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301B1 -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301B1
KR101984301B1 KR1020180112275A KR20180112275A KR101984301B1 KR 101984301 B1 KR101984301 B1 KR 101984301B1 KR 1020180112275 A KR1020180112275 A KR 1020180112275A KR 20180112275 A KR20180112275 A KR 20180112275A KR 101984301 B1 KR101984301 B1 KR 10198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rib
longitudinal
transvers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18011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301B1/ko
Priority to CN201880013448.3A priority patent/CN111201357B/zh
Priority to PCT/KR2018/011792 priority patent/WO202005993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요소에 대한 바닥패널의 지지구조를 직접적인 접촉 또는 하중 변위에 의한 가변적인 접촉의 방식으로 구현하여 평면도가 낮은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한 바닥패널의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는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요소(20), 및 상기 복수의 보요소(20) 사이에서 양단부가 지지되는 복수의 단위패널(30)로서 전체 바닥패널을 구성하고, 상기 단위패널(30)은 상판(50)의 저면측 중앙부위에서 외곽부위를 향해 교차되게 설치되는 크로스리브(60), 상기 크로스리브(60)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보요소(20)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X)으로 설치되는 종방향테두리리브(70), 및 상기 크로스리브(60)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보요소(20)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으로 설치되는 횡방향테두리리브(80)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는 최외곽부위의 종방향외측리브(72), 및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로부터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내측리브(74)를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유효접촉간격을 두고 하중 변위에 의해 가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PANEL SUPPORTED BY BEAM}
본 발명은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요소에 의한 바닥패널의 지지구조를 직접적인 접촉 또는 하중 변위에 의한 가변적인 접촉의 방식으로 구현하여 바닥패널의 지지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밀의 부품이나 제품에 대한 제조공정에서 수행되는 거의 모든 작업들은 높은 청정도를 가지는 클린룸(Clean Room)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린룸은 각종 공정장비의 안정적인 설치와 함께 이송장비의 정밀한 기능의 구현을 위해 높은 수준의 평면도가 확보되는 이중바닥 시스템을 구비한다.
특히, 이중바닥 시스템은 바닥패널의 하부 공간에 각종 전장배선을 은폐하여 배설하고, 작업장 내부의 습기를 차단하며,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는 부가 기능까지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중바닥 시스템은 클린룸 외에도 전산실이나, 기계실, 또는 반도체 장비실, 그리고 각종 실험실 등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이중바닥 시스템은 기초바닥부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요소, 및 보요소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바닥패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패널은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해 중간패드를 설치하여 직접적으로 접촉되게 하거나, 일정한 크기의 틈새를 유지하고 있다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수반되는 부재의 처짐 변형을 매개로 중간패드에 접촉하여 지지력을 얻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중바닥 시스템에서 하부 구조물로 활용되는 보요소는 스퀘어 파이프(Square Pipe) 또는 H-비임(Beam)과 같은 형강류 소재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보요소의 제조와 취급 과정에서 소재의 뒤틀림 변형이나 상부면의 국부적 함몰과 같은 소재의 평면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특히, 종래 이중바닥 시스템은 바닥패널의 양측 모서리부위를 지지하는 두 개의 플랫패드와 이들 플랫패드 사이의 중간지점에 별도로 설치되어 바닥패널과 가변적으로 접촉 가능한 지지패드를 구비하는 데, 플랫패드와 지지패드 사이의 적정 수평도를 확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 이중바닥 시스템에 적용되는 바닥패널은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일치하는 종방향 부재가 보요소의 상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적정의 지지강성을 확보하는 구조이므로, 보요소의 상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횡방향 부재는 부품의 경량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적 변형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 결과, 종래 이중바닥 시스템에 적용되는 바닥패널은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한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특정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방향성의 설정은 조립 과정에서 오조립이나 오시공을 초래하여 작업 불량률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782530호 등록특허 제151949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요소에 대한 바닥패널의 지지구조를 직접적인 접촉 또는 하중 변위에 의한 가변적인 접촉의 방식으로 구현하여 평면도가 낮은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한 바닥패널의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바닥패널의 저면부에 정방향 조립을 위한 방향성의 설정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보요소에 대한 바닥패널의 오시공을 방지할 수 있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다열 구조로서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요소, 및 상기 복수의 보요소 사이에서 양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단위패널에 의한 집합 배치구조로서 전체 바닥패널을 구성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은 상판의 저면측 중앙부위에서 외곽부위를 향해 교차되게 설치되는 크로스리브, 상기 크로스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종방향테두리리브, 및 상기 크로스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횡방향테두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는 최외곽부위의 종방향외측리브, 및 상기 