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350B1 - 피복 제거날, 제거날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피복 제거날, 제거날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350B1
KR101985350B1 KR1020177016323A KR20177016323A KR101985350B1 KR 101985350 B1 KR101985350 B1 KR 101985350B1 KR 1020177016323 A KR1020177016323 A KR 1020177016323A KR 20177016323 A KR20177016323 A KR 20177016323A KR 101985350 B1 KR101985350 B1 KR 101985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blade
pulling
pair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842A (ko
Inventor
산가 사카니시
노리유키 가와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8010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2007/013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the work being tubes, rods or lo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섬유의 피복재를 제거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사용하는 피복 제거날은, 상기 피복재에 대하여 상기 광섬유의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날끝단과, 상기 광섬유로부터 인발되는 상기 피복재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압되는 가압면을 가지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에서의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0°보다 크고, 또한 60°이하이다.

Description

피복 제거날, 제거날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COATING REMOVAL BLADE, REMOVAL BLADE UNIT AN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피복 제거날, 제거날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2월 20일자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7-02857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의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광섬유 나선(裸線)과 광섬유 나선을 피복하는 피복재를 가지는 광섬유(피복된 광섬유)끼리를 접속하기 위해, 각각의 광섬유의 단말부의 피복재를 제거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서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구비된 한 쌍의 피복 제거날에 의해, 다음과 같이 광섬유의 단말부의 피복재를 제거한다. 먼저, 상하 한 쌍의 피복 제거날이 피복재에 파고들지만 광섬유 나선에는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서, 한 쌍의 피복 제거날에 의해 광섬유를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끼워넣는다. 그 후, 한 쌍의 피복 제거날로부터 광섬유의 길이 방향의 한쪽 측으로 연장되는 광섬유의 부위를, 한 쌍의 피복 제거날로부터 광섬유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연장되는 광섬유의 부위(단말부)에 대하여, 벗겨내는 방향[인발(drawing)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복 제거날이 파고든 피복재의 부위를 당겨 벗긴다. 이로써, 광섬유의 단말부로부터 피복재를 인발하여 제거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광섬유를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끼워넣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를, 한 쌍의 피복 제거날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의 간격은, 광섬유의 두께[예를 들면, 단심(單心) 광섬유의 직경이나, 테이프형 광섬유의 두께]와 동등하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광섬유가 한 쌍의 가이드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광섬유의 단말부로부터 피복재를 인발할 때, 광섬유 나선이 피복 제거날에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국제 공개 제2010/100912호
최근에는, 광섬유의 두께(예를 들면, 광섬유 나선을 덮는 피복재의 두께)가 상이한 다종류의 광섬유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서는, 작업자가 광섬유의 두께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를 교환할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성이 나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 쌍의 가이드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구(機構)로 하는 방법도 있지만, 고가이고 복잡한 구조로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종류의 광섬유에 염가로 대응할 수 있어,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피복 제거날, 제거날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은, 광섬유의 피복재를 제거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사용하는 피복 제거날로서, 상기 피복재에 대하여 상기 광섬유의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날끝단과, 상기 광섬유로부터 인발되는 상기 피복재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압되는 가압면을 가지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에서의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0°보다 크고, 또한 60°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광섬유의 피복재를 제거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사용하는 피복 제거날로서, 상기 피복재에 대하여 상기 광섬유의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날끝단과, 상기 광섬유로부터 인발되는 상기 피복재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압되는 가압면을 가지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에서의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작아지도록 되는 만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상기 제1 또는 제2 태양에 관한 상기 피복 제거날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이, 상기 경사면과 상기 날끝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당겨 거는 면(引掛面)을 포함하고, 상기 당겨 거는 면은,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에 직교해도 된다, 또는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날끝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상기 제3 태양에 관한 상기 피복 제거날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날 분할체와, 상기 당겨 거는 면 및 상기 날끝단을 포함하는 제2 날 분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 분할체와 상기 제2 날 분할체가, 상기 인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은, 상기 제3 또는 제4 태양에 관한 상기 피복 제거날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 중 상기 경사면과 상기 당겨 거는 면과의 사이에, 상기 인발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은, 상기 제1∼제5 태양 중 어느 일 태양에 관한 상기 피복 제거날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인발 방향을 축선으로 하는 회전체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 내면의 내경(內徑)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상기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져도 된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은, 제거날 유닛으로서, 상기 제1∼제6 태양 중 어느 일 태양에 관한 상기 피복 제거날을 한 쌍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에 의해 상기 광섬유를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은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경사면이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경사면의 간격이,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은, 상기 제7 태양에 관한 상기 제거날 유닛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경사면의 상기 경사 각도가 서로 같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은,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로서, 상기 제7 또는 제8 태양에 관한 제거날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은,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로서, 상기 제1∼제6 태양 중 어느 일 태양에 관한 피복 제거날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태양에 의하면, 한 쌍의 피복 제거날만 사용함으로써, 광섬유를 피복재로부터 인발할 때 광섬유 나선이 피복 제거날의 날끝단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피복 제거날의 경사면을 한 쌍의 피복 제거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시킴으로써,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다종류의 광섬유의 피복 제거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두께가 상이한 다종류의 광섬유의 피복 제거에 염가에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피복 제거날을 사용하여 광섬유의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광섬유를 한 쌍의 피복 제거날에 의해 끼워넣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피복 제거날을 사용하여 광섬유의 피복재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의 제1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의 제2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의 제1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의 제2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서는, 광섬유(피복된 광섬유)의 단말부에서의 피복재를 제거한다.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있어서 취급하는 광섬유는, 단심 광섬유라도 되고, 테이프형 광섬유라도 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1)[이하, 피복 제거 장치(1)라고 함]는, 광섬유(100)의 피복재(101)를 제거하는 제거날 유닛(2)을 구비한다. 제거날 유닛(2)은,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을 구비한다.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은, 피복재(101)를 제거할 때, 광섬유(100)를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도 3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넣는다.
