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913A -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 Google Patents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913A
KR20110019913A KR1020090077528A KR20090077528A KR20110019913A KR 20110019913 A KR20110019913 A KR 20110019913A KR 1020090077528 A KR1020090077528 A KR 1020090077528A KR 20090077528 A KR20090077528 A KR 20090077528A KR 20110019913 A KR20110019913 A KR 2011001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ase frame
wall
coupling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산업
Priority to KR102009007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913A/ko
Publication of KR2011001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에 사용되는 베이스프레임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은,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의 내부에서 다수의 사각의 단위영역을 구획하는 가로살대와 세로살대의 각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을 형성하되, 하나의 가로살대 또는 세로살대에 인접하는 2개의 단위영역에 속하는 결합공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용 방습패널을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에 사각 커버패널뿐만 아니라 삼각 커버패널도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 표현력이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위영역의 변을 따라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삼각 커버패널을 결합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또한 벽체모서리 부근에 설치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단하는 경우에도 결합상태를 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벽체용 방습패널, 삼각

Description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Damp-proof panel for wall which can express various design and base frame for the same}
본 발명은 벽체용 방습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베이스프레임에 다수의 커버패널을 부착하되, 다양한 형상의 커버패널을 부착할 수 있어 디자인 표현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벽체용 방습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지하층에 마감공사를 할 때는 기초 콘크리트층에 방수처리를 함에도 불구하고, 벽체의 차가운 온도로 인해 벽면에 결로수가 발생한다. 벽체에 결로수가 발생하면 마감자재를 설치하기가 곤란하고 시공품질에 대한 불신이 초래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결로수가 보이지 않도록 별도의 시설물을 설치한다.
종래에는 벽체의 내측에 방습용 블록을 축조하였으나 시공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실내 면적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벽체 마감과 결로수 방지를 동 시에 실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벽체용 방습패널은 등록실용신안 제300708 이 그 효시라고 할 수 있는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벽면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에 별도의 커버패널을 부착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이러한 벽체용 방습패널을 나타낸 것으로서, 양면이 관통된 격자 구조를 가지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의 일면에 결합하여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하는 커버패널(2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의 구조를 살펴보면,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11)의 내부에 다수의 가로살대(12)와 다수의 세로살대(13)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가로살대(12)와 세로살대(13)의 양 단부는 각각 테두리부재(11)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베이스프레임(10)에는 가로살대(12)와 세로살대(13)에 의해, 또는 가로살대(12), 세로살대(13) 및 테두리부재(11)에 의해 구획되는 사각형(통상 정사각형)의 단위영역이 다수 개 형성된다.
각 단위영역의 중앙에는 컵형상의 받침부(16)가 배치되고, 받침부(16)는 상단 주연부에 연결된 다수의 연결살대(14)에 의해 가로살대(12), 세로살대(13) 및/또는 테두리부재(11)에 연결된다. 받침부(16)는 커버패널(20)을 벽체로부터 이격시켜 그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부(16)의 저면부가 콘크리트 못 등으로 벽체에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은 커버패널(20)을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18) 을 가지며, 커버패널(20)은 결합공(18)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도면에는 보이지 않음)를 가진다.
종래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공(18)은 각 단위영역의 각 꼭지점 또는 그 주변에 하나씩 형성된다.
커버패널(20)은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하는 역할 이외에도 벽면을 장식하는 마감부재의 역할도 수행하며, 여러 색상의 커버패널(20)을 적절히 배치하여 벽면에 소정의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벽체용 방습패널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커버패널(20)이 사각형에 국한되어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종래의 벽체용 방습패널에 사각의 커버패널(20)만을 사용하는 것은 베이스프레임(10)의 구조적인 한계 때문이다. 즉, 종래의 베이스프레임(10)에는 각 단위영역의 네 꼭지점에만 결합공(18)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삼각의 커버패널을 장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둘째, 실제 시공현장에서는 벽체의 폭이나 높이가 벽체용 방습패널의 정수배가 되는 것이 아니어서 대부분의 경우 벽체의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커버패널(20)은 설치면적에 맞게 적절한 크기로 절단해야 한다.
