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530B1 -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530B1
KR101782530B1 KR1020150069205A KR20150069205A KR101782530B1 KR 101782530 B1 KR101782530 B1 KR 101782530B1 KR 1020150069205 A KR1020150069205 A KR 1020150069205A KR 20150069205 A KR20150069205 A KR 20150069205A KR 101782530 B1 KR101782530 B1 KR 101782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parallel
floor panel
rib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611A (ko
Inventor
김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15006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5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상기 바닥패널(100)은,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상으로 된 상판(110); 상기 상판(110)의 저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중앙부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된 중앙╋자형리브(120); 상기 중앙╋자형리브(12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20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평행방향리브(130); 및 상기 중앙╋자형리브(12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200)와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직각방향리브(140); 가 일체로 구성되되 상호 대응하는 상기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방향리브(140)는 각각 서로 다른 형상과 두께로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본 발명은 보요소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중마루 바닥재인 알루미늄 억세스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H-Beam 또는 사각관과 같은 보요소의 상면에 직접 설치하되 최소의 저중량으로 높은 강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정밀 부품 및 제품 제조 공정에서 거의 모든 작업들은 클린룸에서 진행된다. 클린룸(clean room)은 각종 공정장비가 놓여 지거나 반송수단의 이동을 위한 정밀한 수평 바닥과 플래넘(plenum)을 비롯한 전기배선 등의 은폐, 그리고 습기 차단과 정전기 제어 역할을 겸하는 이중마루 시스템으로 시설된다.
이러한 이중마루(access floor)구조에 의한 이중마루 시스템은 클린룸 뿐 아니라 전산실, 기계실, 반도체 장비실 및 일반 사무실 등에서 별도의 배관 또는 전선 트레이를 설치하지 않고 패널을 통하여 전선 및 통신선 등의 배선과 주요 장비의 집중공조가 가능하도록 기초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건축 내부 바닥 설치 구조물이다.
도 1은 이중마루로 시공된 일반적인 대형 클린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클린룸(10)은 억세스플로어(20)를 중심으로 클린룸 내부로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팬 필터 유닛(30) 및 플래넘(40)을 수용하는 상부공간(50)과 상기 상부공간(5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클린룸 바닥 아래로 배출시키는 플래넘(41)이 배치된 하부공간(5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억세스플로어(20)의 하부공간(51)에는 클린룸(10) 내부에 설치되는 설비 및 장비(31)를 가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케이블(60)과 각종 원료를 공급하는 배관류(61), 클린룸(10) 내 설비의 작업을 지원하는 간접 작업 설비 및 장비(62)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여러 가지 설비와 동력케이블(60) 및 배관류(61) 그리고 설비 및 장비(62)를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소의 기둥(70) 위에 격자보 등의 보(80)를 설치하고 그 보(80)위에 억세스플로어(20)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와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보요소 위에 억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상태의 설명도로서 도 2는 콘크리트 격자보(80) 위에 H-빔(81) 등의 보요소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윗면을 따라 억세스 플로어 패널(21)을 설치한 상태의 예로서 각각의 억세스 플로어 패널(21)의 모서리 부분에는 지지패드(9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한 예이고, 도 3은 기초바닥(71)에 포스트(70)를 세우고 그 위에 사각관(82)과 같은 보요소를 격자형태로 시공한 다음 그 위에 억세스 플로어 패널(21)을 설치하여 억세스 플로어(20)을 형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H-빔(81)이나 사각관(82)과 같은 보요소는 콘크리트 격자보(80) 또는 포스트(7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격자보와 포스트의 간격과 보요소의 설치방법은 상기의 예에 한정하지 않고 설치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사각형인 바닥패널의 네 모서리에 네개의 지지대를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며, 바닥패널이 보요소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라도 바닥패널의 네모서리만 지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보요소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패널의 경우 보요소와 평행한 바닥패널의 2 변이 평소 미소한 간격을 가진 채로 보요소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바닥패널의 상부에서 높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보요소와 평행한 2 변이 아래로 처지면서 보요소에 지지되도록 설계하여 직접 지지되는 부분의 강도 상승은 물론 바닥패널의 지지점이 증가하여 바닥패널의 중앙부에서도 강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만으로는 보요소와 평행한 2 변의 강도 증가분에 해당하는 만큼의 설계 강성 변경으로 얻는 중량의 절감효과가 비교적 낮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평행하게 설치된 보요소의 상부 면에 바닥패널의 설치시 설치방향을 정확하게 맞추어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설치방향을 정확히 구분하여 바닥패널의 설치시 또는 설치 후 재설치를 하는 경우 설치방향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아 자칫 보요소에 지지되지 않도록 설치될 경우 강도가 매우 취약하여 붕괴될 우려가 매우 높다는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중마루용 바닥패널의 하부에 클립 또는 나사못으로 직접 부착되어지는 공기흐름 조절용 댐퍼 또는 흡수용 패드를 부착하는 경우 나사못 또는 댐퍼, 패드의 두께(1 ~ 5mm)로 인한 간섭으로 바닥패널을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0874호(공고일. 2015. 