종방향외측리브로부터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내측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외측리브의 저면부는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해 유효접촉간격을 두고 하중 변위에 의해 가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다열 구조로서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요소, 및 상기 복수의 보요소 사이에서 양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단위패널에 의한 집합 배치구조로서 전체 바닥패널을 구성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은 상판의 저면측 중앙부위에서 외곽부위를 향해 교차되게 설치되는 크로스리브, 상기 크로스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종방향테두리리브, 및 상기 크로스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횡방향테두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는 최외곽부위의 종방향외측리브, 및 상기 종방향외측리브로부터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내측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외측리브의 저면부는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해 완충패드를 사이에 두고 항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종방향외측리브는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보접촉부, 및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과 비접촉하는 비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접촉부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의 중앙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보접촉부를 중심으로 양측 가장자리부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보접촉부와 상기 비접촉부 사이에서 응력의 분산을 위해 형성되는 경사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크로스리브는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메인리브, 및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메인리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종방향외측리브는 상기 횡방향메인리브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횡방향연장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연장리브는 상기 횡방향메인리브와의 사이에서 응력의 분산을 위해 형성되는 경사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에 대해 상기 횡방향연장리브의 돌출높이는 상기 횡방향메인리브 보다 크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는 최외곽부위의 횡방향외측리브, 및 상기 횡방향외측리브로부터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횡방향내측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는 상기 보요소에 대한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기부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횡방향테두리리브에 대해 상기 크로스리브의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대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횡방향내측리브에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외측리브와 상기 횡방향내측리브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의 폭 보다 절반 이하의 크기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크로스리브와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 및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 사이의 공간을 단위구획으로 분할하기 위해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용 크로스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는 상기 크로스리브의 종방향메인리브와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의 종방향내측리브 사이에서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종방향분할리브, 및 상기 크로스리브의 횡방향메인리브와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의 횡방향내측리브 사이에서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횡방향분할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종방향분할리브는 상기 크로스리브의 종방향메인리브로부터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의 종방향내측리브를 향해 상기 상판의 저면부에 대한 돌출높이를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다가 다시 증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분할리브는 상기 크로스리브의 횡방향메인리브로부터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의 횡방향내측리브를 향해 상기 상판의 저면부에 대한 돌출높이를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다가 다시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보강용 크로스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용 크로스리브는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에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보강리브와 횡방향보강리브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종방향보강리브의 양단부는 상기 크로스리브의 횡방향메인리브와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의 횡방향분할리브 사이 또는 인접한 상기 횡방향분할리브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횡방향보강리브의 양단부는 상기 크로스리브의 종방향메인리브와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의 종방향분할리브 사이 또는 인접한 상기 종방향분할리브 사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바닥패널을 구성하는 단위패널의 종방향테두리리브 중에서 종방향외측리브의 저면부만을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해 유효접촉간격을 두고 하중 변위에 따른 가변 접촉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거나, 완충성 부재를 사이에 두고 항시 접촉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해 단위패널을 안정적인 지지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이러한 단위패널의 안정적인 설치방식은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한 횡방향과 종방향 평면도의 불량인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종방향테두리리브 중에서 최외곽부위에 위치한 종방향외측리브에 대한 국부적 부위만을 보요소의 상부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단위패널과 보요소 사이의 지지점의 증가를 통해 보요소가 가지는 강성을 활용하여 단위패널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평면도가 