그런데 커버패널(20)의 결합돌기는 통상 베이스프레임(10)의 각 단위영역의 네 꼭지점에 형성된 결합공(18)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단위영역의 중간을 절단하면 커버패널(20)이 베이스프레임(10)의 2개의 결합공(18)에만 결합되어 결합되지 않은 부분이 들떠서 시공품질이 현저히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의 커버패널뿐만 아니라 삼각의 커버패널도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벽체의 모서리 부근에 설치하기 위해 절단하는 경우에도 베이스프레임과 커버패널의 결합상태를 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시공품질을 높일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벽면을 장식하는 마감부재의 역할을 하는 커버패널을 장착하기 위하여 벽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있어서,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다수의 사각의 단위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살대 및 적어도 하나의 세로살대;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테두리부재, 가로살대 및 세로살대의 각각에서 상기 단위영역의 변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적어도 하나씩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가로살대와 상기 세로살대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은, 제1 단위영역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1결합공과, 상기 제1단위영역에 인접한 제2단위영역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2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살대와 상기 세로살대에는 상기 다수의 제1결합공이 이루는 열과 상기 다수의 제2결합공이 이루는 열이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단위영역의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살대를 포함하되, 상기 각 연결살대에는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테두리부재, 가로살대, 세로살대 또는 연결살대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용 방습패널의 베이스프레임에 구획되어 있는 각 단위영역의 변을 따라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삼각 커버패널을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베이스프레임에 사각 커버패널뿐만 아니라 삼각 커버패널도 다양한 각도로 장착할 수 있게 되어 디자인 표현력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벽체모서리 부근에 설치하기 위해 절단을 해야 하는 경우에도 대부분의 상황에서 단위 영역의 변을 따라 적어도 한 개의 결합공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프레임과 커버패널의 결합상태를 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공품질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방습패널의 베이스프레임(100)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사각 커버패널(210), 사각 커버패널(210)의 절반 크기인 제1 삼각 커버패널(220), 제1삼각커버패널(210)의 절반 크기인 제2 삼각 커버패널(220)을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은,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1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로살대(120)와 적어도 하나의 세로살대(130)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가로살대(120)와 세로살대(130)의 양 단부는 각각 테두리부재(110)에 연결된다.
그리고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 테두리부재(110)에는 다양한 종류의 커버패널(210,220,230)을 장착하기 위한 결합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14)은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것일 수도 있고, 관통되지 않은 홈의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커버패널(210,220,230)을 결합하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100,100',100'',100''')에 형성된 결합공(114)은 단어의 본래 의미와 상관없이 관통된 형태뿐만 아니라 관통되지 않은 홈의 형태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연결살대(140)에 형성되는 결합공(114)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베이스프레임(100, 100', 100'', 100''')에서 가로살대(120)와 세로살대(130)에 의해, 또는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 테두리부재(11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영역을 단위영역(A)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각 단위영역(A)은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 테두리부재(110)에 형성된 결합공(114)을 그 내부에 포함하며, 하나의 베이스프레임(100)에서 각 단위영역(A)마다 그 내부에 속하는 결합공(114)의 위치나 크기는 동일한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각 단위영역(A)에 속하는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또는 테두리부재(110)를 해당 단위영역(A)의 "변"으로 정의한다. 가로살대(120)와 세로살대(130)는 2개의 단위영역(A)이 절반씩 공유하므로, 길이방향으로 반분하여 절반은 제1단위영역에 속하고 나머지 절반은 인접한 제2단위영역에 속한다.
각종 커버패널(210,220,230)을 임의 방향으로 간편하게 체결하기 위해서는 단위영역(A)이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직사각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은 재질특성, 시공편의성, 시공속도 등을 감안하여 600mm*400mm 정도의 크기를 갖고 6개의 단위영역(A)을 구비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로살대(120) 및 세로살대(130)의 길이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단위영역(A)의 개수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베이스프레임(100)의 각 단위영역(A)의 내부에 2개의 연결살대(140)가 대각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교차하며, 각 연결살대(140)의 양 단부는 각 단위영역(A)의 꼭지점에서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중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대각선 방향의 연결살대(140)를 생략할 수도 있으나, 베이스프레임(100)의 강도를 높이고 다양한 크기를 갖는 삼각형의 커버패널(220,23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2개의 연결살대(140)를 교차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단위영역(A)에 임의의 대각선 방향으로 하나의 연결살대(140)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각선 방향의 연결살대(140)을 설치한 경우에, 각 단위영역(A)의 내부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살대(140)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의 영역을 제1서브영역(B)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2개의 연결살대(140)를 교차하도록 설치한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영역(A)의 내부에서 각 연결살대(140)의 절반을 빗변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영역을 제2서브영역(C)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1서브영역(B) 및 제2서브영역(C)도 이를 둘러싸는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또는 세로살대(130)에 형성된 결합공(114)과 연결살대(140)에 형성된 결합공(114)까지 포함하는 영역인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각 서브영역(B,C)에 속하는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또는 테두리부재(110)를 해당 서브영역(B,C )의 "변"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에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 연결살대(140)는 예를 들어 2개의 제1서브영역(B)이 절반씩 공유하므로, 길이방향으로 반분하여 절반은 하나의 제1서브영역에 속하고 나머지 절반은 인접한 다른 제1서브영역에 속한다. 또한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 연결살대(140)는 예를 들어 2개의 제2서브영역(C)이 절반씩 공유하므로, 길이방향으로 반분하여 절반은 하나의 제2서브영역에 속하고 나머지 절반은 인접한 다른 제2서브영역에 속한다.