01. 1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패널의 구성을 최소의 제품 중량으로 하면서도 높은 강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각형인 바닥패널의 평행한 양변 중앙에 추가의 지지점이 발생하여 바닥패널의 중앙부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을 갖는 이중마루의 설치가 가능한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패널의 하부면에 공기 흐름 조절용 댐퍼 또는 케미컬 미스트 등을 흡수하는 필터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접하는 보요소의 사이에 바닥패널을 설치시 자체 강성이 올바르게 작용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안내하여 패널의 오설치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초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보요소; 상기 보요소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인접하는 보요소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패널; 상기 보요소와 바닥패널의 사이에 끼워 설치되는 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은,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상으로 된 상판; 상기 상판의 저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중앙부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된 중앙╋자형리브; 상기 중앙╋자형리브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평행방향리브; 및 상기 중앙╋자형리브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와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직각방향리브; 가 일체로 구성되되 상호 대응하는 상기 평행방향리브와 직각방향리브는 각각 서로 다른 형상과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행방향리브는, 각각 대응하는 직각방향리브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행방향리브는 상기 바닥패널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평행외측리브; 상기 평행외측리브의 안쪽에 위치하는 평행내측리브;및 복수개의 평행보강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각방향리브는 상기 바닥패널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직각외측리브; 상기 직각외측리브의 안쪽에 위치하는 직각내측리브;및 복수개의 직각보강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행외측리브는, 상기 평행내측리브의 높이 대비 1/3 이하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행외측리브는 양측 바닥패널시공부와의 연결부에 응력분산을 위한 라운드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운드연결부는 라운드 최소 반지름이 10mm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각보강리브는, 중앙부분의 높이가 양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비스듬한 경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패드는 상기 바닥패널의 모서리에 구비된 바닥패널시공부와의 결합상태를 인지하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방향설정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패드는 변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패드에 대응하는 바닥패널시공부도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패널시공부는 내부에 중앙으로 돌출된 오삽입방지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패널의 저면에는 댐퍼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중마루 시스템을 이루는 알루미늄소재의 바닥패널을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 보요소에 설치하면서 불필요한 살빼기를 수행하여 적합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소재 가격이 비싼 알루미늄소재의 제품당 필요한 소요중량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요소의 강성을 최대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강성의 수준에 최적의 중량으로 바닥패널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마루 시스템의 바닥패널의 설치시 바닥패널의 설치방향이 바뀌어 강성이 저하됨을 방지하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인 이중바닥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중마루로 시공된 일반적인 대형 클린룸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격자보위에 설치된 H-빔형 보요소에 억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포스트위에 설치된 사각관형 보요소에 억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의 하부면의 구조적 특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도 4의 평면도.
도 5b는 도 4의 우측면도.
도 5c는 도 4의 저면도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요소의 상부에 바닥패널이 설치된 상태도로서, a)는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고, b)는 보요소와 직각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임.
