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084B1 -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 Google Patents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084B1
KR102390084B1 KR1020190146413A KR20190146413A KR102390084B1 KR 102390084 B1 KR102390084 B1 KR 102390084B1 KR 1020190146413 A KR1020190146413 A KR 1020190146413A KR 20190146413 A KR20190146413 A KR 20190146413A KR 102390084 B1 KR102390084 B1 KR 102390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plint
skin
air ba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654A (ko
Inventor
박상현
장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메딕
Publication of KR2020005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16Inflatable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와 접촉하는 내피,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와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 배치되어 경화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고정재를 구비하는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서, 관절에 대응되는 소정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킬 있도록 폐합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절개부를 중심으로 고정영역과 절개영역으로 구분되고,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면과 피부와 맞닿는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주머니가 배치되고, 공기주머니는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면과 피부와 맞닿는 내측면 사이에 공기압을 조정하여 피부의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방지하고, 절개영역은 환자의 관절에 맞닿아 고정재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제거되어 환자의 관절영역을 노출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통풍 및 환기가 원활하게 되어 욕창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려움 증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골절 및 인대 손상으로 인해 부목을 사용할 때에 환자의 관절영역에 부목과 피부사이에 공기주머니를 적용하여 공기압 조절을 통해 통풍이 원활하게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Splint for preventing sore having air pocket}
본 발명은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골절 및 인대 손상으로 인해 부목을 사용할 때에 환자의 관절영역에 부목과 피부사이에 공기주머니를 적용하여 공기압 조절을 통해 통풍이 원활하게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정형 외과용 부목은 뼈가 골절되거나 금이 간 경우 또는 인대의 신장과 파열시 다친 관절과 근육조직의 지지 및 고정을 위해 부분적이거나 전체적으로 단단히 감아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의료용부목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굴곡진 손상부위의 모양을 쉽게 성형하기 위해 유연성이 있어야 하고 성형하기 위한 응고시간이나 작업시간이 적절해야 하며 다루기 쉬워야 하고 경화 후에는 그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건을 갖춘 부목재료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석고재료가 도포된 붕대를 다친 부위에 감는 방법이다.
종래의 석고붕대는 경화전 유연성이 뛰어나 굴곡진 손상부위의 모양을 쉽게 성형할 수 있으며 응고시간이나 작업시간이 적절하며, 경화후 기계적 강도가 높아 부목재료로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석고붕대는 충분한 두께로 환부를 감아야 하므로 붕대를 감는 데 상당한 시간을 요하게 된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석고붕대, 유리섬유, 또는 합성섬유 편직물에 습기경화형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하고 이를 8∼10겹으로 겹쳐 만들어 사용시간을 줄이는 부목도 고안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의료용 부목은 외피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베이스 소재를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나 석고액과 같은 경화용액의 내부에 침지시키고 내외면에 일체로 도포시키는 경우 배수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상처부위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부목으로 사용 경우 공기가 침투되지 않아 환자의 상처가 빨리 아물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의료용 부목은 팔꿈치와 같이 인체의 굴곡진 부위를 감싸는 경우에 인체의 굴곡직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통풍이 되지 않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피부에 욕창(sore)이 발생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전단술까지 시술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의료소송까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꿈치에 욕창 방지용 패드를 적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나, 욕창 방지용 패드도 피부와 맞닿으면서 통풍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시킬 수 있으며, 관통공이 형성된 패드를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이 통풍이 아니라 부분적인 통풍을 제공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4122호, 2017년 8월 2일)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골절 및 인대 손상으로 인해 부목을 사용할 때에 환자의 관절영역에 부목과 피부사이에 공기주머니를 적용하여 공기압 조절을 통해 통풍이 원활하게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와 접촉하는 내피,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와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 배치되어 경화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고정재를 구비하는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은 관절의 소정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관절에 대응되는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에 폐합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절개부를 중심으로 고정영역과 제거영역으로 구분되고, 제거영역은 환자의 관절에 맞닿아 고정재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제거되어 환자의 관절영역을 노출된다.
