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636B1 - 의료용 부목 - Google Patents

의료용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636B1
KR101309636B1 KR1020110097585A KR20110097585A KR101309636B1 KR 101309636 B1 KR101309636 B1 KR 101309636B1 KR 1020110097585 A KR1020110097585 A KR 1020110097585A KR 20110097585 A KR20110097585 A KR 20110097585A KR 101309636 B1 KR101309636 B1 KR 101309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ter
fixing member
elastic
medical spli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724A (ko
Inventor
하경호
윤종국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에프 filed Critical (주)에스앤에프
Priority to KR102011009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6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은, 환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보호하는 스타키넷과;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로 이루어진 기재를 구비하여 스타키넷 외측에서 환부를 지지하는 스플린터와, 상기 스플린터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타키넷과 스플린터와 고정부재는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부목{A Splint for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의료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스타키넷과;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로 이루어진 기재와, 기재의 내/외부를 감싸는 상지 및 하지로 이루어진 스플린터와; 스플린터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스플린터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고정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의료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 및 인대파열 환자의 치료를 위해 정형외과에서는 깁스(cast)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깁스(Cast)는 석고 또는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가 적용되며, 석고 또는 깁스 시술 전에는 환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타키넷과 솜붕대를 시술하게 된다.
스타키넷은 부드러운 올리핀 원사를 주재료로 하고 튜브모양으로 직조되어 신축성을 가지는 것으로, 환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신체 표면에 마치 양말을 신듯이 착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타키넷의 외측에는 전술한 솜붕대를 시술하게 그 위에 면을 소재로 만든 솜 붕대를 감은 후 석고붕대 또는 합성수지형 캐스팅테이프를 물에 적신 후 환부에 감아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 따라 시술하는 경우 오랜 시술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4438호에는 폴리에스텔, 유리섬유 및 부직포압축섬유 중의 어느 하나와 촉 매제로 구성되어 물과 반응하여 경화되는 경화성 내피와, 이 내피를 감싸는 부직포 재질의 상,하지 외피로 구성된 의료용 스플린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스플린트는 골절부위에 스타키넷이 씌워진 상태에서 시술되므로 경화되는 중에 시술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모양을 잡아주어야 하며, 스플린트와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플린트가 경화되는 중에는 시술부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또 다른 시술자가 잡아주거나, 탄성을 가진 끈 등을 묶어야 하므로 시술 시간이 현격하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스타키넷과;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로 이루어진 기재와, 기재의 내/외부를 감싸는 상지 및 하지로 이루어진 스플린터와; 스플린터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스플린터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고정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의료용 부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타키넷에 환부를 삽입시에 스플린터를 동시에 권취시켜 신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시술이 용이하며,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의료용 부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타키넷에 환부를 삽입한 후 고정부재를 붙여 탄성복원력을 발생함으로써 밀착성이 향상되고 환부의 안정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 의료용 부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은, 환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보호하는 스타키넷과;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로 이루어진 기재를 구비하여 스타키넷 외측에서 환부를 지지하는 스플린터와, 상기 스플린터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타키넷과 스플린터와 고정부재는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플린터는, 상기 기재와, 상기 기재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물을 흡수하여 상기 기재에 공급하는 상지와, 상기 기재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타키넷과 결합된 하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 일단에 위치하여 시술시에 상기 상지에 부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타키넷은 내부가 관통 가능한 상태로 상기 하지의 폭 길이에 대하여 80% 이상의 길이만큼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열융착되어 상기 상지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에서는, 환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스타키넷과;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로 이루어진 기재와, 기재의 내/외부를 감싸는 상지 및 하지로 이루어진 스플린터와; 스플린터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스플린터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고정부재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스타키넷에 환부를 삽입시에 스플린터를 동시에 권취시켜 신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시술이 용이하며,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타키넷에 환부를 삽입한 후 고정부재를 붙여 탄성복원력을 발생함으로써 밀착성이 향상되고 환부의 안정한 지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착용감을 향상되며, 시술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의 사용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의 외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의 