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12Y1 -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 Google Patents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12Y1
KR200492112Y1 KR2020180004099U KR20180004099U KR200492112Y1 KR 200492112 Y1 KR200492112 Y1 KR 200492112Y1 KR 2020180004099 U KR2020180004099 U KR 2020180004099U KR 20180004099 U KR20180004099 U KR 20180004099U KR 200492112 Y1 KR200492112 Y1 KR 200492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base portion
cross
shaped central
main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554U (ko
Inventor
김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2020180004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1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정사각형의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판 형태로 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4개의 변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호 간의 각 단부가 이격되도록 각 변부에 1개씩 구비되는 테두리리브,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4개의 꼭지점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리브의 각 단부를 연결하도록 4개소 구비되는 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1중의 테두리리브 만으로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FLOOR PANEL FOR ACCESS FLOOR}
본 고안은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중의 테두리리브 만으로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마루는 기존 건축물 바닥에서 일정 높이의 위치에 새로운 바닥을 형성하여 새로 형성된 바닥과 기존 건축물 바닥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공조용 덕트, 전력선 또는 네트워크 케이블 등을 수용할 수 있게 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마루는 복수의 하부 지지 구조물(1)과 그 위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로워 패널(2)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KR 10-1871821 B1(특허문헌 1)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의 내하중력 평가 방식은 플로어 패널의 중앙부와 네 변의 중심이에서 내하중력을 측정하거나 대각선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내하중력을 측정하는 방식이었으며, 이에 따라 평가 위치에 리브를 중점적으로 배치하는 설계 트렌드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내하중력 평가 결과에 의할 때 충분한 내하중력을 가진 이중 마루용 패널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 시 평가 하중보다 낮은 하중에도 평가 위치 이외의 부분에서 국부 파손 또는 영구 변형이 과대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대두되었고,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이중 마루용 플로워 패널의 임의의 위치에서 내하중력을 평가하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종래의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은 기존의 내하중력 평가 방식에 의한 트렌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2중의 테두리리브를 필수적으로 전제하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KR 10-1871821 B1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고안의 목적은 1중의 테두리리브 만으로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 리브들의 높이 차이를 통하여 최소의 중량으로 필요한 내하중력을 확보하게 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 차이를 통하여 각 리브들의 필요 두께를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 면적에서 고른 내하중력을 확보하게 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은, 정사각형의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판 형태로 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4개의 변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호 간의 각 단부가 이격되도록 각 변부에 1개씩 구비되는 테두리리브,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4개의 꼭지점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리브의 각 단부를 연결하도록 4개소 구비되는 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은,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2등분하는 2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십자형 중앙리브,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4등분하는 6개의 직교선 중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가 설치되는 직교선 이외의 4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1 주리브,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8등분하는 14개의 직교선 중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와 상기 제 1 주리브가 설치되는 6개의 직교선 이외의 8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2 주리브,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16등분하는 30개의 직교선 중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와, 상기 제 1 주리브와, 상기 제 2 주리브가 설치되는 14개의 직교선 이외의 16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보조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상기 테두리리브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와, 상기 제 2 주리브와, 상기 보조리브의 최외곽 단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두리리브는, 중앙 부분의 두께가 양 단부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공부는, 상호 직교하면서 각 일단이 연결되는 2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을 상호 간 연결시키는 빗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빗변부는, 양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두리리브는, 그 단부가 상기 빗변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의 높이와 상기 테두리리브의 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 1 주리브의 높이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의 높이 이하이고, 상기 제 2 주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 1 주리브의 높이 이하이며, 상기 보조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 2 주리브의 높이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십자형 중앙리브와, 상기 제 1 주리브와, 상기 제 2 주리브와, 상기 보조리브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정사각형면 각각에는 각 홀 중심을 이으면 상기 정사각형면과 중심을 공유하는 축소된 정사각형을 이루는 4개의 공기유통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수직한 직교선 상에서 홀 간 거리를 비교할 때, 하나의 정사각형면 안에 동시에 존재하는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는 상기 보조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보조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와, 상기 제 1 주리브와, 상기 제 2 주리브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은 1중의 테두리리브 만으로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은 각 리브들의 높이 차이를 통하여 최소의 중량으로 필요한 내하중력을 확보하게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은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 차이를 통하여 각 리브들의 필요 두께를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 면적에서 고른 내하중력을 확보하게 한다.
