기 램프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를 점등 및 디밍 작동시키는 디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으로, 상기 주차장 내의 각 주차면 위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빛으로 보여주는 만공차 표시등과, 상기 만공차 표시등의 점등 및 색상을 제어하는 표시등 제어부와, 상기 각 주차면에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등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주차감지센서 및 상기 표시등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만공차 표시등을 점등 및 그 점등 색상을 제어하는 만공차등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주차장 내의 신호등이 없는 교차통로에 먼저 진입하는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속도를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미리 인지하도록 진로예고기에 표시함으로써 원활한 차량 흐름을 유도함 물론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
즉, 주차장 내의 교차통로에서 교통을 관제하는 등 차량의 교통조건을 교통 흐름에 따라 탄력적으로 제어하는 신호등과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무질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주차 및 출차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더구나 교차통로로 진입하는 차량의 점멸 정보에 따른 차량 예상 진행 방향 통로 상에서 다른 차량이 교차통로로 진행할 때에만 진로예고기를 작동시켜 양쪽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 및 서행하도록 안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조명제어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구축함으로써 설치비용의 절감과 에너지부하를 줄임은 물론 운용 및 유지보수 등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의 조명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영상의 점멸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 즉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교차통로는 갈래가 4개인 '+' 자형이나 3개인 'T' 자형 등 2개 이상의 통로가 서로 직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로 교차하여 차량이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구역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은 크게 카메라 모듈(10), 제어 서버(20), 차량감지센서(30), 진로예고기(40), 램프(50) 및 만공차 표시등(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10)은 주차장 내의 교차통로 진행하는 차량을 방향지시등이 포함되도록 촬영하기 위해 교차통로 진입 구간 상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카메라 모듈(10)은 주차장 내 모든 교차통로 구간 및 지점의 차량이 통과하는 모든 방향마다 설치되며,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설치대를 이용하여 차량의 방향지시등이 포함되도록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10)은 통신부(11), 검출부(12), 촬영부(13)를 포함한다.
통신부(11)는 제어 서버(20)와 통신하여 차량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하며, 일례로 별도의 기지국이나 중계 장비 없이 저전력으로 소규모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다중센서가 가능하며 암호화로 보안이 강화되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로라(LoRa)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부(11)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혹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WLAN은 일반적인 무선 랜(LAN)일 수 있으며, WPAN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와이파이(Wi-Fi), 서브기가헤르츠 대역(SUB-GHz) 또는 밀리미터파 통신일 수 있다.
검출부(12)는 주차장 내의 교차통로로 진행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며, 거리센서 또는 근거리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촬영부(13)는 주차장 내의 교차통로로 진행하는 차량을 방향지시등이 포함되도록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촬영부(13)는 데이터 전송이 용이하도록 영상을 압축한 압축 포맷 형태로 변환할 수 있고, 압축 포맷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또는 MPEG-4 등의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0)은 어두운 곳에서도 차량의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야간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
즉,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0)일 수 있다.
제어 서버(20)는 카메라 모듈(10)에서 얻은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차량의 방향지시등 점멸 정보를 검출하고, 주차장의 주차 관리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 서버(20)는 카메라 모듈(10)과 차량감지센서(30) 및 진로예고기(40), 램프(50), 조도감지센서(51), 디밍 컨트롤러(52), 만공차 표시등(60), 주차감지센서(61), 표시등 컨트롤러(62)와 유무선으로 각각 접속되며, 이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취합하여 차량의 주차상황 정보를 생성 및 실시간으로 정보를 갱신하거나 업데이트 하여 저장 관리하며, 아울러 주차구역별이나 단계별로 램프(50)를 점등, 점멸 또는 순차적으로 디밍 제어 및 만공차 표시등(60)의 점등 및 색상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서버(20)는 램프 제어부(21), 표시등 제어부(22), 통신 모듈(23), 데이터 베이스(24), 영상 수신부(25), 영상 분석부(26), 신호 결정부(27)를 포함한다.