각 서브영역(B,C)은 하나의 단위영역(A)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므로 제1서브영역(B)과 단위영역(A)은 두 변을 공유하게 되고, 제2서브영역(C)과 단위영역(A)은 두 변을 공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각종 커버패널(210,220,230)의 결합돌기가 장착되는 결합공(114)이 단위영역(A), 제1서브영역(B) 또는 제2서브영역(C)의 "변"을 이루는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테두리부재(110) 또는 연결살대(140)에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런데 각 영역(A.B,C)의 "변"과 "꼭지점"의 경계가 불분명하므로, 본 명세 서에서는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테두리부재(110) 또는 연결살대(140)가 직접 만나거나 연결된 부분을 각 영역(A,B,C)의 "꼭지점"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따라서 적어도 본 명세서에서는 각 영역(A,B,C)의 꼭지점은 하나의 점이 아니고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테두리부재(110) 또는 연결살대(140)가 직접 만나거나 연결되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결국 본 명세서에서는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테두리부재(110) 또는 연결살대(140)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부분이 "변"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각 영역(A,B,C)의 "변"을 이루는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테두리부재(110) 또는 연결살대(140)에 결합공(114)을 형성하면, 다수의 결합공(114)이 모서리부분에 집중되지 않으므로 베이스프레임(100)의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단위영역(A)의 모서리부분에 다수의 결합공(114)이 형성되는 구성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배제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제3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만일 연결살대(140)가 없는 경우에도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또는 테두리부재(110)에 형성된 결합공(114)만으로 제1 삼각커버패널(220)의 두 꼭지점이 아니라 두 변을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삼각형의 커버패널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연결살대(140)가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제1 삼각커버패널(220)의 세 변을 모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2삼각커버패널(230)의 두 변을 고정 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연결살대(140)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면, 사각 커버패널(210), 제1삼각 커버패널(220) 및 제2 삼각 커버패널(230)의 모든 변을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단위영역(A)의 변에 해당하는 위치에 결합공(114)을 형성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치공간 때문에 베이스프레임(100)과 커버패널(210,220,230)을 절단해야 하는 경우에도 종래에 비해 월등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테두리부재(110) 또는 연결살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끈한 직선형일 수도 있으나, 각각의 측방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결합공(1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에 형성된 결합공(114)도 각 영역(A,B,C)의 "변"에 해당하는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테두리부재(110) 또는 연결살대(140)에 형성된 것임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테두리부재(110) 또는 연결살대(140)에서 각 영역(A,B,C)의 "변"을 이루는 부분에 결합공(114)을 형성하는 이외에 보다 다양하게 커버패널(210,220,230)을 결합하기 위하여 각 영역(A,B,C)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도 결합공(114)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단위영역(A)의 꼭지점 부분에는 2개의 변에 걸쳐서 연결된 "ㄱ" 형태의 결합공(114)이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삼각 커버패널(220)을 결합하기 위해 예비적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ㄱ" 형태의 결합공(114)의 중간부분을 분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앞에서 정의한 단위영역(A)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된다. 따라서 최외곽의 테두리부재(110)를 제외하고, 가로살대(120) 및 세로살대(130)에는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공(114)이 서로 평행한 2열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때 결합공(114)의 각 열에는 각각 서로 다른 단위영역(A)에 대응하는 커버패널이 결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각 가로살대(120)와 세로살대(130)에 형성된 2열의 결합공(114) 중에서 예를 들어 제1 단위영역에 속하는 것을 제1열이라 하면, 제2열은 제1단위영역과 가로살대(120) 또는 세로살대(130)를 공유하는 제2단위영역에 속한다.
