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786Y1 -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786Y1
KR200411786Y1 KR2020050035059U KR20050035059U KR200411786Y1 KR 200411786 Y1 KR200411786 Y1 KR 200411786Y1 KR 2020050035059 U KR2020050035059 U KR 2020050035059U KR 20050035059 U KR20050035059 U KR 20050035059U KR 200411786 Y1 KR200411786 Y1 KR 200411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disposed
fixed frame
guard rail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35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7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와 가드레일로 구성된 중앙분리대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드레일(200)의 상단에 배치된 고정프레임(300)과; 상기 고정프레임(300)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사각(四角)의 설치프레임(400)과; 상기 설치프레임(400)의 안쪽에 설치된 차광유리(500)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반대 차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에서 비추는 빛의 일부만이 통과하게 되므로 야간에 눈이 부시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주간에는 반대쪽 차로의 주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보행자나 운전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중앙분리대, 현광, 가드레일, 차광막, 눈부심

Description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GLARE-PROOF APPARATUS OF ROAD MEDIAN STRIP EXCELLENT IN SAFETY}
도 1은, 종래의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광방지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지주
200... 가드레일
300... 고정프레임
400... 설치프레임
500... 차광유리
700... 차광판
800... 반사지
본 고안은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 마주오는 차량의 현광은 눈이 부시지 않을 정도로 차단하는 한편 주간에 현광방지장치를 통해 반대쪽 차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광방지시설이란, 양방향으로 차량을 통해시키는 도로에서 야간에 반대 차로에서 주행하는 챠량의 불빛을 상당부분 차단하여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앙분리대 상단에 설치하는 시설물이다. 그리고, 상기 현광방지시설은 교통량, 설계속도, 도로 선형 등을 감안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구간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현광방지장치의 대표적인 구조가 도 1과 도 2에 나타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조는 차광망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중앙분리대 위쪽에 세밀한 망(1)을 설치하여 사각(死角)을 이용하여 현광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조는 판상(板狀)의 차광막(2)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분리대 위쪽에 소정의 각도로 설치하여 현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현광방지시설은 투명한 구조로 되어 있지 않아 보행자들의 시야를 차단하게 되어 반대쪽 차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반대쪽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치이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교차로에 인접해서는 진입하는 차량을 식별하기 곤란하여 충돌하는 사고도 종종 발생하는 등 안전성이 크게 떨어졌다.
또한, 주간 운행시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차단하여 운행의 쾌적성도 저해되었다.
또한, 해안가나 산림지역 등에서는 투박한 모습으로 인해 자연경관을 해치는 원인도 되었다.
또한, 야간운행시에 운전자가 현광방지장치의 틈으로 들어오는 대향차량의 불빛에 순간순간 노출됨으로써 눈의 피로가 누적된다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야간에 마주오는 차량의 현광은 눈이 부시지 않을 정도로 차단하는 한편, 주간에는 현광방지장치를 통해 반대쪽 차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인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야간에 대향하는 차량의 불빛이 단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인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주위와 어울리는 상태로 구성하여 미감을 최대한 높인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현광방지장치는,
지주와 가드레일로 구성된 중앙분리대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드레일의 상단에 배치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사각(四角)의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안쪽에 설치된 차광유리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광유리는 열처리 강화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광유리는 선팅처리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현광방지장치는,
지주와 가드레일로 구성된 중앙분리대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드레일의 상단에 배치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위에 설치된 투명 차광판과;
상기 차광판의 일부분에 부착된 반사지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광판은, 다수의 투과면들과, 상기 투과면과 투과면 사이를 구분하는 구획홈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지는 상기 투과면들 중 일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는 복합PP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광방지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광방지장치는 지주(100)와 가드레일(200)로 구성된 중앙분리대의 상단에 배치된다. 도면부호 900은 지주와 가드레일을 연결하는 연결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드레일(200)의 상단에 고정프레임(300)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300)에는 사각(四角)의 설치프레임(400)이 설치되며, 상기 설치프레임(400)의 안쪽에는 차광유리(5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차광유리(500)는 설치프레임(400)을 테두리로 하여 중앙분리대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먼저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프레임(300)을 가드레일(200)에 가로질러서 고정하되, 가드레일(200)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300) 위에 볼트 등을 사용하여 설치프레임(400)을 설치한다. 이때, 1개의 고정프레임(300)에는 수직 설치프레임(400)을 2열씩 총 4개 설치하여 이웃하는 차광유리의 배치도 고려하도록 한다.
차광유리(500)는 상기 설치프레임(400)을 고정프레임(300)에 설치할 때 함께 조립할 수도 있지만,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고정프레임(300)에 일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광유리(500)는 반대쪽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나오는 빛의 일부만을 투과하고 나머지는 반사하는 유리로서 시중에서도 구할 수 있는 소재이다.
특히, 상기 차광유리(500)는 열처리 강화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파손될 때 차량유리처럼 부스러지기 때문에 사고시에도 유리조각에 의해 승객이 부상당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광유리(500)에 선팅처리하면 차광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선팅의 색상은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며, 자동차 유리에 선팅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광방지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 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광방지장치는 지주(100)와 가드레일(200)로 구성되는 중앙분리대의 상단에 배치된다. 도면부호 900은 지주와 가드레일을 연결하는 연결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드레일(200)의 상단에 고정프레임(300)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300) 위에는 복합PP 등으로 구성된 투명한 차광판(7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광판(700)의 일부분에는 반사지(800)가 부착되어 중앙분리대의 위치가 명확하게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차광판(70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끼움구멍에 결합하기 위한 돌기(7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광판(700)은 가드레일의 횡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특히, 상기 차광판(700)은, 다수의 투과면(710)들과, 상기 투과면과 투과면 사이를 구분하는 구획홈(7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지(800)는 상기 투과면(710)들 중 일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표면 굴곡이 매우 심하여 빛의 산란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반대 차로에서 입사된 빛이 완전히 통과하지 않아 운전자가 강한 빛에 노출되는 경우가 없다.
물론, 주간에는 보행자나 운전자가 상기 투과면(710)을 통해 반대쪽 차로의 상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반대 차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에서 비추는 빛의 일부만이 통과하게 되므로 야간에 눈이 부시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주간에는 반대쪽 차로의 주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보행자나 운전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썬팅처리 등을 통해 광투과율의 조절도 가능하다.
또한, 소재를 강화유리로 할 경우에는, 사고시 유리자체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경우가 없다.

