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228B1 -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228B1
KR101984228B1 KR1020170041841A KR20170041841A KR101984228B1 KR 101984228 B1 KR101984228 B1 KR 101984228B1 KR 1020170041841 A KR1020170041841 A KR 1020170041841A KR 20170041841 A KR20170041841 A KR 20170041841A KR 101984228 B1 KR101984228 B1 KR 10198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splint
formed body
splice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446A (ko
Inventor
엄장환
Original Assignee
(주)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엠텍 filed Critical (주)이엠텍
Publication of KR2017011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7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61F13/1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for the finger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0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역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활용하여 정형외과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부목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목은, 복수의 통기창이 반복 형성된 그물 형상을 갖고 환부의 모양으로 성형된 단일층의 열가소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진 부목 성형체(110)와; 상기 부목 성형체(110)와 동일한 재질의 다층 열가소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목 성형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겹으로 부착되는 보강체(120)와; 상기 부목 성형체(110)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쿠션패드(130)와; 상기 부목 성형체(110)에 부착되어 일면에 다수의 걸림고리가 마련된 루프면 테이프(142)를 갖는 고탄성의 벨크로 테이프(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Splints utilizing of thermoplastic resin fabr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역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하여 정형외과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부목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이나 다리가 부러지거나 삐었을 때, 다친 골절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형외과용 부목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비수술적 치료를 한다. 이러한 정형외과용 부목의 기능을 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석고가 도포된 붕대를 환부에 감아 고정하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시술방법은 석고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음은 물론, 환부에 붕대를 감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통기성이 없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땀이 많이 나면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시술방법은 시술 후 경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환부의 치료가 끝나게 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절단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절단도중 피부를 다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1.5T 두께의 아크릴판을 200℃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시켜 골절부위에 해당하는 모양으로 성형함으로써 부목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아크릴판을 이용한 부목은 대체적으로 공장에서 성형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부목은 공장에서 일률적으로 성형되어 생산되기 때문에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맞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1.5T 두께의 아크릴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15972호(2010.02.12.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00548호(2014.01.03.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5512호(2014.12.16.자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환부와 밀착되어 고정이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과, 이러한 부목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부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목은,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하여 골절부위의 환부를 고정시키는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있어서, 복수의 통기창이 반복 형성된 그물 형상을 갖고 환부의 모양으로 성형된 단일층(single layer)의 열가소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진 부목 성형체와; 상기 부목 성형체와 동일한 재질의 다층 열가소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목 성형체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겹으로 부착되는 보강체와; 상기 부목 성형체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쿠션패드와; 상기 부목 성형체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일측 단부가 상기 부목 성형체에 부착되는 신축성 소재의 밴드와; 상부면에 다수개의 걸림고리(loop)가 마련되어 상기 밴드의 일면 전체에 부착되는 루프면 테이프와; 상기 밴드의 자유단부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루프면 테이프와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개의 갈고리(hook)를 갖는 후크면 테이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목의 제조방법은, (a)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일정 크기로 재단하여 단일층의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제작하는 단계와; (b) 상기 열가소성수지 원단과 동일한 재질의 원단을 다수 개 겹쳐서 제작된 보강체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하는 단계와; (c) (b)단계에서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 