또한 가로살대(120)와 세로살대(130)에 형성된 2열의 결합공(114) 중에서 제1열에 속하는 결합공(114)과 제2열에 속하는 결합공(114)은 가로살대(120)와 세로살대(13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을 뿐이고 그 길이방향을 기준으로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각 단위영역(A)마다 "변"에 해당하는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및 세로살대(130)에는 결합공(114)이2개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결합공(114)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각 변마다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단위영역(A)을 둘러싸는 네 변 중에서 적어도 대향하는 두 변에 형성되는 결 합공(114)은 단위영역(A)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커버패널(210,220,230)을 임의 방향으로 쉽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나의 단위영역(A)에 다수의 삼각 커버패널(220,23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각 연결살대(140)에도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14)을 2열로 형성해야 한다. 이때 예를 들어 하나의 연결살대(140)에 형성된 2열의 결합공(114) 중에서 하나의 제1서브영역에 속하는 것을 제1열이라고 하면, 제2열은 상기 제1서브영역과 해당 연결살대(140)를 공유하는 다른 제1서브영역에 속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연결살대(140)에 형성된 2열의 결합공(114) 중에서 제2서브영역에 속하는 것을 제1열이라고 하면, 제2열은 상기 제2서브영역과 해당 연결살대(140)를 공유하는 다른 제2서브영역에 속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연결살대(140)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공(114)은 연결살대(140)의 교차점, 즉 단위영역(A)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살대(140)에 형성되는 2열의 결합공(114) 중에서 제1열에 해당하는 결합공(114)과 제2열에 해당하는 결합공(114)은 연결살대(14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을 뿐이고, 연결살대(1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제1 삼각 커버패널(220), 제2 삼각 커버패 널(230)과 후술하는 제3 삼각 커버패널(240)을 임의 방향으로 쉽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단위영역(A)에 2개의 제1 삼각 커버패널(220)만을 결합할 수 있어도 전체 벽면을 기준으로 보면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해상도가 2배 이상 높아진다. 나아가 하나의 단위영역(A)에 4개의 제2 삼각 커버패널(230)을 결합할 수 있으면 전체적인 디자인 해상도가 4배 이상 높아진다.
도 4는 하나의 베이스프레임(100)에 사각 커버패널(210), 제1삼각 커버패널(220) 및 제2 삼각 커버패널(230)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다수의 베이스프레임(100)에 사각 커버패널(210), 제1삼각 커버패널(220) 및 제2 삼각 커버패널(230)을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양을 표현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하나의 단위영역(A)에 한 개의 사각 커버패널만을 결합하던 종래방식에 비하여 디자인 표현력이 획기적으로 증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5에서는 제2 삼각 커버패널(230)의 절반크기에 해당하는 직각삼각형의 제3 삼각 커버패널(240)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2개의 연결살대(140)가 존재하는 경우이면 연결살대(140)의 결합공(114)에 제3 삼각 커버패널(240)의 적어도 2변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제3 삼각 커버패널(240)을 사용하면 단일 사각 커버패널에 비해 8배 이상의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통상 시공 현장에서는 600mm*400mm 크기의 베이스프레임(100)이 수직방향으 로 수 내지 십 여개, 수평방향으로 수 십 개를 연결해서 설치되므로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을 이용하면 매우 세밀한 패턴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프레임(100)에 형성된 결합공(114)은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또는 연결살대(1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은 종래의 베이스프레임이 모두 원형 또는 정사각형의 결합공을 가지는 것과 다른 점이다.
결합공(114)을 장방형으로 형성하면 벽체 모서리 부근에 설치하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100)을 절단하는 경우에도 베이스프레임(100)과 커버패널(210,220,230,240)의 결합력을 유지시켜 마감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I-I선에 따라 절단을 하는 경우에도 결합공(114)과 이에 체결되는 커버패널의 결합돌기의 일부분이 남아 있게 되어 결합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위영역(A)의 꼭지점 부분에만 결합공(114)이 존재하기 때문에 중간부분이 절단되면 별다른 결합수단이 없어 커버패널의 단부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및 세로살대(130)에서 단위영역(A)을 둘러싸는 "변"에 해당하는 부분에 장형의 결합공(114)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6의 Ⅱ-Ⅱ 선에 따라 절단함으로써 각 "변"에서 하나의 결합공(114)이 제거되더라도, 나머지 결합공(114)이 여전히 각 "변"에 남아 있기 때문에 절단 후에도 베이스프레임(100)과 커버패널의 결합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경우에도 발휘된다.
