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644B1 -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644B1
KR101538644B1 KR1020140078560A KR20140078560A KR101538644B1 KR 101538644 B1 KR101538644 B1 KR 101538644B1 KR 1020140078560 A KR1020140078560 A KR 1020140078560A KR 20140078560 A KR20140078560 A KR 20140078560A KR 101538644 B1 KR101538644 B1 KR 10153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mold
shell
composite material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소재
박종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소재, 박종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소재
Priority to KR102014007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644B1/ko
Priority to PCT/KR2015/006514 priority patent/WO201519947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1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한 열가소성 캐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캐스트는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료를 사출 성형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그물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그물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10)와; 상기 구조체(10)의 외주면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부착 성형되는 외피(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캐스트를 그물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통풍성이 향상되고, 캐스트를 인서트 사출과 같은 기계적인 방식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대량생산에 적합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강건한 열가소성 캐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Thermoplastic Orthopedic Cas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형외과 등에서 인간이나 동물의 팔다리나 신체 부분이 골절 또는 손상된 경우 손상된 부위(환부)가 치료 과정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환부에 부착할 때 변형성이 우수하여 쉽게 시술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이나 팔다리 또는 척추가 골절되거나 손상된 경우 정형외과 등에서 원활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캐스트, 깁스, 스프린터 또는 교정장구(브레이스) 등(이하 '캐스트'라 통칭한다.)을 이용하여 손상된 관절이나 팔다리 또는 척추 등을 고정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손상된 관절이나 팔다리 또는 척추를 고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붕대와 석고를 이용하여 환부에 깁스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러한 석고는 무거울 뿐만 아니라 일단 응고되고 나면 재성형할 수 없고, 또한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 열화되거나 손상되기 때문에 환자가 목욕이나 샤워하기가 곤란하며, 아울러 깁스가 설치된 부분에는 공기가 쉽게 통하지 않는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목욕이나 샤워를 하더라도 손상되지 않고, 또한 공기가 쉽게 유통되도록 하는 구조의 캐스트가 개발되고 있는데, 그 하나의 예로서 미국 특허공보 제6,673,029호에 개시된 캐스트를 들 수 있으며, 이 캐스트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그 눈(120)의 크기가 큰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망 형상을 이루는 소재는 신체 부위를 강건하게 지지하고 보호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수지가 함침된 화이버글라스 화이버(110)를 6-12 층으로 적층하여 판재 형태로 형성한 다음, 이러한 판재 형상의 소재를 눈의 형상이 육각형의 메시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절단한 것으로서, 이러한 캐스트(100, 망상체)는 수지가 함침된 화이버글라스 화이버(110)를 여러 층으로 적층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수지가 함침된 화이버글라스 화이버(110)를 여러 층으로 적층하게 되면 수지를 함침하는 과정에서의 함침의 불균일로 인해 화이버 층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게 되고, 이렇게 매끄럽지 않은 표면으로 이루어진 캐스트(100)를 착용하게 되면 그로 인해 환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환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별도의 층을 또 다시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환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면에 별도의 층을 형성하더라도 그 내부에 위치하는 층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기 때문에 그 위에 적층되는 부분도 매끄럽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환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층을 일정 두께 이상이 되도록 하지 않으면 여전히 환자가 불편을 호소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특허는 캐스트(100)를 망상체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먼저 화이버글라스 화이버(110)를 사용하여 천을 만든 다음, 천에서 마름모 형상을 절단해 냄으로써 눈을 만들기 때문에 절단된 부분으로부터 화이버글라스 화이버(110)의 올이 풀려질 수 있고, 이 경우 캐스트(100)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며, 또한 풀린 올 부분에 수지가 함침된 경우 이 부분이 뾰족하게 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자극할 우려가 있다.
