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554B1 -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 - Google Patents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554B1
KR102351554B1 KR1020210033461A KR20210033461A KR102351554B1 KR 102351554 B1 KR102351554 B1 KR 102351554B1 KR 1020210033461 A KR1020210033461 A KR 1020210033461A KR 20210033461 A KR20210033461 A KR 20210033461A KR 102351554 B1 KR102351554 B1 KR 102351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polymer
fabric
pcl
material containing
s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원
Original Assignee
박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원 filed Critical 박두원
Priority to KR1020210033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프로락톤(PCL)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CL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의 특이성으로 인한 사출용이성 및 가공용이성 등이 확보된 소재와 이를 이용하여 케이스별 맞춤식 부목(스프린트, Splint)제작이 가능하고, 상시 변형 및 재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후 폐기시 자연적으로 생분해되는 것이 가능한 친환경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 {Material containing polycaprolactone biodegradable polymer and spli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카프로락톤(PCL)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CL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의 특이성으로 인한 사출용이성 및 가공용이성 등이 확보된 소재와 이를 이용하여 케이스별 맞춤식 부목(스프린트, Splint)제작이 가능하고, 상시 변형 및 재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후 폐기시 자연적으로 생분해되는 것이 가능한 친환경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염좌, 미세골절 또는 복합골절 등의 치료를 위해 소정기간 관절 또는 근육의 고정 및 지지가 요구되는 경우, 붕대 및 석고 등을 이용하여 환부 및 환부 주변을 감싸고 이를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붕대 및 석고 등을 이용하여 초기진료 시 환부 일부 또는 전체를 커버하며 치료를 진행하는 방법(깁스)은 환부의 붓기가 빠지며 고정된 석고틀 깁스와 환부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거나, 환부를 비롯한 주변 조직의 운동량이 적어지며 발생하는 근손실로 인해 고정된 석고틀 깁스와 환부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하며 환부 및 환부 주변에 대한 완벽한 고정 및 지지가 불가하였다.
또한, 환부 및 주변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통깁스의 경우는 장기간동안 세척 및 통기가 불가능하여 오히려 환부에 대한 오염이 발생하고 위생상의 문제점이 부각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벨크로와 경화 플라스틱 소재 등을 이용하여 착탈가능한 부목이 개발되었으나, 획일화된 사이즈별로 맞추어 생산될 수 밖에 없는 점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함 및 상시 사이즈 재조정이 실질적으로 불가한 경우가 존재하여 단순한 착탈가능한 기능 부가에 불과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상기 경화 플라스틱 소재는 대부분이 생분해되지 않는 소재로 사용되고 있어 사용 후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한 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붕대 및 석고 깁스 및 벨크로와 경화 플라스틱 소재 등을 이용한 환부 및 주변의 고정 및 지지하는 방법이 가지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가능하며, 생분해되어 폐기물에 대한 이슈 없이 친환경적 특징을 가지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1035호
본 발명은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 구성을 통해 환부의 붓기가 빠지며 고정된 석고틀 깁스와 환부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거나, 환부를 비롯한 주변 조직의 운동량이 적어지며 발생하는 근손실로 인해 고정된 석고틀 깁스와 환부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하며 환부 및 환부 주변에 대한 완벽한 고정 및 지지가 불가한 문제점 및 부목에 사용되는 경화 플라스틱 소재가 대부분이 생분해되지 않는 소재로 사용되고 있음으로 인해 사용 후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한 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발생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을 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섭씨 60도 이상 섭씨 100도 이하에서의 분자구조 변화를 통해 연성을 가지며 상온에서 경화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로서, PCL, CaCO3, TiO2 및 PCL polyol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융하여 하나의 고분자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PCL은,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90~95%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CaCO3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3~7%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TiO2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0.5~3%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PCL polyol은,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0.01~3%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CL은 분자량이 84000~85500g/mol인 것이 가능하고, 상기 PCL은 융융지수가 8~9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소재관련 특성뿐 아니라, 해당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 관련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젝션 몰딩 사출방식 또는 압출방식으로 제조되는 판재 형상의 원단을 포함하는 스프린트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원단은 판재 형상의 원단 두께가 2.4~5mm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원단은 프레스 방식을 통해 각 신체부위를 커버가능한 소정의 형상으로 커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프레스 방식의 커팅과 함께 상기 원단에 프레스 방식을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타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타공은, 격자형 또는 직선형 배치를 가지며, 상기 타공 밀도는 5~42%이고, 타공내경은 1.0~4.0mm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원단은 신체부위를 감싸며 상기 원단을 신체부위에 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크로가 구비된 별도의 커버부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카프로락톤(PCL)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CL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의 특이성으로 인한 사출/압출용이성 및 가공용이성 등이 확보된 소재와 이를 이용하여 케이스별 맞춤식 부목(스프린트, Splint)제작이 가능하고, 상시 변형 및 재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후 폐기시 자연적으로 생분해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대한 원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대한 적용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적용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대한 착용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대한 원단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대한 적용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확인하면 본 발명의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가 착용자의 신체에 맞게 착용되기 전의 원단의 형태와 착용자의 신체에 맞게 착용되기 위해 성형된 이후의 원단 형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염좌 또는 골절 등의 사고 발생 시, 붕대 및 석고 등을 이용하여 초기진료 하며 환부 일부 또는 전체를 커버하며 치료를 진행하는 방법(깁스)은 환부의 붓기가 빠지며 고정된 석고틀 깁스와 환부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거나, 환부를 비롯한 주변 조직의 운동량이 적어지며 발생하는 근손실로 인해 고정된 석고틀 깁스와 환부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하며 환부 및 환부 주변에 대한 완벽한 고정 및 지지가 불가하였다.