도 1은 이중마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은, 베이스부(10), 테두리리브(60), 및 시공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은, 십자형 중앙리브(20), 제 1 주리브(30), 제 2 주리브(40), 및 보조리브(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은 고강도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정사각형의 상면(도면 부호 미표시)과 하면(10a)을 가지는 판 형태로 된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부(10)에는 상면과 하면(10a)을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유통홀(1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공기유통홀(11)이 없는 타입을 블라인드 타입으로, 상기 공기유통홀(11)이 구비되는 타입을 퍼포레이트 타입으로 명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공기유통홀(11)은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와, 상기 보조리브(50)에 의해 구획된 196개의 정사각형면(10b-1)에 4개씩 총 784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통홀(11)은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와, 상기 보조리브(50)와, 상기 테두리리브(60)와, 상기 시공부(70)에 의해 테두리 부분에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에 구획된 56개의 구획면(10b-2)에 총 104개 형성(상기 시공부(70)에 이웃하는 구획면(10b-2)에는 1개씩, 그 이외의 구획면(10b-2)에는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통홀(11)에 대해서는 이하 다른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그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2등분하는 2개의 직교선(도 3의 l, m / 이하, 다른 직교선 또한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을 등분하는 방식에 의하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않기로 한다.)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의 높이는 상기 테두리리브(6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의 두께는 상기 제 1 주리브(30)의 두께 및 상기 제 2 주리브(4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는 상기 제 1 주리브(30) 및 상기 제 2 주리브(40)와 함께 상기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의 전면적에 걸쳐 내하중력을 확보하게 하는 주요 구성이다.
상기 제 1 주리브(3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4등분하는 6개의 직교선 중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가 설치되는 직교선 이외의 4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 주리브(30)의 높이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의 높이와 상기 테두리리브(60)의 높이가 동일할 때,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의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 1 주리브(30)의 높이를 필요한 내하중력이 확보되는 정도 내에서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의 높이보다 작게 하면, 그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부분 만큼의 중량 저감 효과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 제 1 주리브(30)의 두께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의 두께 및 상기 제 2 주리브(4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 주리브(30)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 및 상기 제 2 주리브(40)와 함께 상기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의 전면적에 걸쳐 내하중력을 확보하게 하는 주요 구성이다.
상기 제 2 주리브(4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8등분하는 14개의 직교선 중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가 설치되는 6개의 직교선 이외의 8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2 주리브(40)의 높이는 상기 제 1 주리브(30)의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 2 주리브(40)의 높이를 필요한 내하중력이 확보되는 정도 내에서 상기 제 1 주리브(30)의 높이보다 작게 하면, 그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부분 만큼의 중량 저감 효과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 제 2 주리브(40)의 두께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의 두께 및 상기 제 1 주리브(3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 주리브(40)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 및 상기 제 1 주리브(30)와 함께 상기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의 전면적에 걸쳐 내하중력을 확보하게 하는 주요 구성이다.
상기 보조리브(5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16등분하는 30개의 직교선 중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가 설치되는 14개의 직교선 이외의 16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보조리브(50)의 높이는 상기 제 2 주리브(40)의 높이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리브(50)의 높이를 필요한 내하중력이 확보되는 정도 내에서 상기 상기 제 2 주리브(40)의 높이보다 작게 하면, 그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부분 만큼의 중량 저감 효과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 보조리브(50)의 두께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의 두께, 상기 제 1 주리브(30)의 두께, 및 상기 제 2 주리브(4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리브(50)의 두께를 필요한 내하중력이 확보되는 정도 내에서 다른 리브의 두께보다 작게 하면, 그 두께 차이에 해당하는 부분 만큼의 중량 저감 효과가 도모된다.