또한, 피복 제거 장치(1)는,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단말부에서의 피복재(101A)에 대하여 광섬유(100)의 다른 부위를 인발하는 인발 기구를 구비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 장치(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 장치(1)는,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 외에, 2개의 클램프부(4, 5)와, 슬라이딩 샤프트(6)를 구비한다.
2개의 클램프부(4, 5) 중 한쪽은, 광섬유(100)의 단말부를 끼워넣기 위한 제1 클램프부(4)이다. 제1 클램프부(4)는, 베이스(11)와, 커버(12)를 구비한다. 베이스(11) 및 커버(12)는, 서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커버(12)를 베이스(11)에 대하여 폐쇄함으로써 광섬유(100)의 단말부를 끼워넣어 제1 클램프부(4)에 유지할 수 있다. 제1 클램프부(4)에 의해 광섬유(100)의 단말부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베이스(11) 및 커버(12)의 대향면(13, 14)은 광섬유(100)의 단말부가 접촉한다. 그러므로, 베이스(11) 및 커버(12)의 대향면(13, 14) 중 적어도 한쪽은, 예를 들면, 고무 등과 같이 광섬유(100)의 단말부[피복재(101A)]와의 마찰 계수가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은, 제1 클램프부(4)의 베이스(11)와 커버(12)에 1개씩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은, 제1 클램프부(4) 중 후술하는 제2 클램프부(5)에 대향하는 단부(端部)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클램프부(4, 5) 중 다른 쪽은, 광섬유(100)의 다른 부위(단말부에 인접하는 부위)를 끼워넣기 위한 제2 클램프부(5)이다. 제2 클램프부(5)는, 섬유 홀더(15)와, 홀더 베이스(16)와, 홀더 커버(17)를 구비한다. 섬유 홀더(15)는, 광섬유(100)의 다른 부위를 협지한 상태로 유지하고, 홀더 베이스(1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홀더 베이스(16)에는, 섬유 홀더(15)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8)는, 제1 클램프부(4)에 대향하는 제2 클램프부(5)의 단부에 개구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홀더 커버(17)는, 홀더 베이스(16)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광섬유(100)의 다른 부위를 유지한 섬유 홀더(15)를 홀더 베이스(16)의 수용 오목부(18)에 수용한 후, 홀더 커버(17)를 홀더 베이스(16)에 대하여 폐쇄함으로써, 섬유 홀더(15)를 수용 오목부(18) 내에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광섬유(100)의 다른 부위를 제2 클램프부(5)에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샤프트(6)는, 2개의 클램프부(4, 5)를, 상기한 2개의 클램프부(4, 5)를 광섬유(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되거나 하는 방향으로만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이다.
이들 2개의 클램프부(4, 5) 및 슬라이딩 샤프트(6)는, 전술한 인발 기구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 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제1 클램프부(4)의 베이스(11) 및 커버(12)의 한쪽 또는 양쪽에, 예를 들면, 광섬유(100)의 단말부에서의 피복재(101A)를 가열하는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한 피복 제거 장치(1)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광섬유(100)의 피복재(101A)를 제거할 수 있다.
먼저, 광섬유(100)의 단말부를 제1 클램프부(4)에 유지시키는 동시에, 광섬유(100)의 다른 부위를 제2 클램프부(5)에 유지시킨다. 광섬유(100)의 단말부를 제1 클램프부(4)에 유지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광섬유(100)를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을 수 있다.
그 후, 제2 클램프부(5)를 제1 클램프부(4)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끼워넣어진 피복재(101)의 부위가 벗겨진다. 이로써, 제1 클램프부(4)에 유지된 피복재(101A)에 대하여 광섬유(100)를 인발할 수 있다.
