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603B1 -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603B1
KR101519603B1 KR1020140037272A KR20140037272A KR101519603B1 KR 101519603 B1 KR101519603 B1 KR 101519603B1 KR 1020140037272 A KR1020140037272 A KR 1020140037272A KR 20140037272 A KR20140037272 A KR 20140037272A KR 101519603 B1 KR101519603 B1 KR 101519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access floor
support
pa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140037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이중마루 설치 구조 중 수평으로 정렬된 구조물 상면에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저중량 고하중형으로 설치하는 지지구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110)에 장착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받쳐주는 제1 지지패드(300); 제1 지지패드(300)와 구분되는 구조물(110)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받쳐주는 제2 지지패드(400);를 포함함으로써 수평으로 정렬된 구조물 상면에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제한된 두께로 지지하여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FOR LIGHT-WEIGHT AND HIGH-LOAD TYPE FOR ACCESS FLOOR PANEL}
본 발명은 이중마루 설치 구조 중 수평으로 정렬된 구조물 상면에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저중량 고하중형으로 설치하는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클린룸(clean room)은 각종 공정장비가 놓여 지거나 반송수단의 이동을 위한 정밀한 수평 바닥과 플래넘(plenum)을 비롯한 전기배선 등의 은폐, 그리고 습기 차단과 정전기 제어 역할을 겸하는 이중마루 시스템으로 시설된다.
바닥이 이중마루(이하, 억세스플로어)로 시공되는 클린룸은 억세스플로어를 중심으로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된다. 억세스플로어는 최소의 기둥 위에 격자보 등의 보를 설치하고 그 보위에 억세스플로어 패널들을 설치하여 클린룸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클린룸의 일반적인 시공 방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대형 클린룸에 시공된 이중마루(억세스플로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은 클린룸 내 억세스플로어의 구체적인 시공 설명도이다. 도 2의 (a)(b)는 구조물(81) 위에 지지패드(90)를 장착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모서리 부분을 맞추어 설치하는 과정이다. 도 3은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5는 보강 리브를 가지는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저면 구조이다. 도 6은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저면도 이고 (b)는 일측면도이다. 도 7은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패드(90)로 지지하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중심부에 작용하는 하중 W1, 편측에서 작용하는 균일 또는 불균일 분포하중 W2/W3은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을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킨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억세스플로어 패널(21)에는 무게 중량 증가를 줄이고 적정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강용 리브 들을 구비한다.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설치 및 이를 위한 부속장치들의 사용과 관련된 제안들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7561호(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63350호(선행기술 2)에 제안되어 있다. 선행기술 1에는 격자보위에 억세스플로어를 설치하는 것, 억세스플로어 패널이 얹혀지는 구조물 사이에 지지패드를 두고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모서리를 4점 지지하는 형식이 기재되어 있다. 지지패드 관련 구조는 선행기술 2에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 방법에 따르면, H-빔 등의 구조물(81) 윗면 길이방향을 따라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사이즈 폭을 감안하여 해당 위치에 지지패드(90)를 고정하고 각각의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패드(90) 중심으로 맞추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을 안착하는 방법으로 억세스플로어(20)를 시공한다. 여기서 한 개의 지지패드(90)에는 4장의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모서리 부분이 접촉된다. 이를 위하여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모서리 부분에는 지지패드(90)와 접촉하는 돌출 리브(22)가 있고 지지패드(90)에는 돌출 리브(22)를 안착시키기 위한 4 분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리브(91)가 있다. 따라서 한 장의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은 지지패드(90)와 4점 접촉지지점을 형성하면서 설치된다. 지지패드(90)의 사용으로 억세스플로어 패널(21)들의 가지런한 정렬, 완충, 진동 저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이러한 설치방법에 따르면 억세스플로어 패널(21) 자체적으로 고하중에 취약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고하중용 예를 들면 고하중 장비 동선용 억세스플로어(20)를 제공하지 못한다.
억세스플로어 패널(21)의 설치 두께는 가급적 얇게 하는 것이 클린룸 내 공간확보 효율에서 유리하므로 대형 클린룸의 경우 약 40~50mm를 두께 규격으로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요구강도에 상관없이 설치두께를 일정하여 유지하여 왔지만 장비가 설치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은 고하중의 반력을 가질 것을 요구받고 있다.