여기서,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면과 피부와 맞닿는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주머니;를 더 포함하며, 공기주머니는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면과 피부와 맞닿는 내측면 사이에 공기압을 조정하여 피부의 욕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욕창 방지용 부목은 공기주머니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더 구비하고, 공기주머니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주입되거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하로 주입되는 경우, 알람을 형성하여 의료진에게 알람을 형성하는 알람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제거영역은 외피에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영역은 복수의 홀 또는 환자의 피부와 맞닿는 면에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은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통풍 및 환기가 원활하게 되어 욕창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려움 증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골절 및 인대 손상으로 인해 부목을 사용할 때에 환자의 관절영역에 부목과 피부사이에 공기주머니를 적용하여 공기압 조절을 통해 통풍이 원활하게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목을 장시간 사용한 상태에서 발꿈치에 욕창이 발생한 것을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부목을 사용할 때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지 패드를 적용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부목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부목과 종래의 부목에 대한 압력을 비교한 임상실험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부목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부목과 종래의 부목에 대한 압력을 비교한 임상실험결과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10)은 피부와 접촉하는 내피(110),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120)와 내피(110) 및 외피(120) 사이에 배치되어 경화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고정재(130)를 구비한다.
내피(110)는 피부 또는 피부를 감싸는 붕대에 면접촉되는 부분으로서, 폴리에스터 편직물, 유리섬유 편직물 또는 부직포와 같이, 신축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며, 골절부위를 둘러쌀 수 있는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피(120)는 내피(110)와 함께 고정재(130)의 수용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골절부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내피(110)와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터 편직물, 유리섬유 편직물 또는 부직포와 같이, 신축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피(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내피(110)와 내피(110) 사이에는 다수의 고정재(130)가 삽입 배치되며, 고정재(130)는 경화되기 전에 골절부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된다. 따라서 골절부위가 발뒤꿈치와 같은 굴곡부위일 경우에도, 골절부위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고정재(130)는 유리섬유를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고정재(130)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의 특성상 성형성이 매우 우수하여, 상온 및 상압에서 별도의 금형없이도 골절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고정재(130)는 열가소성수지 재질로도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고정재(130)는 열을 가함에 의해 다른 형상으로 변형가능함에 따라 다른 골절부위에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고정재(130)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수분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같이, 열 또는 수분에 의해 골절부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경화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최초 액체에서 열 또는 수분에 의해 고체상태로 변화되면서 골절부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경화가능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고정재(130)는 그 내부에 열 또는 수분경화성 액체가 수용된 폐쇄튜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10)은 피부와 접촉하는 내피,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와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 배치되어 경화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고정재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면과 피부와 맞닿는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주머니(17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주머니(170)는 외부의 공기펌프(20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압을 통해서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면과 피부와 맞닿는 내측면 사이에 공기압을 조정하여 피부의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주머니(170)는 욕창 방지용 부목(10)의 내측면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공기펌프(200)는 공기압을 주입할 때에, 압력을 센싱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더 구비하고, 공기주머니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주입되거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하로 주입되는 경우, 알람을 형성하여 의료진에게 알람을 형성하는 알람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절의 소정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관절에 대응되는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에 폐합의 절개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개부(140)를 중심으로 고정영역(150)과 절개영역(160)으로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10)의 전체 영역이 구분된다. 절개영역(160)은 환자의 관절에 맞닿아 고정재(130)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제거되어 환자의 관절영역을 포함한 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본 발명에서 절개영역(160)의 형상은 대략적으로 목부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가 넓게 형성되는 장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장구형상으로 형성되면, 목 부분은 좁기 때문에 쉽게 접을 수 있으며, 목 부분의 양측은 넓어져서 뒷꿈치나 팔꿈치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지지력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여 피부와 맞닿는 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된 영역으로 인해서 환자의 피부에 작용하는 압력은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피부와 맞닿는 면적의 감소로 인한 열 전달 수준이 낮아져서 화상의 위험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종래의 부목에 같은 압력을 순차적(압력을 주는 것을 반복)으로 가하면서 임상적으로 비교하였다. 