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878U - 조립식 타일 - Google Patents

조립식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878U
KR20190001878U KR2020180000226U KR20180000226U KR20190001878U KR 20190001878 U KR20190001878 U KR 20190001878U KR 2020180000226 U KR2020180000226 U KR 2020180000226U KR 20180000226 U KR20180000226 U KR 20180000226U KR 20190001878 U KR20190001878 U KR 201900018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ile body
tile
wall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905Y1 (ko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김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희 filed Critical 김주희
Priority to KR2020180000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05Y1/ko
Priority to CN201820939143.2U priority patent/CN208329483U/zh
Publication of KR20190001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22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means for align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3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타일 몸체; 및 타일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타일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들을 포함하고, 각 커넥터는 인접한 다른 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타일{SELF ASSEMBLY TILE}
본 고안은 조립식 타일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바닥 또는 벽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타일에 관한 것이다.
타일이란 벽이나 바닥 등에 시공되어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 시공은 복수의 타일들을 바닥 또는 벽면에 배치하고, 줄눈 작업을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만, 이 방식은 모든 타일을 일정하게 배치하기 어렵고, 줄눈 작업도 번거롭고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타일 시공을 직접 하기는 어렵다.
이에 관련하여, 데크 타일 등과 같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쉽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타일이 개발되었다. 조립식 타일은 플라스틱, 나무 등과 같이 단단하고 내구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부재와, 하부 부재에 지지되는 상부 부재(예를 들어, 타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데크 타일은 미리 정해진 크기로 제작되고, 작업자는 벽이나 바닥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위에 하부 부재를 접착시킴으로써 시공된다.
하지만, 데크 타일은 물론, 일반적인 타일들은 바닥이나 벽면의 표면이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있는 상황에서 시공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표면이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있는 바닥이나 벽면에 타일들을 배치하면 하나의 타일과 인접한 타일의 높이가 상이한 단차(예를 들어, 턱)이 발생하게 된다. 타일의 시공 이후, 타일의 상면이 고르지 않거나 단차가 발생할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은 것은 물론, 이용자가 단차에 걸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타일들 사이에 단차가 발생한 경우, 거주자 또는 이용자가 그 위를 지나갈 때 타일간 연결부위나 그 주변에서 타일(또는 하부 부재)과 바닥이 부딪힘으로써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바닥이나 벽을 평평하기 만들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되나, 이 작업은 그 난이도가 높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23523호
본 고안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적인 작업자들도 시공하기 쉽고, 벽면이나 바닥이 고르지 않더라도 타일들 간 연결부분이 뜨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타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타일 몸체; 및 타일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타일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들을 포함하고, 각 커넥터는 인접한 다른 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넥터는 커넥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들로 연장하고 평면 형태를 갖는 복수의 연장부들을 포함하고, 각 연장부의 단부는 다른 커넥터에 포함된 연장부들 중 하나의 연장부와 연결 가능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커넥터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타일 몸체의 하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 결속홈들 중 적어도 일부에 결속되는 복수의 결속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들은 하나의 연장부의 연장 방향과 커넥터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해 대칭하는 구조를 갖고,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하나의 타일 몸체가, 그리고 타측에는 다른 타일 몸체가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의 중심에는 벽 또는 바닥으로의 고정을 위한 고정 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일 몸체의 평면은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일 몸체는 상면과 복수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면과 복수의 측면들이 접하는 부분은 굴곡질 수 있다.
또한, 타일 몸체의 상면과 접하는 부분은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될 수 있다.
