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154B1 -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Google Patents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4154B1 KR101444154B1 KR20120139802A KR20120139802A KR101444154B1 KR 101444154 B1 KR101444154 B1 KR 101444154B1 KR 20120139802 A KR20120139802 A KR 20120139802A KR 20120139802 A KR20120139802 A KR 20120139802A KR 101444154 B1 KR101444154 B1 KR 101444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curable
- holder
- splint
- fix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66—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wrists, hands, fingers or thu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부위가 부러지거나 삐었을 때 골절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골절부위의 치료에 도움을 주는 정형 외과용 경화성 부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은, 골절부위에 접촉되는 내피; 내피와 접합되며 내피와의 사이에 공간을 갖는 외피;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에 내장되며, 골절부위의 형상을 따라 경화되는 경화성 심재; 및 외피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경화성 심재와 골절부위를 감싸고, 양단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외피의 표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경화성 심재를 골절부위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부위가 부러지거나 삐었을 때 골절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골절부위의 치료에 도움을 주는 정형 외과용 경화성 부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이나 다리가 부러지거나 삐었을 때, 정형외과용 부목을 이용하여 다친 골절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법으로 비수술적 치료를 한다.
정형외과용 부목으로서 종래에는 석고가 도포된 붕대를 환부에 감아 고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술방법은 석고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고, 환부에 붕대를 감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통기성이 없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땀이 많이 나면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시술 후 석고의 경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환부의 치료가 끝나게 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절단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절단도중 피부를 다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석고 붕대를 이용한 부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폴리에스터 편직물이나, 유리섬유 편직물, 또는 부직포 등에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등의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를 이용하여 성형성을 개선한 부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목은 포장상태로 유통되고 사용시 포장지를 벗겨 내부의 탄력섬유가 상온(常溫)에서 신속하게 자연 경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형성을 개선하였다.
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부목을 이용하여 시술할 시에는 먼저, 기밀 포장된 진공 포장을 개봉하여 부목을 물속에 담궈 내부의 경화성 심재에 물이 충분히 침투되게 한다. 그리고 나서, 물기를 짜내고 수건으로 물기를 닦아낸 후, 환부의 형상에 따라 밀착시키고 고탄력 붕대로 부목이 맞닿은 환부 전체를 감아 고정시켜 주거나, 아니면 포장지 내부에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상태로 내장된 부목을 상온(常溫)에 들어내어 신체부위에 감으면 서서히 경화되는 과정에서 환부의 조건에 맞도록 성형된다. 시술 후 대략 3~4분 경과하면 경화성 심재가 견고하게 경화되어 환부가 움직이지 않게 단단히 고정되며, 이로써 부목의 시술이 완료된다.
도 1은 종래의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붕대로 감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splint)(10)은 골절부위에 접촉되며 소수성 재질의 부직포로 형성되는 내피(11)와, 내피(11)와 연결되는 친수성의 외피(12)와, 내피(11)와 외피(12) 사이에 내장되는 경화성 심재(13)로 구성된다. 경화성 심재(13)는 수분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10)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기밀 포장된 진공 포장을 개봉하여 부목(10)을 물속에 담궈 내부의 경화성 심재(13)에 물이 충분히 침투되게 한 다음, 물기를 짜내고 수건으로 물기를 닦아낸 후, 환부의 형상에 따라 골절부위가 내피(11)에 밀착되도록 하고 고탄력 붕대(20)로 부목이 맞닿은 환부 전체를 감아 고정시켜 사용한다.
내피(11)는 피부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부드럽고 부피감이 있는 두께 3∼4㎜ 정도의 부직포를 사용하고, 외피(12)는 신율이 좋아야 하기 때문에 스판레이스와 같은 부직포를 사용한다. 이러한 사항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이다. 경화성 심재(13)는 표면에 경화성 수지가 도포되어 물을 흡수하여 경화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환부의 형상에 따라 골절부위를 내피(1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탄력 붕대(20)로 환부 전체를 감아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부목을 골절부위에 착용하거나 벗기가 매우 불편하다. 특히, 골절환자 스스로 착용 또는 벗는데 어려움이 많다.