보강체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소성 가공하여 환부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부목 성형체를 제작하는 단계와; (d) (c)단계에서 제작된 부목 성형체에 상기 쿠션패드와 상기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목은, 복수의 통기창이 반복 형성된 그물 형상을 갖고 환부의 모양으로 성형된 단일층의 열가소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진 부목 성형체, 부목 성형체와 동일한 재질의 다층 열가소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져 부목 성형체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겹으로 부착되는 보강체, 부목 성형체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쿠션패드, 및 부목 성형체에 부착되어 일면 전체에 루프면 테이프가 마련된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됨으로써, 고탄성을 갖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목 성형체, 보강체 및 쿠션패드를 압박하여 환부의 고정이 이루어져 환부와 부목 성형체 사이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부목 성형체는 단일층을 갖는 반면에, 보강체는 다수 겹으로 구성되어 보강체를 중심으로 부목 성형체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압박되어 환부와 밀착이 가능하며, 따라서 부목 성형체의 초기 제작 시에 환부의 형상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목 성형체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 제조방법은,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 보강체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접합 및 성형이 이루어져 효율적으로 부목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의 제조 과정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있어서, 보강체가 부착된 부목 성형체의 사시 구성도이며, (b)는 A-A 선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있어서, 쿠션패드가 부착된 부목 성형체의 사시 구성도이며, (b)는 B-B 선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있어서, 쿠션패드의 다른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있어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부목 성형체의 사시 구성도이며, (b)는 C-C 선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목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a)(b)(c)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성형체의 제조 과정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은 부목용으로 제조된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활성화 분위기(조건)에서 연화시킨 상태에서 환부의 모양대로 성형한 후에 경화시켜 제조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은 병원이나 현장에서 바로 제작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목의 제조방법은, (a)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일정 크기로 재단하여 단일층의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제작하는 단계(S110); (b) 열가소성수지 원단과 동일한 재질의 원단을 다수 개 겹쳐서 제작된 보강체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하는 단계(S120); (c) (b)단계에서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 보강체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소성 가공하여 환부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부목 성형체를 제작하는 단계(S120); (d) (c)단계에서 제작된 부목 성형체에 쿠션패드와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a)단계(S110)는 복수의 통기창이 반복 형성된 그물 형상을 갖는 부목용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일정 크기로 재단하여 단일층의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제작하는 과정으로서, 열가소성수지 원단은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부목용 열가소성수지 원단은 3~8겹의 올을 층상구조로 꼬아 넓은 그물형태의 망상체를 직조하고 망상체를 열가소성 수지에 함침시킨 후에, 열가소성 수지가 함침된 망상체를 사각 형상으로 천공하여 복수의 통기창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열가소성수지 원단은 열가소성 수지사를 통해 직조되어 다수의 층이 행렬 패턴으로 교차된 층에 일정 크기(3~8㎟)의 통기창이 반복 형성된 그물 형상으로 이루어진 층상구조를 갖는 수지원단을 제작하고, 그 수지원단에 구분자수지를 함침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열가소성 수지사는 3~20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전 제작된 열가소성수지 원단은 환부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재단하여 단일층의 부목 성형체 베이스로 사용된다.
(b)단계(S120)는 열가소성수지 원단과 동일한 재질의 원단을 다수 개 겹쳐서 보강체를 제작하며, 이 보강체는 활성화 분위기(조건)에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하는 과정이다.
단일층의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는 달리, 보강체는 4~6겹의 원단을 겹쳐서 사용되며, 활성화 분위기에서 다수 개 겹쳐진 보강체는 자가 접착성(self adhesiveness)에 의해 일체로 접합이 이루어지며, 이 보강체는 다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접합된다.
가역성의 열가소성 수지 원단의 활성화 분위기(조건)는 소정 온도, 예를 들어 대략 40 ~ 60 ℃ 온도 범위에 일정 시간 이상 노출되어 자가 접착성 또는 소성 변형이 가능하며, 이때 활성 온도와 노출 시간은 열가소성수지 원단의 두께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일정 온도 이상의 온수 내에 침지하여 연화가 진행된 상태에서 온수조 내에서 다수 개로 겹쳐진 원단과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일체로 접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열가소성수지 원단 표면에 온수를 분사한 후에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오븐 내에서 가열하여 연화시켜 보강체와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c)단계(S130)는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 보강체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소정 가공하여 환부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부목 성형체를 제작하는 과정으로서, 이러한 과정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활성화 분위기에서 부목 성형체와 보강체를 환부의 모양으로 성형한다.