상기 보조리브(50)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와, 상기 보조리브(50)와, 상기 테두리리브(60), 상기 시공부(7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에 구획된 정사각형면(10b-1)과 구획면(10b-2)의 개별 공간에 부여되는 응력을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와, 상기 보조리브(50)와, 상기 테두리리브(60), 상기 시공부(70)로 전달하여 분산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테두리리브(6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에서 4개의 변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리브(60)가 4개의 변 내측으로 일정 간격 들어간 위치에서 형성되면, 4개의 변에 정확히 형성되는 경우보다 상기 이중 마루용 패널의 상부에서 부여되는 고하중을 견디는 내하중력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중 마루용 패널의 평면 사이즈가 600mm X 600mm인 경우 상기 테두리리브(6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4개의 각 변에서 8mm 이상 12mm 이하만큼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하면 그 내하중력이 최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테두리리브(60)는, 상호 간의 각 단부가 이격되도록 각 변부에 1개씩 구비된다.,
상기 테두리리브(60)는, 각 내측면이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와, 상기 보조리브(50)의 최외곽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테두리리브(60)는, 중앙 부분(60a)의 두께가 양 단부(60b)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 차이는 전술한 형성 위치의 특성(4개의 변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과 함께 각 변 당 1개, 즉 1중의 테두리리브 만으로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테두리리브(60)는, 그 단부(60b)가 상기 시공부(70)의 빗변부(72)의 절곡형 양 단부(72a)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테두리리브(60)의 높이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공부(7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에서 4개의 꼭지점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시공부(70)는, 상기 테두리리브(60)의 각 단부(60b)를 연결하도록 4개소 구비된다. 상기 시공부(70)는 이중마루의 하부 지지 구조물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시공부(70)는, 상호 직교하면서 각 일단이 연결되는 2개의 지지부(71)와, 상기 지지부(71)의 타단을 상호 간 연결시키는 빗변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빗변부(72)는, 양 단부(72a)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두리리브(60)는, 그 단부(60b)가 상기 빗변부(72)의 단부(72a)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빗변부(72)는, 상기 보조리브(50)의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 4개의 꼭지점 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시공부(70)가 개략적인 이등변 삼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시공부에 비하여, 상기 지지부(71)의 길이를 길게 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테두리리브(60)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상기 테두리리브(60)의 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시공부(70)는, 상기 지지부(71)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종래의 형태보다 상기 보조리브(50)와의 간섭 문제가 확연히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시공부(70)에 이웃하는 구획면(10b-2)에 1개씩의 공기유통홀(11)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공기유통홀(11) 형성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에는 상면과 하면(10a)을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유통홀(11)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중 마루용 패널의 평면 사이즈가 600mm X 600mm인 경우, 상기 공기유통홀(11)은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와, 상기 보조리브(50)에 의해 구획된 196개의 정사각형면(10b-1)에 4개씩 총 784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통홀(11)은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와, 상기 보조리브(50)와, 상기 테두리리브(60)와, 상기 시공부(70)에 의해 테두리 부분에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에 구획된 56개의 구획면(10b-2)에 총 104개 형성(상기 시공부(70)에 이웃하는 구획면(10b-2)에는 1개씩, 그 이외의 구획면(10b-2)에는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총 888개의 공기유통홀(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정사각형면(10b-1) 각각에는 각 홀 중심을 이으면 상기 정사각형면(10b-1)과 중심을 공유하는 축소된 정사각형을 이루는 4개의 공기유통홀(1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4개의 공기유통홀(11)의 중심을 이으면 정사각형 라인이 형성되는데, 이 정사각형은 상기 정사각형면(10b-1)의 각 변을 평행 축소 이동시킨 형태를 가진다.
상기 공기유통홀(11)의 직경은 9.5mm일 수 있으며, 상기 이중 마루용 패널의 평면 사이즈가 600mm X 600mm인 경우 약 17.5%의 개공 면적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10a)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수직한 직교선 상에서 홀 간 거리를 비교할 때, 하나의 정사각형면 (10b-1) 안에 동시에 존재하는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11) 간의 거리(D2)는 상기 보조리브(50)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11) 간의 거리(D3)보다 작고, 상기 보조리브(50)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11) 간의 거리(D3)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11) 간의 거리(D4)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리브(50)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11) 간의 거리(D3)를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11) 간의 거리 미만으로 하면, 상기 보조리브(50)의 두께를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20)와, 상기 제 1 주리브(30)와, 상기 제 2 주리브(40)보다 작게 하여 중량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이중 마루용 패널의 평면 사이즈가 600mm X 600mm인 경우, D1 = 베이스부(10)의 두께 X 2, D2 = 공기유통홀(11) + D1, D3 = D2 + 4~5mm, D4 = D3 + 3~4mm으로 설정함으로써, 필요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상기 테두리리브(60)와 상기 보조리브(50)의 최외곽 개소와의 거리(D5)는 1.5 X D5 = D4의 관계를 만족할 때, 가장 큰 강성을 확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은 1중의 테두리리브 만으로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각 리브들의 높이 차이를 통하여 최소의 중량으로 필요한 내하중력을 확보하게 하며,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 차이를 통하여 각 리브들의 필요 두께를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 면적에서 고른 내하중력을 확보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고안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이중 마루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 베이스부
10a: 하면
10b-1: 정사각형면
10b-2: 구획면
11: 공기유통홀
20: 십자형 중앙리브
30: 제 1 주리브
40: 제 2 주리브
50: 보조리브
60: 테두리리브
60a: 중앙 부분
60b: 단부
70: 시공부
71: 지지부
72: 빗변부
72a: 단부

Claims (9)