둘째, 골절부위를 고탄력 붕대(20)로 전체적으로 감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통기성이 없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땀이 나면서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골절부위에 간편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절부위에 통기성을 줄 수 있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은, 골절부위에 접촉되는 내피; 내피와 접합되며 내피와의 사이에 공간을 갖는 외피;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에 내장되며, 골절부위의 형상을 따라 경화되는 경화성 심재; 및 상기 외피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경화성 심재와 골절부위를 감싸고, 양단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외피의 표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경화성 심재를 골절부위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홀더;를 포함한다.
고정홀더의 양단부에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는 접착부가 각각 마련된다.
본 발명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은 고정홀더를 외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는 외피에 접합되며 외피와의 사이에 고정홀더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한다.
고정부재는 외피와의 사이에 관통홀을 복수 개 형성하여, 각 관통홀 모두에 고정홀더가 관통되거나 관통홀들 중 일부에만 고정홀더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고정홀더의 갯수와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고정홀더에는 관통홀 사이의 접합부가 끼워지는 슬릿이 형성되며, 슬릿의 한쪽에는 접합부를 슬릿에 끼우기 위한 이음부가 구비된다.
고정부재는, 외피의 외측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 및 고정홀더에 마련되어 제1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의 길이는 고정홀더가 복수 개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고정홀더는 제1고정부 상에서 그 부착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제1고정부에 부착되는 고정홀더의 갯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고정홀더에는 벨크로 타입의 고정부재가 마련되며, 고정부재는 외피의 표면에 직접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골절부위를 감싸고 양단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홀더를 이용해 경화성 심재를 골절부위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골절부위에 간편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둘째, 골절부위의 범위나 골절 정도에 따라 고정홀더의 갯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고정홀더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고정홀더 사이에 간격을 두어 골절부위에 통기성을 부여함으로써, 땀으로 인한 가려움증이나 악취발생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붕대로 감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붕대로 감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100)은 내피(110), 외피(120), 경화성 심재(130), 고정홀더(140), 고정부재(150) 및 포켓(160)을 포함한다.
내피(110)는 골절부위에 접촉되는 것으로 소수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경화성 심재(130)에 물을 접촉하여 골절부위에 맞게 경화시키더라도 물이 내피(110)에 의해 차단되므로 골절부위에 접촉하지 못한다.
외피(120)는 양단이 내피(110)의 양단과 접합되며 친수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물을 접촉시켜 경화성 심재(130)를 경화시키고자 할 때 물을 신속하게 침투시켜 경화성 심재(130)로 빠르게 전달시킨다.
내피(110)와 외피(120)의 양단은 레이저 융착 공법으로 접합되고, 내피(110)와 외피(120) 사이에는 경화성 심재(130)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내피(110)의 소수성 재질 및 외피(120)의 친수성 재질에 대해서는 이 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경화성 심재(130)는 내피(110)와 외피(120) 사이에 내장되며 물과 접촉하여 골절부위의 형상에 맞게 경화된다. 즉, 외피(120)를 통해 경화성 심재(130)에 물을 공급하여 경화성 심재(130)가 물과 접촉되도록 한 다음 내피(110)를 골절부위에 접촉시키고 경화성 심재(130)를 골절부위에 맞게 변형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경화성 심재(130)가 경화되면서 골절부위를 견고하게 받쳐주게 된다.
