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672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672B1
KR101985672B1 KR1020147014779A KR20147014779A KR101985672B1 KR 101985672 B1 KR101985672 B1 KR 101985672B1 KR 1020147014779 A KR1020147014779 A KR 1020147014779A KR 20147014779 A KR20147014779 A KR 20147014779A KR 101985672 B1 KR101985672 B1 KR 10198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ire
bending
groove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590A (ko
Inventor
히라쿠 코다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2Tread patterns directional pattern, i.e. with main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4Asymmetric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4Circumferential grooves provided at the equatori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6Circumferential grooves with zigza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3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60C2011/0383Blind or isolated grooves at the centre of th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09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traight at the trea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이 공기입 타이어(1A)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복수의 둘레 방향 주(主) 홈(21, 22)과,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러그(lug) 홈(41, 42)과, 이들의 둘레 방향 주 홈(21, 22) 및 러그 홈(41, 42)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블록(311, 321)을 구비한다. 또한, 블록(311)이,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형상을 가지는 것과 함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블록(311)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2분할하는 굴곡 홈(5a, 5b)을 구비한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이, 굴곡 홈(5a, 5b)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反轉)시켜 배치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이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스노(snow) 성능 및 웨트(wet)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승용차용 윈터 타이어(winter tire)에서는, 스노 성능에 더하여, 높은 웨트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되는 종래의 승용차용 윈터 타이어로서,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보 제2764001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64018호
이 발명은, 스노 성능 및 웨트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복수의 둘레 방향 주(主) 홈과,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러그(lug) 홈과, 상기 둘레 방향 주 홈 및 상기 러그 홈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블록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블록이,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형상을 가지는 것과 함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상기 블록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2분할하는 굴곡 홈을 구비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이, 상기 굴곡 홈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反轉)시켜 배치되고, 타이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이, 복수의 상기 굴곡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2개의 둘레 방향 주 홈과,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1열의 센터 육부(陸部) 및 좌우 한 쌍의 숄더 육부와, 상기 센터 육부에 배치된 복수의 러그 홈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러그 홈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경사 러그 홈이고, 일방(一方)의 단부(端部)에서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에 개구(開口)하는 것과 함께, 타방(他方)의 단부에서 상기 센터 육부 내에서 종단(終端)하고, 일방의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으로부터 연재하는 상기 러그 홈과 타방의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으로부터 연재하는 상기 러그 홈이 상기 센터 육부 내에서 교차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센터 육부가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되고, 상기 블록이,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형상을 가지는 것과 함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상기 블록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2분할하는 굴곡 홈을 구비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이, 상기 굴곡 홈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시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블록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홈을 구비하기 때문에, 블록의 에지(edge)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굴곡 홈에 의하여 육부의 홈 면적이 증가하고, 또한, 굴곡 홈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에 의하여 육부의 배수성(排水性)이 향상하여,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하는 타이어 자오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에는, 발명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치환 가능하고 또한 치환 자명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된 복수의 변형예는, 당업자 자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합이 가능하다.
[공기입 타이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1A)(1B)를 도시하는 타이어 자오선(子午線) 방향의 단면도이다. 동(同) 도면은, 공기입 타이어(1A)의 일례로서, 승용차용 레이디얼 타이어(radial tire)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부호 CL은 타이어 적도면(赤道面)이다.
이 공기입 타이어(1A)는, 한 쌍의 비드 코어(bead core)(11, 11)와, 한 쌍의 비드 필러(12, 12)와, 카커스층(13)과, 벨트층(14)과, 트레드(tread) 고무(15)와, 한 쌍의 사이드 월(side wall) 고무(16, 16)와, 한 쌍의 림 쿠션 고무(17, 17)를 구비한다(도 1 참조).
한 쌍의 비드 코어(11, 11)는, 환상(環狀) 구조를 가지고, 좌우의 비드부의 코어를 구성한다. 한 쌍의 비드 필러(12, 12)는, 한 쌍의 비드 코어(11, 11)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주(外周)에 각각 배치되어 비드부를 보강한다.
카커스층(13)은, 단층(單層) 구조를 가지고, 좌우의 비드 코어(11, 11) 사이에 토로이덜(toroidal) 형상으로 걸쳐져 타이어의 골격을 구성한다. 또한, 카커스층(13)의 양 단부는, 비드 코어(11) 및 비드 필러(12)를 감싸도록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되감겨 계지(係止)된다. 또한, 카커스층(13)은,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예를 들어, 아라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등)로 구성되는 복수의 카커스 코드를 코트 고무로 피복하고 압연(壓延) 가공하여 구성되고, 절댓값으로 85[deg] 이상 95[deg] 이하의 카커스 각도(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카커스 코드의 섬유 방향의 경사각)를 가진다.
벨트층(14)은, 한 쌍의 교차 벨트(141, 142)와, 벨트 커버(143)를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카커스(carcass)층(13)의 외주에 돌려져 배치된다. 한 쌍의 교차 벨트(141, 142)는,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구성되는 복수의 벨트 코드를 코트 고무로 피복하고 압연 가공하여 구성되고, 절댓값으로 10[deg] 이상 30[deg] 이하의 벨트 각도를 가진다. 또한, 한 쌍의 교차 벨트(141, 142)는, 서로 다른 부호의 벨트 각도(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벨트 코드의 섬유 방향의 경사각)를 가지고, 벨트 코드의 섬유 방향을 서로 교차시켜 적층된다(크로스 플라이 구조). 벨트 커버(143)는,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구성되는 복수의 벨트 코드를 코트 고무로 피복하고 압연 가공하여 구성되고, 절댓값으로 10[deg] 이상 45[deg] 이하의 벨트 각도를 가진다. 또한, 벨트 커버(143)는, 교차 벨트(141, 142)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측에 적층되어 배치된다.
트레드 고무(15)는, 카커스층(13) 및 벨트층(14)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주에 배치되어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구성한다. 한 쌍의 사이드 월 고무(16, 16)는, 카커스층(13)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좌우의 사이드 월부를 구성한다. 한 쌍의 림 쿠션 고무(17, 17)는, 좌우의 비드 코어(11, 11) 및 비드 필러(12, 12)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좌우의 비드부를 구성한다.
도 2는,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1A)의 트레드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동 도면은, 일반적인 블록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부호 T는, 타이어 접지단(接地端)이다.