  1. 사각형의 판 형태로 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4개의 변 내측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호 간의 각 단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4개의 변 각각에 1개씩 구비되는 테두리리브;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4개의 꼭지점 내측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리브의 각 단부를 연결하도록 4개소 구비되는 시공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4개의 변 각각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보조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리브는 중앙 부분의 두께가 양 단부보다 두껍고 ,
    상기 시공부는 상호 직교하면서 각 일단이 연결되는 2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을 상호 간 연결시키는 빗변부를 포함하고 ,
    상기 빗변부의 단부는 상기 테두리리브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빗변부의 내측부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보조리브와 연결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테두리리브와 연결시키면서,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십자형 중앙리브;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십자형 중앙리브 및 테두리리브를 연결시키면서,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주리브;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십자형 중앙리브 및 제 1 주리브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제 2 주리브를 더 포함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리브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리브 및 제 1 주리브를 추가적으로 연결시키면서,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2등분하는 2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주리브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4등분하는 6개의 직교선 중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가 설치되는 직교선 이외의 4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주리브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8등분하는 14개의 직교선 중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와 상기 제 1 주리브가 설치되는 6개의 직교선 이외의 8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조리브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16등분하는 30개의 직교선 중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와, 상기 제 1 주리브와, 상기 제 2 주리브가 설치되는 14개의 직교선 이외의 16개의 직교선 상에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리브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와, 상기 제 2 주리브와, 상기 보조리브의 최외곽 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변부는,
    양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의 높이와 상기 테두리리브의 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 1 주리브의 높이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의 높이 이하이고, 상기 제 2 주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 1 주리브의 높이 이하이며, 상기 보조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 2 주리브의 높이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8. 제4항에 있어서,
    십자형 중앙리브와, 상기 제 1 주리브와, 상기 제 2 주리브와, 상기 보조리브에 의해 복수의 정사각형면 각각에는 각 홀 중심을 이으면 상기 정사각형면과 중심을 공유하는 축소된 정사각형을 이루는 4개의 공기유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수직한 직교선 상에서 홀 간 거리를 비교할 때, 하나의 정사각형면 안에 동시에 존재하는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는 상기 보조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보조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는 상기 십자형 중앙리브와, 상기 제 1 주리브와, 상기 제 2 주리브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 이웃하는 공기유통홀 간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KR2020180004099U 2018-09-03 2018-09-03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KR200492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99U KR200492112Y1 (ko) 2018-09-03 2018-09-03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99U KR200492112Y1 (ko) 2018-09-03 2018-09-03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54U KR20200000554U (ko) 2020-03-11
KR200492112Y1 true KR200492112Y1 (ko) 2020-08-10

Family

ID=6976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099U KR200492112Y1 (ko) 2018-09-03 2018-09-03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1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821B1 (ko) * 2017-02-20 2018-06-27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용 이중바닥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874B1 (ko) * 2013-05-23 2015-01-12 주식회사 해광 고하중 장비 동선용 알루미늄 억세스 플로어 패널
KR20160135609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해광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알루미늄 억세스 플로어 패널
KR101782530B1 (ko) * 2015-05-18 2017-09-28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821B1 (ko) * 2017-02-20 2018-06-27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용 이중바닥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54U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6578A (en) Floor panel for an elevated floor assembly
US4745715A (en) Elevated floor plate
US4825603A (en) Elevated floor plate
CA2408894C (en) Accessory for modular elements for the support and ventilation of crawl spaces, floor structures, floors or similar articles in the building field
KR20050088050A (ko) 고강도 패널
KR200492112Y1 (ko) 이중 마루용 플로어 패널
JP6989301B2 (ja) パネル積載ユニット
KR20110019913A (ko)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KR200416057Y1 (ko) 클린룸의 바닥 지지패널
JP3785111B2 (ja) 長尺の基礎パッキン
KR20060022720A (ko) 클린룸의 바닥 지지패널
JP7010486B2 (ja) 耐力壁及び水平構面
US20170022697A1 (en) Modular deck system
JP6802015B2 (ja) 連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構造
US7353617B1 (en) Surface template
JP4669615B2 (ja) ユニット建物
JP6573490B2 (ja) 建物
JPH0452324Y2 (ko)
US20230349156A1 (en) Retrofitting method for a beam with an opening
KR20080057961A (ko) 벽체 가구 시스템
JP4245531B2 (ja) パネル構造
JP4193250B2 (ja) 天井下地一体ばり
EP1920119A1 (en)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 of wood
KR101414558B1 (ko) 결로 방지용 외벽 마감 시스템 장치
JP5601841B2 (ja) フラットスラブ構造、フラットスラブ構造を備えた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