한편, 부목 성형체의 성형 작업은 연화 온도 이상을 유지하는 동안에 가능하며, 성형 과정 중에 경화된 부목 성형체는 재가열하여 성형 작업을 지속할 수 있다. 성형 작업이 완료된 열가소성수지 원단은 상온에서 자연 냉각되어 경화가 진행될 수 있으며, 또는 저온수 내에서 침지하여 급랭시킴으로써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목 성형체의 성형 동안에 활성화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활성화 조건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온수조 내에서 성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b)단계(S120)와 (c)단계(S130)는 별도의 구분된 공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과정은 활성화 분위기가 유지되는 동안에 연속된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있어서, 보강체가 부착된 부목 성형체의 사시 구성도이며, (b)는 A-A 선의 단면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부목 성형체(110)는 복수의 통기창(111)이 형성된 그물 형상을 갖고 환부의 모양으로 성형된 단일층(single layer)의 열가소성수지 원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목 성형체(110)는 손목 골절 용도로 제작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환부를 감싸도록 둥글게 말린 구조를 갖는다.
환부에 따라서 부목 성형체의 형상이나 크기는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부목 성형체는 환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원통형 쉘(shell) 형상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환부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부목 성형체의 길이는 직경보다는 충분히 길다. 본 명세서에서 부목 성형체(110)의 길이 방향(x-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y-축)은 '날개 방향'으로도 지칭하도록 한다.
이러한 부목 성형체(110)는 길이 방향으로 보강체(120)가 일체로 부착되며, 이때 보강체(120)는 다수 겹(4겹 이상)으로 구성되어 환부를 견고히 지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부목 성형체(110)는 전체적으로 단일층으로 구성되는 반면에, 보강체(120)는 부목 성형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수 겹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부목 성형체(110)는 보강체(120)가 부착되는 길이 방향(x-축)으로는 굽힘 강성(bending stiffness)이 큰 반면에, 보강체(120)를 기준으로 양단의 부목 성형체(110)는 단일층으로 구성되어 길이 방향과 수직한 평면(y-z평면) 상에서 상대적으로 굽힘 강성이 작아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목 성형체(110)의 테두리는 일정 폭을 접어서 접힘부(11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d)단계는 부목 성형체에 쿠션패드와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여 부목의 제작이 완료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있어서, 쿠션패드가 부착된 부목 성형체의 사시 구성도이며, (b)는 B-B 선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부목 성형체(110)는 내측 표면에 쿠션패드(130)가 부착되어 부목 착용 시에 쿠션패드(130)와 환부가 직접 밀착된다.
이러한 쿠션패드(130)는 고탄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소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소재로는 오픈셀(open cell) 구조를 갖는 오솔라이트(ortholite), PU폼 등과 같은 발포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단일 소재 또는 이종 소재가 접합된 라미네이팅 구조일 수 있다.