또한, 타일 몸체는 타일 몸체의 하부에서 복수의 측면들의 내측에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제1 내벽; 및 일측이 하나의 측면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내벽의 외측에 연결되어, 복수의 제1 결속홈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일 몸체는 타일 몸체의 하부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제2 내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벽과 제2 내벽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고, 하나의 커넥터와 결속 가능한 복수의 제2 결속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일 몸체의 측면과 타일 몸체의 하면은 직교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작업자가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커넥터들을 조립하여 지지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복수의 타일 몸체들을 결합하는 과정만으로도 타일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타일 시공에 접착제가 요구되지 않아, 타일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에서, 커넥터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충격 흡수는 물론, 바닥이나 벽면의 표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커넥터들이 그 표면에 맞게 휠 수 있어서 타일 위를 지나갈 때 지지부와 바닥 간 접촉(예를 들어, 부딪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몸체의 측면은 미리 설정된 굴곡이 형성될 수 있어, 지지부의 휨이 발생하더라도 타일 몸체 간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하나의 타일 몸체 단위로 개별 분리가 가능하여 청소가 용이하고, 파손 발생 시 타일 전체가 아닌 하나의 타일 몸체만 교환함으로써 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구성하는 커넥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몸체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몸체에 지지부를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시공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일 몸체의 형상과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일 몸체의 형상과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일 몸체의 형상과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은 타일 몸체(10)와 지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일 몸체(10)는 작업자에 의해 지지부(20)에 삽입되어 바닥이나 벽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일 몸체(10)는 화재 발생 시 잘 타지 않도록 난연성 합성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일 몸체(10)는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사출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타일 몸체(10)는 PP(polypropylene) 수지, PVC(polyvinyl chloride) 수지 및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주원료로 할 수 있다. 또한, 타일 몸체(10)는 다양한 색상의 안료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타일 몸체(10)는 그 특성 상 바닥에 위치되어 사람이나 물건들의 하중을 견뎌야 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일 몸체(10)는 다른 재질들 보다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변질 또는 변색에 대해 저항성이 높은 ABS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일 몸체(10)의 평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타일 몸체(10)는 그 특성 상 복수개가 정해진 공간 내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열 및 배치된다. 타일 몸체(10)의 평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경우, 인접한 타일 몸체들 간 빈 공간이 비교적 크게 발생할 수 있어서, 타일 몸체(10)의 평면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시각적 또는 디자인적인 효과를 위해 타일 몸체(10)의 평면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타일 몸체(10)의 적어도 일부는 그 표면이 평면이 아닌 입체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일 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11)과, 복수의 측면들(12), 그리고 상면(11)과 복수의 측면들(12)이 접하는 부분(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하는 부분(13)은 평면이 아닌 굴곡진 형태를 갖는다. 상면(11)과 복수의 측면들(12)이 접하는 부분(13)을 굴곡진 형태로 구성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작업자가 조립식 타일을 시공할 바닥이나 벽면이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있을 수 있다. 만일, 타일 몸체(10)의 상면(11)과 복수의 측면들(12)이 각진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조립식 타일들이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있는 바닥이나 벽에 시공될 경우, 인접한 두 개의 타일 몸체들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단차로 인해 사용자에게 상해가 가해질 수 있고, 사용 시 소음이 발생하거나 외관상 좋지 않으므로, 이러한 단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접하는 부분(13)을 굴곡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타일 몸체(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닥이나 벽면의 표면에 따라 지지부(20)는 그 형상이 변할 수 있는데(예를 들어, 어느 정도의 휨이 발생할 수 있는데), 타일 몸체(10)에서 접하는 부분(13)에 굴곡진 부분 없이 두 개의 타일 몸체들이 인접할 경우 타일 몸체들 간 부딪힘으로 인해, 타일 몸체가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접하는 부분(13)은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사한 이유로, 타일 몸체(10)의 하면과 측면은 직교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일 몸체(10)의 하면과 측면은 90˚± (4˚ 내지 