이 공기입 타이어(1A)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둘레 방향 주 홈(21, 22)과, 이들의 둘레 방향 주 홈(21, 22)으로 구획된 복수의 육부(31, 32)와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러그 홈(41, 42)을 구비한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A)는, 둘레 방향 주 홈(21, 22) 및 러그 홈(41, 42)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블록(311, 321)을 구비한다.
둘레 방향 주 홈이란, 3.0[mm] 이상의 홈 폭(W1)을 가지는 둘레 방향 홈을 말한다. 또한, 러그 홈이란, 2.0[mm] 이상의 홈 폭(W2)을 가지는 가로 홈을 말한다. 이들의 홈 폭은, 홈 개구부에 형성된 노치(notch) 홈이나 모따기부를 제외하여 측정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구성에서는, 3개의 둘레 방향 주 홈(21, 22)이, 스트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타이어 적도면(CL)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둘레 방향 주 홈(21, 22)에 의하여, 2열의 센터 육부(31, 31)와 좌우 한 쌍의 숄더 육부(32, 32)가 구획되어 있다. 또한, 각 육부(31, 32)가 복수의 러그 홈(41, 42)을 각각 가지고 있다. 또한, 각 러그 홈(41, 42)이, 육부(31, 32)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오픈 구조를 가지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육부(31, 32)가,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블록(311, 321)으로 구획되어 있다.
덧붙여, 도 2의 구성에서는, 모든 육부(31, 32)가, 복수의 블록(311, 321)으로 구성되는 블록 열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적어도 1열의 육부가 블록 열이면 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구성에 있어서, 센터 육부(31, 31)가 블록 열이고, 좌우의 숄더 육부(32, 32)가 리브(rib)여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구체적으로는, 숄더 육부(32)의 러그 홈(42)이, 숄더 육부(32) 내에서 종단하는 세미 클로즈드 구조를 가지는 구성이 상정(想定)된다.
또한, 도 2의 구성에서는, 트레드 전개 폭(TDW)과, 좌우의 최외주 방향 주 홈(22, 22)의 거리(Wce)가, 0.3≤Wce/TDW≤0.7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 2의 구성에서는, 상기와 같이, 좌우의 최외주 방향 주 홈(22, 22)이 타이어 적도면(CL)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좌우의 최외주 방향 주 홈(22, 22)으로부터 트레드단까지의 좌우의 거리(Wsh, Wsh)가 동일해져 있다.
덧붙여, 트레드 전개 폭(TDW)이란, 타이어가 규정 림에 장착되어 규정 내압(內壓)이 부여되는 것과 함께 무부하(無負荷) 상태로 되었을 때의 타이어의 트레드 무늬 부분의 전개도에 있어서의 양단의 직선 거리를 말한다.
여기에서, 규정 림이란, JATMA에 규정되는 「적용 림」, TRA에 규정되는 「Design Rim」, 혹은 ETRTO에 규정되는 「Measuring Rim」을 말한다. 또한, 규정 내압이란, JATMA에 규정되는 「최고 공기압」, TRA에 규정되는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의 최댓값, 혹은 ETRTO에 규정되는 「INFLATION PRESSURES」를 말한다. 또한, 규정 하중이란, JATMA에 규정되는 「최대 부하 능력」, TRA에 규정되는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의 최댓값, 혹은 ETRTO에 규정되는 「LOAD CAPACITY」를 말한다. 다만, JATMA에 있어서, 승용차용 타이어의 경우에는, 규정 내압이 공기압 180[kPa]이고, 규정 하중이 최대 부하 능력의 88[%]이다.
[블록의 굴곡 홈]
도 3은, 도 2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1A)의 요부(要部)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동 도면은, 센터 육부(31)의 블록 열을 도시하고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1A)에서는, 센터 육부(31)의 블록(311)이, 굴곡 홈(5a, 5b)을 각각 가진다(도 2 및 도 3 참조). 굴곡 홈(5a, 5b)은, 타이어 폭 방향의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형상을 가지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블록(311)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2분할한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이, 굴곡 홈(5a, 5b)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시켜 배치된다. 덧붙여, 굴곡 홈(5a, 5b)은, 굴절 형상 혹은 만곡(彎曲) 형상을 가지는 홈을 말하고, 예를 들어, V자 형상, U자 형상, 원호형상 등을 가지는 홈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의 구성에서는, 좌우의 센터 육부(31, 31)의 각 블록(311)이, 굴곡 홈(5a, 5b)을 각각 가지고 있다. 또한, 하나의 블록(311)에 대하여 하나의 굴곡 홈(5a, 5b)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굴곡 홈(5a, 5b)이, 타이어 폭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만 볼록하게 되는 V자 형상을 가지고, 그 양 단부에서, 블록(31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에지부에 각각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굴곡 홈(5a, 5b)에 의하여, 블록(311)이, 좌우의 소(小)블록부로 분단되어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1A)에서는, 블록(311)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홈(5a, 5b)을 구비하기 때문에, 블록(311)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굴곡 홈(5a, 5b)에 의하여 육부(31)의 홈 면적이 증가하고, 또한, 굴곡 홈(5a, 5b)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에 의하여 육부(31)의 배수성이 향상하여,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이, 굴곡 홈(5a, 5b)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시켜 배치되기 때문에, 타이어 폭 방향으로의 블록(311)의 넘어짐이 억제되어, 타이어의 조종 안정 성능이 확보된다.
덧붙여, 도 2 및 도 3의 구성에서는, 좌우의 센터 육부(31)만이, 굴곡 홈(5a, 5b)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좌우의 숄더 육부(32, 32)가 굴곡 홈(5a, 5b)을 가져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또한, 공기입 타이어(1A)가 3열 이상의 센터 육부와 좌우의 숄더 육부를 가지는 구성(도시 생략)에서는, 적어도 1열의 센터 육부가, 굴곡 홈(5a, 5b)을 가지면 된다.
또한,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폭(W1)과, 굴곡 홈(5a, 5b)의 홈 폭(W3)이, 0.2≤W3/W1≤0.8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0.3≤W3/W1≤0.6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폭(W1)은, 굴곡 홈(5a, 5b)을 가지는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外側)의 에지부를 구획하는 둘레 방향 주 홈(22)(도 2에서는, 최외주 방향 주 홈(22))의 홈 폭으로서 측정된다. 또한, 굴곡 홈(5a, 5b)의 홈 폭(W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부의 홈 폭으로서 측정된다.