더구나 상기 캐스트(100)는 수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물이나 수분과의 접촉이 방지되어야 하므로 캐스트를 제조할 때에는 수분이나 습기가 제거된 밀폐공간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제조 후에도 수분과의 접촉이 차단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된 캐스트를 밀봉하여 보관하여야 하므로 제조관리와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한 번 경화되고 나면 다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환자의 회복정도에 따라 캐스트(100)를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캐스트(100)의 수정과 재사용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상기와 같은 수경화성 캐스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가소성 망상체로 이루어진 캐스트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하나의 예로서 미국 특허공개공보 2008-0154164호에 개시된 열가소성 캐스트를 들 수 있다.
상기 미국 특허공개공보 2008-0154164호에 개시된 캐스트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트(200)의 스프린트 부재(210)를 대략 다이아몬드 형상의 개구를 가진 망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복수 개의 마름모 형상의 통로(220)가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이때 스프린트 부재(210)의 소재는 신체 부위를 강건하게 지지하고 보호하는 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저온 성형이 가능한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기재에 리그노셀룰로오스 등의 첨가제가 혼합된 소재가 사용되며, 이러한 구조 및 사용 소재에 의해 변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은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게 하면서도 축선 1과 축선 3의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는 쉽게 늘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외형에 따라 망상체에 형성된 마름모의 형상이 쉽게 변형(이하, 이를 '변형'이라 칭함으로써 변이 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는 '신장'과 구별한다.)되도록 하여 시술의 용이성을 도모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캐스트는 변형이 용이하여 환자의 신체에의 시술은 비교적 수월하지만, 망 형상의 스프린트 부재(210)의 단면 전체가 리그노셀룰로오스가 첨가된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료에 의해 성형되기 때문에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재질의 무름으로 인해 변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이 제한되지 못하고 어느 정도 늘어나게 되며, 이 경우 변의 두께가 줄어들게 되어 이에 의해서도 캐스트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며, 또한 당초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캐스트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환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환부 주위에 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망 형태의 하부 패드(underlying padding, 또는 피부보호대)를 설치한 다음, 이 하부 패드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눈의 크기가 큰 망 형상의 캐스트를 가열함으로써 가소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환부에 둘러 성형한 다음 클립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시술하는데, 이와 같이 캐스트의 하부에 하부 패드를 설치하는 경우 통풍이 원활하지 못하고, 또한 샤워 등으로 인해 하부 패드에 물기가 스며들게 되면 하부 패드에 오랜 시간 동안 습기가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이 캐스트의 하부에 하부 패드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 상부 캐스트와 하부 패드 간의 접촉에 의해 하부 패드가 자유로이 유동되지 못하고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여 불편하고, 또한 하부 패드의 사용기간이 캐스트 사용기간보다 짧기 때문에 하부 패드를 가끔 교환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먼저 캐스트에 열을 가하여 캐스트를 녹인 다음 하부 패드를 교환한 후 재차 캐스트를 성형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교환절차가 까다롭고 불편하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환자의 신체부위에 캐스트를 시술할 때 변의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은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캐스트의 강도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환자의 신체부위의 외형에 따라 마름모 형태의 눈은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스트를 쉽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착용시 환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는 구조의 캐스트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가소성 소재로 이루어진 그물 형상의 캐스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변형성이 우수하고, 착용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캐스트를,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료를 사출 성형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그물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그물망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와; 구조체의 외주면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부착 성형되는 외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가소성 캐스트의 제조방법을,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료를 사출 성형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그물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그물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를 성형하는 구조체 성형 단계와; 구조체 성형 단계에 의해 성형된 구조체를 외피 제조용 금형의 내부에 넣는 구조체 안치 단계 및; 구조체 안치 단계에 의해 외피 제조용 금형의 내부에 안치된 상기 구조체에 고무 재질의 외피재를 사출함으로써 구조체의 외주면에 외피를 성형하는 외피 성형단계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구조체는 사출 성형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되고, 구조체 안치 단계는 외피 제조용 금형의 상부에 가이드캡을 설치한 다음, 구조체를 가이드캡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가압부재를 하강시킴으로써 구조체가 상기 외피 제조용 금형의 내부에 안치되도록 하는 절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 성형 단계에는, 구조체의 하면 일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한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외피를 성형하기 위한 외피 제조용 금형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 개 이상의 홈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피를 