억세스플로어의 설계강도는 사각형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구하는 식(1)을 이용하여 구한다. 식(1) Ix=bh3/12
사각형의 리브 구조를 가지는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강도는 폭 X 두께3인데, 억세스 플로어의 설치두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고하중의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만들기 위해서는 폭을 늘이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적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두께를 늘이는 것보다 중량의 증가량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가 있다. 두께 규격에서 폭을 늘린 억세스플로어 패널은 클린룸 전체 구조 설계나 설치 및 취급 작업 그리고 재료비 등의 원가 관리와 경제성 등에서 여러모로 불리하다.
따라서 클린룸 시공에서는 억세스플로어의 설치두께 이내에서 최소의 중량으로 적정 중량을 가지는 억세스플로어 패널과 이를 저중량 고하중형으로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 발명자는 기존 억세스플로어 중량 대비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고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새로운 지지구조를 제안한다.
(선행기술 1)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8268호 (선행기술 2)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6335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 상면에 억세스플로어를 제한된 두께로 설치하는데 있어서 억세스플로어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고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치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하중 장비 동선용 억세스플로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비가 설치되는 억세스플로어가 자체적으로 고하중의 반력을 갖도록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보 위에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을 따라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설치하여 이중마루로 시공하기 위한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받쳐주는 제1 지지패드; 상기 제1 지지패드와 구분되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받쳐주는 제2 지지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보 위에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을 따라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설치하여 이중마루로 시공하기 위한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받쳐주는 제1 지지패드; 상기 제1 지지패드와 구분되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받쳐주는 제2 지지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패드는 구조물 상에서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중간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양편의 제1 지지패드(300) 사이 중간에 위치하여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보 위에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을 따라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설치하여 이중마루로 시공하기 위한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받쳐주는 제1 지지패드; 상기 제1 지지패드와 구분되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받쳐주는 제2 지지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패드는 구조물 상에서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중간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양편의 상기 제1 지지패드 사이 중간에 위치하여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중간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지지패드에 의해 지지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은 상기 제2 지지패드와 접촉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구조물과 직각인 x 방향 리브에 비해 구조물과 나란한 수평 y 방향 리브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춘 감량구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패드는,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모서리 부분이 올려져 안착 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면들,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면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그 패널 설치면을 적어도 2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 구분하고 구분된 구역으로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안착 되도록 유도하는 돌출 리브들을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패드는 상기 구조물에 장착하고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홀을 더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패드와 제2 지지패드는 구조물의 윗면 표면을 따라 나란히 장착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패드는 구조물의 윗면 표면에서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중간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패드는,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되어 구조물에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과 베이스부가 직접 닿아 마모되거나 소음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연질소재로 적층된 패드층; 상기 패드층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설치를 안내하는 설치용 가이드;를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패드는 연질소재로 구성된 패드층을 적층한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며, 그 베이스부의 상부면으로 설치용 가이드가 일체형으로 돌설된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패드는 연질소재로 구성된 패드층을 적층한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며, 그 베이스부의 양단에는 볼트나 핀을 통해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패드는 연질소재로 구성된 패드층을 적층한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며, 그 베이스부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제층을 구비하여 구조물에 접착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패드의 두께는 제1 지지패드의 두께에 비해 약 0.3 ~ 1mm 낮도록 두께가 조절된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패드는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부와 접촉하며 억세스플로어 패널에는 제2 지지패드와 맞닿아 밀착되는 돌출형 리브를 구비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클린룸 등의 이중마루 시공을 위하여 구조물 상면에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제한된 두께로 설치하는데 있어서 억세스플로어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고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린룸 등의 이중마루에 저비용으로 간단한 구조를 통해 고하중 장비 동선용 억세스플로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가 설치되는 억세스플로어에 별도의 보강수단이나 강도 유지수단을 두지 않고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고하중의 반력을 갖도록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린룸 내 이중마루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의 (a)(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 과정 설명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5는 종래의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저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억세스플로어 패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저면도, (b)는 일측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시공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용 제1 지지패드로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제2 지지패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제2 지지패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일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패드를 이용한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 상태 참고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저면도, (b)는 (a)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억세스플로어 패널 형상에 따른 설치상태 참고도로서 각각 (a)(b)는 돌출 리브형 패널 지지구조이고, (c)는 밑면 평행 접촉형 패널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참고도.