결합공(114)의 길이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세로길이의 1/10 ~ 1/5 인 것이 바람직하며, 1/14 ~ 1/1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공(114)의 폭과 길이의 비율은1:2 ~ 1:20인 것이 바람직하며, 1:8~1:1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합공(114)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절단시에 일부가 절단되는 경우에 충분한 결합력을 얻기 어렵고, 너무 길어지면 베이스프레임(100) 자체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베이스프레임(100)은 벽체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이 벽체(5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즉, 종래처럼 베이스프레임(100)의 받침부가 직접 벽체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벽체에 고정된 별도의 고정장치(300)에 베이스프레임(100)을 결합한다.
고정장치(300)는 벽체(50)에 일 단부가 고정되는 높이조절부재(310)와 높이조절부재(310)에 결합되어 그 설치높이가 조절되는 패널장착용 바(320)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부재(310)는 일단이 벽체에 고정되고 대향하는 플레이트의 사이에 패널장착용 바(320)가 삽입된 지지부재(312)와, 지지부재(3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패널장착용 바(3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압박부재(314)를 포함한다. 패널장착용 바(320)는 긴 띠 형태로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된 중공 부(322)를 구비하는 한편 일측면에는 상기 각 중공부(322)와 각각 연통되는 2열의 패널장착공(324)이 역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의 측면도로서 각각 장변 및 단변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100)의 테두리부재(110)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제1결합돌기(152)와 측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제2결합돌기(15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결합돌기(152)는 패널장착용 바(320)의 패널장착공(324)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강한 결합력을 얻기 위하여 패널장착공(324)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상의 구조이다. 또한 체결 후 패널장착공(324)에서 빠지지 않도록 제1결합돌기(152)의 단부는 후크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결합돌기(152)는 베이스프레임(100)의 테두리부재(110)뿐만 아니라 테두리부재(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연결살대(140) 등에도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에도 제1결합돌기(152)를 형성하면, 베이스프레임(100)의 가장자리뿐만 아니라 중앙부도 전술한 고정장치(3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전체적인 시공강도를 높일 수 있고, 벽면의 모서리 부근에서 베이스프레임(100)의 단부를 절단해야 하는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다.
제2결합돌기(154)는 베이스프레임(100)이 연속하여 설치될 때 인접한 베이스프레임(100)끼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요동을 방지하고 설치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각 베이스프레임(100)의 테두리부재(110)의 측면에는 인접한 베이 스프레임(100)의 제2결합돌기(154)가 삽입되는 결합홈(15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결합돌기(154)의 바로 옆에 결합홈(155)을 설치하였으나 제2결합돌기(154)와 결합홈(155)의 위치가 반드시 인접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사각 커버패널(210)과 제1 삼각 커버패널(220)의 측면도로서, 사각 커버패널(210)은 가장자리를 따라 표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하방돌기(212)를 구비하는 한편, 측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측방돌기(214)를 구비한다. 하방돌기(212)는 베이스프레임(100)의 결합공(114)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각 변마다 적어도 2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각 커버패널(210)의 하방돌기(212)는 베이스프레임(100)의 단위영역(A)에 속하는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또는 세로살대(130)의 결합공(114)에 삽입된다.
측방돌기(214)는 인접하는 사각 커버패널(210)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따라서 사각 커버패널(210)의 각 변에는 인접한 커버패널(210)의 측방돌기(214)가 삽입되는 결합홈(216)이 형성된다.