성형하기 위한 외피 제조용 금형에는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와 반대방향에 각각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 성형 단계는, 외피 제조용 금형에는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가 구비되어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에 의해 구조체가 외피 제조용 금형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외피가 일정 두께로 성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조체를 이루는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에는 섬유강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조체를 이루는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에는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부텐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조체를 이루는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에는 탈크, 솔비톨 또는 소디움벤조에이트 중 어느 하나의 핵제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구조체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캐스트가 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우수하고, 저융점 열가소성인 폴리카프로락톤을 주재료로 만들어져 있어 뜨거운 물 등에 넣어 가열하면 쉽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적용 가능한 환자의 신체 부위가 제한되지 않는 동시에 시술이 수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캐스트는 경량이면서도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깁스 등에 비해 두께가 얇아 환자가 캐스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그 위에 의복을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동과 사용이 간편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캐스트의 표면을 이루는 외피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성형되기 때문에 캐스트의 표면이 매끄러워 환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환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으며, 또한 구조체외 외피가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성형되기 때문에 자동화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캐스트를 구성하는 구조체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조시 수분 등을 차단하기 위한 밀폐시설이 요구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캐스트를 재가열함으로써 쉽게 수정할 수 있고, 또한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로 이루어진 구조체의 외주면을 고무 재질의 외피가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구조체를 가열하여 시술할 때 구조체의 과도한 신장이 제한되는 동시에 적절한 탄력성이 부여되어 신체를 강건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조체가 폴리카프로락톤에 섬유강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가 첨가된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굴곡강도와 충격강도가 우수하여 골절 부위 등을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캐스트의 외면이 저자극성 고무 재질의 외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캐스트의 하부에 피부보호대 등을 미리 감을 필요가 없다.
더욱 본 발명은 이동식 삽입 및 지지 스페이서에 의해 구조체가 외피 제조용 금형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구조체의 외주면에 외피재가 사출에 의해 충전됨으로써 일정 두께 이상의 외피가 성형되며, 이로 인해 캐스트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피의 손상이 적고 구조체가 외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캐스트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a와 도 2b는 종래의 캐스트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캐스트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캐스트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제조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를 성형하기 위한 구조체 제조용 금형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피를 성형하기 위해 구조체를 외피 제조용 금형의 내부에 삽입하는 형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외주면에 외피를 성형하는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피를 성형하기 위한 외피 제조용 금형의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9(a, b)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캐스트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캐스트를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하여 사용하는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와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골절 부위 등을 감싸 고정하거나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캐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캐스트는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10)와 이 구조체(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피(20)로 이루어진다.
구조체(10)는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caprolactone)을 주재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로 이루어지고, 그 전체 형상은 내부에 일정한 형태의 개구부가 규칙적으로 형성된 그물 형상을 가지며, 이때 구조체(10)의 각 변은 폭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큰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며, 이에 의해 외력이나 충격에 대해 충분한 강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구조체(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는 주재인 폴리카프로락톤과, 섬유강화 유리섬유(fiber reinforced glass fiber), 탄소섬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보강제에 의해 구조체(10)의 강도가 향상되고, 그 결과 구조체(10)의 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마름모 형태의 통기구의 비율이 높아져 캐스트의 통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조체(10)에 대한 첨가제로서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또는 폴리부텐(PB, Polybutene)도 첨가될 수 있는데, 이들은 구조체(10)의 재료 가격을 낮추고, 구조체의 고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환부에 캐스트를 시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구조체(10)의 외주면에는 외피(20)가 성형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외피(20)는 고무 재질로서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성형된다.