도 16의 (a)(b)(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에 적용 가능한 억세스플로어 패널 형상들의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에 적용 가능한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저면도, (b)는 (a)의 정면도. (c)는 (a)의 일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구조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을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클린룸 등에 이중마루 억세스플로어를 시공하기 위하여 구조물 상면에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제한된 두께로 설치하는데 있어서 억세스플로어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고하중에 견딜 수 있는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비가 설치되는 억세스플로어에 별도의 보강수단이나 강도 유지수단을 두지 않고 억세스플로어 패널이 고하중의 반력을 갖도록 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억세스플로어의 설치두께가 제한된 조건에서 두께와 폭 그리고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기존과 동일한 조건에서 저하중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간단하면서도 간결하게 지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하중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격자 및 가로보 등의 보(100) 위에 H 또는 I 빔 형강, 또는 PC 및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구조물(110)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110)을 따라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을 저중량 고하중형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구조물(110)에 장착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받쳐주는 제1 지지패드(300), 제1 지지패드(300)와 구분되는 구조물(110)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받쳐주는 제2 지지패드(400)를 포함함으로서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로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제2 지지패드(400)가 구조물(110) 상에서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중간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양편의 제1 지지패드(300) 사이 중간에 위치하여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제2 지지패드(400)가 구조물(110) 상에서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중간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양편의 상기 제1 지지패드(300) 사이 중간에 위치하여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중간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제2 지지패드(400)에 의해 지지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은 제2 지지패드(400)와 접촉되는 지지부(210)를 구비하고, 구조물(110)과 직각인 x 방향 리브에 비해 구조물(110)과 나란한 수평 y 방향 리브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춘 감량구조부를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제1 지지패드(300)가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이 올려져 안착 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면(310)들,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면(310)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그 패널 설치면(310)을 적어도 2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 구분하고 구분된 구역으로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안착 되도록 유도하는 돌출 리브(3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제1 지지패드(300)가 구조물(110)에 장착하고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홀(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제1 지지패드(300)와 제2 지지패드(400)가 구조물(110)의 윗면(120) 표면을 따라 나란히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제2 지지패드(400)가 구조물(110)의 윗면(120) 표면에서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중간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제2 지지패드(400)가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되어 구조물(110)에 안착되는 베이스부(410); 상기 베이스부(410)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과 베이스부(410)가 직접 닿아 마모되거나 소음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연질소재로 적층된 패드층(420); 상기 패드층(42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설치를 안내하는 설치용 가이드(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제2 지지패드(400)가 연질소재로 구성된 패드층(420)을 적층한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베이스부(410)로 이루어지며, 그 베이스부(410)의 상부면으로 설치용 가이드(430)가 일체형으로 돌설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베이스부(410)의 양단에 볼트나 핀을 통해 구조물(110)에 장착하기 위한 홀(440)(440a)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베이스부(410)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제층을 구비하여 구조물(110)에 접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제2 지지패드(400)의 두께(t4)가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패드(300)의 두께(t3)에 비해 약0.3 ~ 1mm 낮도록 두께가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는, 제2 지지패드(400)가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지지부(210)와 접촉하며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에는 제2 지지패드(400)와 맞닿아 밀착되는 돌출형 리브(220)를 구비한다.
도 14는 이중마루의 설치 구조중 수평이 맞춰진 구조물(110) 상면에 설치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지지점과 하중점의 거리와 중간에 설치하는 제2 지지패드(400)의 설치위치를 설명한 것으로, 두 개의 구조물(110) 빔 위에 패널이 설치되는 구조로 기존 패널의 설치위치(S1)와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제2 지지패드(400)를 이용한 지지위치(S2)의 위치가 확인된다. 패널의 하중이 가장 취약한 패널의 중앙부에 하중(F)이 가해지는 경우 기존 구조에서는 설치위치(S1)까지의 거리가 멀어서 높고 두꺼운 리브를 사용하여 패널에 강성을 부여하였으나 본 발명이 제공하는 중간 제2 지지패드(400)를 적용하면 F점에 대한 지지점의 거리가 짧아짐으로 오히려 리브의 보강에 사용되던 중량을 줄이고도 기존 패널과 동일한 조건에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제2 지지패드(400)를 사용하여 지지부(210)를 갖는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을 지지하는 측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a)는 돌출형 리브(220)를 중간에 둔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예이고, (b)는 총 두께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돌출형 리브(220)의 돌출 길이가 짧아진 대신 변의 폭이 (a)에 비해 구조물(110) 쪽으로 연장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과 구조물(110) 표면 사이 틈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예로서 (a)와 마찬가지로 돌출형 리브(220)가 중간 위치에 있으나 구조물과 패널 사이의 틈이 (a)에 비해 좁아진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을 지지하는 예이다. (c)는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지지부(210)가 돌출 부분 없이 수평 방향으로 나란한 예이지만 이 경우는 제2 지지패널(400)이 접촉하는 부분이 지지부(210)가 된다.