피복 제거 장치(1)가 히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광섬유(100)의 단말부를 제1 클램프부(4)에 유지하게 한 상태에서, 히터에 의해 단말부에서의 피복재(101A)를 가열함으로써, 피복재(101A)와 광섬유 나선(102)와의 밀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2 클램프부(5)를 제1 클램프부(4)에 대하여 이동시킬 때, 광섬유(100)를 피복재(101A)로부터 간단하게 인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제거날(3)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제거날(3)은, 날끝단(21)과, 가압면(22)을 가진다. 날끝단(21)은,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을 때, 피복재(101)에 대하여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부위이다.
가압면(22)은, 광섬유(100)를 피복재(101A)에 대하여 인발할 때, 광섬유(100)로부터 인출되는 피복재(101A)가 광섬유(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압되는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가압면(22)은,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광섬유(100)를 단말부에서의 피복재(101A)에 대하여 인발할 때, 광섬유(100)로부터 제거되는 피복재(101A)가 가압되는 면이다. 가압면(22)은,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과는 반대 방향(도 2에 있어서 우측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가압면(22)은, 경사면(23)을 포함한다. 경사면(23)은, 피복 제거날(3)의 날끝단(21)으로부터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도 2에 있어서 하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지는 면이다.
경사면(23)에서의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대한 경사 각도 θA는, 0°보다 크고, 또한 60°이하이면 된다. 또한, 경사면(23)의 경사 각도 θA는, 예를 들면, 45°이하라도 되고, 30°이하라도 된다. 또한, 경사면(23)의 경사 각도 θA는, 예를 들면, 20°이하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사면(23)은, 그 경사 방향에 있어서 경사 각도 θA가 변화하지 않는 일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사면(23)은, 도 2∼도 4에 나타낸 방향에서 볼 때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을 구비하는 제거날 유닛(2)에 있어서는,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경사면(23, 23)이,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배열 방향(도 3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한다. 또한, 이들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간격은,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게 되어 있다.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경사 각도 θA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미소하게 상이해도 된다.
경사면(23)을 포함하는 피복 제거날(3)에서는,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날끝단(21)에 대하여 날끝단(21)으로부터 가장 멀리에 위치하는 경사면(23)의 제1 단(25)의 위치는, 임의라도 된다.
날끝단(21)에 대한 경사면(23)의 제1 단(25)의 위치는, 예를 들면,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배열 방향에서의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경사면(23, 23)의 제1 단(25, 25) 사이의 거리가, 광섬유(100)의 두께 t1(단심 광섬유의 직경, 테이프형 광섬유의 두께)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 광섬유(100)를 피복재(101A)에 대하여 인발할 때, 광섬유(100)로부터 인출되는 피복재(101A)가, 가압면(22) 이외의 면, 예를 들면, 경사면(23)의 제1 단(25)과 연결되는 수직면(31)[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도 3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날끝단(21)으로부터 경사면(23)의 제1 단(25)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면, 피복재(101)의 두께가 가장 큰 종류의 광섬유(100)에서의 피복재(101)의 두께 t2보다 크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압면(22)은, 상기한 경사면(23)에 더하여, 당겨 거는 면(24)도 포함한다. 당겨 거는 면(24)은, 경사면(23)과 날끝단(21)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당겨 거는 면(24)은, 예를 들면, 피복 제거날(3)의 날끝단(21)으로부터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도 2에 있어서 하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즉,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대한 당겨 거는 면(24)의 경사 각도 θB는, 예를 들면, 90°보다 커져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당겨 거는 면(24)은,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인발 방향 D1에 직교하는 당겨 거는 면(24)의 경사 각도 θB는, 90°라도 되고, 90°로부터 미소하게 어긋난 각도(80°∼120°의 범위가 바람직함)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당겨 거는 면(24)은 날끝단(21)으로부터 경사면(23)까지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당겨 거는 면(24)의 제1 단(27)이, 날끝단(21)으로 직접 이어져 있다. 또한, 당겨 거는 면(24)의 제2 단(28)이,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날끝단(21)으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경사면(23)의 제2 단(26)으로 직접 이어져 있다.
당겨 거는 면(24)은, 광섬유(100)를 피복재(101A)에 대하여 인발할 때, 광섬유(100)로부터 인출되는 피복재(101A) 중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광섬유 나선(102)에 가까운 측의 부분[피복재(101A)의 내측 부분]이 가압되는 면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에서의 당겨 거는 면(24)의 치수{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의, 당겨 거는 면(24)의 제1 단(27)으로부터 제2 단(28)까지의 거리}은, 적어도 광섬유 나선(102)를 덮는 피복재(101)의 두께 t2보다 작으면 된다. 또한,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에서의 당겨 거는 면(24)의 치수는, 도 3과 같이 날끝단(21)을 피복재(101)에 파고들게 한 상태에서, 당겨 거는 면(24)의 제2 단(28)이 피복재(101)의 외면보다 피복재(10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면 된다.