구조체(10)의 주재료가 융점 60~70℃인 저융점 열가소성 수지이고, 외피에 사용되는 탄성고무의 융점은 일반적으로 100℃ 이상이기 때문에 워터배스 등을 이용하여 70~100℃ 온도범위로 캐스트를 가열하면 구조체는 용융되어 변형가능하고, 외피는 용융되지 않는 상태에 있지만 탄성을 가진 재료이기 때문에 구조체와 외피로 이루어진 캐스트는 형태 변형이 가능하게 되며, 캐스트 변형시 외피의 탄성으로 과연신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그물 형상으로 이루어진 캐스트의 눈의 길이변화가 크지 않고, 그 결과 변의 두께가 얇아지지 않아서 캐스트의 굴곡강도 충격강도가 그대로 유지되며, 아울러 환자의 환부 모양에 맞도록 시술한 다음, 냉각되어 온도가 낮아지면 구조체는 결정화되면서 고화되어 강한 지지체가 되고, 외피는 탄성이 있기 때문에 피부에 편안하게 착용되는 피부보호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캐스트(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 성형 단계(S100), 구조체 안치 단계(S200) 및 외피 성형 단계(S300)를 통해 제조되는데, 이하에서는 각각의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1) 구조체 성형 단계(S100)
이 단계는 사출 공정이나 프레스 작업에 의해 일정한 크기를 가진 마름모 형상의 개구부 규칙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그물 형상의 구조체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이때 구조체(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카프로락톤을 주재로 하고,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폴리카프로락톤 주재에는 섬유강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의 보강제가 혼합되며, 또한 캐스트를 시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부텐 등이 첨가된다.
그리고 구조체(10)를 이루는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에는 탈크(talc), 솔비톨, 또는 소디움벤조에이트 등의 핵제가 추가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핵제의 추가에 의해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의 결정화가 촉진되어 빠른 시간에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의 고형화가 달성됨으로써 사출성형 시간이 단축되어 생상성이 향상되며, 또한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의 결정의 과대화가 방지됨으로써 균일한 강도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는 외력이나 충격에 대해 충분한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폭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큰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며, 이때 구조체(10)의 폭은 4~5 mm, 높이는 5.5~6.5 mm의 크기로 성형된다.
또한 구조체(10)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체 제조용 금형(2)에는 후술하는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3E)가 삽입되기 위한 홈(11)을 구조체(10)의 저면에 분포 형성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1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2A)에 1개 이상의 복수 개의 돌기(2B)가 분포되어 형성된다. 이때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3E)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캐스트를 환자의 환부에 설치하게 되면 캐스트가 설치되는 신체의 부위에 따라 캐스트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변형되는 부분(예를 들면 팔꿈치)이 생길 수 있고, 이 경우 구조체(10)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평면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고 평면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경우 돌출된 부분이 환자의 피부를 압박함으로써 환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조체(10)를 성형할 때 망 형상의 구조체(10)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함입된 형태의 홈(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거나, 또는 구조체(10)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두께가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는데, 이때 함입된 형태의 홈은 구조체(10)의 성형을 위한 구조체 제조용 금형(2)에 돌출 부분(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구조체(10)의 교차부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는 구조는 구조체 제조용 금형(2)에 있어서 이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도시하지 않음)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조체(10)가 사출 공정이나 프레스 작업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구조체(10)의 두께를 균일하고 신속하게 성형할 수 있어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또한 구조체(10)의 표면이 매끄럽게 된다.