6˚)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타일 몸체(10)의 각 측면은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일 몸체(10)의 상면(11) 및 접하는 부분(13)에는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처리는 타일 몸체(10)의 상면(11) 및 접하는 부분(13)에 부식 처리를 하거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층을 타일 몸체(10)의 상면(11) 및 접하는 부분(13)에 코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미끄럼 방지 처리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를 특정 방식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지지부(20)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일 몸체(10)는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로 구성된 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부(20)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형태 및 개수는 타일 몸체(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0)는 복수의 커넥터들(30, 40, 50, 60, 70, 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업자는 각 커넥터(30, 40, 50, 60, 70, 80)를 연결하여 하나의 지지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는 것처럼, 각 커넥터(30, 40, 50, 60, 70, 80)의 상면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속부들이 형성되고, 이들 결속부는 타일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에 삽입되어, 지지부(20) 상에서 타일 몸체(1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예시에서는 타일 몸체(10)의 평면이 육각형인 것을 가정하므로, 하나의 타일 몸체(10)는 6개의 커넥터(30, 40, 50, 60, 70, 80)를 포함하는 지지부(20)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물론, 타일 몸체(10)는 육각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지지부(20)는 물론, 지지부(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커넥터(30, 40, 50, 60, 70, 80)의 형상도 그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고, 커넥터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인 데크 타일은 하부 부재가 단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데크 타일에 부하가 실릴 때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데크 타일은 데크 타일이 시공될 바닥이나 벽면이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존재하는 경우 데크 타일과 바닥 간 간격이 발생하고, 부하가 실릴 때 데크 타일의 하부 부재가 바닥에 부딪힘으로써 소음이 발생하였다.
이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연성 재질(예를 들어, 신축성이 있고 유연한 재질)인 지지부(2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에 접촉하는 지지부(20)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지지부(20)를 포함하는 조립식 타일(100)에 부하가 실릴 때, 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표면이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존재하는 바닥이나 벽면에 조립식 타일(100)이 시공될 때에도, 지지부(20)에는 일정 정도만큼 휨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부(20)는 그 바닥의 형상에 따라 어느 정도의 휨이 발생할 수 있고, 바닥이나 벽면과 지지부(20)의 하면 간 발생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닥이나 평면이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존재하더라도, 조립식 타일(100)에 부하가 실릴 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타일 몸체(10)의 측면들이 굴곡진 형상을 가지므로, 조립식 타일(100)들이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존재하는 바닥에 시공되더라도 조립식 타일(100)간 단차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를 구성하는 커넥터(30)에 대한 개념도이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평면이 육각형인 타일 몸체(10)에 적용되는 커넥터(30, 40, 50, 60, 70, 80)에 대해 설명되며, 각 커넥터는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커넥터(30)를 중심으로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커넥터(30)는 인접한 다른 커넥터에 연결되어 지지부(20)를 형성하고, 각각이 타일 몸체(1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커넥터(30)는 커넥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이한 방향들로 연장하고, 평면 형태를 갖는 복수의 연장부(31a, 31b, 31c), 각 연장부(31a, 31b, 31c)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속부(32a, 32b, 32c), 및 다른 커넥터와 연결을 위한 결합부(33a, 33b, 33c)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30)는 제조 및 타일 몸체(10)와 지지부(20)의 결속의 용이함을 위해 대칭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30)는 가상선(vl1, vl2, vl3)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이 서로 대칭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상선(vl1, vl2, vl3)은 각각 연장부(31a, 31b, 31c)의 연장 방향과 커넥터(30)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나타낸다. 따라서, 복수의 결속부(32a, 32b, 32c)도 가상선(vl1, vl2, vl3)을 기준으로 대칭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선(vl1, vl2, vl3)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하나의 타일 몸체가, 그리고 타측에는 다른 타일 몸체가 커넥터(30)상에 결속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3에서 커넥터(30)의 중심으로부터 각 연장부(31a, 31b, 31c)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커넥터(3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별도의 처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시공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서는 커넥터(30)의 모든 결속부(32a, 32b, 32c) 들이 활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커넥터(30)에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는다면 커넥터(30) 중 일부 영역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않다. 