예를 들면, 두께가 최소인 종류의 광섬유(100)의 두께 t1(단심 광섬유의 직경, 테이프형 광섬유의 두께)가 200㎛인 경우,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에서의 당겨 거는 면(24)의 치수는, 예를 들면, 100㎛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면 된다.
피복 제거날(3)의 날끝단(21)은, 예를 들면, 날카로워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서의 날끝단(21)의 길이는,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었을 때 날끝단(21)이 피복재(101)에 파고들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면 된다.
날끝단(21)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날끝단(21) 및 당겨 거는 면(24)을 포함하는 피복 제거날(3)의 선단 부분의 강도를 확보하여, 선단 부분이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날끝단(21)이 뾰족한 경우와 비교하여, 날끝단(21)이 피복재(101)에 과도하게 파고들어 광섬유 나선(102)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광섬유 나선(102)이 피복 제거날(3)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제거날(3) 중 날끝단(21)에 대하여 전술한 가압면(22)의 반대측으로 연결되는 면(29)[반대면(29)]은, 예를 들면,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직교해도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날끝단(21)으로부터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을 향해 서서히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반대면(29)이 경사져 있으므로, 피복 제거날(3)의 선단 부분의 강도를 더 확보할 수 있어, 선단 부분이 빠지는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 제거날(3)은,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직교하는 일방향[도 2∼도 4에 있어서 지면(紙面)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날이다. 피복 제거날(3)의 경사면(23), 당겨 거는 면(24), 날끝단(21), 반대면(29)은,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형성되고, 평탄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은, 경사면(23)을 가진다. 그러므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은 상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경사면(23, 23)이,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한다. 또한,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간격은,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100)를 인발 방향 D1으로 이동시켰을 때는,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재(101A)가,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광섬유 나선(102)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때,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사이의 피복재(101A)는 압축 변형된다.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사이의 피복재(101A)가 광섬유 나선(102)의 중심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광섬유 나선(102)가, 한쪽의 피복 제거날(3)의 날끝단(21)에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광섬유 나선(102)가 피복 제거날(3)의 날끝단(2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은, 당겨 거는 면(24)을 가진다. 그러므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고, 날끝단(21)을 피복재(101)에 파고들게 한 상태에 있어서, 각 피복 제거날(3)의 당겨 거는 면(24)이,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사이의 피복재(101A)에 대하여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으로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당겨 거는 면(24)은,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100)를 인발 방향 D1으로 이동시켰을 때는,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사이의 피복재(101A)가 당겨 거는 면(24)에 가압된다. 이로써, 한 쌍의 경사면(23, 23)에 의해 압축된 피복재(101A)가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사이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당겨 거는 면(24)이, 예를 들면, 직교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는 경우라도, 동일하게 하여, 한 쌍의 경사면(23, 23)에 의해 압축된 피복재(101A)가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사이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 및 피복 제거날(3)을 구비하는 제거날 유닛(2) 및 피복 제거 장치(1)에 의하면, 피복 제거날(3)의 가압면(22)이 경사면(23)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은 가이드를 설치하지 않고,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만 사용하여, 광섬유(100)를 단말부에서의 피복재(101A)로부터 인발할 때, 광섬유 나선(102)이 피복 제거날(3)의 날끝단(2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경사면(23, 23)이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다종류의 광섬유(100)의 피복 제거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두께가 상이한 다종류의 광섬유(100)의 피복 제거에 염가에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는 피복 제거 장치(1)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거날 유닛(2)에 있어서,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경사면(23, 23)의 경사 각도 θA가 서로 같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광섬유(100)를 피복재(101A)로부터 인발할 때,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재(101A)가 경사면(23)으로부터 받는 힘이,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사이에서 같아진다. 이로써, 광섬유(100)를 피복재(101A)로부터 인발할 때, 광섬유 나선(102)가 한쪽의 피복 제거날(3)의 날끝단(21)에 가까워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광섬유 나선(102)이 피복 제거날(3)의 날끝단(21)에 접촉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에서는, 경사면(23)의 경사 각도 θA가 0°보다 크다. 이로써, 광섬유(100)를 피복재(101A)에 대하여 인발할 때, 광섬유(100)로부터 인출되는 피복재(101A)를 경사면(23)에 대하여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에서는, 경사면(23)의 경사 각도 θA가 60°이하이다. 