(2) 구조체 안치 단계(S200)
이 단계는 구조체 성형 단계(S100)에 의해 성형된 구조체(10)의 외주면에 후술하는 외피 성형 단계(S300)에 의해 외피(20)를 부착할 수 있도록 구조체(10)를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에 안치시키는 단계로서,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상체 형태를 가지면서 상부에 곡면부 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외피 제조용 금형(3)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캡(3B)과, 구조체(10)를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쪽으로 밀어 넣는 가압부재(3C)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먼저 구조체(10)를 가이드캡(3B)의 상부에 올려놓은 다음, 가압부재(3C)를 외피 제조용 금형(3)쪽으로 하강시키게 되면 가이드캡(3B)의 상부에 놓인 구조체(10)가 가이드캡(3B)의 곡면부 또는 경사부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하강하여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에 쉽게 안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10)의 외부에 외피(20)가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고, 아울러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3) 외피 성형 단계(S300)
이 단계는 구조체(10)의 외부에 외피(20)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의 구조체 성형 단계(S100)를 거치게 되면 표면이 매끄러운 형태가 제조되게 되므로 구조체(10)만으로 캐스트를 구성하더라도 캐스트가 환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지만, 캐스트가 환자의 환부에 설치되고 나서 냉각되고 나면 구조체(10)가 딱딱하게 되기 때문에 환자가 불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구조체(10)의 외주면에 고무 재질의 외피(20)를 추가 성형함으로써 사용자가 캐스트를 착용하였을 때 불편을 더욱 느끼지 않도록 하며, 또한 캐스트 시술시 과연신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구조체(10)의 외주면에 외피(20)를 성형할 때에는 구조체 안치 단계(S200)를 통해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에 구조체(10)를 삽입(인서트)한 상태에서 구조체(10)와 외피 제조용 금형(3) 사이의 공간에 고무 재질의 외피재를 사출함으로써 성형하며, 이때 구조체(10)가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외피(20)가 성형되었을 때 외피(20)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이 된다.
이를 위해 구조체(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하면의 일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1개 이상의 홈(11)이 분포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이러한 형태의 외피(20)를 성형하기 위한 외피 제조용 금형(3)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10)가 안착되는 성형홈(3A)이 형성되며, 이 성형홈(3A)에는 구조체(10)의 하면 일부에 형성된 홈(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 개 이상의 홈(11)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spacer, 3E)와, 이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3E)와 반대방향에 각각 형성된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spacer, 3F)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0)를 성형할 때에는 먼저 하면의 일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홈(11)이 형성된 구조체(10)를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에 안치시킨 다음,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3E)와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F)를 구조체(10)를 향해 동시에 이동시키게 되면 구조체(10)는 이들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3E) 및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F)에 의해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 중앙으로 이동되게 되며, 이때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3E)는 구조체(10)의 하부에 형성된 홈(11)의 경사면에 의해 안내되어 홈(11)의 내부로 인입되며, 이 상태에서 외피 제조용 금형(3)과 구조체(10) 사이의 공간을 외피재를 사출하면서 상하면의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3E)와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F) 각각을 구조체(10)로부터 외측으로 사출 직후 보압과정 중에 후퇴시키게 되면 이에 의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 이상의 외피(20)가 성형된다.
한편, 위에서는 외피 제조용 금형(3)의 성형홈(3A)의 상하면에 각각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3E)와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F)가 구비되어 구조체(10)가 하부에 형성된 홈(11)에 의해 안내되면서 성형홈(3A)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 제조용 금형(3)에 있어서 최외각에 위치하는 4개의 측면에는 각각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G, 3H, 3I, 3J)를 구비하여 이들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가 구조체(10)의 최외각의 외면을 지지하여 구조체(10)가 성형홈(3A)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먼저, 외피 제조용 금형(3)의 성형홈(3A)에 구조체(10)를 안착시킨 다음,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G, 3H, 3I, 3J)를 성형홈(3A) 쪽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체(10)의 4개의 측면이 각각 해당 위치의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G, 3H, 3I, 3J)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여 구조체(10)가 성형홈(3A)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한 후, 외피 제조용 금형(3)과 구조체(10) 사이의 공간으로 외피재를 사출하면서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G, 3H, 3I, 3J)를 동시에 후퇴시키게 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10)의 외주면에 일정한 두께의 외피(20)가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캐스트(1)에는 고무 재질의 외피(20)가 일정 두께 이상이 되도록 성형됨으로써 이 외피(20)가 완충재로 작용하여 캐스트(1)가 환자의 피부에 직접 닿더라도 피부에의 압박이 감소되고, 그 결과 캐스트의 압박으로 인한 통증의 발생이 방지되며, 또한 캐스트(1)의 하부에 하부 패드(피부보호대) 등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캐스트 시술시 캐스트의 과연신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캐스트(1)를 환자의 환부에 설치할 때에는 먼저 상온의 캐스트(1)를 전자레인지나 워터배스 등의 가열기에 넣고 가열하여 부드럽게 연화시킴으로써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만든 