또한, 환부 및 주변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통깁스의 경우는 장기간동안 세척 및 통기가 불가능하여 오히려 환부에 대한 오염이 발생하고 위생상의 문제점이 부각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벨크로와 경화 플라스틱 소재 등을 이용하여 착탈가능한 부목이 개발되었으나, 획일화된 사이즈별로 맞추어 생산될 수 밖에 없는 점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함 및 상시 사이즈 재조정이 실질적으로 불가한 경우가 존재하여 단순한 착탈가능한 기능 부가에 불과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상기 경화 플라스틱 소재는 대부분이 생분해되지 않는 소재로 사용되고 있어 사용 후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한 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붕대 및 석고 깁스 및 벨크로와 경화 플라스틱 소재 등을 이용한 환부 및 주변의 고정 및 지지하는 방법이 가지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가능하며, 생분해되어 폐기물에 대한 이슈 없이 친환경적 특징을 가지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에 맞추어, 본 발명은 PCL(Polycaprolactone, 폴리카프로락톤), CaCO3(Calcium carbonate, 탄산칼슘), Ti02(Titanium dioxide, 이산화티타늄) 및 PCL polyol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융하고 이를 균일하게 믹스하여 하나의 사출 또는 압출 가능한 고분자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고분자 소재를 판재 형상의 원단으로 사출 또는 압출 후 경화온도로의 냉각 등을 통해 경화된 성질의 판재 형상의 가공된 원단 형태의 스프린트(Splint, 부목)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는 섭씨 60도에 가까운 온도에서부터 경화 판재가 충분한 연성을 가지며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하여 착용자의 신체특성에 따른 굴곡면을 따라 구부러지며 상온의 온도로 냉각 후 경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섭씨 60도 이상 섭씨 100도 이하의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에 2~3분 가량 소정시간 노출될 경우, 착용자의 신체 굴곡면을 따라 자유로이 변형가능한 연성을 충분히 가지며, 착용자의 신체면에 접한상태에서 약 2~3분 가량 상온에 노출되며 냉각될 경우, 섭씨 60도 이상 섭씨 100도 이하의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에 노출되기 이전의 상태인 경화된 상태로 돌아가며, 착용자의 신체를 흔들림 없이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가능하다.