낮은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한 단위패널의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보요소의 상부면에 완충성 패드의 부가적 설치를 통해 단위패널을 안착할 때 발생하는 충격과 접촉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요소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부위가 종방향외측리브로 변경됨에 따라 수반되는 하중 중심점과 하중 지지점 사이의 거리 증가의 문제를 종방향외측리브로부터 횡방향메인리브를 향해 연장되는 횡방향연장리브의 형성을 통해 상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횡방향테두리리브의 저면부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부의 형성을 통해 보요소에 대한 단위패널의 오조립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요소에 대한 단위패널의 조립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단위패널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단위패널의 저면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서 단위패널만을 제거하여 보요소와 완충패드 및 플랫패드에 대한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요소와 종방향테두리리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접촉으로부터 구현되는 인접한 단위패널 사이의 단차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보요소와 종방향외측리브 사이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보요소와 종방향내측리브 사이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요소와 종방향테두리리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접촉으로부터 구현되는 하중의 중심축선으로부터 반력 지지점 사이의 거리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보요소와 종방향외측리브 사이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보요소와 종방향외측리브 및 횡방향연장리브 사이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c)는 보요소에 대해 종방향테두리리브의 모서리부위와 중간패드를 이용한 중간지점 사이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는 기초바닥부에 대해 상호 나란하게 적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의 다열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기초보(Primary Beam; 10), 상기 기초보(10)의 상부에서 상호 나란하게 적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의 다열 구조로서 상기 기초보(10)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안착보(Secondary Beam; 20, 이하 보요소로 지칭함), 및 상기 보요소(20) 사이에서 양단부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단위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기초보(10)와 상기 보요소(20)는 각각 스퀘어 파이프(Square Pipe) 또는 H-비임(Beam)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형강류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초보(10)와 상기 보요소(20) 사이에는 기초바닥부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수평 조절을 위한 레벨링 체결수단(40)이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단위패널(30)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복수의 수량으로 설치되는 집합 배치구조에 의해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위치한 공간 전체를 덮는 이중마루 형태의 바닥패널을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단위패널(30)은 상기 복수의 보요소(20) 중에서 상호 인접한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양단부가 안착되어 단순보의 형태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로 하면, 상기 단위패널(30)은 상판(50), 및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격자구조물의 형태로 돌출되는 다수의 리브 구조물을 구비한다. 상기 리브 구조물은 크로스리브(60)와 종방향테두리리브(70)와 횡방향테두리리브(80) 및 모서리리브(90)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50)은 저면부에 격자구조물 형태의 리브 구조물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부재이고, 그 형상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상판(50)은 상기 보요소(20)의 배열방향에 맞춰 단순보의 형태로서 동일한 평면상에 집합 배치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면, 평행사변형이나 마름모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크로스리브(60)는 상기 상판(50)의 저면측 중앙부위에서 외곽부위를 향해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구조물로서, 종방향메인리브(62)와 횡방향메인리브(6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종방향메인리브(62)는 상기 보요소(20)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X)으로 설치되는 부재이고, 상기 횡방향메인리브(64)는 상기 보요소(20)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으로 설치되는 부재이며, 상기 종방향메인리브(62)와 상기 횡방향메인리브(64)는 상기 상판(50)의 저면측 하중 중심점에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는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서 상기 크로스리브(60)의 양단부에 대해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구조물로서, 상기 보요소(20)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X)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는 최외곽부위에 위치한 종방향외측리브(72), 및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로부터 상기 상판(50)의 중심을 향한 내측부위에서 종방향외측리브(7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내측리브(7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와 상기 종방향내측리브(74) 중에서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만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유효접촉간격을 두고 하중 변위에 의해 가변 접촉되는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완충성 부재를 사이에 두고 항시 접촉되는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 사이에 유효접촉간격이 설정될 경우에는 상기 상판(5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형으로부터 이들 사이에서 선택적인 가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 사이에서 완충성 부재가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보요소(20)와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 사이에서는 완충성 부재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항시 