다음, 골절 또는 교정이 필요한 환자의 환부를 감싸도록 설치한 후,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트(1)가 서로 맞닿는 양단을 고정부재(F)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캐스트(1)를 상온까지 서서히 냉각시켜 고화되도록 한 다음, 고정클립에 의해 양단을 연결함으로써 캐스트(1)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캐스트(1)의 양단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고정부재(F)는 클립 형태 또는 버클 형태를 포함하여 캐스트(1)의 양단을 고정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의 것도 사용될 수 있으나, 환자가 캐스트(1)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X-ray 검사 등을 행할 수 있도록 금속소재가 아닌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환자의 환부로부터 캐스트(1)를 제거하거나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캐스트(1)의 양단에 설치된 고정부재(F)를 제거한 다음, 캐스트(1)의 양단을 가볍게 벌리는 것만으로 환부로부터 캐스트(1)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해체가 비교적 간단하며, 이후 캐스트(1)를 환자의 다시 환부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해체된 캐스트(1)를 다시 가열하여 연화시킨 다음, 위에서 설명한 캐스트(1) 설치과정을 다시 거침으로써 쉽게 수정 및 재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캐스트를 망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통풍성이 향상되고, 또한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로 이루어진 구조체와 고무 재질의 외피를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캐스트를 쉽고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체가 열가소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열을 가함으로써 수정 및 재사용할 수 있다.
1: 캐스트 2: 구조체 제조용 금형
3: 외피 제조용 금형 2A: 성형홈
2B: 돌기 3A: 성형홈
3B: 가이드캡 3C: 가압부재
3D: 스페이서 3E: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
3F, 3G, 3H, 3I, 3J: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
10: 구조체 11: 홈
20: 외피 F: 고정부재

Claims (13)

  1. 환자의 골절 부위 등의 신체를 감싸 고정하는 캐스트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는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료를 사출 성형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그물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그물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10)와;
    상기 구조체(10)의 외주면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부착 성형되는 외피(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10)를 이루는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에는 섬유강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10)를 이루는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에는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부텐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10)를 이루는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에는 탈크, 솔비톨 또는 소디움벤조에이트 중 어느 하나의 핵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10)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의 홈(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
  6. 환자의 골절 부위 등의 신체를 감싸 고정하는 캐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 제조방법은,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료를 사출 성형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그물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그물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10)를 성형하는 구조체 성형 단계(S100)와;
    상기 구조체 성형 단계(S100)에 의해 성형된 구조체(10)를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에 넣는 구조체 안치 단계(S200) 및;
    상기 구조체 안치 단계(S200)에 의해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에 안치된 상기 구조체(10)에 고무 재질의 외피재를 사출함으로써 상기 구조체(10)의 외주면에 외피(20)를 성형하는 외피 성형 단계(S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1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상기 구조체 안치단계(S200)는 상기 외피 제조용 금형(3)의 상부에 가이드캡(3B)을 설치한 다음, 상기 구조체(10)를 상기 가이드캡(3B)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가압부재(3C)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구조체(10)가 상기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에 안치되도록 하는 절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피 성형 단계(S300)에는, 상기 구조체(10)의 하면 일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한 개 이상의 홈(11)이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상기 외피(20)를 성형하기 위한 외피 제조용 금형(3)에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홈(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 개 이상의 홈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3E)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피 제조용 금형(3)에는 상기 이동식 삽입 스페이서(3E)와 반대방향에 각각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F)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성형 단계(S300)에는, 상기 외피 제조용 금형(3)에는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G, 3H, 3I, 3J)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식 지지 스페이서(3G, 3H, 3I, 3J)에 의해 상기 구조체(10)가 상기 외피 제조용 금형(3)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피(20)가 일정 두께로 성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에는 섬유강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에는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부텐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복합재에는 탈크, 솔비톨 또는 소디움벤조에이트 중 어느 하나의 핵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캐스트의 제조방법.