또한,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깊이(H1)(도시 생략)와, 굴곡 홈(5a, 5b)의 홈 깊이(H3)(도시 생략)가, 0.3≤H3/H1≤0.8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0.4≤H3/H1≤0.6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깊이(H1)는, 굴곡 홈(5a, 5b)을 가지는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에지부를 구획하는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깊이로서 측정된다. 또한,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깊이(H1) 및 굴곡 홈(5a, 5b)의 홈 깊이(H3)는, 홈 바닥의 바닥 올림부 등을 제외한 최대 홈 깊이로서 측정된다.
또한, 굴곡 홈(5a, 5b)의 굴곡 각(αa, αb)이, 90[deg]≤αa≤150[deg] 또한 90[deg]≤αb≤15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deg]≤αa≤130[deg] 또한 100[deg]≤αb≤13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의 굴곡 홈(5a, 5b)의 굴곡 각(αa, αb)이, 10[deg]≤|αa-αb|≤30[deg]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굴곡 홈(5a, 5b)이 만곡 형상을 가지는 구성에서는, 그 만곡부의 중심점과, 굴곡 홈(5a, 5b)의 양 개구부를 연결하는 선분이 이루는 각이, 굴곡 홈(5a, 5b)의 굴곡 각(αa, αb)으로 된다.
또한, 굴곡 홈(5a, 5b)의 굴곡부가, 블록(311)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삼등분하였을 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도 3 참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의 구성에서는, 굴곡 홈(5a, 5b)이,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앙부(3분의 1의 영역)에 굴곡부를 가지고, 그 양 단부(다른 3분의 2의 영역)에 직선부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굴곡 홈(5a, 5b)이 만곡 형상을 가지는 구성(도시 생략)에서는, 그 만곡부의 중심점이 굴곡 홈(5a, 5b)의 굴곡부로 된다.
또한, 굴곡 홈(5a)(5b)의 개구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일방의 블록(311)의 굴곡 홈(5b)(5a)의 개구부에 대하여 오프셋하여 배치된다(도 2 참조). 따라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에서는, 각 블록(311)의 굴곡 홈(5a, 5b)이, 적어도 일방의 개구부에서 서로 분단되어(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의 구성에서는, 하나의 굴곡 홈(5a)(5b)의 일방의 개구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일방의 블록(311)의 굴곡 홈(5b)(5a)의 개구부에 대하여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타방의 개구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타방의 블록(311)의 굴곡 홈(5b)(5a)의 개구부에 대하여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굴곡 홈(5a, 5b)이, 개구부를 서로 대향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관련되는 한 쌍의 굴곡 홈(5a, 5b)을 1조(組)로 한 복수 조의 굴곡 홈(5a, 5b)이, 개구부를 서로 오프셋시켜 불연속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구성에서는, 하나의 블록(311)이, 하나의 굴곡 홈(5a)(5b)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의 블록(311)이, 복수의 굴곡 홈(5a, 5b)을 가져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블록의 노치 홈]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A)에서는, 굴곡 홈(5a, 5b)을 가지는 블록(311)이, 노치 홈(6a, 6b)을 구비한다(도 2 및 도 3 참조). 노치 홈(6a, 6b)은, 일방의 단부에서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에지부에 개구하고, 타방의 단부에서 굴곡 홈(5a, 5b)에 교차하는 것 없이 블록(311)의 내부에서 종단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의 구성에서는, 센터 육부(31)의 블록(311)이, 하나의 굴곡 홈(5a)(5b)과, 하나의 노치 홈(6a)(6b)을 각각 가지고 있다. 또한, 노치 홈(6a, 6b)이, 직선 형상을 가지고,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에지부로부터 타이어 적도면(CL) 측을 향하여 연재하여, 굴곡 홈(5a, 5b)의 가장 앞에서 종단하고 있다. 덧붙여, 숄더 육부(32)의 블록(321)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에지부에 노치 홈(7)을 각각 가지고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1A)에서는, 블록(311)이 노치 홈(6a, 6b)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블록(311)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노치 홈(6a, 6b)과 굴곡 홈(5a, 5b)이 교차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블록(311)의 강성(剛性)이 적정하게 확보되어, 타이어의 조종 안정 성능이 확보된다.
덧붙여, 도 2 및 도 3의 구성에서는, 상기와 같이, 노치 홈(6a, 6b)이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에지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노치 홈(6a, 6b)이,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에지부에 배치되어도 무방하고(도시 생략),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에지부 및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에지부의 쌍방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또한, 굴곡 홈(5b)의 굴곡 측에 있는 노치 홈(6b)의 홈 길이(Lb)와, 굴곡 홈(5a)의 굴곡 측에 대하여 반대쪽에 있는 노치 홈(6a)의 홈 길이(La)가, La>Lb의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노치 홈(6a, 6b)의 홈 길이(La, Lb)가 굴곡 홈(5a, 5b)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조정된다. 덧붙여, 노치 홈의 홈 길이는, 블록(311)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노치 홈(6a, 6b)의 개구부로부터 블록(311)의 내부에 있어서의 노치 홈(6a, 6b)의 종단부까지의 홈 길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구성에서는, 상기와 같이, 노치 홈(6a, 6b)이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에지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홈(5b)에 대하여, 짧은 홈 길이(Lb)를 가지는 노치 홈(6b)이 배치되고,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홈(5a)에 대하여, 긴 홈 길이(La)를 가지는 노치 홈(6a)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노치 홈(6a, 6b)을 가지는 블록(311)의 부분의 강성이 균일화되어 있다.
또한,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폭(W1)과, 노치 홈(6a, 6b)의 홈 폭(W4)이, 0.2≤W4/W1≤0.8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0.3≤W4/W1≤0.6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나아가, 굴곡 홈(5a, 5b)의 홈 폭(W3)과, 노치 홈(6a, 6b)의 홈 폭(W4)이, 0.5≤W4/W3≤1.0의 관계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블록 패턴으로서의 강성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깊이(H1)와, 노치 홈(6a, 6b)의 홈 깊이(H4)(도시 생략)가, 0.1≤H4/H1≤0.6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0.2≤H4/H1≤0.4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덧붙여, 노치 홈(6a, 6b)의 홈 깊이(H4)는, 홈 바닥의 바닥 올림부 등을 제외한 최대 홈 깊이로서 측정된다.