제1 삼각 커버패널(220)에도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하방돌기(222)가 표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방돌기(222)는 베이스프레임(100)의 대응하는 결합공(114)에 삽입된다. 제1 삼각 커버패널(220)의 하방돌기(222)도 각 변마다 2개씩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꼭지점에 평면모양이 "┐"형태인 하방돌기(222)를 형성하고, 해당 꼭지점에 인접하는 변에 하나씩의 하방돌기(2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제2 및 제3 삼각 커버패널(230,240)도 이러한 하방돌기(222)를 구비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내지 제3 삼각 커버패널(220,230,240)에도 사각 커버패널(210)과 마찬가지로 인접한 삼각 커버패널과의 결합을 위하여 측방돌기(214)와 측방돌기(214)가 삽입되는 결합홈(216)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연결살대(140)가 대각선 방향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 및/또는 세로방향 연결살대(140)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 가로방향 연결살대(140') 및 세로방향 연결살대(140'')를 각각 가로살대와 세로살대로 보아 단위영역(A)의 내부에 더 작은 크기의 서브단위영역(A')이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가로방향의 연결살대(140') 및 세로방향의 연결살대(140'')에도 2열의 결합공(114)을 형성하면, 사각 커버패널(210)의 1/4 크기에 해당하는 제2의 사각 커버패널을 장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자인 표현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달리 대각선 방향의 연결살대(140)를 생략하고, 가로방향 연결살대(140') 및/또는 세로방향 연결살대(1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13 및 도 14은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5는 그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은 각 단위영역(A)의 중앙부에 컵형상의 받침부(150)가 배치되고, 받침부(150)의 상단주연부가 연결살대(140)에 의해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테두리부재(110) 중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가로살대(120)와 세로살대(130)에 의해, 또는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 테두리부재(110)에 의해 구획되는 사각형의 단위영역(A)이 다수 개 형성된다. 또한 단위영역(A)의 내부에는 하나의 연결살대(140)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의 제1서브영역(B), 2개의 연결살대(140)를 빗변으로 하는 이등변삼각형의 제2서브영역(C)이 구획된다.
또한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 연결살대(140)에는 커버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114)이 구비되며, 특히 최외곽의 테두리부재(110)를 제외하고,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 연결살대(140)에는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공(114)이 2열로 배치된다. 다만 받침부(150)가 존재하기 때문에 벽체고정을 위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는 생략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에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영역(A)에 사각 커버패널(210), 제1 내지 제3삼각 커버패널(220, 230, 240)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 및/또는 세로방향 연결살대(140', 140'')가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고, 대각선 방향 연결살대(140)를 대신하여 가로방 향 연결살대(140') 및/또는 세로방향 연결살대(1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3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의 단위영역(A)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단위영역(A)의 "변"이 아닌 "꼭지점"마다 2개씩의 결합공(114)을 형성한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때 단위영역(A)의 대향하는 "꼭지점"에 형성된 결합공(114)들은 단위영역(A)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꼭지점"에 형성된 결합공(114) 들과 인접하는 "꼭지점"에 형성된 결합공(114)들은 단위영역(A)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씩 회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영역(A)의 절반크기에 해당하는 제1 삼각 커버패널(220)을 어떤 방향으로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단위영역(A)의 중앙부분에도 결합공(114)을 대칭적으로 형성하면 제2 삼각 커버패널(220)의 각 꼭지점 부근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어떤 방향으로도 결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대각선 방향 연결살대(140)와 가로방향 연결살대(140') 및/또는 세로방향 연결살대(140'')가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대각선 방향의 연결살대(140)만을 설치하거나 가로방향 연결살대(140')와 세로방향 연결살대(140'')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의 단위영역(A)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단위영역(A)의 "변"이 아닌 "꼭지점"마다 적어도 2개씩의 결합공(114)을 형성한 점에서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때 단위영역(A)의 대향하는 "꼭지점"에 형성된 결합공(114)들은 단위영역(A)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꼭지점"에 형성된 결합공(114) 들과 인접하는 "꼭지점"에 형성된 결합공(114)들은 단위영역(A)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씩 회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영역(A)의 절반크기에 해당하는 제1 삼각 커버패널(220)의 결합돌기를 어떤 방향으로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50)와 연결된 가로방향 연결살대(140')와 세로방향 연결살대(140'')에 결합공(114)을 형성하면 제2 삼각 커버패널(220)의 각 꼭지점 부근에 형성된 결합돌기도 어떤 방향이든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대각선 방향의 연결살대(1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 100', 100'', 100''')을 구성하는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또는 연결살대(140)의 일면(설치 시에 벽체를 향하는 면)에는 수직방향의 보강리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또는 연결살대(14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관 형상일 수도 있고, 하방으로 개구된 ""ㄷ""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앞에서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 100', 100'', 100''')에서 단위영역(A)의 내부에는 제1 삼각 커버패널(220)을 2개 결합하거나 제2 삼각 커버패널(230)을 4개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각 커버패널(210)의 1/4 크기인 사각형의 커버패널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0, 100', 100'', 100''')은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110)의 내부에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연결살대(140) 등이 형성된 것으로서 양면이 관통된 격자구조이다. 즉,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및 연결살대(140)의 사이는 빈 공간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양면이 막혀있는 평면 형태의 판재의 일면에 전술한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연결살대(14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연결살대(140) 등이 보강리브의 역할을 하게 되며, 각 결합공(114)은 판재의 일면에서 테두리부재(110), 가로살대(120), 세로살대(130) 또는 연결살대(140)의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 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벽체용 방습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의 평면도
