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905Y1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 Google Patents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905Y1
KR200486905Y1 KR2020160006539U KR20160006539U KR200486905Y1 KR 200486905 Y1 KR200486905 Y1 KR 200486905Y1 KR 2020160006539 U KR2020160006539 U KR 2020160006539U KR 20160006539 U KR20160006539 U KR 20160006539U KR 200486905 Y1 KR200486905 Y1 KR 200486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disposed
extension
cutte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480U (ko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2020160006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05Y1/ko
Priority to CN201621308667.9U priority patent/CN206378623U/zh
Priority to MX2017014283A priority patent/MX2017014283A/es
Publication of KR20180001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 슬릿을 포함하는 상면 및 제2 슬릿을 포함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되며 커터를 포함하는 제1 연장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터를 마주보며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슬릿을 따라 배치되는 기준선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기준선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JIG FOR OPTICAL CONNECTOR FOR ASSEMBLING IN THE FIELD}
실시예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을 통한 인터넷 연결인 FTTH(Fiber To The Home)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광선로의 종단에 위치하는 광분기기(Optical Splitter)와 가입자 댁내에 위치하는 광모뎀(Optical Network Unit)을 광케이블로 연결해야 한다.
이 때, 광분기기로부터 광모뎀까지의 거리가 가입자의 위치에 따라 다르므로 기 조립된 완성형 광점퍼코드가 아닌 현장에서 광케이블을 재단하여 광케이블의 양 끝단에 광커넥터를 직접 조립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97791호(2014.08.07.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광케이블용 스트리퍼를 개시하고 있다. 광케이블을 재단하기 위해서는 본 문헌의 스트리퍼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의 외피나 광섬유를 탈피하고,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절단하여야 한다. 이때, 규격화된 광섬유의 길이를 맞추기 위하여, 별도의 자를 사용하여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트리퍼 이외에 절단도구 및 자 등 많은 작업도구를 소지하고 이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불량이 증가하고 작업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97791호(2014.08.07. 공개)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도구를 통해 광케이블의 탈피와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 슬릿을 포함하는 상면 및 제2 슬릿을 포함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되며 커터를 포함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터를 마주보며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슬릿을 따라 배치되는 기준선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기준선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터는 상기 제1 연장부에서 돌출된 에지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슬릿과 연결되는 제1 수용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폭은 상기 제1 슬릿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몸체에서 외팔 보 형태로 배치될 수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를 마주 보는 측면에 배치되는 제1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제1 슬릿에서 상기 커터까지 이어져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를 마주 보는 측면에 배치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제1 슬릿에서 상기 지지부까지 이어져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슬릿과 연결되는 제2 수용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기준상에 배치되는 홀을 포함할 수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홀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한 길이로 광섬유를 재단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예 따르면, 하나의 지그(jig)로, 광케이블의 탈피와 절단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광커넥터 연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누르면 광케이블을 가압하도록 탄성 변형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함으로써, 탈피 작업이 용이하고, 지그 구조가 간단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광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슬릿의 폭과 제1 홈의 폭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탈피 과정에서 커터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슬릿과 제1 홈에 안착되는 광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에서 도시한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제2 슬릿과 제2 홈에 안착되는 광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
도 12는 광섬유의 재단 길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10)는. 몸체(100)와, 제1 연장부(200)와, 제2 연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판상 부재일 수 있다. 몸체(100)의 상면(100A)에는 제1 슬릿(1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의 하면(100B)에는 제2 슬릿(1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릿(110)은 광케이블을 목표 길이로 탈피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슬릿(130)은 광케이블을 목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광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케이블(10)은 중심에 광섬유(11)가 배치된다. 광섬유(11)의 둘레에는 코팅부(12)가 배치된다. 코팅부(12)의 둘레에는 외피(13)가 배치된다. 이때, 코팅부(12)의 길이(L1)과 광섬유의 길이(L2)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규격화 되어 있다. 몸체(100)의 제1 슬릿(110)은 코팅부(12)의 길이(L1)를 확보하는데 이용되며, 몸체(100)의 제2 슬릿(130)은 광섬유의 길이(L2)를 확보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는 몸체(100)에서 연장된 제1 연장부(200)와 제2 연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릿(110)을 따라 지그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기준선(CL)을 기준으로, 어느 한 측에는 제1 연장부(200)가 배치되고, 다른 한 측에는 제2 연장부(300)가 배치된다. 몸체(100)와 제1 연장부(200)와 제2 연장부(300)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상하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이다.