이와 같은 손쉬운 맞춤식 스프린트 형태 가공방법을 통해 언제든 착용자의 신체컨디션 또는 상황에 따라 자유로이 부목의 형태를 변형하며 착용자의 치료 및 회복에 최적의 도움이 되도록 스프린트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착용 후 제거하기 전까지 착용자 또는 의료전문가가 임의로 제거하기 힘들었던 석고붕대 등이 가지는 전술한 위생상의 문제점 등을 극복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섭씨 60도 이상 섭씨 100도 이하에서의 분자구조 변화를 통해 연성을 가지며 상온에서 경화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로서, PCL, CaCO3, TiO2 및 PCL polyol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융하여 하나의 고분자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PCL, CaCO3, TiO2 및 PCL polyol은 각각이 따로 용융되어 하나의 혼합체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PCL, CaCO3, TiO2 및 PCL polyol이 고체 입자 형태로 최적비로 혼합된 것을 한 공간에서 믹스시키며 용융시키는 형태로 하나의 고분자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가 제공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온에서의 최적의 경화도와 섭씨 60도 이상에서 단시간내에 충분한 연성을 가지지 위하여, 상기 PCL은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90~95%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CaCO3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3~7%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TiO2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0.5~3%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PCL polyol은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0.01~3%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CL
중량비(%)
CaCO3 중량비(%) TiO2
중량비(%)
PCL polyol
중량비(%)
비고
예 1 93 7 0 0 섭씨65도 부근의 온도에서 비교적 연질의 정도가 낮아서 재가공이 용이하지 않음
예 2 90 5 5 0 섭씨65도 부근의 온도에서 재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연질상태에서의 투명도가 낮음
예 3 87 3 0 10 섭씨65도 부근의 온도에서 재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의도한 형상대로의 성형이 어려움
예 4 89 3 3 5 섭씨65도 부근의 온도에서 재가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였으나, 연질상태에서 투명도가 낮고 의도한 형상대로의 성형이 어려움
실시예 1 94 4 1 1 섭씨65도 이상의 온도에서 재가공이 용이하며, 연질상태에서의 신축성능과 경화시 경도의 적합성이 보장됨
상기 PCL은, 친환경 고분자물질(바이오플라스틱)로서 토양에 매립시 수십일 이내에 분해가 완료되는 소재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친환경 고분자물질 PCL을 90~95%를 포함하되, 상기 CaCO3, TiO2 및 PCL polyol에 대한 각각의 수치한정비의 최적값을 찾아, 상기 스프린트의 경도와 신축성능(40Mpa이상)을 확보하면서도 섭씨 60도 이상의 상대적 저온에 2분 가량 노출될 경우 충분한 연성을 확보하는 기술특징을 가진다고 할 것이다.
상기 PCL은 분자량이 84000~855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융융지수가 8~9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타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스프린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을 가지되, 신축성능 및 경화시 강도는 소정 수준 이상의 성능을 확보하며, 용융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아 가공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소재 자체뿐 아니라, 도 1 내지 도 4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의 구성 역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젝션 몰딩 사출방식 또는 압출방식으로 제조되는 판재 형상의 원단(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원단(100)은 판재 형상의 상기 원단(100) 두께가 2.4~5.0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젝션 몰딩 사출방식 또는 압출방식으로 제공되는 판재 형상의 상기 원단(100)은 두께가 2.4~5.0mm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신체의 굴곡에 따라 완만한 굴곡을 가지며 빈틈없이 밀착하여 경화 후 견고한 지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성분별 최적 혼합비를 준수하여 제조된 원단의 경우, 40Mpa이상의 신축성능이 확보됨과 더불어 상기 2.4~5.0mm, 즉 바람직하게로는 2.4mm, 3.2mm 또는 4.0mm 등으로 두께의 상대적 박형의 판재 형상에도 불구하고 착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고 불필요한 운동상태를 예방하기 위한 충분한 경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원단(100)은 평판형상의 경화된 소재 자체로 사출 또는 압출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후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직접 신체사이즈에 맞춤식으로 재단되고 타공작업이 진행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스 방식을 통해 각 신체부위를 커버가능한 소정의 형상으로 커팅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착용자의 신체형태에 따라 맞춤식으로 커팅된 각각의 원단(100)은 경화된 상태이므로 해당 커팅된 커팅면(400)이 날카로워 착용자의 신체에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프레스 금형의 설계 등을 통해 프레스 방식을 통한 커팅 시 커팅면(400)이 라운드 또는 완만한 각을 이루도록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 등을 통해 맞춤식으로 커팅된 각각의 원단(100)의 커팅면 부위가 일부 용융되어 마무리되거나 커팅되어 라운딩처리되어 가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프레스 방식의 커팅과 함께 상기 원단(100)에 프레스 방식을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타공(20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타공(200)은 상기 프레스 방식의 원단(100) 커팅과정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스 방식의 원단(100) 커팅과정 이후에 별도의 과정을 통해 타공(20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타공(200)은 상호가 격자형 또는 직선형(가로 및 세로)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타공 밀도는 5~42%이고, 타공내경은 1.0~4.0mm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원단(100)은 신체부위를 감싸며 상기 원단(100)을 신체부위에 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크로(300)가 구비된 별도의 커버부와 결합가능하여 착용자의 환부 또는 신체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벨크로(300)가 구비된 별도의 커버부는 상기 원단(100)과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어, 착용자의 신체에 맞춤식으로 원단(100)을 밀착시키기 위해 연성을 갖도록 섭씨 60도~100도 사이의 유체에 상기 원단(100)을 변형시킬 경우에도, 상기 커버부를 상기 원단(100)과 분리하여 상기 원단(100)만을 연성 변형 후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며, 상기 원단(100)이 냉각 후 최종 형태변형이 완료된 경우 별도의 커버부와 함께 결합하여 최종적인 하나의 스프린트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형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형 고정부는 상기 원단(100)에 가공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타공(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입되어 착용자의 신체구조에 맞춰 유연한 위치설정을 가지며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적용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에 대한 착용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확인하면, 착용자의 환부위치 또는 신체형태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로 프레스 가공된 원단(100)의 형태 및 실 착용예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착용자는 본인의 환부위치 및 신체구조에 맞는 적절한 형태 및 크기의 가공된 원단(100)을 이용하여 간편하면서도 환자 신체구조에 최적화된 스프린트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환부를 결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원단