접촉이 수반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대해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돌출높이는 상기 종방향내측리브(74)의 돌출높이 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보요소(20)와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 사이에서 설정되는 유효접촉간격은 상기 단위패널(30)의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으로부터 기인하는 상기 상판(50)의 처짐 변형에 의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 사이에서 접촉이 발생될 수 있는 적정의 간격(Gap)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컨대, 유효접촉간격은 상기 상판(50)의 크기와 재질, 또는 상기 상판(5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결정되는 변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략 0.5 내지 1.0mm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 사이에서 유효접촉간격이 설정되면, 상기 보요소(20)의 평면도 차이로부터 기인하는 상대부재와의 부분적인 간격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인접한 위치에서 하중 변위에 의한 지지점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중간패드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고, 상기 보요소(20)와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 사이의 접촉을 점접촉이 아닌 선접촉 방식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하중에 의한 최대 처짐이 발생하는 지지점에서 발생하는 두 부재 사이의 선접촉은 상기 보요소(20)가 가지는 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연속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국부적인 부위에 한정하여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 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보접촉부(72a), 및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 비접촉하는 비접촉부(72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보접촉부(72a)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중앙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비접촉부(72b)는 상기 보접촉부(72a)를 중심으로 가장자리부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대한 상기 보접촉부(72a)의 돌출높이와 상기 비접촉부(72b)의 돌출높이는 완충성 부재의 두께 정도에 따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보접촉부(72a)와 상기 비접촉부(72b) 사이에는 응력의 분산을 위해 경사연결부(72c)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데, 상기 경사연결부(72c)는 상기 보접촉부(72a)와 상기 비접촉부(72b) 사이를 완만한 경사구조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와 상기 종방향내측리브(74) 사이를 횡방향으로 적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횡강성리브(76)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는 상기 복수의 횡강성리브(76)를 매개로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와 상기 종방향내측리브(74) 사이를 격자구조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단위패널(30)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는 상기 크로스리브(60)의 횡방향메인리브(64)를 향해 연장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횡방향연장리브(78)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횡방향연장리브(78)는 상기 보요소(20)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횡방향연장리브(78)는 상기 횡방향메인리브(64)와의 사이에서 응력의 분산을 위해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연결부(78a)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상판(50)에 대한 상기 횡방향연장리브(78)의 돌출높이는 상기 횡방향메인리브(64) 보다 더 크게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는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서 상기 크로스리브(60)의 양단부에 대해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구조물로서, 상기 보요소(20)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는 최외곽부위에 위치한 횡방향외측리브(82), 및 상기 횡방향외측리브(82)로부터 상기 상판(50)의 중심을 향한 내측부위에서 횡방향외측리브(8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횡방향내측리브(8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에 있어,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대한 상기 횡방향외측리브(82)와 상기 횡방향내측리브(84) 각각의 돌출높이는 상호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두 부재중 어느 하나가 더 크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각 부재의 돌출높이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에 상기 단위패널(30)이 안착될 때 상기 보요소(20)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면 그 길이의 선정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횡방향외측리브(82)와 상기 횡방향내측리브(84) 각각의 돌출높이는 요구되는 강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는 상기 횡방향외측리브(82)와 상기 횡방향내측리브(84) 사이를 종방향으로 적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종강성리브(86)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는 상기 복수의 종강성리브(86)를 매개로 상기 횡방향외측리브(82)와 상기 횡방향내측리브(84) 사이를 격자구조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단위패널(30)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는 상기 보요소(20)에 대한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88)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돌기부(88)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횡방향테두리리브(80)에 대해 상기 크로스리브(60)의 횡방향메인리브(64)를 중심에 해당하는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대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부(88)는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 중에서 상기 횡방향내측리브(84)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이 경우 상기 횡방향외측리브(82)와 상기 횡방향내측리브(84)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이 가지는 폭 길이에 대해 절반 이하의 길이로 더 작게 설정된다.