제1 연장부(200)는 몸체(100)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부(200)는 몸체(100)에서 외팔 보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장부(200)는 커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터(210)는 제2 연장부(300)에서 지그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끝단에서 뾰족하게 형성된 에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00)를 마주보는 제1 연장부(200)의 측면에는 제1 홈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부(220)는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홈부(220)는 제1 연장부(200)가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가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 연장부(200)의 외측에는 요철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요철부(230)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닿는 부분에 마련되어, 탈피 작업을 위해 제1 연장부(200)를 가압하는 과정 중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연장부(300)는 몸체(100)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2 연장부(300)는 제1 연장부(200)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연장부(300)는 지지부(310)을 포함한다. 지지부(310)는 커터(210)와 마주 보고 배치된다. 지지부(310)는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와 접촉한다. 지지부(310)는 커터(210)가 광케이블(10)를 가압할 때, 광케이블(10)을 지지한다. 지지부(310)는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와 접촉하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00)를 마주보는 제2 연장부(300)의 측면에는 제2 홈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홈부(320)는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홈부(320)는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가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연장부(300)는 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30)는 제2 연장부(300)에서 지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커터(210)와 지지부(3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330)는 기준선(CL) 상에 배치되는 홀(331)을 포함할 수 있다. 홀(331)은 커터(210)와 지지부(310) 사이에 위치한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가 관통한다. 이러한 홀(331)은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를 수용하여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가 지지부(310)와 제1 슬릿(110)에 정렬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홀(331) 앞에는 가이드홈(332)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332)은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형태의 벽면이 마련되어 코팅부(12)가 홀(331)에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도 6은 제1 슬릿의 폭과 제1 홈의 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슬릿(110) 및 제1 수용부(120)는 몸체(100)의 상면(100A)에 각각 배치된다. 제1 슬릿(110)은 몸체(10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0)의 폭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슬릿(110)은 커터(210)와 지지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홀(331)과 정렬될 수 있다.
제1 슬릿(110)은 제1 연장부(200)와 제2 연장부(300)가 배치된 몸체(100)의 어느 한 측 단부까지 이어져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20)는 제1 슬릿(110)과 연결되며 몸체(100)의 다른 측 단부까지 이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릿(110)의 폭(W1)은 제1 수용부(120)의 폭(W2)보다 작게 마련된다. 따라서, 도 6의 A와 같이, 제1 슬릿(110)과 제1 수용부(120)의 연결부분은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110)의 폭(W1)은 제1 슬릿(110)에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가 수용될 수 있도록,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1 수용부(120)의 폭(W2)은 제1 수용부(120)에 광케이블(10)의 외피(13)가 수용되도록, 외피(1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수용부(120)의 입구(121)는 몸체(100)의 다른 측 단부에서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제1 수용부(120)의 입구(121)에 광케이블(10)이 걸치도록 제1 수용부(120)에 수용된다.
도 7은 탈피 과정에서 커터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제1 연장부(200)를 가압하면, 제1 연장부(200)가 탄성 변형되어 커터(210)는, 지지부(310)에 놓인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를 가압한다. 커터(210)가 코팅부(12)를 가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광케이블(10)을 잡아당기면, 코팅부(12)가 탈피되어, 광섬유(11)가 노출된다. 이때, 지그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코팅부(12)의 길이(L1)는 제1 슬릿(110)과 제1 수용부(120)의 경계에서 커터(210)까지의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때문에 길이 측정을 위한 별도의 도구 없이 코팅부(12)를 목표 길이로 탈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제1 슬릿과 제1 홈에 안착되는 광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수용부(120)에 광케이블(10)의 외피(13)가 수용된다. 그리고 제1 슬릿(110)에는 광케이블(10)의 코팅부(12)가 수용된다. 제1 슬릿(110)과 제1 수용부(120)의 경계에 마련된 단차 부분은 코팅부(12)의 단부와 닿게 된다. 제1 슬릿(110)에 수용된 코팅부(12)는 지지부(310)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코팅부(12)는 홀(331)을 관통한다.
도 9는 도 1에서 도시한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슬릿(130) 및 제2 수용부(140)은 몸체(100)의 하면(100B)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슬릿(130)은 몸체(10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0)의 폭 방향(x 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슬릿(110)은 커터(210)와 지지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홀(331)과 정렬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40)는 제1 연장부(200)와 제2 연장부(300)가 배치된 몸체(100)의 어느 한 측 단부에 이어져 배치된다. 제2 슬릿(130)은 제2 수용부(140)와 연결되어 몸체(100)의 다른 측 단부까지 이어져 배치된다.
도 10은 제2 슬릿과 제2 홈에 안착되는 광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코팅부(12)가 목표 길이(L1)로 탈피되어 광섬유(11)가 노출된 상태에서, 홀(331)을 관통하여 제2 수용부(140)에 수용된다. 그리고 광섬유(11)는 제2 슬릿(130)에 수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코팅부(12)는 제2 슬릿(130)과 제2 수용부(140)의 경계에서 막히게 된다. 제2 슬릿(130)이 코팅부(12)의 단면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제2 슬릿(130)에 걸리는 코팅부(12)의 선단부는 광섬유(11)의 길이를 재단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된다.