내부 구서을 보인 도 2의 A-A' 부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에서 일 구성인 스타키넷 내부에 환부를 삽입시에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100)은, 신축성을 가지며 환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스타키넷(120. stockinet)과, 상기 스타키넷(120)의 외측에 경화된 상태로 둘러져 환부를 지지하는 스플린터(140)와, 상기 스플린터(140)의 양단부를 결속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함으로써 스플린터(140)가 일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의료용 부목(100)은 스타키넷(120)이 스플린터(140)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부재(160)의 일단부는 스플린터(140)의 일측에 열융착되어 부착되어 상기 스타키넷(120), 스플린터(140), 고정부재(160)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의료용 부목(100)을 시술은 환자가 환부를 스타키넷(120) 내부로 삽입하여 관통한 후 상기 스플린터(140) 내부에 내장된 기재(도 3의 도면부호 142 참조)에 물을 접촉시켜 경화시키고, 상기 고정부재(160)를 도 1과 같이 둘러 부착하게 되면 완료된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의료용 부목(1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100)의 외관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1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2의 A-A' 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타키넷(120)은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사를 직조하여 제조된 튜브 형상의 피부 보호직물을 일컫는 것으로, 외면의 일부는 상기 스플린터(140)의 일면에 부착되어 스플린터(14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 스타키넷(120)은 내부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접었을 때 두 외면 중 한 개의 외면이 스플린터(140)의 외면에 완전히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상기 스타키넷(120) 내부에 환부가 삽입되어 신체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부풀어올랐을 때 스타키넷(120)의 신축성에 의해 스플린터(140)도 같이 굴곡지도록 하기 함으로써 시술의 신속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스타키넷(120)은 스플린터(140)와 부착되는 부분은 탄성복원력을 발생한 상태로 부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플린터(140)의 폭 길이에 대하여 80% 이상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부착되어야 한다.
상기 스타키넷(120)의 하면에는 스플린터(140)가 구비된다. 상기 스플린터(140)는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가 채택되는 기재(142)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기재(142)가 물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경화됨으로써 환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기재(142) 외측에는 상지(144)와 하지(146)가 감싸고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기재(142)는 편직물에 수경화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등이 함침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지(144)는 의료용 부목(100)을 시술시에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스플린터(140)를 환부에 감싼 후 경화를 위해 물이 스며들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배수 능력도 갖추도로고 구성된다.
그리고,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신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쿠션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지(146)는 스타키넷(120)과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환부로부터 발생하는 땀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지(144)와 모서리부위가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지(144)와 일체화됨으로써 기재(142)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플린터(140)의 하측에는 고정부재(160)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60)는 스타키넷(120) 내부에 환부가 삽입되어 신체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부풀어 오르고, 스타키넷(120)의 탄성력에 의해 스플린터(140)가 동그랗게 말려질 때 상기 고정부재(160)의 단부를 고정부재(160)가 부착되지 않은 스플린터(140)의 단부에 당겨 부착함으로써 첨부된 도 1과 같이 스플린터(140)가 신체로부터 들뜨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16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탄성부(162)와, 상기 탄성부(162)의 단부에 위치하여 시술시에 상기 상지(144)에 부착되는 고정부(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162)는 탄성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채택이 가능하며, 의료용 부목(100)의 시술이 완료시에 도 1과 같이 스타키넷(120)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가 되므로 공기나 물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64)는 탄성부(162)가 당겨진 상태에서 상지(144)와 접촉하여 탄성부(162)에 탄성복원력이 발생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 1과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지(144)와 부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벨크로를 적용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의료용 부목(100)을 시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부목(100)에서 일 구성인 스타키넷(120) 내부에 환부를 삽입시에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팔이 골절된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의료용 부목(100)을 일정길이만큼 절단하여 준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타키넷(120)은 스플린터(140)에 부착된 상태로 내부가 뚫려있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160)는 스플린터(140)에 부착되어 단부에 고정부(164)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런 상태에서 환자는 도 4와 같이 골절된 팔을 스타키넷(120)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상기 스타키넷(120) 내부로 팔이 삽입되면, 상기 스타키넷(120)은 탄성복원력을 발생하면서 팔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변형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스플린터(140)는 스타키넷(120)과 부착된 상태이므로 도 4와 같이 라운드지도록 굴곡된다.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상지(144)에 물을 묻혀 침투시킴으로써 상기 기재(142)와 물의 반응으로 인한 경화를 야기하게 된다.