KR1020140078560A 2014-06-26 2014-06-26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3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560A KR101538644B1 (ko) 2014-06-26 2014-06-26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5/006514 WO2015199473A1 (ko) 2014-06-26 2015-06-25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560A KR101538644B1 (ko) 2014-06-26 2014-06-26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644B1 true KR101538644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560A KR101538644B1 (ko) 2014-06-26 2014-06-26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8644B1 (ko)
WO (1) WO201519947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468A1 (ko) * 2016-03-31 2017-10-05 주식회사 이엠텍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8119A (ko) * 2017-05-22 2018-12-03 김형우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EP3332753A4 (en) * 2015-08-04 2019-11-27 openM Inc. THERMOPLASTIC CASTING
KR20200111920A (ko) 2019-03-20 2020-10-05 (주)포스메디칼 의료용 열가소성 깁스
KR102358253B1 (ko) * 2020-12-11 2022-02-07 김영철 열가소성수지 기반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2670A1 (ja) * 2019-03-29 2020-10-0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と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電動車両及び蓄電装置、電源装置用締結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8909A (ja) * 1993-04-16 1996-09-24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整形外科キャスティング材料
JPH09504454A (ja) * 1993-11-04 1997-05-06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包 帯
KR100385792B1 (ko) * 2000-12-21 2003-06-02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부목 구조
KR20140070824A (ko) * 2012-11-28 2014-06-11 주식회사 우리소재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8909A (ja) * 1993-04-16 1996-09-24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整形外科キャスティング材料
JPH09504454A (ja) * 1993-11-04 1997-05-06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包 帯
KR100385792B1 (ko) * 2000-12-21 2003-06-02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부목 구조
KR20140070824A (ko) * 2012-11-28 2014-06-11 주식회사 우리소재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2753A4 (en) * 2015-08-04 2019-11-27 openM Inc. THERMOPLASTIC CASTING
US11607347B2 (en) 2015-08-04 2023-03-21 Openm Inc. Thermoplastic cast
AU2021202336B2 (en) * 2015-08-04 2023-05-25 Openm Inc. Thermoplastic cast
WO2017171468A1 (ko) * 2016-03-31 2017-10-05 주식회사 이엠텍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
JP2018519856A (ja) * 2016-03-31 2018-07-26 エモテ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Emtech Co.,Ltd. 熱可塑性樹脂生地を用いた副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28119A (ko) * 2017-05-22 2018-12-03 김형우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0654B1 (ko) 2017-05-22 2020-01-30 (주)플로이드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11920A (ko) 2019-03-20 2020-10-05 (주)포스메디칼 의료용 열가소성 깁스
KR102358253B1 (ko) * 2020-12-11 2022-02-07 김영철 열가소성수지 기반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473A1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644B1 (ko)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38642B1 (ko)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14493B1 (ko)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US20040139531A1 (en) Custom fitted helm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220192153A1 (en) Flexible pads and shield systems
KR101425883B1 (ko)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WO2007047923A2 (en) Custom-fitted helm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749423B2 (en) Method of producing an orthotic brace or prosthetic device
KR101916033B1 (ko) 환자용 부목
KR101936952B1 (ko)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KR101768490B1 (ko)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8645B1 (ko)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KR101984228B1 (ko)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
US20160074199A1 (en) Reinforced lower limb orthotic brace
KR101806610B1 (ko) 깁스 구조체
KR101052918B1 (ko) 캐스팅 테이프
JP7328496B2 (ja) 構造体及び構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