도 12는 광섬유의 재단 길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광섬유(11)를 재단하기 위하여 몸체(100)가 절단기(1)에 장착된다. 몸체(100)의 연장부(150)는 절단기(1)에 안착된다.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광섬유(11)는 절단기(1)의 커팅 위치(P)에서 절단된다. 제2 슬릿(130)과 제2 수용부(140)의 경계에서 커팅 위치(P)까지의 길이가 광섬유(11)의 길이(L2)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지그를 통해 광케이블의 탈피하고 절단을 함께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광커넥터 연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의 누름 동작을 통해 코팅부(12)에 대한 탈피가 진행되기 때문에 탈피 작업이 용이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몸체
100A: 상면
100B: 하면
110: 제1 슬릿
120: 제1 수용부
130: 제2 슬릿
140: 제2 수용부
200: 제1 연장부
210: 커터
220: 제1 홈부
300: 제2 연장부
310: 지지부
320: 제2 홈부
330: 가이드
331: 홀
332: 가이드홈

Claims (11)

  1. 제1 슬릿을 포함하는 상면 및 제2 슬릿을 포함하는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되며 커터를 포함하는 제1 연장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터를 마주보며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슬릿을 따라 배치되는 기준선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기준선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몸체에서 외팔 보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를 마주 보는 측면에 배치되는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제1 슬릿에서 상기 커터까지 이어져 오목하게 형성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제1 연장부에서 돌출된 에지 형태인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슬릿과 연결되는 제1 수용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폭은 상기 제1 슬릿의 폭보다 큰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를 마주 보는 측면에 배치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제1 슬릿에서 상기 지지부까지 이어져 오목하게 형성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슬릿과 연결되는 제2 수용부가 배치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기준선에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홀이 배치되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KR2020160006539U 2016-11-09 2016-11-09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KR200486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39U KR200486905Y1 (ko) 2016-11-09 2016-11-09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CN201621308667.9U CN206378623U (zh) 2016-11-09 2016-11-30 用于现场组装型光连接器的夹具
MX2017014283A MX2017014283A (es) 2016-11-09 2017-11-07 Plantilla para conector optico del tipo de montaje en siti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39U KR200486905Y1 (ko) 2016-11-09 2016-11-09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62U Division KR200487951Y1 (ko) 2018-02-26 2018-02-26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80U KR20180001480U (ko) 2018-05-17
KR200486905Y1 true KR200486905Y1 (ko) 2018-07-13

Family

ID=5940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539U KR200486905Y1 (ko) 2016-11-09 2016-11-09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86905Y1 (ko)
CN (1) CN206378623U (ko)
MX (1) MX201701428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534A (ko) * 2009-10-07 2011-04-13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섬유 케이블 탈피 및 절단 장치
JP2012226252A (ja) * 2011-04-22 2012-11-15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切断用工具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KR20130140849A (ko) * 2011-03-30 2013-12-24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광파이버용 피복 제거구 및 피복 제거 방법
KR20140097791A (ko) * 2013-01-30 2014-08-07 (주)쓰리케이 광케이블용 스트리퍼
KR20150003100U (ko) * 2014-02-06 2015-08-17 와이넷(주) 현장조립형 광커넥터용 광섬유절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534A (ko) * 2009-10-07 2011-04-13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섬유 케이블 탈피 및 절단 장치
KR20130140849A (ko) * 2011-03-30 2013-12-24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광파이버용 피복 제거구 및 피복 제거 방법
JP2012226252A (ja) * 2011-04-22 2012-11-15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切断用工具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KR20140097791A (ko) * 2013-01-30 2014-08-07 (주)쓰리케이 광케이블용 스트리퍼
KR20150003100U (ko) * 2014-02-06 2015-08-17 와이넷(주) 현장조립형 광커넥터용 광섬유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378623U (zh) 2017-08-04
MX2017014283A (es) 2018-10-02
KR20180001480U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8084B1 (en) Optical connector
KR20080064989A (ko) 광 커넥터, 섬유 분배 유닛 및 광 커넥터용 섬유 종단 접속플랫폼
KR101204179B1 (ko) 커넥터의 조립 방법
ATE261200T1 (de) Vorbereitungswerkzeug für abgeschirmte kabel
JPH09204943A (ja) モジュラープラグ用ガイドプレート
EP2693244A1 (en) Optical fiber coating removing device and method of removing coating
CN112817089B (zh) 一种光纤处理工具
KR20090100728A (ko) 전선 이음 커넥터
US5003846A (en) Optical fiber cable-stripping device
CN107085267B (zh) 光纤保持架及能够安装该光纤保持架的光纤切断装置
KR200486905Y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KR200487951Y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용 지그
JP2006323067A (ja) メカニカル接続型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組立工具。
US3447172A (en) Electrician's tool
US9748747B2 (en) Disposabl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tool
US8844602B2 (en) Method of processing terminus of optical fiber and terminus processing tool
JPS58154802A (ja) 光フアイバ心線端末処理器
JP2010008590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ホルダ
JP4691463B2 (ja) 光ケーブル皮剥ぎ工具
KR20160145894A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20110003997A (ko) 사각 광섬유케이블 스트리퍼
US11789229B2 (en) Handheld tool for removing a wire from within an optical cable
KR20100000659U (ko) 커넥팅 장치
JP4441706B2 (ja) ケーブル類用工具装置
US20050145755A1 (en) Optical cable sto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