이로써, 광섬유(100)를 피복재(101A)에 대하여 인발할 때,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재(101A)를 광섬유 나선(102)을 향해 가압하는 힘이 부족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광섬유 나선(102)가 한쪽의 피복 제거날(3)의 날끝단(21)에 가까워져 접촉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23)의 경사 각도 θA가 60°로부터 더 작게 한 경우(예를 들면, 45°이하, 30°이하, 20°이하로 한 경우)에는, 한 쌍의 경사면(23, 23)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재(101)를 광섬유 나선(102)으로 가압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섬유 나선(102)가 한쪽의 피복 제거날(3)의 날끝단(21)에 접촉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에서는, 가압면(22)이 당겨 거는 면(24)도 포함한다. 그러므로, 광섬유(100)를 피복재(101A)로부터 인발할 때, 한 쌍의 경사면(23, 23)에 의해 압축된 피복재(101A)가 한 쌍의 피복 제거날(3, 3)의 사이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단말부에서의 광섬유 나선(102)에 제거해야 할 피복재(101A)가 남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등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A, 3B)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경사면(23A, 23B) 및 당겨 거는 면(24A, 24B)을 포함하는 가압면(22A, 22B)과, 날끝단(21A, 21B)을 가진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사면(23A, 23B)은,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을 축선으로 하는 원뿔 내면(회전체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원뿔 내면의 내경은, 날끝단(21A, 21B)으로부터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과는 반대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당겨 거는 면(24A, 24B)은, 경사면(23A, 23B)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을 축선으로 한 부채꼴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에서는, 경사면(23A, 23B)이나 당겨 거는 면(24A, 24B)이,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을 축선으로 하여 180°회전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임의의 각도(예를 들면, 180°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5에 예시하는 피복 제거날(3A)에서는, 날끝단(21A)이, 제1 실시형태의 날끝단(21)과 마찬가지로,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직교하는 일방향(도 5에 있어서 부호 D2로 나타내는 방향)과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예시하는 피복 제거날(3B)에서는, 날끝단(21B)이, 원뿔 내면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형의 날끝단(21B)에는, 한 쌍의 피복 제거날(3B, 3B)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을 때, 날끝단(21B)이 피복재(101)에 파고들도록, 광섬유(100)가 끼워넣어진다.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A, 3B)에 있어서, 원뿔 내면의 축선을 지나는 단면(斷面) 형상은, 도 2∼도 4에 예시한 제1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의 형상과 같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A, 3B)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A, 3B)에서는, 경사면(23A, 23B)가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을 축선으로 하는 원뿔 내면(회전체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피복 제거날(3A, 3A)[3B, 3B]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광섬유(100)를 인발 방향 D1으로 이동시켰을 때, 한 쌍의 피복 제거날(3A, 3A)[3B, 3B]의 경사면(23A, 23A)[23B, 23B]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재(101A)를,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광섬유 나선(102)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경사면(23A, 23A)[23B, 23B]의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재(101A)를, 한 쌍의 피복 제거날(3A, 3A)[3B, 3B]의 배열 방향으로부터뿐아니라,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직교하고, 또한 한 쌍의 피복 제거날(3A, 3A)[3B, 3B]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광섬유 나선(102)의 중심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광섬유 나선(102)이, 한쪽의 피복 제거날(3A, 3B)의 날끝단(21A, 21B)에 가까워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광섬유 나선(102)가 피복 제거날(3A, 3B)의 날끝단(21A, 21B)에 접촉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등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C)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경사면(23C) 및 당겨 거는 면(24)을 포함하는 가압면(22C)과, 날끝단(21)을 가진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사면(23C)은, 그 경사 방향에 있어서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면(23C)은, 인발 방향 D1에 대한 경사면(23C)의 경사 각도 θA가 날끝단(2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작아지도록 되는 만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경사면(23C)은, 도시한 예와 같이 타원의 일부를 이루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원의 일부를 이루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만곡면형으로 형성된 경사면(23C)의 경사 각도 θA는, 경사 방향(도 7에서의 곡선의 길이 방향)에서의 경사면(23C)의 전체에 있어서 0°보다 크고, 또한 60°이하라도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면(23C)의 경사 각도 θA는, 적어도 경사 방향에서의 경사면(23C)의 일부에 있어서, 0°보다 크고, 또한 60°이하이면 된다. 경사면(23C)의 제1 단(25)에서의 경사면(23C)의 경사 각도 θA는, 예를 들면, 0°이라도 된다. 또한, 경사면(23C)의 제2 단(26)에서의 경사면(23C)의 경사 각도 θA는, 예를 들면, 60°보다 커져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면(23C)은,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직교하는 일방향(도 7에 있어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연장되는 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경사면(23C)은,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을 축선으로 하는 구체(球體) 내면(회전체 내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 내면에는, 타원체의 내면이나 구체의 내면이 포함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C)은, 제1,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등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D)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경사면(23) 및 당겨 거는 면(24)을 포함하는 가압면(22)과, 날끝단(21)을 가진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 제거날(3D)은, 2개의 날 분할체(41D, 42D)를 구비한다. 