도 7은 도 4의 A - A선 단면부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소한 틈을 가지도록 설치된 바닥패널의 중앙부에서 하중이 가해질 때 변형이 발생되어지는 양상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하중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이고, b)는 하중이 가해져 변형이 발생하는 상태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브의 형상을 보인 단면도로서, a)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이고, b)는 도 4의 C - C선 단면도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요소에 직각인 중앙╋자형리브의 형상에 따른 하중 인가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행내측리브와 동일한 높이로 균일한 리브높이를 갖는 랜드부가 없는 경우 보요소에 변형을 보이는 예이고, b)는 도 4의 D - D선 단면도로서 평행내측리브의 지지로 인한 지지점 거리 단축에 의한 강도 증가분을 반영하여 리브의 높이를 낮추고 랜드부를 형성하여 중량을 최적화한 것임.
도 10은 도 4의 E - E선 단면도로서 직각보강리브의 형상을 나타낸 것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패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패드와 바닥패널시공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상적인 바른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이고, b)는 잘못 설치되어 오삽입방지턱과 방향설정돌기가 상호 간섭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에 댐퍼가 조립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패널의 하부면의 구조적 특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바닥패널의 형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5a)는 도 4의 평면도이며, 5b)는 도 4의 우측면도이고, 5c)는 도 4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요소의 상부에 바닥패널이 설치된 상태도로서, a)는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고, b)는 보요소와 직각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10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된 복수개의 보요소(200)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설치방향에 따라 지탱하는 강성의 차이가 있도록 하여 반드시 정확한 방향성을 갖도록 설치해야만 요구하는 강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바닥패널(100)이 설치되는 보요소(200)는 H-빔이나 사각관과 같은 구조물로서 상면이 평평한 구조이어야 하며, 기초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가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패널(100)은 나란히 설치된 상기 보요소(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인접하는 보요소(200')와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설치되어 이중마루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패널(100)은,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상으로 된 상판(110)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다수의 리브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10)의 저면 중앙부에는 가장 큰 높이를 갖는 중앙╋자형리브(120)가 구비되어 상판(110)의 전체적인 강성을 갖도록 하였다.
상기 중앙╋자형리브(120)는 상기 상판(110)의 저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중앙부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자형리브(120)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에는 각각 양측에 대칭으로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방향리브(140)가 복수개씩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설치시 보요소(200)와 평행한 상태를 이루는 리브이며, 상기 직각방향리브(140)는 설치시 상기 보요소(200)와 직각의 상태를 이루는 리브를 분류하여 명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설치방향이 상기 보요소(20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위치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갖도록 하여 적정의 강성을 갖도록 하며, 재료의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가능한 높이를 낮추어 살빼기를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을 이루는 직각방향리브(140)는 상기 중앙╋자형리브(12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200)와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것이다.
복수의 직각방향리브(140)는 양측의 보요소(200)의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이므로 바닥패널(100)의 강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보다는 강한 강성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바닥패널(100)을 이루는 일체로 구성된 부분이지만 상호 대응하는 상기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방향리브(140)는 각각 서로 다른 형상과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각각 대응하는 직각방향리브(14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평행외측리브(131)와 상기 평행외측리브(131)의 안쪽에 위치하는 평행내측리브(132) 및 복수개의 평행보강리브(133)로 구성된다.
상기 직각방향리브(14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직각외측리브(141)와 상기 직각외측리브(141)의 안쪽에 위치하는 직각내측리브(142) 및복수개의 직각보강리브(143)로 구성된다.
도 6a)는 보요소(200)에 직각인 변의 설치형상이고, 도 6b)는 보요소(200)에 평행인 변의 설치형상으로써, 상기 보요소(200)는 H-빔을 사용한 것을 도시하여 방향에 따른 바닥패널(100)의 설치상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상기 바닥패널(100)과 보요소(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패드(300)는 통상 3 ~ 4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설치 방향을 규정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상기 보요소(200)의 상면에 접촉되는 바닥패널(100)의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방향리브(140)는 상호 설치간섭도피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패널(100)의 평행내측리브(132)와 직각외측리브(141)의 설치간섭도피부는 지지패드(300) 또는 바닥패널(100)의 변형시 보요소(200)의 단면 끝단부를 누르지 않도록 직각외측리브(141)와 평행내측리브(132)의 칫수보다 최소 1mm이상 낮아지게 형성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 ~ 4.5mm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행내측리브(132)와 보요소(200)의 사이는 바닥패널(100)의 상면에서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약 0.5 ~ 1.0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중이 작용할 경우 바닥패널(100)이 미소하게 처지면서 보요소(200)의 상부면에 닿아 지지되도록 유도한다.