경화성 심재(130)는 폴리에스터 편직물이나, 유리섬유 편직물, 또는 부직포 등에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등의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를 이용하여 포장상태로 유통되고, 사용시에는 포장지를 벗겨 낸 후 물에 접촉되어 경화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경화성 심재(130)는 통상 그 폭이 2∼6 인치의 범위이고, 그 길이는 통상 10∼45 인치이지만, 그 이상 4∼5 m 정도까지 긴 경우도 있다. 경화성 심재(130) 소재로는 유리섬유 직물과 부직포 직물이 여러 가지 소재, 예들 들어 유리섬유 직물과 부직포 직물이 개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유리섬유 직물인 경우에는 여러 겹, 통상 8 겹의 유리섬유 직물을 겹쳐서 중간층 소재로 사용한다. 이 유리섬유 소재는 강도와 통기성이 양호하고 신축성이 양호한 장점을 갖는다. 유리섬유 소재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중량감이 있으며, 절단시에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부목은 환부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절단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유리섬유 직물을 절단하면 한올 한올의 유리섬유가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유리섬유는 피부에 손상을 입히게 되게 된다. 유리섬유 소재의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부직포 소재라 할 수 있다. 부목의 중간층 소재로 개발된 부직포는 유리섬유에 비하여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절단시에 위험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에 있어서는, 경화성 심재를 유리섬유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터, 그리고 부직포 재질로 제조할 수 있으며, 유리섬유와 폴리에스터의 경우에는 7, 8겹, 또는 그 이하, 이상이 모두 가능하고, 부직포 재질의 경우에는 한 겹뿐만 아니라 다 겹으로도 제조 가능하다.
고정홀더(140)는 외피(120)의 표면에 고정되면서 경화성 심재(130)를 감싸고 골절부위를 감싸 경화성 심재(130)를 골절부위에 밀착 고정시킨다. 고정홀더(140)의 양단에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는 접착부(141)가 각각 구비된다. 접착부(141)는 벨크로 타입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추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접착부(141)는 골절부위의 크기에 따라 접착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고정부재(150)는 고정홀더(140)를 외피(1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외피(120)의 외측면에 융착 접합되어 외피(120)와의 사이에 고정홀더(140)가 관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151)을 이격 형성한다. 고정부재(150)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융착 접합부(152)가 형성되고, 각 융착 접합부(152)는 레이저 융착, 열 융착 등의 방법으로 외피(120)의 표면에 융착 접합된다. 융착 접합부(152)가 외피(120)에 융착됨으로써, 복수 개의 관통홀(151)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고정홀더(140)는 고정부재(150)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홀(151)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다. 고정홀더(140)는 관통홀(151)의 갯수만큼 구비되어 관통홀(151) 모두에 삽입 고정될 수도 있고, 관통홀(151)들 중 일부에만 삽입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홀더(140)가 관통홀(151)들 중 일부에만 삽입 고정되는 경우 그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포켓(160)은 벨크로 타입에 의해 고정홀더(140)에 착탈 가능하게 접착된다. 포켓(160)에는 휴대폰 또는 다른 휴대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장지를 벗겨 낸 후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물속에 담아 내부의 경화성 심재(130)에 물이 충분히 침투되게 한 다음, 물기를 짜내고 수건으로 물기를 닦아낸 후, 골절부위에 내피(110)를 통해 경화성 부목(100)을 밀착시키고 골절부위 형상에 맞게 경화성 부목(100)을 변형시킨다.
이후 약 3-4분이 경과하면 경화성 심재(130)가 골절부위 형상에 맞게 경화된다.
경화성 심재(130)가 경화되면 고정홀더(140)를 고정부재(150)의 관통홀(151)에 끼우고, 고정홀더(140)로 골절부위를 감싼 후 고정홀더(140)의 양단을 잡아당겨 경화성 심재(130)가 골절부위에 밀착되도록 하고 고정홀더(140)의 양단에 구비된 접착부(141)를 서로 접착시킨다.
고정홀더(140)의 갯수 및 위치는 골절부위의 골절 정도 또는 골절부위의 범위 등에 따라 달리 실시할 수 있다.
취침을 하거나 혹은 필요에 의하여 본 발명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100)을 벗고자(풀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홀더(140)의 접착부(141)를 서로 분리하기만 하면 간편하게 벗을 수 있다.