따라서, 커넥터(30)의 중심으로부터 각 연장부(31a, 31b, 31c)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커넥터(30)의 중심으로부터 각 연장부(31a, 31b, 31c)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의 높이가 다른 부분들의 높이에 비해 최소가 되도록 커넥터(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30)는 그 중심에 벽면 또는 바닥으로의 고정을 위한 고정 부재(예를 들어, 못 등)가 관통될 수 있는 홀(34)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벽면에 지지부(20)를 고정시킬 때, 또는 미관상의 이유로 하나의 타일 몸체와 복수의 타일 몸체들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할 때 홀(34)을 이용한 고정이 채택될 수 있다. 물론, 커넥터(30)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커넥터(30)의 하면과 벽면 또는 바닥을 밀착시킴으로써 고정을 수행하는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결합부(33a, 33b, 33c)는 다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각 연장부(31a, 31b, 31c)의 단부에 형성되며, 삽입공(3a, 3b, 3c)과 삽입부(3a', 3b', 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커넥터(30)는 삽입부(3a', 3b', 3c')를 다른 커넥터의 삽입공에 연결함으로써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33a, 33b, 33c)를 통해 복수의 커넥터들을 연결하는 방법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서 점선 블록(A)을 참조하면, 두 개의 커넥터(30, 40)가 서로 연결된 모습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30)와 제2 커넥터(40)에 각각 3개의 연장부(예를 들어, 제1 연장부(31a, 41a), 제2 연장부(31b, 41b) 및 제3 연장부(31c, 41c))가 형성된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 제1 커넥터(30)의 제3 연장부(31c)와 제2 커넥터(40)의 제2 연장부(41b)는 각각의 결합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30)의 삽입공(3c)에는 제2 커넥터(40)의 삽입부(4b')가 삽입되고, 제1 커넥터(30)의 삽입부(3c')는 제2 커넥터(40)의 삽입공(4b)에 삽입됨으로써, 제1 커넥터(30)와 제2 커넥터(4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방식을 통해 6개의 커넥터(30, 40, 50, 60, 70, 80)들을 서로 연결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지지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예시는 각 커넥터(30, 40, 50, 60, 70, 80)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제1 커넥터(30)와 제2 커넥터(40), 제2 커넥터(40)와 제3 커넥터(50), 제3 커넥터(50)와 제4 커넥터(60), 제4 커넥터(60)와 제5 커넥터(70), 제5 커넥터(70)와 제6 커넥터(80), 그리고 제6 커넥터(80)와 제1 커넥터(30)를 연결하여 지지부(20)를 형성한 예시를 나타낸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지지부(20)의 형태는 시공될 곳(예를 들어, 바닥이나 벽면)을 고려하여, 작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모든 커넥터(30, 40, 50, 60, 70, 80)들이 하나의 지지부(20)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커넥터들을 연결하여 서로 분리된 복수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의 형상은 커넥터들의 개수와 그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커넥터의 중심으로부터 각 연장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커넥터(30)의 중심으로부터 각 연장부(31a, 31b, 31c)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의 높이가 다른 부분들의 높이에 비해 최소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되었다. 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홈의 위치는 이들 위치만으로 제한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의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30)는 커넥터의 중앙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30)의 중심으로부터 그 중심에 인접한 복수의 모서리들까지 연장하는 복수의 홈(35, 36, 37)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는 복수의 홈(45, 46, 47)을, 제3 커넥터(50)는 복수의 홈(55, 56, 57)을, 제4 커넥터(60)는 복수의 홈(65, 66, 67)을, 제5 커넥터(70)는 복수의 홈(75, 76, 77)을, 그리고, 제6 커넥터는 복수의 홈(85, 86 및 87)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각 커넥터(30, 40, 50, 60, 70, 80)에 포함된 연장부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홈들의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되고, 위에서 설명한 위치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작업자는 지지부(2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속부들에 타일 몸체(10)의 하면에 형성된 결속홈들을 끼울 수 있다. 타일 몸체(10)의 하부는 도 6을 참조로 더 설명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몸체(10)에 대한 저면도이다. 타일 몸체(10)는 하부에 지지부(20) 또는 커넥터(30)와의 결속을 위한 복수의 결속홈(14a, 15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일 몸체(10)의 하부에는 내벽(14, 15, 16)과 복수의 연결부(14b, 15b)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벽(14)은 타일 몸체(10)의 하부에서 복수의 측면(12)에 이격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내벽(14)은 타일 몸체(10)의 둘레를 따라 측면(12)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4b)는 일측이 복수의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12)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내벽(14)의 외측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 제1 연결부(14b)는 측면(12)과 제1 내벽(14)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개로 존재한다. 