쿠션패드(130)는 부목 성형체(110)에 직접 접합될 수 있으며, 이때 부목 성형체(110)는 일부 접합면만이 국소적으로 활성화되어 부목 성형체 전체가 실질적으로 연화되지 않고 접합면만이 접착성을 갖는 상태에서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목 성형체의 국소적인 활성화 방법으로는 부목 성형체의 접합면에 스프레이를 분사하고 일정 시간 전자레인지 내에서 마이크로파에 노출시킴으로써 부목 성형체의 국소적인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쿠션패드(130)는 단일의 패드 형태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가 부목 성형체(110)의 날개 방향으로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3에서 쿠션패드(130)는 부목 성형체(110)의 날개 방향으로 나란하게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쿠션패드(130)의 두께는 부목 성형체(110) 및 보강체(120) 보다는 두껍다.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있어서, 쿠션패드의 다른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로서, 본 실시예에서 부목 성형체(211)(311)는 직사각형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부목 성형체(211)는 날개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1쿠션패드(231)가 등간격으로 부착되며, 또한 부목 성형체(211)의 테두리를 따라서 제2쿠션패드(232)와 제3쿠션패드(233)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쿠션패드(232)는 부목 성형체(211)의 길이 방향으로 테두리를 따라서 부착되며, 제3쿠션패드(233)는 부목 성형체(211)의 날개 방향으로 테두리를 따라서 부착된다. 특히, 착용 시에 안쪽으로 접힘이 발생될 수 있는 제3쿠션패드(233)는 단부에 물결 형태의 요홈(233a)이 형성되어 접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쿠션패드가 환부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의 (b)에 예시된 것과 같이, 부목 성형체(311)의 내측면에 넓은 면적을 갖고 부착되는 쿠션패드(321)는 좌우 양단의 테두리에 물결 형태의 요홈(3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길이 방향으로 장공의 관통홀(321b)이 형성되어 쿠션패드(321)가 환부를 과다하게 압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있어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부목 성형체의 사시 구성도이며, (b)는 C-C 선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부목 성형체(110)는 벨크로 테이프(140)가 부착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벨크로 테이프(140)는 일측 단부가 부목 성형체(110)에 부착되는 신축성 소재의 밴드(141)와, 상부면에 다수개의 걸림고리(loop)가 마련되어 밴드(141)의 일면 전체에 부착되는 루프면 테이프(142)와, 밴드(141)의 자유단부의 배면에 부착되어 루프면 테이프(142)와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개의 갈고리(hook)를 갖는 후크면 테이프(143)를 포함한다.
밴드(141)는 신축성 소재가 사용되며, 예를 들어, 네오프렌(neoprene)과 같은 고탄성의 합성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루프면 테이프(142)는 밴드(141)의 상부면 전체에 부착되어 걸림고리(loop)(142a)를 제공하며, 일면에 걸림고리가 형성된 신축성을 갖는 직물 웹이 사용될 수 있다. 직물 웹은 탄성 섬유 또는 탄성사와, 비탄성 섬유 또는 비탄성사의 혼합물일 수 있다.
후크면 테이프(143)는 걸림고리(142a)와 탈부착이 가능한 갈고리를 가지며, 밴드(141)의 자유단부의 배면에 부착되어 갈고리(hook)와 탈부착이 이루어진다.
도 5의 (a)에서 부목 성형체(110)는 두 개의 벨크로 테이프(140)가 부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부목 성형체의 길이나 크기에 따라서 벨크로 테이프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목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환부 형상으로 성형된 부목 성형체(410)를 환부에 임시 착용한 후에 벨크로 테이프(440)를 사용하여 환부를 따라서 감아서 고정하며, 이때 벨크로 테이프(440)는 신축성이 커서 탄성력을 갖고 부목 성형체(410)와 함께 환부를 압박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부목 성형체(410)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보강체에 의해 환부는 견고히 고정되며, 벨크로 테이프(440)에 의해 압박된 부목 성형체(110)와 쿠션패드(미도시)는 환부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벨크로 테이프(440)는 상면 전체가 걸림고리를 갖는 루프면 테이프(442)로 제공되어 벨크로 테이프(440)의 부착(고정) 위치의 제한이 없어서 벨크로 테이프(440)에 신축 정도를 고려하여 환부의 밀착 정도를 쉽게 조절하면서도 착용이 편리하다.
도 7의 (a)(b)(c)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성형체의 제조 과정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일정 크기로 재단하여 단일층의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제작하고 동일한 재질의 원단을 다수 개 겹체서 보강체(520)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하며, 이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소성 가공하여 환부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부목 성형체(510)를 제작하는 것은 앞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절 부위가 손인 경우에 부목 성형체(510)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연화시켜 환자의 손목을 포함한 손바닥의 형상대로 형을 잡아 경화시키며, 성형된 부목 성형체의 손바닥과 대향하는 일측에 손가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부목 성형체(510)를 손에 가고정되도록 하는 손가락 고정체(531)(532)를 성형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목 성형체(510)에 손가락 고정체(531)(532)가 부착된 후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부목 성형체(510)에 쿠션패드와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한다.