한편, 관통홀(151) 중 일부에만 고정홀더(140)를 끼우는 경우뿐만 아니라 모든 관통홀(151)에 고정홀더(140)를 끼우더라도 융착 접합부(152)에 의해 고정홀더(140) 사이에 간격을 형성되어 골절부위의 통기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므로 오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땀이 차서 생기는 가려움증이나 악취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100)에 따르면, 고정홀더(140)를 고정부재(150)의 관통홀(151)에 끼우고 고정홀더(140)로 골절부위를 감싼 후 고정홀더(140)의 양단에 마련된 접착부(141)를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골절부위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141)를 서로 분리하기만 하면 본 발명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용이하게 벗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200)은 내피(미도시), 외피(220), 경화성 심재(미도시), 고정홀더(240), 고정부재(250) 및 포켓(2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내피, 외피(220), 경화성 심재, 고정부재(250) 및 포켓(26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200)에 따르면 고정홀더(240)에 고정부재(250)의 융착 접합부(251)가 삽입되는 슬릿(241)이 형성된다. 슬릿(241)을 이용해 고정홀더(240)를 고정부재(250)에 고정할 수 있다.
슬릿(241)의 한 쪽에는 융착 접합부(251)를 슬릿(241)에 끼우기 위한 이음부(242)가 구비된다. 즉, 이음부(242)의 이음상태를 해제하여 고정홀더(240)의 일단을 관통홀(252)에 끼운 후 이음부(242)를 통해 융착 접합부(251)를 슬릿(241)에 끼우고 이음부(242)를 서로 이어줌으로써 고정홀더(240)가 융착 접합부(251)에 고정된다.
이음부(242)는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추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사용상태는 고정홀더(240)를 고정부재(25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의 차이점 외에는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부호 243은 고정홀더(240)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는 접착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300)은 내피(미도시), 외피(320), 경화성 심재(미도시), 고정홀더(340) 및 포켓(3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내피, 외피(320), 경화성 심재 및 포켓(35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300)에 따르면 고정홀더(340)가 외피(320)의 표면에 융착 접합될 수 있다. 이 때, 고정홀더(34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외피(320)의 표면에 이격되게 접합된다. 고정홀더(340)의 양단에는 벨크로 타입 또는 단추 타입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는 접착부(341)가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300)에 따르면 고정홀더(34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는 없으나 고정홀더(34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 접착부(341)를 이용해 고정홀더(340)를 골절부위에 간편하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400)은 내피(미도시), 외피(420), 경화성 심재(미도시), 고정홀더(440), 고정부재(450) 및 포켓(4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내피, 외피(420), 경화성 심재, 고정홀더(440) 및 포켓(46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재(450)는 고정홀더(440)를 외피(42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제1고정부(451) 및 제2고정부(452)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451)는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되어 외피(420)의 외측면에 길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451)는 재봉에 의해 외피(420)에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이저 융착, 열 융착 등의 방법으로 외피(420)의 표면에 융착 접합될 수 있다.
제2고정부(452)는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되고 고정홀더(440)에 구비된다. 제2고정부(452)는 제1고정부(451)와 마찬가지로 재봉 또는 융착방법에 의해 고정홀더(440)에 접합될 수도 있고 이형테이프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홀더(440)에 접합될 수도 있다.