제1 연결부(14b)간 간격과 제1 연결부(14b)의 길이는 결속부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연결부(14b)와 제1 내벽(14)을 통해 형성된 결속홈(14a)의 높이는 결속부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내벽(14)과 복수의 제1 연결부(14b)들로 인해, 타일 몸체(10)의 하부에는 타일 몸체(1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 결속홈(14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벽(15)은 타일 몸체(10)의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된다. 도 6에서 제2 내벽(15)은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벽(16)은 일측이 제2 내벽(15)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3 내벽(16)은 제1 내벽(14)과 제2 내벽(1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5b)는 제2 내벽(15)과 제3 내벽(16)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개로 존재한다. 제2 연결부(15b)간 간격과 제2 연결부(15b)의 길이는 각각 결속부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연결부(15b)의 높이는 결속부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내벽(15)과 제3 내벽(16), 그리고 복수의 제2 연결부(15b)들로 인해, 타일 몸체(10)의 하부 중앙에는 커넥터(30)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제2 결속홈(15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17)는 조립식 타일(100)에 부하가 가해질 때,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내벽(14)과 제2 내벽(15) 또는 제3 내벽(16)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3 연결부(17)의 일측은 제1 내벽(14)의 모서리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제3 연결부(17)의 형상, 위치 및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몸체(10)에 지지부(20)를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것처럼, 타일 몸체(10)는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들에 지지부(20)에 형성된 결속부들이 삽입됨으로써 지지부(20) 상에 결속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7은 타일 몸체(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 결속홈들에 지지부(20)의 결속부들이 삽입된 상황을 도시하고, 도 8은 타일 몸체(1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결속홈들에 하나의 커넥터(30)의 결속부들이 삽입된 상황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은 타일 몸체(10)의 둘레 또는 중앙에 지지부(20) 또는 커넥터(30)가 결속되어, 벽면 또는 바닥 상에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속홈과 제2 결속홈의 위치로 인해, 작업자는 조립식 타일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다.
작업자가 복수의 조립식 타일들을 배치하길 원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앞서 설명한 것보다 더 많은 커넥터들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부(20)를 형성하고, 그 위에 복수의 타일 몸체(10, 10')를 조립함으로써 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은 지지부(20)로 인해 타일 몸체(10)가 바닥 또는 벽면에 이격되어 타일 몸체(10)와 바닥 사이에는 공기 층이 형성될 수 있다. 타일 몸체(10)의 측면 구조와 지지부(20)의 재질, 그리고 공기 층으로 인해, 단열, 방음, 충격 흡수, 방진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은 타일 몸체(10)와 지지부(20)간 결속 과정에 접착제를 요구하지 않아, 시공이 보다 용이하다. 타일 몸체(10)는 접착제 없이 지지부(20)에 결속되므로, 필요에 따라 개별 분리도 가능하다. 따라서, 타일 몸체(10) 또는 바닥 등이 오염될 시, 청소도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의 시공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이 평탄한 바닥 또는 벽면(b)에 시공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0b 및 도 10c는 도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이 요철(o)이 있는 바닥 또는 벽면(b)에 시공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은 평탄한 바닥이나 벽면(b)에 용이하게 시공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b은 요철(o)이 두 개의 조립식 타일들의 연결 부분에 있는 상황, 그리고 도 10c는 두 개의 요철(o1, o2)이 각각 제1 타일 몸체(10)의 일측 및 제2 타일 몸체(10')의 타측에 형성된 상황을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것처럼, 타일 몸체(10, 10')의 측면 구조와 지지부(20, 20')의 재질로 인해 조립식 타일은 바닥 또는 벽면(b)에 최대한 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립식 타일의 상부로부터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타일 몸체(10, 10')와 바닥 또는 벽면(b)간, 또는 지지부(20, 20')와 바닥 또는 벽면(b)간 부딪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부(20, 20')는 그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바닥 또는 벽면(b)과 접촉하더라도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평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통, 타일이 시공되는 벽면 또는 바닥은 평면이 사각형이므로, 조립식 타일은 평면이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일 몸체의 형상과 배치 방법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일 몸체(110, 120, 130)의 형상과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는 타일 몸체의 평면이 육각형인 상황을 가정한다.