또한, 노치 홈(6a, 6b)이, 블록(311)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삼등분하였을 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도 3 참조). 예를 들어, 도 3의 구성에서는, 굴곡 홈(5a)(5b)의 굴곡부 및 노치 홈(6a)(6b)의 쌍방이, 블록(31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홈 길이(La)를 가지는 노치 홈(6a)을 연장한 가상선과, 굴곡 홈(5a)과의 교점을 얻는다. 이때, 이 교점과, 노치 홈(6a)의 블록(311)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의 거리(Lc)가, 0.2≤La/Lc≤0.6의 범위 내에 있다. 마찬가지로, 홈 길이(Lb)를 가지는 노치 홈(6b)을 연장한 가상선과, 굴곡 홈(5b)과의 교점을 얻는다. 이때, 이 교점과, 노치 홈(6b)의 블록(311)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의 거리(Ld)가, 0.2≤Lb/Ld≤0.6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비(比) La/Lc와, 비 Lb/Ld가, 0.90≤(La/Lc)/(Lb/Ld)≤1.10의 관계를 가진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블록(311, 311)에 있어서의 노치 홈(6a, 6b)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각(βa, βb)이, |βa-βb|≤1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즉, 각 노치 홈(6a, 6b)이, 대략 평행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도 4는, 도 1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1A)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동 도면은, 방향성 트레드 패턴을 가지는 승용차용 윈터 타이어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도 4에 기재한 공기입 타이어(1B)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동 도면은, 센터 육부(31)의 편측(片側)의 블록 열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도 1의 공기입 타이어(1A)의 트레드 패턴(도 2 참조)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의 구성에서는, 공기입 타이어(1B)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2개의 둘레 방향 주 홈(22, 22)과, 이들의 둘레 방향 주 홈(22, 22)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1열의 센터 육부(31) 및 좌우 한 쌍의 숄더 육부(32, 32)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도 2의 구성과 비교하여, 단일한 또한 폭넓은 센터 육부(31)가 구획되어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B)가, 복수의 러그 홈(41, 42)을 센터 육부(31) 및 좌우의 숄더 육부(32, 32)에 각각 구비한다. 여기에서, 센터 육부(31)에서는, 러그 홈(41)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θ)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경사 러그 홈이고, 일방의 단부에서 둘레 방향 주 홈(22)에 개구하고, 타방의 단부에서 타이어 적도면(CL)을 넘어 센터 육부(31) 내에서 종단한다.
또한, 일방의 둘레 방향 주 홈(22)에 개구하는 러그 홈(41)과, 타방의 둘레 방향 주 홈(22)에 개구하는 러그 홈(41)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또한 좌우 번갈아 배치된다. 또한, 일방의 둘레 방향 주 홈(22)으로부터 타이어 적도면(CL)을 향하여 연재하는 2개의 러그 홈(41, 41)과, 타방의 둘레 방향 주 홈(22)으로부터 타이어 적도면(CL)을 향하여 연재하는 1개의 러그 홈(41)이, 센터 육부(31) 내에서 교차한다. 이것에 의하여, 센터 육부(31)가 러그 홈(41)에 의하여 망목상(網目狀)으로 분할되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블록(311)으로 구성되는 블록 열이 구획된다.
이 공기입 타이어(1B)에서는, 센터 육부(31)의 러그 홈(41, 41)이 좌우의 둘레 방향 주 홈(22, 22)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θ)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고 타이어 적도면(CL)을 넘어 교차한다. 이것에 의하여, 센터 육부(31)에 있어서의 배수성이 향상하여,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센터 육부(31)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한다.
덧붙여, 도 4 및 도 5의 구성에서는, 상기와 같이, 일방의 둘레 방향 주 홈(22)으로부터 연재하는 2개의 러그 홈(41)과, 타방의 둘레 방향 주 홈(22)으로부터 연재하는 1개의 러그 홈(41)이 교차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블록(311)이 구획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일방의 둘레 방향 주 홈(22)으로부터 연재하는 1개의 러그 홈(41)과, 타방의 둘레 방향 주 홈(22)으로부터 연재하는 1개의 러그 홈(41)이 교차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블록(311)이 구획되어도 무방하다(도시 생략).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센터 육부(31)가 러그 홈(41)에 의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블록(311)으로 구성되는 일렬의 블록 열이 구획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구성에서는, 러그 홈(41)의 홈 폭(W2)이,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또한, 러그 홈(41)의 경사각(θ)이,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또한, 러그 홈(41)의 경사각(θ)이, 20[deg]≤θ≤80[deg]의 범위 내에 있다. 이들에 의하여, 러그 홈(41)의 배수성이 높여져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구성에서는, 센터 육부(31) 및 숄더 육부(32)의 각 블록(311, 321)이, 복수의 사이프(sipe)(8)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블록(311, 321)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높여져 있다. 덧붙여, 사이프란, 육부에 형성된 노치이고, 일반적으로 1.5[mm] 미만의 사이프 폭(도시 생략)을 가진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구성에서는, 센터 육부(31)의 블록(311)이, 굴곡 홈(5a, 5b)을 각각 가지고 있다. 또한, 굴곡 홈(5a, 5b)을 가지는 블록(311)이, 노치 홈(6a, 6b)을 각각 가지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주 홈(22)의 지그재그 형상의 진폭(D1)과, 굴곡 홈(5a, 5b)의 타이어 폭 방향의 진폭(D2)이, D1<D2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진폭(D1, D2)은, 타이어 폭 방향에 관련되는 홈의 연재 범위의 최대 폭 위치를 기준으로서 측정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구성에서는, 노치 홈(6a, 6b)이, 러그 홈(41)의 경사를 따르도록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이때, 노치 홈(6a, 6b)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각(βa, βb)이, 60[deg]≤βa≤120[deg] 또한 60[deg]≤βb≤12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노치 홈(6a, 6b)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에지 성분이 확보되어,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확보된다.