도 3은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에 커버패널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에 다양한 형태의 커버패널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을 절단하는 여러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을 벽면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의 장변방향 및 단변방향의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사각 커버패널 및 삼각 커버패널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을 벽면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에 다양한 형태의 커버패 널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의 일부분과 그에 커버패널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0 및 도 21은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의 일부분과 그에 커버패널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 100'', 100''': 베이스프레임
110: 테두리부재 114: 결합공
120: 가로살대 130: 세로살대
140: 연결살대 150: 받침부
152: 제1결합돌기 154: 제2결합돌기
155: 결합홈 210: 사각 커버패널
212: 하방돌기 214: 측방돌기
216: 결합홈 220: 삼각 커버패널
222: 하방돌기 300: 고정장치
310: 높이조절부재 320: 프레임결합부재
A: 단위영역 B: 제1서브영역
C: 제2서브영역

Claims (16)

  1.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벽면을 장식하는 마감부재의 역할을 하는 커버패널을 장착하기 위하여 벽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있어서,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다수의 사각의 단위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재에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살대 및 적어도 하나의 세로살대;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테두리부재, 가로살대 및 세로살대의 각각에서 상기 단위영역의 변에 해당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는 결합공;
    을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
  2. 제1항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살대와 상기 세로살대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은,
    제1 단위영역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1결합공과, 상기 제1단위영역에 인접한 제2단위영역의 변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2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살대와 상기 세로살대에는 상기 다수의 제1결합공이 이루는 열과 상기 다수의 제2결합공이 이루는 열이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프레 임
  3.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벽면을 장식하는 마감부재의 역할을 하는 커버패널을 장착하기 위하여 벽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있어서,
    사각 링 형태로서 둘레를 따라 커버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다수 개의 사각의 단위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양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재에 연결되며, 각각에 커버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살대 및 적어도 하나의 세로살대;
    를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영역의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살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살대에는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장착되는 결합공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살대에 형성된 결합공은 상기 단위영역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프레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 가로살대 또는 세로살대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프레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살대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프레임
  8.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벽면을 장식하는 마감부재의 역할을 하는 커버패널을 장착하기 위하여 벽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있어서,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다수의 사각의 단위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재에 연결 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살대 및 적어도 하나의 세로살대;
    저면부가 벽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위영역의 중심에 배치되는 컵형상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상기 테두리부재, 상기 가로살대 또는 상기 세로살대와 연결하는 연결살대;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테두리부재, 가로살대 및 세로살대의 각각에서 상기 단위영역의 변에 해당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는 결합공;
    을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살대에도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공이 상기 연결살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 상기 가로살대, 상기 세로살대 또는 상기 연결살대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프레임
  11.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벽면을 장식하는 마감부재의 역할을 하는 커버패널을 장착하기 위하여 벽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있어서,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다수의 사각의 단위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살대 및 적어도 하나의 세로살대;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테두리부재, 가로살대 및 세로살대의 각각에서 상기 단위영역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적어도 2개씩 형성된 결합공;
    을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 중에서 상기 단위영역의 대향하는 꼭지점에 위치하는 결합공은 상기 단위영역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프레임