도 15의 (a)는 비교적 경하중용 억세스플로어 패널(200) 지지 예로서 패널의 설치 두께(H)보다 패널의 리브 높이(t1)가 작은 경우로 제2 지지패드(400)를 설치할 부위의 높이(t2)만 높임으로써 중간 지점의 제2 지지패드(400)에 패널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된 예이다.
도 15의 (b)는 기준 하중용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지지 예로서 패널의 설치 두께(H)보다 패널의 리브 높이(t1)가 작은 경우로 제2 지지패드(400)를 설치할 부위의 높이(t2)만 약 0.5 ~ 1.5mm 높임으로써 중간에 설치된 제2 지지패드(4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예이다.
도 15의 (c)는 비교적 고하중용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지지 예로서 패널의 설치 두께(H)와 패널 리브 높이(t1)가 같은 경우로 억세스플로어 패널에 별도의 형상 변경을 가하지 않고 중간지점에 제2 지지패드(400)를 설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예이다.
여기서, 't3'는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모서리 안착용 제1 지지패드(300)의 두께이며, 't4'는 중간 지점에 설치되는 제2 지지패드(400)의 두께이다. 제2 지지패드(400)의 두께(t4)는 제1 지지패드(300)의 두께(t3)보다 약 0.3 ~ 1mm 낮도록 그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패널이 설치되는 구조물(110) 빔의 수평이 미차로 뒤틀어져 맞지 않는 경우, 또는 6 점 지지 높이가 모두 같은 경우 패널의 레벨을 정교하게 맞추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안착하는 제1 지지패드(300) 보다 약 0.3 ~ 1mm 낮은 중간지점의 제2 지지패드(400)는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이 하중을 받아 약 0.3 ~ 1mm 쳐졌을 때부터 패널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수치는 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의 주조로 제조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의 탄성율 범주 안에 속하는 치수로 영구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이기도 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제2 지지패드(400)를 통해 지지 가능한 억세스플로어 패널(200)들의 구체적 형상의 예로서 (a)는 중간지점에 제2 지지패드(400)를 사용하는 6점 지지형 기준강도 패널 형상의 예이며, (b)는 중간지점에 제2 지지패드(400)를 사용하는 6점 지지형 경하중 패널의 형상 예이며, (c)는 중간지점에 제2 지지패드(400)를 사용하는 6점 지지용 고하중 패널 형상의 예이다.