또한, 도 4의 구성에서는, 트레드 전개 폭(TDW)과, 좌우의 최외주 방향 주 홈(22, 22)의 거리(Wce)가, 0.4≤Wce/TDW≤0.8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 4의 구성에서는, 상기와 같이, 좌우의 최외주 방향 주 홈(22, 22)이 타이어 적도면(CL)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좌우의 최외주 방향 주 홈(22, 22)으로부터 트레드단까지의 좌우의 거리(Wsh, Wsh)가 동일해져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구성에서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의 굴곡 홈(5a, 5b)의 굴곡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서로 동(同)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의 굴곡 홈(5b, 5a)의 굴곡 형상이,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한 굴곡 방향의 방향을 서로 반전시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4의 구성에서는, 센터 육부(31)에서, 복수의 블록(311)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의 굴곡 홈(5a, 5b)의 굴곡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의 굴곡 홈(5b, 5a)의 굴곡 형상이, 서로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공기입 타이어(1A)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둘레 방향 주 홈(21, 22)과,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러그 홈(41)과, 이들의 둘레 방향 주 홈(21, 22) 및 러그 홈(41)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블록(311)을 구비한다(도 2 및 도 3 참조). 또한, 블록(311)이,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형상을 가지는 것과 함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블록(311)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2분할하는 굴곡 홈(5a)(5b)을 구비한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이, 굴곡 홈(5a, 5b)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시켜 배치된다.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블록(311)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홈(5a, 5b)을 구비하기 때문에, 블록(311)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굴곡 홈(5a, 5b)에 의하여 육부(31)의 홈 면적이 증가하고, 또한, 굴곡 홈(5a, 5b)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에 의하여 육부(31)의 배수성이 향상하여,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이, 굴곡 홈(5a, 5b)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시켜 배치되기 때문에, 타이어 폭 방향으로의 블록(311)의 넘어짐이 억제되어, 타이어의 조종 안정 성능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굴곡 홈(5a)(5b)을 가지는 블록(311)이, 일방의 단부에서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에지부에 개구하는 것과 함께 타방의 단부에서 굴곡 홈(5a)(5b)에 교차하는 것 없이 블록(311)의 내부에서 종단하는 노치 홈(6a)(6b)을 구비한다(도 2 내지 도 5 참조).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블록(311)이 노치 홈(6a, 6b)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블록(311)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노치 홈(6a, 6b)과 굴곡 홈(5a, 5b)이 교차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블록(311)의 강성이 적정하게 확보되어, 타이어의 조종 안정 성능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이, 복수의 굴곡 홈(5a, 5b)을 가진다(도 4 참조). 이것에 의하여, 육부(31)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타이어 폭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의 굴곡 홈(5b, 5a)의 굴곡 형상이, 서로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된다(도 4 참조). 이것에 의하여, 타이어 전체 둘레에 있어서의 육부(31)의 강성이 균일화되어,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굴곡 홈(5b)의 굴곡 측에 있는 노치 홈(6b)의 홈 길이(Lb)와, 굴곡 홈(5a)의 굴곡 측에 대하여 반대쪽에 있는 노치 홈(6a)의 홈 길이(La)가, La>Lb의 관계를 가진다(도 3 및 도 5 참조).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노치 홈(6a, 6b)의 홈 길이(La, Lb)가 굴곡 홈(5a, 5b)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조정되기 때문에, 블록(311)의 강성이 적정하게 확보되어, 타이어의 조종 안정 성능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노치 홈(6a)(6b)이, 굴곡 홈(5a)(5b)을 가지는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에지부에 배치된다(도 2 내지 도 5 참조).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노치 홈(6a, 6b)이 블록(311)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에지부에 개구하는 것에 의하여, 육부(31)의 배수성이 향상하여,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폭(W1)과, 굴곡 홈(5a, 5b)의 홈 폭(W3)이, 0.2≤W3/W1≤0.8의 관계를 가진다(도 3 및 도 5 참조). 이것에 의하여, 굴곡 홈(5a, 5b)의 홈 폭(W3)이 적정화되어,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즉, 0.2≤W3/W1인 것에 의하여, 굴곡 홈(5a, 5b)의 배수성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W3/W1≤0.8인 것에 의하여, 육부(31)의 강성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깊이(H1)와, 굴곡 홈(5a, 5b)의 홈 깊이(H3)가, 0.3≤H3/H1≤0.8의 관계를 가진다. 이것에 의하여, 굴곡 홈(5a, 5b)의 홈 깊이(H3)가 적정화되어,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즉, 0.3≤H3/H1인 것에 의하여, 굴곡 홈(5a, 5b)의 배수성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H3/H1≤0.8인 것에 의하여, 육부(31)의 강성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굴곡 홈(5a, 5b)의 굴곡 각(α)(αa, αb)이, 90[deg]≤α≤150[deg]의 범위 내에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이것에 의하여, 굴곡 홈(5a, 5b)의 굴곡 각(α)이 적정화되어,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즉, 90[deg]≤α것에 의하여, 육부(31)의 강성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α≤150[deg]인 것에 의하여, 굴곡 홈(5a, 5b)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스노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폭(W1)과, 노치 홈(6a, 6b)의 홈 폭(W4)이, 0.2≤W4/W1≤0.8의 관계를 가진다(도 3 및 도 5 참조). 이것에 의하여, 노치 홈(6a, 6b)의 홈 폭(W4)이 적정화되어,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즉, 0.2≤W4/W1인 것에 의하여, 노치 홈(6a, 6b)의 배수성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W4/W1≤0.8인 것에 의하여, 육부(31)의 강성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깊이(H1)와, 노치 홈(6a, 6b)의 홈 깊이(H4)가, 0.1≤H4/H1≤0.6의 관계를 가진다. 이것에 의하여, 노치 홈(6a, 6b)의 홈 깊이(H4)가 적정화되어,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즉, 0.1≤H4/H1인 것에 의하여, 노치 홈(6a, 6b)의 배수성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H4/H1≤0.6인 것에 의하여, 육부(31)의 강성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굴곡 홈(5a, 5b)의 굴곡부가, 블록(311)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삼등분하였을 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도 3 및 도 5 참조).