램프(50)는 램프 제어부(21)와 디밍 컨트롤러(52)의 제어에 따라 주차구역별, 단계별로 자동 점등하고, 아울러 점멸 또는 조도(밝기)를 조절하여 차량의 이동을 안내 및 유도하기 위해 주차장 내의 주차구역 및 통로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램프(50)는 디밍(dimming), 즉 조도 조절이 용이한 LED 조명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램프(50)는 LED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그 각각에 구별을 위한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며, 이러한 식별자로는 IP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램프 제어부(21)는 주차장 내의 빛의 세기(조도) 및 크기를 측정하는 조도감지센서(51) 혹은 사람의 존재 유무와 이동 여부를 검출하는 동체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주차구역별이나 단계별로 램프(50)를 점등, 점멸 또는 순차적으로 디밍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까지 주차장에 차량의 움직임이나 사람이 없으면 램프(50)와 만공차 표시등(60)을 소등하여 불필요한 전기소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디밍 제어란 차량의 이동을 모니터링 하면서 목적지 경로를 따라 배치된 램프(50)를 순차적으로 점등, 점멸 또는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개개의 램프(50) 또는 그룹화된 복수 개의 램프(50)에 하나씩 디밍 컨트롤러(52)가 배치되어 개개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디밍 컨트롤러(52)는 램프 제어부(21)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주차구역 및 통로 상의 램프(50)를 순차적으로 점등, 점멸 또는 디밍 작동시켜 조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차량의 전방으로 빈 주차면(주차목적지)까지 나열되어 있는 램프(50)의 조도는 단계적으로 밝게 제어하거나 100%로 점등하고, 나머지 다른 램프 및 이미 통과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램프의 조도는 일시에 50%로 어둡게 점등하거나 순차적으로 25%씩 낮아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순차적으로 밝아지는 램프(50)를 따라 경로의 이탈 없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
한편, 램프 제어부(21)는 복수의 디밍 컨트롤러(5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램프 제어부(21)는 각 디밍 컨트롤러(52)에 개별적으로 램프(50)를 켜는 명령, 끄는 명령 또는 조도를 조절하는 명령을 전달한다. 그리고 램프 제어부(21)에서 디밍 컨트롤러(52)로 전달하는 디밍 제어명령은 케이블 등의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 데이터 패킷 신호 등으로 전달한다.
만공차 표시등(60)은 차량의 주차 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빛으로 보여주기 위해 주차장 내의 각 주차면 위에 장치되어 있다.
표시등 제어부(22)는 각 주차면에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감지센서(61)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만공차 표시등(60)의 점등 및 색상을 기설정된 방법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만공차 표시등(60)은 표시등 컨트롤러(62)의 제어에 따라 주광원과 구별되는 적어도 한 가지 색상의 표지 광원을 해당 주차면의 점유 상태나 주차가능 여부에 따라 반복적인 패턴으로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다.
즉, 만공차 표시등(60)은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 가능한 공간이 있는지를 손쉽게 알려줄 수 있는 표시를 한다. 그 표시에는 기설정된 색상에 관한 시각적 출력이나 만차 또는 공차 여부에 관한 음성을 제공하는 청각적 출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표시등 제어부(22)는 주차감지센서(61)의 주차면에 대한 판단에 따라 만공차 표시등(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다고 판단하면, 만공차 표시등(60)은 적색으로 표시를 출력할 수 있고, 주차면 중 차량의 주차가 가능한 공간, 즉 빈 주차면이 있다고 판단하면, 만공차 표시등(60)은 녹색으로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감지센서(61)는 예를 들어, 초음파센서나 적외선센서 또는 CCTV카메라와 같은 비전센서 기타 적절한 센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주차구역 내 차량의 주차 여부 및 빈 주차면을 검출하는 기능(역할)과, 인체의 존재와 이동을 검출하는 기능(역할)을 한다.