작업자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커넥터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는 평면이 육각형인 복수의 타일 몸체(110)들을 지지부 상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이 육각형인 복수의 타일 몸체(110)들은 149*130*10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평면이 육각형인 타일 몸체(110)들을 평면이 사각형인 바닥이나 벽면에 시공할 경우, 도 11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육각형인 타일 몸체(110)가 삽입될 수 없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 11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하프 타일(120)과 삼각 타일(130)을 활용하여, 빈 공간을 메울 수 있다. 물론,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하프 타일(120)과 삼각 타일(130) 없이, 빈 공간을 메우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는 지지부(또는 커넥터)를 절단함으로써 작업을 마무리 지을 수도 있다. 하프 타일(120)은 예를 들어, 149*65*10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부(미도시)를 구성하는 각 커넥터는 69*60*7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일 몸체(210)의 형상과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타일 몸체(210)의 평면이 사각형인 상황을 가정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경우 타일 몸체(210)들의 평면이 모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므로 타일 몸체(210)들 사이에는 빈 공간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해 지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도 않을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들 중 평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타일 몸체(210)가 시공이 가장 편리하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형상과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는 타일 몸체(310)의 평면이 삼각형인 상황을 가정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타일 몸체(310)들을 평면이 사각형인 벽면 또는 바닥에 시공하려는 경우, 도 1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식 타일의 측부 또는 상, 하부에 일부 빈 공간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하프 타일(320)을 활용하여 빈 공간을 메울 수 있다. 물론, 작업자는 빈 공간을 메우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커넥터를 절단함으로써 외관을 고려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일 몸체 및 지지부는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형태의 타일 및 지지부가 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에 의해 결합되는 타일의 형태는 단일 형태여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지지부가 부착된 바닥이나 벽면에 N각형 형태의 타일과 M각형 형태의 타일이 혼합하여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바닥이나 벽면에 타일이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타일 몸체 11: 상면
12: 측면 13: 접하는 부분
14: 제1 내벽 14a: 제1 결속홈
14b: 제1 연결부 15: 제2 내벽
15a: 제2 결속홈 15b: 제2 연결부
16: 제3 내벽 17: 제3 연결부
20: 지지부 30: 커넥터
31a, 31b, 31c: 연장부 32a, 32b, 32c: 결속부
33a, 33b, 33c: 결합부 100: 조립식 타일

Claims (12)

  1. 타일 몸체; 및
    상기 타일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타일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들을 포함하고, 각 커넥터는 인접한 다른 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들로 연장하고 평면 형태를 갖는 복수의 연장부들을 포함하고,
    각 연장부의 단부는 다른 커넥터에 포함된 연장부들 중 하나의 연장부와 연결 가능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타일 몸체의 하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 결속홈들 중 적어도 일부에 결속되는 복수의 결속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들은 하나의 연장부의 연장 방향과 상기 커넥터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해 대칭하는 구조를 갖고,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하나의 타일 몸체가, 그리고 타측에는 다른 타일 몸체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중심에는 벽 또는 바닥으로의 고정을 위한 고정 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몸체의 평면은 다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몸체는 상면과 복수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복수의 측면들이 접하는 부분은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몸체의 상면과 상기 접하는 부분은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몸체는,
    상기 타일 몸체의 하부에서 복수의 측면들의 내측에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제1 내벽; 및
    일측이 하나의 측면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내벽의 외측에 연결되어, 복수의 제1 결속홈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몸체는,