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굴곡 홈(5a, 5b)의 굴곡부가 블록(311)의 중앙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블록(311)의 내편마모성(耐偏摩耗性)이 적정하게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노치 홈(6a, 6b)이, 블록(311)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삼등분하였을 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도 3 및 도 5 참조).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노치 홈(6a, 6b)이 블록(311)의 중앙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블록(311)의 내편마모성이 적정하게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블록(311, 311)에 있어서, 일방의 블록(311)에 있어서의 홈 길이(La)의 노치 홈(6a)을 연장한 가상선과 굴곡 홈(5a)과의 교점과, 노치 홈(6a)의 블록(311)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의 거리(Lc)가, 0.2≤La/Lc≤0.6의 범위 내에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또한, 타방의 블록(311)에 있어서의 홈 길이(Lb)의 노치 홈(6b)을 연장한 가상선과 굴곡 홈(5b)과의 교점과, 노치 홈(6b)의 블록(311)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의 거리(Ld)가, 0.2≤Lb/Ld≤0.6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비 La/Lc와 비 Lb/Ld가, 0.90≤(La/Lc)/(Lb/Ld)≤1.10의 관계를 가진다. 이것에 의하여, 굴곡 홈(5a, 5b)과 노치 홈(6a, 6b)의 위치 관계가 적정화되어, 타이어의 내편마모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블록(311, 311)에 있어서의 굴곡 홈(5a, 5b)의 굴곡 각(αa, αb)이, 10[deg]≤|αa-αb|≤30[deg]의 범위 내에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의 굴곡 홈(5a, 5b)의 굴곡 각(αa, αb)이 적정화되어, 타이어의 조종 안정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즉, 10[deg]≤|αa-αb|인 것에 의하여, 타이어 접지 시에서, 굴곡 홈(5a, 5b)에 의하여 분할된 블록(311, 311)의 부분이 서로 지지하는 작용이 확보된다. 또한, |αa-αb|≤30[deg]인 것에 의하여, 각 블록(311)의 강성 밸런스가 균일화된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블록(311, 311)에 있어서의 노치 홈(6a, 6b)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각(βa, βb)이, |βa-βb|≤10[deg]의 범위 내에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의 노치 홈(6a, 6b)이 서로 대략 평행으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타이어의 내편마모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A, 1B)에서는, 굴곡 홈(5a)(5b)의 개구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일방의 굴곡 홈(5b)(5a)의 개구부에 대하여 오프셋하여 배치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이것에 의하여, 육부(31)의 에지 작용이 향상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B)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2개의 둘레 방향 주 홈(22, 22)과, 이들의 둘레 방향 주 홈(22, 22)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1열의 센터 육부(31) 및 좌우 한 쌍의 숄더 육부(32, 32)와, 센터 육부(31)에 배치된 복수의 러그 홈(41)을 구비한다(도 4 참조). 또한, 센터 육부(31)의 러그 홈(41)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θ)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경사 러그 홈이고, 일방의 단부에서 둘레 방향 주 홈(22)에 개구하는 것과 함께, 타방의 단부에서 센터 육부(31) 내에서 종단한다. 또한, 일방의 둘레 방향 주 홈(22)으로부터 연재하는 러그 홈(41)과 타방의 둘레 방향 주 홈(22)으로부터 연재하는 러그 홈(41)이 센터 육부(31) 내에서 교차하는 것에 의하여, 센터 육부(31)가 복수의 블록(311)으로 분할된다. 또한, 블록(311)이,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형상을 가지는 것과 함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블록(311)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2분할하는 굴곡 홈(5a)(5b)을 구비한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이, 굴곡 홈(5a, 5b)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시켜 배치된다.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센터 육부(31)의 러그 홈(41, 41)이 좌우의 둘레 방향 주 홈(22, 22)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θ)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여 타이어 적도면(CL)을 넘어 교차한다. 이것에 의하여, 센터 육부(31)에 있어서의 배수성이 향상하여,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센터 육부(31)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관련되는 구성에서는, 블록(311)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홈(5a, 5b)을 구비하기 때문에, 블록(311)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굴곡 홈(5a, 5b)에 의하여 육부(31)의 홈 면적이 증가하고, 또한, 굴곡 홈(5a, 5b)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에 의하여 육부(31)의 배수성이 향상하여,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한층 더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311, 311)이, 굴곡 홈(5a, 5b)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시켜 배치되기 때문에, 타이어 폭 방향으로의 블록(311)의 넘어짐이 억제되어, 타이어의 조종 안정 성능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B)에서는, 둘레 방향 주 홈(22)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진다(도 4 참조). 이것에 의하여, 육부(31, 32)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B)에서는, 둘레 방향 주 홈(22)의 지그재그 형상의 진폭(D1)과, 굴곡 홈(5a, 5b)의 타이어 폭 방향의 진폭(D2)이, D1<D2의 관계를 가진다(도 5 참조). 이것에 의하여, 타이어의 배수 성능과, 둘레 방향 주 홈(22) 및 굴곡 홈(5a, 5b)에 의한 에지 효과가 양립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B)에서는, 러그 홈(41)의 홈 폭(W2)이,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증가한다(도 5 참조). 이것에 의하여, 러그 홈(41)의 배수 성능이 향상하여,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공기입 타이어(1B)에서는, 러그 홈(41)의 경사각(θ)이,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증가한다(도 5 참조). 이것에 의하여, 타이어 적도면(CL) 부근의 영역에 있어서의 러그 홈(41)의 배수 성능이 향상하여, 타이어의 웨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러그 홈(41)의 에지 성분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스노 성능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 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이 성능 시험에서는, 서로 다른 복수의 공기입 타이어에 관하여, (1) 스노 성능, (2) 웨트 성능 및 (3) 조종 안정 성능에 관한 평가가 행하여졌다(도 6 참조). 이 성능 시험에서는, 타이어 사이즈 205/55R16 91H의 공기입 타이어가 림 사이즈 16×6.5JJ의 림에 조립 장착되고, 이 공기입 타이어에 공기압 230[kPa] 및 JATMA 규정의 최대 부하가 부여된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가, 시험 차량인 배기량 1600[cc]의 FF(Front-engine Front-drive) 차량에 장착된다.
(1) 스노 성능에 관한 평가에서는, 시험 차량이 설로(雪路) 시험장의 스노 노면을 주행하여, 주행 속도 40[km/h]로부터의 제동 거리가 측정된다. 그리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비교예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수치가 클수록 바람직하다.