  13.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벽면을 장식하는 마감부재의 역할을 하는 커버패널을 장착하기 위하여 벽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있어서,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다수의 사각의 단위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살대 및 적어도 하나의 세로살대;
    저면부가 벽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위영역의 중심에 배치되는 컵형상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상기 테두리부재, 상기 가로살대 또는 상기 세로살대와 연결하는 연결살대;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테두리부재, 가로살대 및 세로살대의 각각에서 상기 단위영역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적어도 2개씩 형성된 결합공;
    을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
  14.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벽면을 장식하는 마감부재의 역할을 하는 커버패널을 장착하기 위하여 벽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있어서,
    평판형태의 사각의 판재;
    상기 판재에 다수의 사각의 단위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판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살대 및 적어도 하나의 세로살대;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된 결합돌기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판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테두리부재, 가로살대 및 세로살대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단위영역의 변에 해당하는 지점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는 결합공;
    을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
  15. 벽체에 부착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벽면을 장식하는 마감부재의 역할을 하는 커버패널을 포함하는 벽체용 방습패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다수 개의 사각의 단위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양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살대 및 적어도 하나의 세로살대;
    상기 테두리부재, 가로살대 및 세로살대의 각각에서 상기 단위영역의 변에 해당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는 결합공;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패널의 적어도 두 변에는 상기 단위영역의 적어도 두 변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방습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단위영역의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살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살대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패널에는 상기 연결살대의 결합공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방습패널
KR1020090077528A 2009-08-21 2009-08-21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KR20110019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528A KR20110019913A (ko) 2009-08-21 2009-08-21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528A KR20110019913A (ko) 2009-08-21 2009-08-21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913A true KR20110019913A (ko) 2011-03-02

Family

ID=4392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528A KR20110019913A (ko) 2009-08-21 2009-08-21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91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873B1 (ko) * 2015-06-04 2016-02-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철골 구조물
KR20190001878U (ko) * 2018-01-16 2019-07-24 김주희 조립식 타일
WO2019164295A1 (ko) * 2018-02-22 2019-08-29 삼원액트 주식회사 금속 내장재 및 내장재 부착 구조물
KR20200072150A (ko) 2018-12-12 2020-06-22 박길현 베드식 전신 안마장치
KR20220112916A (ko) * 2021-02-05 2022-08-12 이양운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EP4159951A4 (en) * 2020-05-27 2024-06-12 Ig Kogyo Co Ltd DECORATIVE STRUCTURE, PLA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CORATIVE STRUCTUR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873B1 (ko) * 2015-06-04 2016-02-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철골 구조물
KR20190001878U (ko) * 2018-01-16 2019-07-24 김주희 조립식 타일
WO2019164295A1 (ko) * 2018-02-22 2019-08-29 삼원액트 주식회사 금속 내장재 및 내장재 부착 구조물
US11319711B2 (en) 2018-02-22 2022-05-03 Samwon Act Co., Ltd. Metal interior material and interior material attachment structure
KR20200072150A (ko) 2018-12-12 2020-06-22 박길현 베드식 전신 안마장치
EP4159951A4 (en) * 2020-05-27 2024-06-12 Ig Kogyo Co Ltd DECORATIVE STRUCTURE, PLA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CORATIVE STRUCTURE
KR20220112916A (ko) * 2021-02-05 2022-08-12 이양운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9913A (ko)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US7591053B2 (en) Modular structure for cemetery constructions
EP1614823B1 (en) Reinforcement form, in particular for making cross-ribbed reinforced floors, and related floor
KR101794718B1 (ko) 가변형 칸막이 벽체
RU2040646C1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й
US9404255B1 (en) Light-in-weight concrete blocks and method
JP2023155491A (ja) コーナ部材
KR101929335B1 (ko) 조립식 칸막이
JP2017002687A (ja) 組積ユニット及び組積方法
JP2000204663A (ja) ユニット式建物
JP407982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110024059A (ko) 벽체용 방습패널의 조립구조
JP2004308277A (ja) 建物ユニット及び外壁パネル
KR200414413Y1 (ko) 보강돌기를 가지는 지하구조물용 방습팔레트
JP6133568B2 (ja) 下地ボックス固定材、該下地ボックス固定材を使用した棟構造
JP4801856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3769401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KR20110007647U (ko) 안정화 프레임을 갖는 천장
JP4146576B2 (ja) 建物
JP2591127Y2 (ja) バルコニー床構造
JP6877955B2 (ja) 間仕切りパネル
JPH0485418A (ja) 構築パネル
JP2741733B2 (ja) ユニット式建物
LT3555B (en) Building element for erecting buildings, parts of buildings or the like
JP2001152645A (ja) 置敷二重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