상기 모서리리브(90)는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서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와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 사이의 양단측 모서리부위를 연결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와 상기 횡방향외측리브(82) 사이, 및 상기 종방향내측리브(74)와 상기 횡방향내측리브(84) 사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보요소(20)는 상부면에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와의 항시 접촉을 위한 완충패드(100)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패드(100)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 사이에서 항시 접촉을 유도할 수 있는 완충성 부재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완충패드(100)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와 접촉 가능한 영역에 걸쳐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100)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와의 접촉중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패드(100)는 실리콘이나 고무 또는 폴리에틸렌 테이프 등과 같이 소재의 물성이 부드러운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100)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의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패드(100)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 또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100)는 연질의 패드와 경질의 패드를 층상으로 접합시킨 복합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위패널(30)의 설치작업시 발생하는 간섭이나,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한 평면도 불량으로 인해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와의 사이에서 유효접촉간격이 확보되기 어려운 경우, 상기 완충패드(100)는 경질의 패드가 가지는 단단한 물성을 매개로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적정의 유효접촉간격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고, 소음 발생의 문제가 없거나 상기 단위패널(3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크지 않고 반복적인 하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연질의 패드를 제외한 두께보상용 경질의 패드만을 사용하여 상기 완충패드(100)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보요소(20)는 상부면에 상기 모서리리브(90)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플랫패드(102)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플랫패드(102)는 전 부위의 면적을 4개의 영역으로 교차 분할하는 고정영역을 각 모서리부위에 갖추도록 구성되는 바, 이는 상기 단일의 플랫패드(102)를 중심으로 인접한 위치로 배치되는 상기 4개의 단위패널(30)의 대응되는 각 모서리부위를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각각의 고정영역에 대해 개별적으로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함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단위패널(30)은 상기 크로스리브(60)와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 및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 사이의 공간을 단위구획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분할용 크로스리브(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110)는 상기 크로스리브(60)와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 및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 사이에서 상호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들 리브(60, 70, 80)가 형성하는 단위구획의 공간을 더욱 세분화하여 분할함으로써 상기 단위패널(30)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110)는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분할리브(112), 및 횡방향분할리브(114)를 구비한다.
즉, 상기 종방향분할리브(112)는 상기 크로스리브(60)의 종방향메인리브(62)와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의 종방향내측리브(74) 사이에서 상기 보요소(20)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X)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횡방향분할리브(114)는 상기 크로스리브(60)의 횡방향메인리브(64)와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의 횡방향내측리브(84) 사이에서 상기 보요소(20)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종방향분할리브(112)는 상기 크로스리브(60)의 종방향메인리브(62)로부터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의 종방향내측리브(74)를 향해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대한 돌출높이를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다가 다시 증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분할리브(114)는 상기 크로스리브(60)의 횡방향메인리브(64)로부터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80)의 횡방향내측리브(84)를 향해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대한 돌출높이를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다가 다시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상판(50)에 가해지는 하중의 중심점으로부터 하중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작게 받는 부위인 중간부위를 거쳐 상기 보요소(2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최외곽부위에 이르기까지 부재의 구조적 강성을 효율적으로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단위패널(30)은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11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단위구획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용 크로스리브(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용 크로스리브(120)는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11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에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판(5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11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단위패널(30)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용 크로스리브(120)는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보강리브(122), 및 횡방향보강리브(124)를 구비한다.
즉, 상기 종방향보강리브(122)의 양단부는 상기 횡방향메인리브(64)와 상기 횡방향분할리브(114) 사이 또는 인접한 상기 횡방향분할리브(114)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횡방향보강리브(124)의 양단부는 상기 종방향메인리브(62)와 상기 종방향분할리브(112) 사이 또는 인접한 상기 종방향분할리브(112)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도 6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한 횡방향 평면도가 수평하지 않고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불량한 경우에 있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 또는 상기 종방향내측리브(74)가 각각 접촉되는 상태를 비교한 것이다.