(2) 웨트 성능에 관한 평가에서는, 공기입 타이어를 장착한 시험 차량이 웨트 노면을 주행하여, 초속도(初速度) 100[km/h]로부터의 제동 거리가 측정된다. 그리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비교예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평가 결과는, 수치가 클수록 바람직하다.
(3) 조종 안정 성능에 관한 평가에서는, 공기입 타이어를 장착한 시험 차량이 평탄한 주회로(周回路)를 가지는 테스트 코스를 60[km/h] ~ 100[km/h]로 주행한다. 그리고 테스트 드라이버가 레인 체인지 시 및 코너링 시에 있어서의 조타성(操舵性) 및 직진 시에 있어서의 안정성에 관하여 관능 평가를 행한다. 이 평가는 비교예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그 수치가 클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평가가 97 이상이면, 타이어의 조종 안정 성능이 적정하게 확보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16의 공기입 타이어는, 도 4 및 도 5에 기재한 트레드 패턴을 가진다. 또한, 둘레 방향 주 홈(22)의 홈 폭(W1)이 W1 = 7.0[mm]이고, 홈 깊이(H1)가 H1 = 9.0[mm]이다. 또한, 센터 육부(31)의 러그 홈(41)의 홈 폭(W2)이, 둘레 방향 주 홈(22)에 대한 개구부에서 W2 = 7.4[mm]이고, 타이어 적도면(CL)에서 3.0[mm]이다. 또한, 센터 육부(31)의 러그 홈(41)의 홈 깊이(H2)가, H2 = 9.0[mm]이다. 또한, 센터 육부(31)의 러그 홈(41)의 경사각(θ)이, 둘레 방향 주 홈(22)에 대한 개구부에서 θ = 55[deg]이고, 타이어 적도면(CL)에서 θ = 20[deg]이다. 또한, 트레드 전개 폭(TDW)이 TDW = 170[mm]이고, 좌우의 둘레 방향 주 홈(22, 22) 간의 거리(Wce)가 Wce = 80[mm]이다.
비교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도 4 및 도 5에 기재한 트레드 패턴에 있어서, 굴곡 홈(5a, 5b) 및 노치 홈(6a, 6b)을 가지고 있지 않다.
시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6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타이어의 스노 성능 및 웨트 성능이 향상하고, 또한, 타이어의 조종 안정 성능이 적정하게 확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A, 1B: 공기입 타이어 21, 22: 둘레 방향 주 홈
31: 센터 육부 311: 블록
32: 숄더 육부 321: 블록
5a, 5b: 굴곡 홈 6a, 6b, 7: 노치 홈
8: 사이프 11: 비드 코어
12: 비드 필러 13: 카커스 층
14: 벨트층 141, 142: 교차 벨트
143: 벨트 커버 15: 트레드 고무
16: 사이드 월 고무 17: 림 쿠션 고무
41, 42: 러그 홈

Claims (22)

  1.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복수의 둘레 방향 주(主) 홈과,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러그(lug) 홈과, 상기 둘레 방향 주 홈 및 상기 러그 홈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블록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블록이,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형상을 가지는 것과 함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상기 블록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2분할하는 굴곡 홈을 구비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이, 상기 굴곡 홈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反轉)시켜 배치되고,
    타이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이, 복수의 상기 굴곡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홈을 가지는 상기 블록이, 일방(一方)의 단부(端部)에서 상기 블록의 타이어 폭 방향의 에지(edge)부에 개구(開口)하는 것과 함께 타방(他方)의 단부에서 상기 굴곡 홈에 교차하는 것 없이 상기 블록의 내부에서 종단(終端)하는 노치(notch) 홈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의 상기 굴곡 홈의 굴곡 형상이, 서로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홈의 굴곡 측에 있는 상기 노치 홈의 홈 길이(Lb)와, 상기 굴곡 홈의 굴곡 측에 대하여 반대쪽에 있는 상기 노치 홈의 홈 길이(La)가, La>Lb의 관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홈이, 상기 굴곡 홈을 가지는 상기 블록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外側)의 에지부에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7.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의 홈 폭(W1)과, 상기 굴곡 홈의 홈 폭(W3)이, 0.2≤W3/W1≤0.8의 관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8.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의 홈 깊이(H1)와, 상기 굴곡 홈의 홈 깊이(H3)가, 0.3≤H3/H1≤0.8의 관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9.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홈의 굴곡 각(α)이, 90[deg]≤α≤15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공기입 타이어.
  10.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의 홈 폭(W1)과, 상기 노치 홈의 홈 폭(W4)이, 0.2≤W4/W1≤0.8의 관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11.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의 홈 깊이(H1)와, 상기 노치 홈의 홈 깊이(H4)가, 0.1≤H4/H1≤0.6의 관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12.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홈의 굴곡부가, 상기 블록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삼등분하였을 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13.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홈이, 상기 블록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삼등분하였을 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14.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블록에 있어서,
    일방의 상기 블록에 있어서의 홈 길이(La)의 상기 노치 홈을 연장한 가상선과 상기 굴곡 홈과의 교점과, 상기 노치 홈의 상기 블록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의 거리(Lc)가, 0.2≤La/Lc≤0.6의 범위 내에 있고,
    타방의 상기 블록에 있어서의 홈 길이(Lb)의 상기 노치 홈을 연장한 가상선과 상기 굴곡 홈과의 교점과, 상기 노치 홈의 상기 블록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의 거리(Ld)가, 0.2≤Lb/Ld≤0.6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비(比) La/Lc와, 비 Lb/Ld가, 0.90≤(La/Lc)/(Lb/Ld)≤1.10의 관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15.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블록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 홈의 굴곡 각(αa, αb)이, 10[deg]≤|αa-αb|≤3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공기입 타이어.
  1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블록에 있어서의 상기 노치 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각(βa, βb)이, |βa-βb|≤10[deg]의 범위 내에 있는 공기입 타이어.