이후 시술자는 상기 고정부재(160)를 잡아당겨 반대편(고정부재(160)가 노출되어 있지 않은 스플린터(140)의 단부 방향)에 고정부(164)를 부착함으로써 시술은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160)는 도 2와 같이 스플린터(140)의 일측에 다수 개가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탄성력을 가지고 상지(144)에 부착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도 5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0. 의료용 부목 120. 스타키넷
140. 스플린터 142. 기재
144. 상지 146. 하지
160. 고정부재 162. 탄성부
164. 고정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신축성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져 환부를 수용시에 피부와 밀착 및 접촉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스타키넷과;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로 이루어진 기재와, 상기 기재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물을 흡수하여 상기 기재에 공급하는 상지와, 상기 기재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타키넷과 결합된 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타키넷 외측에서 환부를 지지하는 스플린터와;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 일단에 위치하여 시술시에 상기 상지에 부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플린터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타키넷과 스플린터와 고정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타키넷은 스플린터에 탄성복원력을 발생한 상태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공기나 물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열융착되어 상기 상지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KR1020110097585A 2011-09-27 2011-09-27 의료용 부목 KR10130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85A KR101309636B1 (ko) 2011-09-27 2011-09-27 의료용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85A KR101309636B1 (ko) 2011-09-27 2011-09-27 의료용 부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24A KR20130033724A (ko) 2013-04-04
KR101309636B1 true KR101309636B1 (ko) 2013-09-17

Family

ID=4843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585A KR101309636B1 (ko) 2011-09-27 2011-09-27 의료용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346A (ko) * 2019-11-15 2021-05-25 (주)에스앤에프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77B1 (ko) * 2013-04-16 2013-11-25 (주)에스앤에프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KR102575975B1 (ko) * 2021-06-25 2023-09-18 (주) 에스앤에프 흉부 압박보호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962B1 (ko) * 1998-03-23 2006-03-23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정형용부목재
KR100987465B1 (ko) * 2008-01-16 2010-10-13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정형외과용 부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962B1 (ko) * 1998-03-23 2006-03-23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정형용부목재
KR100987465B1 (ko) * 2008-01-16 2010-10-13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정형외과용 부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346A (ko) * 2019-11-15 2021-05-25 (주)에스앤에프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KR102271801B1 (ko) 2019-11-15 2021-07-01 (주) 에스앤에프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24A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5622A (en) Easily removed tubular cast assembly and method for removing a cast
US7314457B2 (en) Orthopedic cast or splint
US7465281B2 (en) Versatile hardenable cast or support
US6042557A (en) Orthopedic spli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08545490A (ja) 不織副木及びギブス製品
JPH09510901A (ja) 医療用物品
KR101309636B1 (ko) 의료용 부목
JP2004533286A (ja) エッジがシールされた整形外科用ギブス包帯技術
KR101444154B1 (ko)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KR102148905B1 (ko) 골절 환자 치료용 부목 및 이를 이용한 반깁스 시술방법
KR20160064624A (ko) 의료용 부목
KR102271801B1 (ko)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KR101332577B1 (ko)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KR100987465B1 (ko) 정형외과용 부목
KR20060098514A (ko) 의료용 부목
JP5974015B2 (ja) 多段階整形外科的システム及び取外し可能なギプス
KR101903132B1 (ko) 의료용 부목
KR20110006100A (ko) 골절 환자용 깁스부재 및 이를 이용한 깁스 시술방법
KR10156364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02671A1 (en) Orthopedic cast or splint
KR101578399B1 (ko) 깁스용 피부보호대
KR101983089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81630B1 (ko) 일체형 스플린트
JP6053769B2 (ja) 耐湿性で成形可能な損傷治療器具及び方法
JP7009700B2 (ja) 関節用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