도 7은 도 4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소한 틈을 가지도록 설치된 바닥패널(110)의 중앙부에서 하중이 가해질 때 변형이 발생되어지는 양상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하중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이고, b)는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요소(200)와 상기 보요소(200)의 상부에 설치된 바닥패널(100)의 특정 부분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즉, 도 7a)는 일반적인 하중의 상태, 즉, 하중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보요소(200)의 상면과 바닥패널(100)의 저면에 형성된 직각내측리브(142)의 사이에 미소한 틈이 형성된 상태이고, 도 7b)는 바닥패널(100)의 상부에서 하중이 가해져 바닥패널(100)에 변형이 발생한 상태로서, 하중(F)가 가해지면 최초 평행내측리브(132)가 보요소(20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후 상기 평행내측리브(132)의 끝단부가 받침점이 되어 회전축 역할을 하게 되면서 평행외측리브(131) 부분이 화살표(G)와 같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패널(100)의 변형이 계속되면 바닥패널의 직각내측리브(142)가 보요소(200)의 끝단부(S)에 닿아 누르게 되는데 상기 끝단부(S)는 작은 굽힘 하중에도 쉽게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보요소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패널의 접촉상태와 하중에 대한 변형발생의 양상을 고려하여 요구되는 하중에 최적인 형상과 중량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보요소(200)에 평행인 평행방향리브(130)의 외곽 2개의 리브인 평행외측리브(131)와 평행내측리브(132)중 하중 인가시 보요소(200)의 상면에 닿아 지지되는 부분은 평행외측리브(131)보다 평행내측리브(132)가 되도록 한다.
즉, 평행내측리브(13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은 지지점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는 것이므로 동일 중량으로 보다 높은 강성을 얻게 되며, 평행내측리브(132)가 직접 보요소(200)에 지지되게 되므로 평행외측리브(131)는 인접한 평행내측리브(132)의 높이 대비 1/3 이하에서도 설계하중을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평행외측리브(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를 최소화 되게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평행내측리브(132)보다 1/3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살빼기를 하여도 무방하며, 소재중량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충격하중이나 비틀림 응력에 의한 국부파괴를 막기 위하여 상기 평행외측리브(131)는 모서리부분인 바닥패널시공부(150)와 평행내측리브(132)와의 연결부에서 큰 라운드를 갖는 라운드연결부(134)를 형성함으로써 하중의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라운드연결부(134)의 최소 반경은 반지름 10mm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브의 형상을 보인 단면도로서, a)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이고, b)는 도 4의 C - C선 단면도이다.
즉, 보요소(200)에 평행인 중앙╋자형리브(120)의 단면으로, 중앙부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 파괴하중 강도의 극대화를 위해 중앙╋자형리브(120)는 평행방향, 직각방향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하며, 직각외측리브(141)는 바닥패널(100)의 이동간 적재의 편의를 위해 평행내측리브(132)와 같은 높이로 구성한다.