손가락 고정체(531)(532)는 엄지 손가락을 기본으로 하나를 성형할 수도 있으나 다른 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개 이상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물론, 손가락 전부에 해당하는 손가락 고정체를 성형할 수도 있으며, 이때 손가락 고정체는 부목 성형체와 동일한 소재의 열가소성수지 원단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211, 311, 410, 510 : 부목 성형체
120, 520 : 보강체
531, 532 : 손가락 고정체
130 : 쿠션패드
140, 540 : 벨크로 테이프

Claims (9)

  1.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하여 골절부위의 환부를 고정시키는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에 있어서,
    복수의 통기창이 반복 형성된 그물 형상을 갖고 환부의 모양으로 성형된 단일층의 열가소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진 부목 성형체와;
    상기 부목 성형체와 동일한 재질의 다층 열가소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목 성형체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겹으로 부착되는 보강체와;
    상기 부목 성형체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쿠션패드와;
    상기 부목 성형체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일측 단부가 상기 부목 성형체에 부착되는 신축성 소재의 밴드와;
    상부면에 다수개의 걸림고리(loop)가 마련되어 상기 밴드의 일면 전체에 부착되는 루프면 테이프와;
    상기 밴드의 자유단부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루프면 테이프와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개의 갈고리(hook)를 갖는 후크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부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드는 복수 개가 상기 부목 성형체의 날개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드는 적어도 일부 테두리에 상기 부목 성형체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요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드는, 상기 부목 성형체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의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네오플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목의 제조방법으로서,
    (a)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일정 크기로 재단하여 단일층의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제작하는 단계와;
    (b) 상기 열가소성수지 원단과` 동일한 재질의 원단을 다수 개 겹쳐서 제작된 보강체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하는 단계와;
    (c) (b)단계에서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 보강체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소성 가공하여 환부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부목 성형체를 제작하는 단계와;
    (d) (c)단계에서 제작된 부목 성형체에 상기 쿠션패드와 상기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분위기는 설정 온도 이상의 온수조 내에서 함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목 성형체의 경화는 저온수 내에서 침지하여 급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c)단계는 상기 부목 성형체를 활성화 분위기에서 연화시켜 환자의 손목을 포함한 손바닥의 형상대로 형을 잡아 경화시키며, 성형된 부목 성형체의 손바닥과 대향하는 일측에 손가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부목 성형체를 손에 가고정되도록 하는 손가락 고정체를 성형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의 제조방법.
KR1020170041841A 2016-03-31 2017-03-31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 KR101984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617 2016-03-31
KR20160039617 2016-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446A KR20170113446A (ko) 2017-10-12
KR101984228B1 true KR101984228B1 (ko) 2019-05-30

Family

ID=5996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841A KR101984228B1 (ko) 2016-03-31 2017-03-31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03994B2 (ko)
KR (1) KR101984228B1 (ko)
CN (1) CN107530180B (ko)
WO (2) WO2017171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7269B1 (ja) * 2019-03-04 2019-10-09 株式会社共同 装具
KR102046762B1 (ko) * 2019-04-25 2019-11-20 정은희 생분해성 수지(Poly Lactic Acid)를 이용한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KR102506802B1 (ko) * 2021-06-11 2023-03-07 주식회사 이엠텍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2170A (ja) 2004-09-09 2008-04-24 ファストフォーム・リサーチ・リミテッド 再成形可能な熱可塑性材料からなる幾何学的孔付き保護及び/又はスプリント器具