기존 지지패드에 의해 4점 지지로 설치되는 기존 억세스플로 패널 지지구조는 4 모서리에서 패널을 지지하므로 x방향의 리브(230)와 y방향의 리브(240)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와 형상으로 서로 교차 되도록 설계되지만, 도 16의 (a)와 같이 중간 제2 지지패드(400)를 사용하는 6점 지지 기준강도 패널은 구조물(110)과 직각인 리브(x 방향)는 기존 형상과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나 구조물(110)과 수평인 리브(y방향)는 그 높이가 현저히 낮게 설계되어 있다. 이는 y방향으로 지지점이 추가됨에 따라 강도가 증가 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y방향 리브의 강성이 상승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브의 높이를 기존 대비 낮춘 만큼에 상당하는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중간 제2 지지패드(400)를 사용하는 6점 지지 경하중 패널은 도 16의 (b)와 같이 가장자리 변의 리브 높이가 패널 설치 지점 높이보다 얇기 때문에 중간 제2 지지패드(400)가 접촉되는 위치에 돌출형 리브(220)를 만들고 이를 통해 제2 지지패드(400)와 0.3 ~ 1mm의 갭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중간 제2 지지패드(400)를 사용하는 6점 지지 고하중 패널은 도 16의 (c)와 같이 고하중의 내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허용되는 설치두께의 범위 내에서 리브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기존 형상이 아니라 패널의 설치두께를 유지하면서 설치두께보다 두꺼운 리브를 사용할 수 있어 강도는 증가시키고 중량은 감량되는 고하중 패널로 제작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6점 지지 고하중 패널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구조물(110) 빔 위에 걸쳐지는 패널의 두께는 설치두께(H)에 일치하게 되어있고, 중간 제2 지지패드(400)의 두께와 여유량(0.3 ~ 1mm)을 감안한 리브 두께(t2)로 구성되고, 구조물(110)의 간섭이 없는 방향의 리브는 패널의 설치두께보다 더 두꺼운 리브(t1)를 사용한 예로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은 패널의 6점 지지에 따른 장점을 살려 구조물(110) 빔과 수평인 리브의 높이는 낮게, 구조물(110) 빔과 직각인 리브의 높이는 충분히 높게 하여 설치 간섭이 없는 상태로 고하중의 억세스플로어 패널(200) 제품을 저중량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에 의하면, 클린룸 등의 이중마루 시공을 위하여 구조물 상면에 억세스플로어 패널을 제한된 두께로 설치하는데 있어서 억세스플로어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고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고, 고하중 장비 동선용 억세스플로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보 110: 구조물
200: 억세스플로어 패널 210: 지지부
220: 리브 300: 제1 지지패드
310: 패널 설치면 320: 돌출 리브
400: 제2 지지패드 410: 베이스부
420: 패드층 430: 설치용 가이드

Claims (13)

  1. 보(100) 위에 구조물(110)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110)을 따라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을 설치하여 이중마루로 시공하기 위한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10)에 장착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받쳐주는 제1 지지패드(300); 상기 제1 지지패드(300)와 구분되는 구조물(110)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받쳐주는 제2 지지패드(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패드(400)는 연질소재로 구성된 패드층(420)을 적층한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베이스부(410)로 이루어지며, 그 베이스부(410)의 상부면으로 일체형으로 돌설된 설치용 가이드(430)를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2. 보(100) 위에 구조물(110)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110)을 따라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을 설치하여 이중마루로 시공하기 위한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있어서, 상기 구조물(110)에 장착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받쳐주는 제1 지지패드(300); 상기 제1 지지패드(300)와 구분되는 구조물(110)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받쳐주는 제2 지지패드(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패드(400)는 구조물 상에서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중간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양편의 제1 지지패드(300) 사이 중간에 위치하여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패드(400)는 연질소재로 구성된 패드층(420)을 적층한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베이스부(410)로 이루어지고, 그 베이스부(410)의 상부면으로 일체형으로 돌설된 설치용 가이드(430)를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3. 보(100) 위에 구조물(110)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110)을 따라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을 설치하여 이중마루로 시공하기 위한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있어서, 상기 구조물(110)에 장착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받쳐주는 제1 지지패드(300); 상기 제1 지지패드(300)와 구분되는 구조물(110)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받쳐주는 제2 지지패드(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패드(400)는 구조물 상에서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중간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양편의 상기 제1 지지패드(300) 사이 중간에 위치하여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중간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지지패드(400)에 의해 지지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은 상기 제2 지지패드(400)와 접촉되는 지지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구조물(110)과 직각인 x 방향 리브에 비해 구조물(110)과 나란한 수평 y 방향 리브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춘 감량구조부;를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패드(300)는,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모서리 부분이 올려져 안착 되는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면(310)들,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면(310)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그 패널 설치면(310)을 적어도 2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 구분하고 구분된 구역으로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안착 되도록 유도하는 돌출 