또한, 직각외측리브(141)의 강도를 보강하는 인접한 직각내측리브(142)의 높이는 바닥패널 후면에 부착되어 질 수 있는 댐퍼(400) 또는 케미컬 흡수패드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행내측리브(132)의 요홈부분과 높이가 갖도록 하며, 상기 직각내측리브(142)와 직각외측리브(141)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은 직각외측리브(141)의 파괴강도 향상을 위하여 일부분을 단처리하여 랜드부(121)를 형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요소에 직각인 중앙╋자형리브의 형상에 따른 하중 인가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행내측리브와 동일한 높이로 균일한 리브높이를 갖는 경우 보요소에 변형을 보이는 예이고, b)는 도 4의 D - D선 단면도로서 평행내측리브(132)의 지지로 인한 지지점 거리 단축에 의한 강도 증가분을 반영하여 리브의 높이를 낮춰 중량을 최적화하되 지지점 간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평행내측리브(132)와 높이가 동일한 짧은 구간의 랜드부(121)를 두어 지지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랜드부(121)의 길이는 보요소(200)의 취약부(S)에 리브가 직접 접촉하여 보를 눌러 변형시키지 않도록 보의 상면폭의 1/5 ~ 2/6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4의 E - E선 단면도로서 직각보강리브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보요소(200)에 직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직각보강리브(143)의 단면으로 리브의 전체 구간이 동일한 높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부와 가까워 반력이 높은 구간은 낮게 하고 지지부와 멀어져 반력이 낮는 부분은 높게 구성하며, 이 둘 사이의 구간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44)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직각보강리브(143)의 최대높이와 최소높이는 바닥패널(100)에 요구되어지는 하중의 정도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으로 최대 높이를 이루는 구간의 길이는 지지점과의 거리의 1/4 ~ 1/3수준이 적합하고 직각보강리브(143)의 낮은 높이의 구간은 격자리브 1개의 간격의 5/4 ~ 3/2의 수준이 적합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패드의 사시도로서, 상기 보요소(200)와 바닥패널(100)의 사이에는 지지패드(300)가 끼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패드(30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모서리에 구비된 바닥패널시공부(150)와의 결합상태를 인지하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방향설정돌기(3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패드(300)는 변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패드(300)에 대응하는 바닥패널시공부(150)도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패드와 바닥패널시공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상적인 바른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이고, b)는 잘못 설치되어 오삽입방지턱과 방향설정돌기가 상호 간섭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닥패널시공부(150)는 직사각형으로 일측변의 길이가 길게 형성하되 내부에는 중앙으로 돌출된 오삽입방지턱(151)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패드(30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방향설정돌기(310)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바닥패널(100)의 설치방향이 올바르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패널시공부(150)와 지지패드(300)의 결합상태에 따라서,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가 되었는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패널(100)의 설치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여 가장 강력한 강성을 갖도록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에 댐퍼가 조립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로서, 상기 바닥패널(100)의 저면에는 댐퍼(400)를 용이하게 부가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패널(100)의 하부면에는 공기 흐름 조절용 댐퍼 또는 케미컬 미스트 등을 흡수하는 필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보요소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패널의 중앙╋자형리브의 구성과 보강리브의 구성에 있어 보요소에 평행인 평행방향리브와 보요소에 직각인 직각방향리브 각각의 지지점과의 관계에 따른 최적의 구성요건을 제공하여 요구되는 강도에 최적의 중량과 강도를 가지는 바닥패널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바닥패널의 내구성을 향상하면서도 리브의 조성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소재의 중량이 절감되도록 하여 제조가격이 낮아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바닥패널
110: 상판
120: 중앙╋자형리브 121: 랜드부
130: 평행방향리브 131: 평행외측리브
132: 평행내측리브 133: 평행보강리브
134: 라운드연결부
140: 직각방향리브 141: 직각외측리브
142: 직각내측리브 143: 직각보강리브
144: 경사부
150: 바닥패널시공부 151: 오삽입방지턱
200: 보요소
300: 지지패드 310: 방향설정돌기
400: 댐퍼

Claims (12)

  1. 기초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보요소(200); 상기 보요소(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인접하는 보요소(200')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패널(100); 상기 보요소(200)와 바닥패널(100)의 사이에 끼워 설치되는 지지패드(300)를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100)은,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상으로 된 상판(110); 상기 상판(110)의 저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중`앙부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된 중앙╋자형리브(120); 상기 중앙╋자형리브(12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20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평행방향리브(130); 및 상기 중앙╋자형리브(12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200)와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직각방향리브(140);가 일체로 구성되되 상호 대응하는 상기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방향리브(140)는 각각 서로 다른 형상과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평행외측리브(131)를 포함하며, 상기 평행외측리브(131)는, 양측 바닥패널시공부(150)와의 연결부에 응력분산을 위한 라운드연결부(13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각각 대응하는 직각방향리브(14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평행외측리브(131);