US20100004576A1 (en) 2008-07-03 2010-01-07 Kathleen Molnar Finger Splint Device for Preventing Contractures and the Lik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40081188A1 (en) 2012-09-19 2014-03-20 Calvin Hargis Wrist support device
KR101475512B1 (ko) 2012-04-16 2014-12-23 엄장환 열가소성 수지 부목원단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249A (en) * 1996-03-26 1998-03-31 Katzin, Deceased; Leonard Deformable orthosis
JP3051373U (ja) * 1998-02-13 1998-08-21 石垣 隆造 硬直包帯
US6022331A (en) * 1998-03-27 2000-02-08 Smith & Nephew, Inc. Custom-fitted ankle splint
EP2068786A1 (en) * 2006-10-03 2009-06-17 Fastform Research Limited Orthopaedic devices
DE102007017196A1 (de) * 2007-04-12 2008-10-16 Karl Otto Braun Gmbh & Co. Kg System zur Herstellung eines orthopädischen Splints aus einem Castmaterial mit wenigstens einem als Flachmaterialbahn vorliegenden thermoplastischen Castmaterial
HUE046825T2 (hu) * 2009-02-24 2020-03-30 Exos Llc Eljárás egy méretre szabott ortopéd termék kompozitanyag alkalmazásával történõ elõállítására
JP2011217818A (ja) * 2010-04-06 2011-11-04 Plastics Industry Development Center 熱可塑性と形状記憶可能な3次元網体片状材料
KR20140000548A (ko) * 2012-06-25 2014-01-03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정형 외과용 열가소성 부목
JP5985301B2 (ja) * 2012-08-10 2016-09-06 達宏 前田 応急用あて板
KR101538644B1 (ko) * 2014-06-26 2015-07-22 주식회사 우리소재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89976B1 (ko) * 2014-10-13 2016-01-29 김형섭 기능성 깁스
KR101768490B1 (ko) * 2015-08-07 2017-08-30 엄장환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2170A (ja) 2004-09-09 2008-04-24 ファストフォーム・リサーチ・リミテッド 再成形可能な熱可塑性材料からなる幾何学的孔付き保護及び/又はスプリント器具
US20100004576A1 (en) 2008-07-03 2010-01-07 Kathleen Molnar Finger Splint Device for Preventing Contractures and the Lik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475512B1 (ko) 2012-04-16 2014-12-23 엄장환 열가소성 수지 부목원단 제조방법
US20140081188A1 (en) 2012-09-19 2014-03-20 Calvin Hargis Wrist suppo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0180A (zh) 2018-01-02
CN107530180B (zh) 2020-12-22
WO2017171468A1 (ko) 2017-10-05
JP6703994B2 (ja) 2020-06-03
WO2017171126A1 (ko) 2017-10-05
JP2018519856A (ja) 2018-07-26
KR20170113446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34304B2 (en) Hardenable orthopaedic supports
EP1838254B1 (en) Cast assembly with breathable double knit type padding
US6942628B1 (en) Open cell mesh cast material
KR101984228B1 (ko)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
WO2005052235A1 (en) A soft, cushioning ans stiffening spacer fabric
US20050234374A1 (en) Splint or support with quick location technique
JP6416386B2 (ja) 優れた変形性と剛性とを有する熱可塑性ギプ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499269B1 (en) Hardenable orthopaedic supports
WO2000054708A1 (en) Splint bandage and method
JP2004533286A (ja) エッジがシールされた整形外科用ギブス包帯技術
KR101768490B1 (ko)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이의 제조방법
US6824522B2 (en) Hardenable orthopaedic supports
EP1685953B1 (en) Thermoplastic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orthopaedic devices and orthopaedic devices produced therefrom
KR101903132B1 (ko) 의료용 부목
EP1539057B1 (en) Hardenable orthopaedic supports
KR20170021169A (ko) 깁스 구조체
KR101649474B1 (ko) 의료용 부목
CN112336506A (zh) 肢体固定装置
JP2002159518A (ja) 整形外科用スプリント
WO2004112663A1 (en) Hardenable orthopaedic supports
JP2016220959A (ja) 医療用固定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