또한, 주차감지센서(61)로는 카메라로부터 감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영상분석장치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때, 영상분석장치는 차량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특정벡터로 차량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인식 알고리즘으로는 SIFT(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Haar-like features 및 Gabor filter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고, 차량인식 알고리즘에 의하여 추출된 특징벡터는 기저장된 학습 데이터와 비교될 수 있다.
즉, 학습 데이터는 일반적인 차량 영상에 대한 특징벡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감시 영상의 주차면 영역에 촬영된 객체가 차량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만공차 표시등(60)은 각각의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개별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표시등 컨트롤러(62)는 표시등 제어부(22)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주차면의 만공차 표시등(60)을 점등 또는 그 점등 색상을 제어한다.
여기서 램프(50)와 만공차 표시등(60)은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된 레이스 웨이(race way)에 장치될 수 있고, 디밍 컨트롤러(52) 및 표시등 컨트롤러(62)는 제어 서버(2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별도의 중계기를 통해 램프(50)와 만공차 표시등(6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더넷, HomePNA, 전력선 통신, EIA-422/485 통신과 같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랜, 바이너리 CDMA, HomeRF, ZigBee,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적절히 이용하는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은 카메라 모듈(10)과 통신하는 기능을 하며, 일례로 별도의 기지국이나 중계 장비 없이 저전력으로 소규모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다중센서가 가능하며 암호화로 보안이 강화되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로라(LoRa)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 모듈(23)로는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또는 엘티이(LTE: 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망에서 좁은 대역을 이용하여 수백 kbps 이하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10km 이상의 저전력 광역 통신을 지원하는 NB-IOT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혹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WLAN은 일반적인 무선 랜(LAN)일 수 있으며, WPAN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와이파이(Wi-Fi), 서브기가헤르츠 대역(SUB-GHz) 또는 밀리미터파 통신일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4)는 차량 정보, 주차면 정보, 주차 상황 등 주차장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24)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촬영부(13)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 영상 분석부(26)에 의해 분석된 각종 영상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제어 서버(20)에 내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영상 수신부(25)는 카메라 모듈(10)의 촬영부(12) 영상을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영상 분석부(26)는 영상 수신부(25)를 통해 수신된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차량의 방향지시등 점멸 정보를 검출한다.
예컨대, 도 4와 같이 영상 수신부(25)의 영상 정보에서 차량의 차로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또는 차량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L1) 영역의 방향지시등 상태 픽셀(pixel)을 분석하여 점멸 신호가 인식되면 우회전 차량으로 판단하는 점멸 정보를 생성하고, 우측(L2) 영역의 방향지시등 상태 픽셀을 분석하여 점멸 신호가 인식되면 좌회전 차량으로 판단하는 점멸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영상 수신부(25)의 영상 정보에서 좌측(L1) 영역 및 우측(L2) 영역의 방향지시등 상태 픽셀을 분석하여 점멸 신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직진 차량으로 판단하는 점멸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영상 분석부(26)는 카메라 모듈(10)에서 전송받은 영상 분석을 통해 해당 차량의 속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신호 결정부(27)는 차량감지센서(20)의 감지 신호 및 영상 분석부(26)의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제1 내지 제3주의 신호를 생성 및 이의 현시를 결정하고, 진로예고기(4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차량감지센서(30)는 주차장 내 교차통로로 진입하기 전의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제어 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해 교차통로 근방의 각 통로 상에 설치되어 있다.
즉, 차량감지센서(30)는 각 통로 상에 복수 개로 배치되며, 각 센서들은 주차장 내 교차통로 방향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차량감지센서(30)로는 마이크로파 도플러 센서 등의 지향성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차량감지센서(30)는 반드시 도플러 센서와 같은 지향성 센서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물체의 움직임을 적외선 변화로 감지하는 PIR 센서를 채용할 수도 있고, 또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RFID 리더 및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동하는 차량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출력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의 이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진로예고기(40)는 제어 서버(20)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내지 제3주의 신호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교차통로 상의 차량이 진입하는 모든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진로예고기(40)는 제어 서버(20)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제1 내지 제3주의 신호를 현시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2주의 신호 현시란 모양, 색깔, 소리 등으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표시를 말하며, 일반적인 신호등이나 액정 화면, 발광 다이오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주의, 서행, 정지 등의 조건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주의 신호는 황색 점멸 신호일 수 있고, 제2주의 신호는 적색 점멸 신호일 수 있으며, 제3주의 신호는 적색 경광등 형태의 등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2주의 신호는 "진행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에서 다른 차량이 진입하고 있으니 주의하십시오."라는 문장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제3주의 신호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니 서행하십시오."라는 문장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감지센서(30)들은 교차통로로 진입하기 전의 어떤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작동하고, 그 속도를 계측하여 제어 서버(20)로 전송한다(S101).