제1 날 분할체(41D)는, 가압면(22)의 경사면(23)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제2 날 분할체(42D)는, 가압면(22)의 당겨 거는 면(24) 및 날끝단(21)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날 분할체(41D)와 제2 날 분할체(42D)는,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날 분할체(41D, 42D)는, 서로 면접촉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예시하는 피복 제거날(3D)에서는, 서로 면접촉하는 각각의 날 분할체(41D, 42D)의 접촉면(43D, 44D)이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직교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개의 날 분할체(41D, 42D)의 접촉면(43D, 44D)은, 예를 들면, 평탄하게 형성되어도 되지만, 예를 들면, 서로 맞물리는 요철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2개의 날 분할체(41D, 42D)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도 8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의 2개의 날 분할체(41D, 42D)의 높이 치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날 분할체(41D, 42D)의 하단(下端)[날끝단(21)과는 반대측의 단]의 위치를 정렬하는 것만으로, 광섬유 나선(102)의 직경 방향에서의 날끝단(21)과 경사면(23)의 제2 단(26)과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D)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D)은, 경사면(23)을 포함하는 제1 날 분할체(41D)와, 당겨 거는 면(24) 및 날끝단(21)을 포함하는 제2 날 분할체(42D)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2개의 날 분할체(41D, 42D) 중 어느 한쪽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경사면(23)과 당겨 거는 면(24)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나, 경사면(23)이나 당겨 거는 면(24)의 크기나 경사 각도 θA, θB(도 2 참조)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제거날(3D)의 일부[예를 들면, 경사면(23)]만, 당겨 거는 면(24)만)에 문제점이 생긴 경우에도, 2개의 날 분할체(41D, 42D) 중 어느 한쪽을 교환하면 되므로, 피복 제거날(3D)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날 분할체(41D, 42D)의 각 형상을, 피복 제거날(3D) 전체의 형상보다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피복 제거날(3D)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제4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2, 제3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A, 3B, 3C)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등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E, 3F)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경사면(23) 및 당겨 거는 면(24)을 포함하는 가압면(22)과, 날끝단(21)을 가진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 제거날(3E, 3F)에서는, 가압면(22) 중 경사면(23)과 당겨 거는 면(24)과의 사이에,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으로 오목한 오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1)의 내면의 형상은 임의라도 된다.
오목부(51)의 내면 중 경사면(23)의 제2 단(26)과 연결되는 제1 내측면(52)은, 예를 들면, 인발 방향 D1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내측면(52)은, 예를 들면, 도 9, 도 10과 같이, 경사면(23)과 같은 경사 각도 θA로 경사지고, 경사면(23)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51)의 제1 내측면(52)은, 예를 들면, 경사면(23)의 일부를 구성해도 된다.
오목부(51)의 내면 중 당겨 거는 면(24)의 제2 단(28)에 연결되어, 제1 내측면(52)에 대향하는 제2 내측면(53)은, 예를 들면, 도 9, 도 10과 같이 인발 방향 D1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내측면(53)은, 예를 들면, 제1 내측면(52)과의 간격이 오목부(51)의 바닥부[도 9, 도 10에 있어서 오목부(51)의 좌측단]로부터 오목부(51)의 개구[도 9, 도 10에 있어서 오목부(51)의 우측단]를 향해 서서히 커지도록, 인발 방향 D1에 대하여 경사져도 된다.
오목부(51)의 제1 내측면(52)과 제2 내측면(53)은, 예를 들면, 도 9와 같이 오목부(51)의 바닥부에 있어서 직접 이어져도 되고, 예를 들면, 도 10과 같이 오목부(51)의 바닥부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위치해도 된다. 도 10에 예시하는 오목부(51)의 내면에는, 오목부(51)의 바닥부에 있어서 제1 내측면(52)과 제2 내측면(53)을 연결하는 바닥면(54)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E, 3F)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E, 3F)에서는, 경사면(23)과 당겨 거는 면(24)의 사이에 오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피복 제거날(3E, 3E)[3F, 3F]에 의해 광섬유(10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광섬유(100)를 피복재(101A)로부터 인발할 때는, 한 쌍의 경사면(23, 23)에 의해 광섬유 나선(102)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된 피복재(101A)가, 오목부(51)에 들어가 쉬워진다. 이로써, 한 쌍의 경사면(23, 23)에 의해 압축된 피복재(101A)가, 한 쌍의 피복 제거날(3E, 3E)[3F, 3F]의 사이를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광섬유 나선(102)에 제거해야 할 피복재(101A)가 남은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제5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2, 제3, 제4 실시형태의 피복 제거날(3A, 3B, 3C, 3D)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피복 제거날은, 예를 들면, 도 10∼도 12에 나타낸 피복 제거날(3G, 3H, 3I)과 같이, 가압면(22)이 당겨 거는 면(24)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즉, 가압면(22)은 적어도 경사면(23)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피복 제거날은, 예를 들면, 도 11, 도 12에 나타낸 피복 제거날(3H, 3I)과 같이, 날끝단(21)이 평탄하지는 않고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피복 제거날은,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피복 제거날(3I)과 같이, 가압면(22)과는 반대로 향하는 반대면(29)이, 경사지지 않고, 광섬유(100)의 인발 방향 D1에 직교해도 된다.