먼저, 도 6의 (a)를 살펴보면, 상기 보요소(20)의 중심축선과 매우 근접한 부위에서 상기 인접한 종방향외측리브(72)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인접한 단위패널(30)의 상판(50)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차는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이에 반해, 도 6의 (b)를 살펴보면, 종래와 같이 상기 보요소(20)의 중심축선과 상대적으로 떨어진 부위에서 상기 인접한 종방향내측리브(74)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인접한 단위패널(30)의 상판(50)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차는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만을 한정적으로 접촉되게 함으로써 상기 보요소(20)의 횡방향 평면도가 불량할 경우에도 인접한 단위패널(30)의 상판(50)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 보요소(20)와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접촉으로부터 구현되는 하중의 중심축선으로부터 하중 지지점 사이의 거리 정도를 비교하는 도면으로, 하중의 중심축선(C)은 상기 보요소(20)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상기 상판(50)의 중심축선에 해당하고, 하중 지지점(S)은 상기 보요소(20)와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접촉지점의 연장축선에 해당하는 것으로 반력 지지점을 의미한다.
먼저, 도 7의 (a)를 살펴보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의 종방향외측리브(72)만이 접촉하게 되면, 하중의 중심축선(C)으로부터 하중 지지점(S) 사이의 이격거리는 중심축선(C)의 어디에서도 균일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단위패널(30)의 상판(50)에 가해지는 하중점(P)의 위치가 중심축선(C)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하중 지지점(S)과의 거리는 균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도 7의 (b)를 살펴보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의 종방향외측리브(72)와 함께 상기 횡방향연장리브(78)가 동시에 접촉하게 되면, 하중의 중심축선(C)으로부터 하중 지지점(S) 사이의 이격거리는 중심축선(C)의 어디에서도 균일한 상태로 유지되고, 특히 상기 횡방향연장리브(78)가 위치한 부위에서 하중점(P)과의 이격거리는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된다.
이에 반해 도 7의 (c)를 살펴보면, 종래와 같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70)의 모서리부위와 중간패드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지면, 하중의 중심축선(C)으로부터 모서리 지지점(E)과의 이격거리 및 중간지지점(G)과의 이격거리는 각각 상이하게 되고, 특히, 중심축선(C)상에서 하중점(P)의 위치가 달라질 경우에는 모서리 지지점(E)과 중간지지점(G)에 대한 이격거리를 서로 상이하게 되며, 모서리 지지점(E)과 중간지지점(G)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축선(C) 상에 하중점(P)이 위치하게 되면, 하중 지지점(S)과의 이격거리는 최대의 상태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50)의 중심축선(C) 중 어느 위치에서도 상기 보요소(20)의 하중 지지점(S)과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 7의 (c)에 도시된 종래 구조에 비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한 상기 단위패널(30)의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접촉되는 부위를 종래의 종방향내측리브(74)에서 종방향외측리브(72)로 변경함에 따라 하중의 중심축선(C)으로부터 하중 지지점(S)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게 되더라도, 상기 횡방향연장리브(78)가 위치한 부위에서 이루어지는 접촉을 통해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부위가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로 변경됨에 따라 수반되는 이격거리의 증가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로부터 하중점(P)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횡방향연장리브(78)의 형성을 통해 상쇄할 수 있으므로, 하중점(P)으로부터 하중 지지점(S) 사이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단점을 해소하여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횡방향내측리브(84)의 저면부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부(88)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요소(20)에 대한 상기 단위패널(30)의 설치방향 오류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보요소(20)에 대한 상기 단위패널(30)의 조립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단위패널(30)의 방향성이 틀어질 경우, 상기 횡방향내측리브(84)에 형성된 돌기부(88)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 사이에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상기 돌기부(88)가 상호 대향하는 횡방향내측리브(84)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상기 단위패널(30)은 돌기부(88)에 의한 국부적 접촉에 의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좌우방향으로 불규칙한 유동을 수반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유동과 그에 따른 이상 접촉소음은 상기 단위패널(30)의 오조립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한 종방향 평면도가 수평한 상태로 확보되지 못한 경우, 상기 종방향외측리브(72)의 저면부만을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유효접촉간격을 두고 하중 변위에 의한 가변 접촉의 상태로 전환하거나, 상기 완충패드(100)를 이용하여 항시 접촉의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상기 단위패널(30)의 상판(50)을 안정적인 지지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기 단위패널(30)의 안정적인 설치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한 횡방향 평면도가 불량인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시한 단위패널의 설치구조는 기초보의 수평상태가 확보될 수 있다면, 기초보의 상부면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10-기초보 20-보요소