이때, 제어 서버(20)는 차량감지센서(30)들 중 교차통로로 진행하는 차량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감지센서(30)가 있는가를 판단한다(S103).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1 상의 차량감지센서(31)(32)가 교차통로로 진행하는 차량A를 감지하면, 제어 서버(20)로 차량A의 감지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제어 서버(20)는 통로1 내지 통로4의 진로예고기(40)들이 모두 제1주의 신호를 현시하도록 제어한다(S105).
그리고 제어 서버(20)는 카메라 모듈(10)을 제어하여 해당 차량의 영상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함으로써 그 차량의 진행 방향을 예측하기 위한 점멸 정보를 검출한다(S107).
이때, 제어 서버(20)는 검출된 차량의 점멸 정보를 기초로 해당 차량의 예상 진행 방향에 해당하는 통로 상에 위치하는 차량감지센서(3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가 있는가를 판단한다(S109).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A는 그 점멸 정보에 따라 통로4를 향해 우회전하는 차량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이와 마주하는 방향인 통로4 상에 위치하는 차량감지센서(33)(34)로부터 교차통로로 진행하는 차량B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제어 서버(20)는 진로예고기(40)들 중 그 차량들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는 진로예고기(40), 즉 통로1 및 통로4의 전방에 위치하는 진로예고기(40)가 제2주의 신호를 현시하도록 제어한다(S111).
이 상태에서 제어 서버(20)는 해당 차량감지센서(31)(32)(33)(34)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속도 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거나, 카메라 모듈(10)에서 얻은 영상 정보 분석을 통해 해당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그 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는가를 판단한다(S113).
이때, 제어 서버(20)는 차량A 및 차량B 중 어느 하나라도 과속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진로예고기(40)들 중 그 차량들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는 진로예고기(40)가 제3주의 신호를 현시하도록 제어한다(S115).
이러한 과정을 자동 반복하여 작동함으로써 주차장 내 교차통로의 원활한 차량 흐름을 유도하여 주차 및 출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등의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카메라 모듈 20: 제어 서버
21: 램프 제어부 22: 표시등 제어부
30: 차량감지센서 40: 진로예고기
50: 램프 51: 조도감지센서
52: 디밍 컨트롤러 60: 만공차 표시등
61: 주차감지센서 62: 표시등 컨트롤러

Claims (4)

  1. 주차장 내의 교차통로 진입 구간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교차통로로 진행하는 차량을 방향지시등이 포함되도록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얻는 카메라 모듈(10);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촬영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의 방향지시등 점멸 정보를 검출하고, 차량의 주차상황 정보를 생성 및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 서버(20);
    상기 교차통로와 연결되는 각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교차통로로 진입하기 전의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차량을 감지 및 상기 교차통로로 진입하기 전의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을 인지하고 속도를 계측하여 상기 제어 서버(20)로 전송하는 차량감지센서(30);
    상기 교차통로 상의 차량이 진입하는 모든 방향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 서버(20)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주의 신호를 현시하는 진로예고기(40);
    상기 주차장 내의 통로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램프(50);
    상기 램프(50)의 점등 및 디밍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21);
    상기 주차장 내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램프 제어부(21)로 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센서(51);
    상기 램프 제어부(2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50)를 점등 및 디밍 작동시키는 디밍 컨트롤러(52);
    상기 주차장 내의 각 주차면 위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빛으로 보여주는 만공차 표시등(60);
    상기 만공차 표시등(60)의 점등 및 색상을 제어하는 표시등 제어부(22);
    상기 각 주차면에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등 제어부(22)로 신호를 전송하는 주차감지센서(61); 및
    상기 표시등 제어부(2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만공차 표시등(60)을 점등 및 그 점등 색상을 제어하는 표시등 컨트롤러(62);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서버(20)는,