200 : 타공
300 : 벨크로
400 : 커팅면

Claims (10)

  1. 섭씨 60도 이상 섭씨 100도 이하에서의 분자구조 변화를 통해 연성을 가지며 상온에서 경화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로서,
    PCL;
    CaCO3;
    TiO2; 및
    PCL polyol;
    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융하여 하나의 고분자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PCL은,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90~95%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CaCO3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3~7%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TiO2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0.5~3%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PCL polyol은, 상기 고분자 조성물 전체의 0.01~3%의 중량비를 가지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포함하여,
    인젝션 몰딩 사출방식 또는 압출방식으로 제조되는 판재 형상의 원단(100);
    을 구비하되,
    상기 원단(100)은,
    판재 형상의 상기 원단(100) 두께가 2.4~5.0mm로 구성되고, 프레스 방식을 통해 각 신체부위를 커버가능한 소정의 형상으로 커팅되되, 상기 프레스 방식의 커팅과 함께 상기 원단(100)에 프레스 방식을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타공(2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L은,
    분자량이 84000~855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린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L은,
    융융지수가 8~9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린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개의 타공(200)은,
    격자형 또는 직선형 배치를 가지며, 상기 타공 밀도는 5~42%이고, 타공내경은 1.0~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100)은,
    신체부위를 감싸며 상기 원단(100)을 신체부위에 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벨크로(300)가 구비된 별도의 커버부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스프린트
KR1020210033461A 2021-03-15 2021-03-15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 KR10235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61A KR102351554B1 (ko) 2021-03-15 2021-03-15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61A KR102351554B1 (ko) 2021-03-15 2021-03-15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554B1 true KR102351554B1 (ko) 2022-01-13

Family

ID=7934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461A KR102351554B1 (ko) 2021-03-15 2021-03-15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5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8812A (ja) * 1993-11-09 1997-09-09 ランデ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整形外科用キャスト
KR20000008609A (ko) * 1998-07-15 2000-02-07 최윤소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캐스트 조성물
KR20150081035A (ko) 2014-01-03 2015-07-13 김형섭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8812A (ja) * 1993-11-09 1997-09-09 ランデ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整形外科用キャスト
KR20000008609A (ko) * 1998-07-15 2000-02-07 최윤소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캐스트 조성물
KR20150081035A (ko) 2014-01-03 2015-07-13 김형섭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5907B1 (en) Orthosis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20170079830A1 (en) A breathable and customized cast for immobilization of fractured limb
JP6416386B2 (ja) 優れた変形性と剛性とを有する熱可塑性ギプ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95801B1 (en) Form-in-place foam orthopedic splint system
US20040024337A1 (en) Orthopedic casting material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EP1854439B1 (en) Immobilisation device
KR102351554B1 (ko)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린트
KR101538645B1 (ko)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GB2288541A (en) Orthopaedic support
KR20140000548A (ko) 정형 외과용 열가소성 부목
KR102271801B1 (ko)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KR101903132B1 (ko) 의료용 부목
KR10156364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26641Y1 (ko) 의료용 부목
US20070142758A1 (en) Fixing means for temporarily fixing human or animal body parts
KR102070654B1 (ko)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90084B1 (ko)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KR102352168B1 (ko) 욕창 방지용 부목
JP2001269366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材及びこれを用いたキャスト材
US20220387206A1 (en) A polysiloxanes orthopaedic immobilizer
KR20210122747A (ko) 열가소성 캐스트
US20220176008A1 (en) Medical Fixing Material with Outstanding Breathability and Ease of Application
KR20110067800A (ko) 응급처치용 부목
KR100499016B1 (ko) 3중 수분경화 내부 직물재로 구성된 의료용 부목
KR20220042327A (ko) 열가소성 캐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