이때, 시간(X축)에 따른 뒷꿈치에 걸리는 압력(Y축)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이 종래의 부목에 비해서 2배 이상 작용하는 압력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절개영역(160)은 외피에 손잡이(161)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161)를 잡고서 잡아당기게 되면 절개부(140)를 통해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10)에서 절개영역(160)을 보다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고정영역(150)은 복수의 홀 또는 환자의 피부와 맞닿는 면에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15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영역(150)의 내피(110)에 형성된다. 볼록부(151)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볼록부(151a)와 제2 볼록부(151b)가 균일하게 분포된다.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볼록부(151a)와 제2 볼록부(151b)는 피부와 맞닿을 때에 균일한 크기의 볼록부에 비해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을 더욱 증대시켜 통풍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피부와 맞닿는 내피(110)는 마(Dioscorea batatas)의 성분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볼록부(151)의 내측에는 마의 유효성분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내피(110)가 피부와 맞닿을 때, 마의 유효성분이 피부에 전달되어 피부에 염증 발생을 감소시켜 피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트러블을 대폭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풍홀(152)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영역(150)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통풍홀(152)을 통하여 피부 내측으로 공기의 유동을 제공함으로써 증대시켜 통풍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마의 성분은 내피(1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뒤꿈치(B)를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통풍 및 환기가 원활하게 되어 욕창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려움 증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관절영역을 발뒤꿈치로 설명하였으나, 팔 꿈치(eblow)와 같은 모든 관절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욕창 방지용 부목 110 : 내피
120 : 외피 130 : 고정재
140 : 절개부 150 : 고정영역
151 : 볼록부 152 : 통풍홀
160 : 절개영역 161 : 손잡이

Claims (5)

  1. 피부와 접촉하는 내피,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와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 배치되어 경화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고정재를 구비하는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욕창 방지용 부목은,
    관절의 소정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관절에 대응되는 상기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에 폐합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고정영역과 절개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절개영역은,
    환자의 관절에 맞닿아 상기 고정재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제거되어 환자의 관절영역을 노출시키며,
    상기 절개영역은,
    상기 외피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면과 피부와 맞닿는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주머니;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주머니는,
    상기 욕창 방지용 부목의 내측면과 피부와 맞닿는 내측면 사이에 공기압을 조정하여 피부의 욕창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욕창 방지용 부목은,
    상기 공기주머니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기주머니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주입되거나, 상기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하로 주입되는 경우, 알람을 형성하여 의료진에게 알람을 형성하는 알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영역은,
    복수의 홀 또는 환자의 피부와 맞닿는 면에 복수의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KR1020190146413A 2018-11-16 2019-11-15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KR102390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2130 2018-11-16
KR1020180142130 2018-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654A KR20200057654A (ko) 2020-05-26
KR102390084B1 true KR102390084B1 (ko) 2022-04-25

Family

ID=7091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413A KR102390084B1 (ko) 2018-11-16 2019-11-15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0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7765A1 (en) * 2008-10-07 2010-04-08 Gainey Jeffrey W Build-a-boot
KR101731451B1 (ko) * 2015-11-02 2017-05-02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발목 캐스트
CN206995381U (zh) * 2016-12-09 2018-02-13 西南医科大学附属中医医院 一种气囊式小夹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90B1 (ko) * 2000-12-21 2003-06-02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절곡부목과 그 제조방법
KR200484122Y1 (ko) 2016-11-14 2017-08-02 유신열 의료용 부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87765A1 (en) * 2008-10-07 2010-04-08 Gainey Jeffrey W Build-a-boot
KR101731451B1 (ko) * 2015-11-02 2017-05-02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발목 캐스트
CN206995381U (zh) * 2016-12-09 2018-02-13 西南医科大学附属中医医院 一种气囊式小夹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654A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5033B2 (en) Breathable and customized cast for immobilization of fractured limb
US6712780B2 (en) Custom-formable knee immobilizer product, knee immobilizer and method
US7658720B2 (en) Orthopedic appliance with moisture management system
JPH09510901A (ja) 医療用物品
JP2000500353A (ja) 使用者仕様で成型された足首装具
US9545327B2 (en) Pressurized liquid cast
JP2008545490A (ja) 不織副木及びギブス製品
KR101230393B1 (ko) 정형외과용 부목
JP2005512730A (ja) 骨折固定のための添え木兼用のギプス部材
KR102390084B1 (ko)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US4945903A (en) Anti-itch cast
Eggleston Equine wound management: Bandages, casts, and external support
US20140257161A1 (en) Ankle Splint
KR102352168B1 (ko) 욕창 방지용 부목
EP3058904A1 (en) Hand brace
US20110040222A1 (en) Orthopedic auxiliary aid comprising an introduceable functional element
KR20230110689A (ko) 공기압이 조절되는 발 뒤꿈치 보호대
KR101309636B1 (ko) 의료용 부목
ES2853026T3 (es) Dispositivo de terapia para lesiones moldeable
WO2020060291A1 (ko) 욕창 방지용 부목
KR101781630B1 (ko) 일체형 스플린트
KR20150061263A (ko) 의료용 투명성 부목 부재
US10143584B1 (en) Splint kit set
GB2513536A (en) Orthopaedic cast replacement
US20230277355A1 (en) Garment-based spli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