30-단위패널 40-레벨링 체결수단
50-상판 60-크로스리브
62-종방향메인리브 64-횡방향메인리브
70-종방향테두리리브 72-종방향외측리브
74-종방향내측리브 76-횡강성리브
78-횡방향연장리브 80-횡방향테두리리브
82-횡방향외측리브 84-횡방향내측리브
86-종강성리브 88-돌기부
90-모서리리브 100-완충패드
110-분할용 크로스리브 112-종방향분할리브
114-횡방향분할리브 120-보강용 크로스리브
122-종방향보강리브 124-횡방향보강리브

Claims (15)

  1.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요소, 및 상기 복수의 보요소 사이에서 양단부가 지지되는 복수의 단위패널에 의한 집합 배치구조로서 전체 바닥패널을 구성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은,
    상판의 저면측 중앙부위에서 외곽부위를 향해 교차되게 설치되는 크로스리브;
    상기 크로스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종방향테두리리브; 및
    상기 크로스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횡방향테두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는 최외곽부위의 종방향외측리브, 및 상기 종방향외측리브로부터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내측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외측리브의 저면부는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해 유효접촉간격을 두고 하중 변위에 의해 가변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크로스리브는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메인리브, 및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메인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외측리브는 상기 횡방향메인리브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횡방향연장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2.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요소, 및 상기 복수의 보요소 사이에서 양단부가 지지되는 복수의 단위패널에 의한 집합 배치구조로서 전체 바닥패널을 구성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은,
    상판의 저면측 중앙부위에서 외곽부위를 향해 교차되게 설치되는 크로스리브;
    상기 크로스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종방향테두리리브; 및
    상기 크로스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횡방향테두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는 최외곽부위의 종방향외측리브, 및 상기 종방향외측리브로부터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내측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외측리브의 저면부는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해 완충패드를 사이에 두고 항시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크로스리브는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메인리브, 및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메인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외측리브는 상기 횡방향메인리브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횡방향연장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외측리브는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보접촉부, 및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과 비접촉하는 비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접촉부는 상기 종방향외측리브의 중앙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보접촉부를 중심으로 양측 가장자리부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접촉부와 상기 비접촉부 사이에서 응력의 분산을 위해 형성되는 경사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연장리브는 상기 횡방향메인리브와의 사이에서 응력의 분산을 위해 형성되는 경사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에 대해 상기 횡방향연장리브의 돌출높이는 상기 횡방향메인리브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는 최외곽부위의 횡방향외측리브, 및 상기 횡방향외측리브로부터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횡방향내측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는 상기 보요소에 대한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기부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횡방향테두리리브에 대해 상기 크로스리브의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대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횡방향내측리브에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외측리브와 상기 횡방향내측리브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의 폭 보다 절반 이하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리브와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 및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 사이의 공간을 단위구획으로 분할하기 위해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용 크로스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는,
    상기 크로스리브의 종방향메인리브와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의 종방향내측리브 사이에서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종방향분할리브; 및