제1,2고정부(451)(452)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고정부(452)의 좌우폭은 제1고정부(451)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제1고정부(451)에는 복수 개의 고정홀더(4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따라서, 고정홀더(440)는 제1고정부(451) 상에서 자유롭게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고정부(451)에 고정되는 갯수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의 사용상태는 고정홀더(440)를 고정부재(45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의 차이점 외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부호 441은 고정홀더(440)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는 접착부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42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451)가 외피(420)의 일부에만 구비되는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피(420)를 전체를 감싸면서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제1고정부(451)는 재봉이나 융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외피(420)와 접합될 수 있으며, 제1고정부(451)는 외피(420)로 물이 잘 스며들 수 있도록 친수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500)은 내피(미도시), 외피(520), 경화성 심재(미도시), 고정홀더(540), 고정부재(550) 및 포켓(5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내피, 경화성 심재, 고정홀더(540) 및 포켓(56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외피(520)는 친수성을 가지면서 벨크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어 고정홀더(540)에 구비되는 벨크로 형태의 고정부재(5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500)에 따르면 고정홀더(540)의 고정위치가 외피(520)의 특정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외피(520) 전체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피(520) 중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고정홀더(540)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고정홀더(540)의 양단부에는 서로 접착되는 벨트로 타입의 접착부(541)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홀더의 양단부가 접착부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고 고정부재를 이용해 고정홀더가 외피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홀더의 양단부를 서로 접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이들을 직접 외피의 표면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100 : 경화성 부목 110 : 내피
120 : 외피 130 : 경화성 심재
140 : 고정홀더 141 : 접착부
150 : 고정부재 151 : 관통홀
152 : 융착 접합부 160 : 포켓
120 : 외피 130 : 경화성 심재
140 : 고정홀더 141 : 접착부
150 : 고정부재 151 : 관통홀
152 : 융착 접합부 160 : 포켓
Claims (9)
- 골절부위에 접촉되는 내피;
상기 내피와 접합되는 외피;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내장되며 골절부위의 형상을 따라 경화되는 경화성 심재;
상기 외피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경화성 심재와 골절부위를 감싸고, 양단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경화성 심재를 골절부위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홀더; 및
상기 고정홀더를 상기 외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의 양단부에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는 접착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외피에 접합되며 상기 외피와의 사이에 상기 고정홀더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외피와의 사이에 상기 관통홀을 복수 개 형성하여, 상기 각 관통홀 모두에 상기 고정홀더가 관통되거나 상기 관통홀들 중 일부에만 상기 고정홀더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고정홀더의 갯수와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에는 상기 관통홀 사이의 접합부가 끼워지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의 한쪽에는 상기 접합부를 상기 슬릿에 끼우기 위한 이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외피의 외측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고정홀더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길이는 상기 고정홀더가 복수 개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제1고정부 상에서 그 부착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제1고정부에 부착되는 상기 고정홀더의 갯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에는 벨크로 타입의 상기 고정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외피의 표면에 직접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피의 표면 길이는 상기 고정홀더가 복수 개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외피의 표면 상에서 그 부착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외피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고정홀더의 갯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139802A KR101444154B1 (ko) | 2012-06-25 | 2012-12-04 |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US14/400,775 US20150150712A1 (en) | 2012-06-25 | 2013-01-22 | Curable orthopedic splint |
PCT/KR2013/000507 WO2014003277A1 (ko) | 2012-06-25 | 2013-01-22 |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DE201311003207 DE112013003207T5 (de) | 2012-06-25 | 2013-01-22 | Härtbare orthopädische Schie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7880 | 2012-06-25 | ||
KR20120067880 | 2012-06-25 | ||
KR20120139802A KR101444154B1 (ko) | 2012-06-25 | 2012-12-04 |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0615A KR20140000615A (ko) | 2014-01-03 |