리브(320)들을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패드(300)는 상기 구조물(110)에 장착하고 상기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홀(330)을 더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패드(300)와 제2 지지패드(400)는 상기 구조물(110)의 윗면(120) 표면을 따라 나란히 장착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패드(400)는 구조물(110)의 윗면(120) 표면에서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중간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패드(400)는,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되어 구조물(110)에 안착되는 베이스부(410); 상기 베이스부(410)에 설치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과 베이스부(410)가 직접 닿아 마모되거나 소음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연질소재로 적층된 패드층(420); 상기 패드층(42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설치를 안내하는 설치용 가이드(430);를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패드(400)는 연질소재로 구성된 패드층(420)을 적층한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베이스부(410)로 이루어지며, 그 베이스부(410)의 상부면으로 설치용 가이드(430)가 일체형으로 돌설된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패드(400)는 연질소재로 구성된 패드층(420)을 적층한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베이스부(410)로 이루어지며, 그 베이스부(410)의 양단에는 볼트나 핀을 통해 구조물(110)에 장착하기 위한 홀(440)(440a)이 형성된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패드(400)는 연질소재로 구성된 패드층(420)을 적층한 알루미늄 또는 금속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된 베이스부(410)로 이루어지며, 그 베이스부(410)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제층을 구비하여 구조물(110)에 접착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패드(400)의 두께(t4)는 제1 지지패드(300)의 두께(t3)에 비해 0.3 ~ 1mm 낮도록 두께가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패드(400)는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의 지지부(210)와 접촉하며 억세스플로어 패널(200)에는 제2 지지패드(400)와 맞닿아 밀착되는 돌출형 리브를 구비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KR1020140037272A 2014-03-28 2014-03-28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KR10151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272A KR101519603B1 (ko) 2014-03-28 2014-03-28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272A KR101519603B1 (ko) 2014-03-28 2014-03-28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603B1 true KR101519603B1 (ko) 2015-05-13

Family

ID=5339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272A KR101519603B1 (ko) 2014-03-28 2014-03-28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32A1 (ko) * 2018-09-19 2020-03-26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989A (ja) * 1997-10-21 1999-05-11 Kindai Toshi Kaihatsu Kk フリーアクセス床構造及び床補強方法
JP2005139786A (ja) * 2003-11-07 2005-06-02 Sekisui Chem Co Ltd 二重床材及び二重床材用床パネル並びに二重床材用床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20087561A (ko) * 2011-01-28 2012-08-07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의 바닥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의 억세스플로어의 설치방법
KR101347059B1 (ko) * 2013-05-14 2014-01-06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스틸 그레이팅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989A (ja) * 1997-10-21 1999-05-11 Kindai Toshi Kaihatsu Kk フリーアクセス床構造及び床補強方法
JP2005139786A (ja) * 2003-11-07 2005-06-02 Sekisui Chem Co Ltd 二重床材及び二重床材用床パネル並びに二重床材用床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20087561A (ko) * 2011-01-28 2012-08-07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의 바닥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의 억세스플로어의 설치방법
KR101347059B1 (ko) * 2013-05-14 2014-01-06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스틸 그레이팅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32A1 (ko) * 2018-09-19 2020-03-26 주식회사 해광 보요소 지지의 패널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530B1 (ko)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KR101519603B1 (ko)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지지구조
KR20160135609A (ko)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알루미늄 억세스 플로어 패널
JPWO2008023406A1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保持装置
KR101519495B1 (ko)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및 방법
KR101519593B1 (ko) 이중마루 시공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KR101784930B1 (ko) 지붕판넬용 지지부재
JP5341687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架台
JP4271191B2 (ja) 二重床構造
JP5405931B2 (ja) 形状保持部材付き天井野縁、天井野縁ユニット及び天井面の構造
JP5539255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支持構造
JP6935317B2 (ja) 建物
JP6171889B2 (ja) スライド支承部材
JP2014105509A (ja) 床パネル
JP7389085B2 (ja) フロア支持構造
JP2020159176A (ja) 機器固定用床構造及び機器の設置方法
CN111201357B (zh) 具有梁元件支撑面板的双层地板安装装置
JP2014148805A (ja) 建物の柱設置構造
JP2013155021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2016169472A (ja) 天井構造
JP2024023915A (ja) 機器固定用床構造
KR100657592B1 (ko) 모듈러 건축물 연결구조
JP2021188359A (ja) 機器固定部構造及び機器固定部材
CN116419906A (zh) 导轨的支承结构和电梯
KR100371219B1 (ko) 클린룸용 바닥패널의 보강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6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