    상기 크로스리브의 횡방향메인리브와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의 횡방향내측리브 사이에서 상기 보요소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횡방향분할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분할리브는 상기 크로스리브의 종방향메인리브로부터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의 종방향내측리브를 향해 상기 상판의 저면부에 대한 돌출높이를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다가 다시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횡방향분할리브는 상기 크로스리브의 횡방향메인리브로부터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의 횡방향내측리브를 향해 상기 상판의 저면부에 대한 돌출높이를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다가 다시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보강용 크로스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크로스리브는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에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보강리브와 횡방향보강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보강리브의 양단부는 상기 크로스리브의 횡방향메인리브와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의 횡방향분할리브 사이 또는 인접한 상기 횡방향분할리브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횡방향보강리브의 양단부는 상기 크로스리브의 종방향메인리브와 상기 분할용 크로스리브의 종방향분할리브 사이 또는 인접한 상기 종방향분할리브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KR1020180112275A 2018-09-19 2018-09-19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KR101984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75A KR101984301B1 (ko) 2018-09-19 2018-09-19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CN201880013448.3A CN111201357B (zh) 2018-09-19 2018-10-05 具有梁元件支撑面板的双层地板安装装置
PCT/KR2018/011792 WO2020059932A1 (ko) 2018-09-19 2018-10-05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75A KR101984301B1 (ko) 2018-09-19 2018-09-19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301B1 true KR101984301B1 (ko) 2019-05-31

Family

ID=6665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275A KR101984301B1 (ko) 2018-09-19 2018-09-19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84301B1 (ko)
CN (1) CN111201357B (ko)
WO (1) WO202005993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95B1 (ko) 2014-03-28 2015-05-21 주식회사 해광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및 방법
KR101782530B1 (ko) 2015-05-18 2017-09-28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989A (ja) * 1997-10-21 1999-05-11 Kindai Toshi Kaihatsu Kk フリーアクセス床構造及び床補強方法
CN201679209U (zh) * 2009-12-28 2010-12-22 广东松本绿色板业股份有限公司 一种活动地板支撑架
CN201620568U (zh) * 2010-03-05 2010-11-03 常州华通新立地板有限公司 活动地板支架
KR101519603B1 (ko) * 2014-03-28 2015-05-13 주식회사 해광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CN204804274U (zh) * 2015-07-10 2015-11-25 江苏向利防静电装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压脚型地板支架
KR101871821B1 (ko) * 2017-02-20 2018-06-27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용 이중바닥 패널
WO2018155761A1 (ko) * 2017-02-27 2018-08-30 주식회사 해광 이중 바닥 시스템용 플로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중 바닥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95B1 (ko) 2014-03-28 2015-05-21 주식회사 해광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및 방법
KR101782530B1 (ko) 2015-05-18 2017-09-28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01357A (zh) 2020-05-26
WO2020059932A1 (ko) 2020-03-26
CN111201357B (zh)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1568B1 (en) Free access floor
KR101511902B1 (ko) 페데스탈 및 클린룸의 플로어 시스템
KR101984301B1 (ko)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KR101782530B1 (ko)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US20140251013A1 (en) Acceleration sensor
KR101519495B1 (ko)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및 방법
KR20200032971A (ko)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JP5341687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架台
KR101519603B1 (ko)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JP7389085B2 (ja) フロア支持構造
KR101659602B1 (ko) 구조물의 방진 장치와 이의 설치 구조
CN209974055U (zh) 电梯曳引机支撑装置
CN216516661U (zh) 轻型高架地板
EP1378617B1 (en) Elevated floor assembly
KR101519593B1 (ko) 이중마루 시공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US10626614B2 (en) Masonry block with leveling pads
JP2514139Y2 (ja) 床配線装置
JPH09228615A (ja) 床構造
CN117738418A (zh) 重型格栅地板
JP2001288879A (ja) ボーダー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68197Y1 (ko) 바닥 판넬 설치용 패드 유니트
JPH06245355A (ja) 配線床構造
JP2022106048A (ja) 建物構造
JPH0657925A (ja) 複合ブロック床板の蓋板安定方法。
JPH0366866A (ja) 配線用床パネル小片および配線用床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