    상기 타일 몸체의 하부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제2 내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벽과 상기 제2 내벽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고, 하나의 커넥터와 결속 가능한 복수의 제2 결속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몸체의 측면과 상기 타일 몸체의 하면은 직교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KR2020180000226U 2018-01-16 2018-01-16 조립식 타일 KR200497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226U KR200497905Y1 (ko) 2018-01-16 2018-01-16 조립식 타일
CN201820939143.2U CN208329483U (zh) 2018-01-16 2018-06-15 一种组合式拼接地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226U KR200497905Y1 (ko) 2018-01-16 2018-01-16 조립식 타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78U true KR20190001878U (ko) 2019-07-24
KR200497905Y1 KR200497905Y1 (ko) 2024-04-02

Family

ID=6477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226U KR200497905Y1 (ko) 2018-01-16 2018-01-16 조립식 타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7905Y1 (ko)
CN (1) CN20832948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954B1 (ko) * 2021-04-16 2022-04-01 주식회사 꿈비 독립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층간소음 방지매트
KR102537282B1 (ko) * 2022-03-08 2023-05-26 주식회사 꿈비 단위매트 별로 분해 조립이 가능한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KR20240000902A (ko) *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예창 다각형 강마루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1087B (zh) * 2019-11-20 2020-10-27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装配式建筑地暖铺设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523B1 (ko) 2001-04-13 2004-03-18 동서유지 주식회사 유동성 현탁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KR20110019913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대창산업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JP2012136922A (ja) * 2010-12-27 2012-07-19 Yukifumi Machida タイル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523B1 (ko) 2001-04-13 2004-03-18 동서유지 주식회사 유동성 현탁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KR20110019913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대창산업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이를 위한 베이스프레임
JP2012136922A (ja) * 2010-12-27 2012-07-19 Yukifumi Machida タイル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954B1 (ko) * 2021-04-16 2022-04-01 주식회사 꿈비 독립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층간소음 방지매트
KR102537282B1 (ko) * 2022-03-08 2023-05-26 주식회사 꿈비 단위매트 별로 분해 조립이 가능한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KR20240000902A (ko) *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예창 다각형 강마루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329483U (zh) 2019-01-04
KR200497905Y1 (ko)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1878U (ko) 조립식 타일
US20230304304A1 (en) Interlocking modular mat with sponge insert
KR100814075B1 (ko) 데크 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데크 시공방법.
JP7016538B2 (ja) 連結ブリック組立体及びその組立て方法
PT1261786E (pt) Elementos para pavimento unidos verticalmente compreendendo uma combinação de diferentes elementos de pavimento.
US9057196B2 (en) Subfloor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3173625U (ja) プラスチック床材
US6941705B2 (en) Accessory for modular elements for the support and ventilation of crawl spaces, floor structures, floors or similar articles in the building field
US9062463B2 (en) Construction set for covering substrate, in particular floor substrate
AU2001252480A1 (en) Accessory for modular elements for the support and ventilation of crawl spaces, floor structures, floors or similar articles in the building field
US20100107534A1 (en) Modular layout form for embedding objects in a settable material
PT1790497E (pt) Conjunto de elementos de um revestimento para cobrir uma superfície
TWM631675U (zh) 拼接地板
JP3240536U (ja) 床用ジョイントタイルの枠体。
JPH10196093A (ja) ユニット式床材
TWI794999B (zh) 拼接地板
KR200375683Y1 (ko) 타일 베이스
JPH0539143Y2 (ko)
JP3006477U (ja) 体育マット
KR102656296B1 (ko)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H0332179Y2 (ko)
JP3048986U (ja) 足場用組立敷板
KR200333940Y1 (ko) 조립식 고무 바닥재 유닛
JP2023016633A (ja) 床ベース、及び簡易施工床ユニット
JPH0430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