    상기 평행외측리브(131)의 안쪽에 위치하는 평행내측리브(132); 및
    복수개의 평행보강리브(1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방향리브(14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직각외측리브(141);
    상기 직각외측리브(141)의 안쪽에 위치하는 직각내측리브(142); 및
    복수개의 직각보강리브(1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외측리브(131)는,
    상기 평행내측리브(132)의 높이 대비 1/3 이하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연결부(134)는,
    라운드 최소 반지름이 10mm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보강리브(143)는,
    중앙부분의 높이가 양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비스듬한 경사부(14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30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모서리에 구비된 바닥패널시공부(150)와의 결합상태를 인지하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방향설정돌기(3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300)는 변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패드(300)에 대응하는 바닥패널시공부(150)도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시공부(150)는,
    내부에 중앙으로 돌출된 오삽입방지턱(1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100)의 저면에는 댐퍼(400)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KR1020150069205A 2015-05-18 2015-05-18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KR101782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205A KR101782530B1 (ko) 2015-05-18 2015-05-18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205A KR101782530B1 (ko) 2015-05-18 2015-05-18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11A KR20160135611A (ko) 2016-11-28
KR101782530B1 true KR101782530B1 (ko) 2017-09-28

Family

ID=5770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205A KR101782530B1 (ko) 2015-05-18 2015-05-18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5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301B1 (ko) 2018-09-19 2019-05-31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KR20200032971A (ko)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KR20230041853A (ko) 2021-09-17 2023-03-27 주식회사 해광 하부프레임 모듈식 이중마루 패널 지지 구조 및 상기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이중마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112Y1 (ko) * 2018-09-03 2020-08-10 주식회사 해광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057Y1 (ko) * 2006-02-07 2006-05-10 주식회사 해광 클린룸의 바닥 지지패널
KR101502328B1 (ko) * 2014-03-14 2015-03-13 주식회사 해광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플랫 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057Y1 (ko) * 2006-02-07 2006-05-10 주식회사 해광 클린룸의 바닥 지지패널
KR101502328B1 (ko) * 2014-03-14 2015-03-13 주식회사 해광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플랫 패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301B1 (ko) 2018-09-19 2019-05-31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WO2020059932A1 (ko) * 2018-09-19 2020-03-26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KR20200032971A (ko)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KR102242462B1 (ko) * 2018-09-19 2021-04-21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KR20230041853A (ko) 2021-09-17 2023-03-27 주식회사 해광 하부프레임 모듈식 이중마루 패널 지지 구조 및 상기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이중마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11A (ko)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530B1 (ko)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US10508454B2 (en) Exterior-material securing member and building exterior structure
CN210459570U (zh) 墙板转角连接件及模块化墙体
KR101511902B1 (ko) 페데스탈 및 클린룸의 플로어 시스템
JP4884928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
KR101965852B1 (ko) 내진 시스템이 구비된 물탱크
KR101519495B1 (ko)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및 방법
KR200416057Y1 (ko) 클린룸의 바닥 지지패널
KR101519603B1 (ko)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JP4969213B2 (ja) 二重床用パネル
KR101519593B1 (ko) 이중마루 시공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CN111201357B (zh) 具有梁元件支撑面板的双层地板安装装置
JP2014105509A (ja) 床パネル
CN218758500U (zh) 地板支架
KR102443963B1 (ko) 이중마루 조립체
JP6925215B2 (ja) 建物の天井及び建物の天井の施工方法
JP2017089307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及び天井
JP2018091073A (ja) 建物ユニットの連結構造
JP6838887B2 (ja) 床梁構造
JP2014148805A (ja) 建物の柱設置構造
JP5745783B2 (ja) 建物ユニットの配置方法
US20030033768A1 (en) Access floor panel
KR102485501B1 (ko) 액세스 플로어 장치
JPS6137886Y2 (ko)
KR101775365B1 (ko) 구축용 패널 수평 유지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