Claims (5)

  1. 지주와 가드레일로 구성된 중앙분리대의 상단에 배치되는 현광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200)의 상단에 배치된 고정프레임(300)과;
    상기 고정프레임(300)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사각(四角)의 설치프레임(400)과;
    상기 설치프레임(400)의 안쪽에 설치된 차광유리(50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광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유리(500)는 열처리 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광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유리(500)는 선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광방지장치.
  4. 지주와 가드레일로 구성된 중앙분리대의 상단에 배치되는 현광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200)의 상단에 배치된 고정프레임(300)과;
    상기 고정프레임(300) 위에 설치된 투명 차광판(700)과;
    상기 차광판(700)의 일부분에 부착된 반사지(80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광판(700)은, 다수의 투과면(710)들과, 상기 투과면과 투과면 사이를 구분하는 구획홈(7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지(800)는 상기 투과면(710)들 중 일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광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복합P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광방지장치.
KR2020050035059U 2005-12-13 2005-12-13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 KR200411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059U KR200411786Y1 (ko) 2005-12-13 2005-12-13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059U KR200411786Y1 (ko) 2005-12-13 2005-12-13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786Y1 true KR200411786Y1 (ko) 2006-03-17

Family

ID=4176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059U KR200411786Y1 (ko) 2005-12-13 2005-12-13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7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516B1 (ko) * 2012-01-16 2013-01-15 이광호 중앙 분리대의 차광망 지지장치
KR20200122092A (ko) 2019-04-17 2020-10-27 김경태 중앙분리대 차광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516B1 (ko) * 2012-01-16 2013-01-15 이광호 중앙 분리대의 차광망 지지장치
KR20200122092A (ko) 2019-04-17 2020-10-27 김경태 중앙분리대 차광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1786Y1 (ko) 안전성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현광방지장치
WO1988008995A1 (en) Anti-glare eyeglasses
KR101814783B1 (ko) 충격 흡수형 도로경계석
US3664733A (en) Antidazzle spectacles for motorists
KR20130013401A (ko) Led를 갖는 투명방음패널의 풍압조절가능한 h빔 체결 시스템
KR102053798B1 (ko) 차량용 햇빛가리개
CN208312238U (zh) 一种安全分区照明的汽车大灯结构
KR200298063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CN206537374U (zh) 一种用于汽车的前围总成
CN212247926U (zh) 一种道路桥梁用防远光防护栏
JP3086419B2 (ja) 防眩パネル
RU2060527C1 (ru) Противоослепляющие очки
CN209784680U (zh) 一种变色防蓝光防远光的全天候驾驶型镜片
RU2001788C1 (ru) Защитный противоослепл ющий экран дл ночного вожден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2181157B1 (ko) 중앙분리대 차광막
RU2095842C1 (ru) Очки для защиты от ослепления при вожден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ночное время
KR200207045Y1 (ko) 도로 경계석용 반사경
CN212430594U (zh) 道路护栏灯
KR20120109159A (ko) 터널용 델리네이터
US1844840A (en) Vehicle lighting system
KR20220134735A (ko) 반사경이 부착된 신호등
KR20220139596A (ko) 반사경이 부착된 신호등
RU16184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ослепляющего света в автомобиле
CN107336750A (zh) 一种用于汽车的前围总成
KR101106707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