KR101444154B1 true KR101444154B1 (ko) | 2014-09-26 |
Family
ID=4978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0139802A KR101444154B1 (ko) | 2012-06-25 | 2012-12-04 |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50712A1 (ko) |
KR (1) | KR101444154B1 (ko) |
DE (1) | DE112013003207T5 (ko) |
WO (1) | WO2014003277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2440A (ko) * | 2020-04-27 | 2021-11-04 | 주식회사 엠텍스 | 수경화형 반경질 수지를 이용한 의료용 캐스트 |
KR20230149116A (ko) | 2022-04-19 | 2023-10-26 | 허동희 |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20589A (zh) * | 2018-05-03 | 2018-08-21 | 周济超 | 一种骨外科用夹板固定装置 |
CN109009629A (zh) * | 2018-07-20 | 2018-12-18 | 芜湖圣美孚科技有限公司 | 一种医疗器械用中医骨伤夹板 |
CN112022479B (zh) * | 2020-09-29 | 2022-10-14 | 成都市新都区中医医院 | 一种肱骨外科颈夹板的一体式固定方法 |
DE202022102644U1 (de) * | 2022-05-13 | 2022-05-30 | X-Cen-Tek Gmbh & Co. Kg | Schienvorrichtung und eine solche umfassendes Schien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6640Y1 (ko) | 2003-06-19 | 2003-09-17 |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 정형외과용 부목 |
KR20090077429A (ko) * | 2008-01-11 | 2009-07-15 |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 자유성형부목을 이용한 하프깁스 방법 및 그 구조 |
KR20090079138A (ko) * | 2008-01-16 | 2009-07-21 |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 정형외과용 부목 |
KR20110092536A (ko) * | 2010-02-09 | 2011-08-18 |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 의료용 부목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15687A (en) * | 1978-05-02 | 1980-08-05 | Shaw Frank D | Body or limb encircling therapeutic device |
KR200340541Y1 (ko) * | 2003-10-02 | 2004-02-11 |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 경화성 심재 분리형 정형외과용 부목 |
US7942838B2 (en) * | 2004-03-22 | 2011-05-17 | Farrow Medical Innovations, Inc. | Compression garment |
US20050234374A1 (en) * | 2004-04-20 | 2005-10-20 | Grim Tracy E | Splint or support with quick location technique |
-
2012
- 2012-12-04 KR KR20120139802A patent/KR1014441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1-22 US US14/400,775 patent/US2015015071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1-22 DE DE201311003207 patent/DE112013003207T5/de not_active Ceased
- 2013-01-22 WO PCT/KR2013/000507 patent/WO201400327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6640Y1 (ko) | 2003-06-19 | 2003-09-17 |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 정형외과용 부목 |
KR20090077429A (ko) * | 2008-01-11 | 2009-07-15 |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 자유성형부목을 이용한 하프깁스 방법 및 그 구조 |
KR20090079138A (ko) * | 2008-01-16 | 2009-07-21 |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 정형외과용 부목 |
KR20110092536A (ko) * | 2010-02-09 | 2011-08-18 |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 의료용 부목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2440A (ko) * | 2020-04-27 | 2021-11-04 | 주식회사 엠텍스 | 수경화형 반경질 수지를 이용한 의료용 캐스트 |
KR102458912B1 (ko) * | 2020-04-27 | 2022-10-26 | 주식회사 엠텍스 | 수경화형 반경질 수지를 이용한 의료용 캐스트 |
KR20230149116A (ko) | 2022-04-19 | 2023-10-26 | 허동희 |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3003207T5 (de) | 2015-04-02 |
US20150150712A1 (en) | 2015-06-04 |
WO2014003277A1 (ko) | 2014-01-03 |
KR20140000615A (ko) | 2014-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4154B1 (ko) |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 |
US7314457B2 (en) | Orthopedic cast or splint | |
US6942628B1 (en) | Open cell mesh cast material | |
CA2610690C (en) | Nonwoven splinting and casting product | |
TW200934462A (en) | Orthotic system for an ankle joint | |
KR101425883B1 (ko) |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 |
AU2016201065A1 (en) | Temporary splint | |
KR100773862B1 (ko) |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 |
JP2004505723A (ja) | 硬化性接着性副木および方法 | |
US5607387A (en) | Orthopedic splint | |
JP2005523768A (ja) | 硬化性整形外科用支持具 | |
KR100987465B1 (ko) | 정형외과용 부목 | |
CA2146229A1 (en) | Orthopaedic supporter | |
KR101309636B1 (ko) | 의료용 부목 | |
KR101332577B1 (ko) |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 |
KR20140000548A (ko) | 정형 외과용 열가소성 부목 | |
KR102271801B1 (ko) |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 |
KR101984228B1 (ko) |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63646B1 (ko) |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
US20040147859A1 (en) | Orthopedic cast construction | |
JP5974015B2 (ja) | 多段階整形外科的システム及び取外し可能なギプス | |
KR101903132B1 (ko) | 의료용 부목 | |
US20040002671A1 (en) | Orthopedic cast or splint | |
KR101806610B1 (ko) | 깁스 구조체 | |
KR101781630B1 (ko) | 일체형 스플린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