    상기 차량감지센서(30)들 중 차량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감지센서가 있으면, 상기 진로예고기(40)들이 제1주의 신호를 현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점멸 정보에 따른 차량의 예상 진행 방향에 해당하는 통로 상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감지센서(3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진로예고기(40)들 중 상기 차량들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는 진로예고기가 제2주의 신호를 현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차량감지센서(3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속도 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거나, 상기 카메라 모듈(10)에서 얻은 영상 정보 분석을 통해 해당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그 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진로예고기(40)들 중 상기 차량들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는 진로예고기가 제3주의 신호를 현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25739A 2018-03-05 2018-03-05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KR10204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39A KR102045837B1 (ko) 2018-03-05 2018-03-05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39A KR102045837B1 (ko) 2018-03-05 2018-03-05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325A KR20190105325A (ko) 2019-09-17
KR102045837B1 true KR102045837B1 (ko) 2019-11-26

Family

ID=6807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739A KR102045837B1 (ko) 2018-03-05 2018-03-05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752B1 (ko) 2020-06-09 2020-11-27 김대훈 차량의 출차 시점을 예상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
KR102617647B1 (ko) * 2021-10-05 2023-12-22 정선희 삼거리의 교통 상황 알림 장치
KR102630046B1 (ko) * 2021-10-05 2024-01-25 정선희 볼라드를 이용한 삼거리의 교통 상황 알림 시스템
CN117315980B (zh) * 2023-08-28 2024-05-14 宁波宁工交通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智慧停车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736B1 (ko) * 2009-04-30 2010-01-06 (주)인트모아 아이피유에스엔을 이용한 지하주차장 조명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500A (ja) * 1993-10-06 1995-04-21 Fujitsu Ltd 交差点警報方式
KR101463941B1 (ko) 2012-12-20 2014-11-26 탑라이트 주식회사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50032437A (ko) * 2013-09-17 2015-03-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KR20170066043A (ko) * 2015-12-04 2017-06-14 주식회사 포엔스 고장진단 및 대처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 통합 제어시스템
KR101869391B1 (ko) 2016-07-19 2018-07-19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736B1 (ko) * 2009-04-30 2010-01-06 (주)인트모아 아이피유에스엔을 이용한 지하주차장 조명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325A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837B1 (ko)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EP302003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a vehicle's position using a plurality of light sensors
KR101237200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9478129B1 (en) Vehicl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KR102337088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예방시스템
KR102484348B1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JP7166155B2 (ja) 街路灯システム
KR101440478B1 (ko)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1463941B1 (ko)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US111388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lluminated route for an object moving on a path
KR20170019575A (ko)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101479178B1 (ko)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cctv용 지능형 카메라장치
KR20170001540A (ko)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
EP30738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KR102484409B1 (ko)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KR101673799B1 (ko) 지하주차장 다중 조명 시스템
KR101651368B1 (ko) 지하주차장 제어 방법
KR101444233B1 (ko) Cctv 기반의 도로 통신을 위한 lcs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도로 교통 사고 처리 방법
KR20170129523A (ko) 횡단보도용 조명 스마트 제어 시스템
KR20190075252A (ko) 차량과 신호등 간의 라이파이 통신을 통한 신호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4021693A (zh) 基于雷达探测的车行道标示方法及车行道标示系统
KR102604369B1 (ko) 교차로 통제용 차량 신호 제어 장치
KR102648144B1 (ko) 횡단보도용 스마트 신호등 안내 시스템
KR102618714B1 (ko)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폴 통합제어 시스템
JP2015133265A (ja) トンネル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