1: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2: 제거날 유닛, 3, 3A, 3B, 3C, 3D, 3E, 3F, 3G, 3H, 3I: 피복 제거날, 21, 21A, 21B: 날끝단, 22, 22A, 22B, 22C: 가압면, 23, 23A, 23B, 23C: 경사면, 24, 24A, 24B: 당겨 거는 면, 41D: 제1 날 분할체, 42D: 제2 날 분할체, 51: 오목부, 100: 광섬유, 101, 101A: 피복재, 102: 광섬유 나선, D1: 인발 방향, θA: 경사면의 경사 각도

Claims (12)

  1. 광섬유의 피복재를 제거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사용하는 피복 제거날로서,
    상기 피복재에 대하여 상기 광섬유의 광섬유 나선(裸線)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날끝단; 및
    상기 광섬유로부터 인발(drawing)되는 상기 피복재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압되는 가압면;
    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에서의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0°보다 크고, 또한 60°이하이며,
    상기 가압면이, 상기 경사면과 상기 날끝단 사이에 형성된 당겨 거는 면을 포함하고,
    상기 당겨 거는 면은,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에 직교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날끝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있는, 피복 제거날.
  2. 광섬유의 피복재를 제거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사용하는 피복 제거날로서,
    상기 피복재에 대하여 상기 광섬유의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날끝단; 및
    상기 광섬유로부터 인발되는 상기 피복재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압되는 가압면;
    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에서의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작아지게 되는 만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복 제거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이, 상기 경사면과 상기 날끝단 사이에 형성된 당겨 거는 면을 포함하고,
    상기 당겨 거는 면은,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에 직교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날끝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있는, 피복 제거날.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날 분할체와, 상기 당겨 거는 면 및 상기 날끝단을 포함하는 제2 날 분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 분할체와 상기 제2 날 분할체가, 상기 인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피복 제거날.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 중 상기 경사면과 상기 당겨 거는 면 사이에, 상기 인발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피복 제거날.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인발 방향을 축선으로 하는 회전체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 내면의 내경(內徑)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상기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지게 되는, 피복 제거날.
  7. 제1항에 기재된 피복 제거날을 한 쌍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에 의해 상기 광섬유를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은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경사면이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경사면의 간격이, 상기 광섬유의 상기 인발 방향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게 되는,
    제거날 유닛.
  8. 제거날 유닛으로서,
    광섬유의 피복재를 제거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사용하는 피복 제거날을 한 쌍 구비하고,
    상기 피복 제거날은
    상기 피복재에 대하여 상기 광섬유의 광섬유 나선(裸線)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날끝단; 및
    상기 광섬유로부터 인발(drawing)되는 상기 피복재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압되는 가압면;
    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에서의 상기 광섬유의 인발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0°보다 크고, 또한 60°이하이며,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에 의해 상기 광섬유를 상기 광섬유 나선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은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경사면이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경사면의 간격이, 상기 광섬유의 상기 인발 방향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게 되는, 제거날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인발 방향을 축선으로 하는 회전체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 내면의 내경(內徑)은, 상기 날끝단으로부터 상기 인발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지게 되는, 제거날 유닛.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경사면의 상기 경사 각도가 서로 같은, 제거날 유닛.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제거날 유닛을 구비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피복 제거날을 구비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KR1020177016323A 2017-02-20 2017-03-06 피복 제거날, 제거날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KR101985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28573 2017-02-20
JP2017028573A JP6201072B1 (ja) 2017-02-20 2017-02-20 被覆除去刃、除去刃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PCT/JP2017/008732 WO2018150596A1 (ja) 2017-02-20 2017-03-06 被覆除去刃、除去刃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842A KR20180106842A (ko) 2018-10-01
KR101985350B1 true KR101985350B1 (ko) 2019-06-03

Family

ID=5989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323A KR101985350B1 (ko) 2017-02-20 2017-03-06 피복 제거날, 제거날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14505B2 (ko)
EP (1) EP3388875B1 (ko)
JP (1) JP6201072B1 (ko)
KR (1) KR101985350B1 (ko)
CN (2) CN108459373B (ko)
WO (1) WO2018150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1072B1 (ja) * 2017-02-20 2017-09-20 株式会社フジクラ 被覆除去刃、除去刃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KR102325125B1 (ko) 2019-08-28 2021-11-12 유씨엘스위프트(주) 피복 두께가 다른 이경 광섬유의 피복 탈피기
JP7407549B2 (ja) * 2019-09-27 2024-01-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被覆除去器及び光ファイバ被覆除去方法