  17.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홈의 개구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일방의 상기 굴곡 홈의 개구부에 대하여 오프셋하여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18.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2개의 둘레 방향 주 홈과,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1열의 센터 육부(陸部) 및 좌우 한 쌍의 숄더 육부와, 상기 센터 육부에 배치된 복수의 러그 홈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이고,
    상기 러그 홈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경사 러그 홈이고, 일방의 단부에서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에 개구하는 것과 함께, 타방의 단부에서 상기 센터 육부 내에서 종단하고,
    일방의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으로부터 연재하는 상기 러그 홈과 타방의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으로부터 연재하는 상기 러그 홈이 상기 센터 육부 내에서 교차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센터 육부가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되고,
    상기 블록이,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 형상을 가지는 것과 함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상기 블록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2분할하는 굴곡 홈을 구비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이, 상기 굴곡 홈의 굴곡 방향을 번갈아 반전시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19. 제1항, 제2항, 제5항,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주 홈의 지그재그 형상의 진폭(D1)과, 상기 굴곡 홈의 타이어 폭 방향의 진폭(D2)이, D1<D2의 관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21. 제1항, 제2항, 제5항,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 홈의 홈 폭(W2)이, 타이어 적도면(赤道面)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증가하는 공기입 타이어.
  22. 제1항, 제2항, 제5항,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 홈의 경사각이, 타이어 적도면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증가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147014779A 2012-03-09 2013-02-22 공기입 타이어 KR101985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3755A JP5617859B2 (ja) 2012-03-09 2012-03-09 空気入りタイヤ
JPJP-P-2012-053755 2012-03-09
PCT/JP2013/054588 WO2013133049A1 (ja) 2012-03-09 2013-02-22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590A KR20140138590A (ko) 2014-12-04
KR101985672B1 true KR101985672B1 (ko) 2019-06-04

Family

ID=4911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779A KR101985672B1 (ko) 2012-03-09 2013-02-22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68774B2 (ko)
EP (1) EP2823973B1 (ko)
JP (1) JP5617859B2 (ko)
KR (1) KR101985672B1 (ko)
CN (1) CN104159754B (ko)
RU (1) RU2564064C1 (ko)
WO (1) WO2013133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0459B2 (ja) * 2015-05-26 2018-07-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冬用タイヤ
JP2017065605A (ja) * 2015-10-01 2017-04-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タイヤ
EP3176006B1 (en) * 2015-11-24 2018-06-2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imited Tire
JP6146490B1 (ja) * 2016-01-19 2017-06-1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724397B2 (ja) * 2016-02-04 2020-07-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CN108725101B (zh) * 2017-04-18 2021-12-03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轮胎
JP6907690B2 (ja) * 2017-05-16 2021-07-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6762267B2 (ja) * 2017-06-07 2020-09-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US10836215B2 (en) * 2017-06-27 2020-11-17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Tire
JP6521115B1 (ja) * 2018-01-30 2019-05-2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091702B2 (ja) * 2018-02-23 2022-06-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冬用タイヤ
JP2020006753A (ja) * 2018-07-04 2020-01-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7120146B2 (ja) * 2019-04-26 2022-08-1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302264B2 (ja) * 2019-04-26 2023-07-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59968B2 (ja) * 2019-04-26 2022-10-2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388904B2 (ja) 2019-12-12 2023-11-29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372550B2 (ja) * 2020-04-14 2023-11-0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381A (en) * 1978-02-14 1982-09-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read for pneumatic tire
JPS5853604B2 (ja) * 1979-12-28 1983-11-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リ−用タイヤ
JPH0390404A (ja) * 1989-06-08 1991-04-16 Bridgestone Corp 重荷重用タイヤ
JPH03231001A (ja) 1990-02-05 1991-10-15 Bridgestone Corp 重荷重用タイヤ
US5238038A (en) * 1990-09-04 1993-08-2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US5269357A (en) * 1991-07-09 1993-12-14 Uniroyal Goodrich Tire Company Reduced noise generating tread pattern for a tire
JPH07108606B2 (ja) * 1992-10-30 1995-11-22 オーツタイヤ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DE4300695A1 (de) 1993-01-13 1994-07-14 Sp Reifenwerke Gmbh Lauffläche für Fahrzeugluftreifen
JP3481981B2 (ja) * 1993-11-22 2003-12-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低騒音タイヤ
DE69722728T2 (de) * 1996-08-05 2003-12-04 Sumitomo Rubber Ind Luftreifen
JPH10287110A (ja) * 1997-04-14 1998-10-27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64018A (ja) 1999-03-19 2000-09-2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3913045B2 (ja) * 2001-11-16 2007-05-0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3930391B2 (ja) * 2002-07-29 2007-06-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RU2336181C2 (ru) * 2003-07-14 2008-10-20 Дзэ Йокогама Рабер Ко., Лтд.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4377862B2 (ja) * 2005-08-04 2009-12-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4928785B2 (ja) * 2006-01-06 2012-05-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5129470B2 (ja) * 2006-08-24 2013-01-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5128602B (zh) * 2007-05-28 2020-06-19 株式会社普利司通 轮胎
JP5739869B2 (ja) * 2010-03-10 2015-06-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5018981B2 (ja) 2010-11-15 2012-09-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808597B2 (ja) * 2011-07-26 2015-11-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5440590B2 (ja) 2011-11-14 2014-03-1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083451B1 (ja) 2011-12-07 2012-11-2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3973A4 (en) 2015-10-07
CN104159754A (zh) 2014-11-19
JP2013184666A (ja) 2013-09-19
US20150059940A1 (en) 2015-03-05
KR20140138590A (ko) 2014-12-04
CN104159754B (zh) 2016-11-16
WO2013133049A1 (ja) 2013-09-12
JP5617859B2 (ja) 2014-11-05
US10668774B2 (en) 2020-06-02
EP2823973A1 (en) 2015-01-14
EP2823973B1 (en) 2017-05-03
RU2564064C1 (ru) 2015-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672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509318B1 (ko) 공기 타이어
JP594899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727965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872723B1 (ko) 공기입 타이어
RU2589192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5440590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8016302A1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5059942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5920532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70074999A (ko) 공기입 타이어
US20160039249A1 (en) Pneumatic tire
KR101873252B1 (ko) 공기입 타이어
KR20170057390A (ko) 공기입 타이어
KR20140138766A (ko) 공기 타이어
US11724550B2 (en) Pneumatic tire
CN111660733B (zh) 轮胎
KR20110116977A (ko) 공기 타이어
RU2585196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518158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318913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7065625A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7043227A1 (ja) 空気入りタイヤ
US8844592B2 (en) Pneumatic tire
JP6248374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