CN112038558B (zh) * 2020-07-23 2022-11-18 惠州锂威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极片涂层刮除系统及极片涂层刮除方法
CN112620182B (zh) * 2020-12-21 2022-09-02 三明学院 一种钣金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736A (ja) 2000-05-19 2001-11-30 Fujikura Ltd 被覆除去器
JP2003337227A (ja) 2002-05-21 2003-11-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被覆除去方法および被覆除去装置
JP2008167813A (ja) * 2007-01-09 2008-07-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刃物
JP2012145737A (ja) * 2011-01-12 2012-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被覆除去部材、被覆除去部材の製造方法及び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703A (en) 1989-09-12 1990-11-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Optical fiber stripper positioning apparatus
US5582078A (en) * 1992-05-18 1996-12-10 Eubanks Engineering Company Wire displacing and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
US5481638A (en) * 1994-07-05 1996-01-02 At&T Corp. Techniques for stripping optical fiber encapsulants
US6273990B1 (en) * 1998-06-30 2001-08-1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protective coating from an optical fiber and inhibiting damage to same
CA2382134C (en) * 1999-10-20 2006-01-10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Device for removing coating on optical fiber
US6549712B2 (en) * 2001-05-10 2003-04-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recoating an optical fiber
JP2002341148A (ja) 2001-05-11 2002-11-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被覆削り器
TW561657B (en) * 2002-04-19 2003-11-11 Ritek Corp Device for peeling cladding layer of fiber ribbon
US7314317B2 (en) 2004-03-25 2008-01-01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 fiber connector and connecting method
US7352935B2 (en) 2004-08-17 2008-04-01 Kabushiki Kaisha Toshiba Optoelectronic conversion header, LSI package with interface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optoelectronic conversion header, and optical interconnection system
CN102216821A (zh) * 2008-11-21 2011-10-12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光纤的末端处理方法和末端处理部件
CN102334051B (zh) 2009-03-03 2013-07-24 株式会社藤仓 包层除去单元以及光纤包层除去装置
WO2010120570A2 (en) 2009-04-17 2010-10-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adeless optical fiber cleaver
WO2011087942A1 (en) * 2010-01-15 2011-07-21 Corning Cable Systems Llc An optical fiber stripper for a fiber optic connection termination system
CN202093202U (zh) 2011-06-15 2011-12-28 刘荣伟 光纤被覆层定长开剥工具
EP2722696A2 (en) * 2012-10-16 2014-04-23 Corning Cable Systems LLC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ight-buffered optical fibers
CN104238015B (zh) 2014-09-15 2017-05-24 成都奥捷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光缆热剥钳
JP6201072B1 (ja) 2017-02-20 2017-09-20 株式会社フジクラ 被覆除去刃、除去刃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736A (ja) 2000-05-19 2001-11-30 Fujikura Ltd 被覆除去器
JP2003337227A (ja) 2002-05-21 2003-11-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被覆除去方法および被覆除去装置
JP2008167813A (ja) * 2007-01-09 2008-07-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刃物
JP2012145737A (ja) * 2011-01-12 2012-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被覆除去部材、被覆除去部材の製造方法及び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14505B2 (en) 2019-12-24
JP6201072B1 (ja) 2017-09-20
JP2018136359A (ja) 2018-08-30
CN207148359U (zh) 2018-03-27
EP3388875A4 (en) 2019-02-20
EP3388875B1 (en) 2020-08-05
EP3388875A1 (en) 2018-10-17
CN108459373B (zh) 2020-11-03
CN108459373A (zh) 2018-08-28
KR20180106842A (ko) 2018-10-01
WO2018150596A1 (ja) 2018-08-23
US20180329141A1 (en)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350B1 (ko) 피복 제거날, 제거날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JP5084466B2 (ja) 光ファイバ切断用カッター、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用カッターを備えた光ファイバ切断機
US9052487B2 (en) Optical fiber holder
KR101204179B1 (ko) 커넥터의 조립 방법
JP2008542841A (ja) 被覆除去性能を向上させるアライメント維持特徴部を備えた被覆除去器具
US9982376B2 (en) Bobbin holder
WO2018012944A1 (ko) 캐뉼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캐뉼라
CN101657743B (zh) 光纤切断刃、光纤切断装置及光纤切断方法以及光纤剥开折弯零件及光纤剥开折弯方法
JP2008167813A (ja) 刃物
US8844602B2 (en) Method of processing terminus of optical fiber and terminus processing tool
JP6641436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および光ファイバの接続方法
EP3201930B1 (en) Disposabl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tool
US10746927B2 (en) Optical-fiber-holding member, and fusing device
JP5224414B2 (ja) 光ファイバ保持部材、複数層被覆光ファイバの被覆除去方法および融着方法
JP2000051549A (ja) 管被覆切断具
US20130192433A1 (en) Method for disassembly of two elements welded by ultrasound and element able to be welded by ultrasound to another element to the implementation of said method
CN203932851U (zh) 用于从光学元件剥离至少一个外层的剥离装置
JP5250489B2 (ja) 斜め端面光ファイバ接続工法
JP3788544B2 (ja) 光ファイバホルダ
JP6019092B2 (ja) 電線コネクタ
EP2454744B1 (en) Conductor handling tool and a method of applying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US20120286013A1 (en) Optical fiber cutting device
JP5199294B2 (ja) 光ファイバホルダ
JP3802828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離工具
KR200486905Y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