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116A -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116A
KR20230149116A KR1020220048399A KR20220048399A KR20230149116A KR 20230149116 A KR20230149116 A KR 20230149116A KR 1020220048399 A KR1020220048399 A KR 1020220048399A KR 20220048399 A KR20220048399 A KR 20220048399A KR 20230149116 A KR20230149116 A KR 20230149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t
affected area
core material
wor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동희
Original Assignee
허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동희 filed Critical 허동희
Priority to KR102022004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116A/ko
Publication of KR2023014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의료용 부목 심재는, 열가소성 수지가 가열된 후 환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환부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온 상태에서 경화되어 환부를 지지하는 성형물을 구성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는 온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조성물이 혼합되어 사용자가 색상의 변화로 상기 성형물의 경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Medical splint and splint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목은, 신체의 외상이나 골절 또는 탈구나 염좌 등의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환부의 가동성을 제한하고 안정을 위해 부분적이나 전체적으로 단단히 감아서 고정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그러나 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부목도 환부의 형상에 따라 골절부위를 내피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탄력 붕대로 환부 전체를 감아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부목을 골절부위에 착용하거나 벗기가 매우 불편하다. 특히, 골절 환자 스스로 착용 또는 벗는데 어려움이 많다. 또한, 종래의 부목은 환부를 고탄력 붕대로 전체적으로 감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통기성이 없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땀이 나면서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10-1444154호를 통하여 골절부위에 간편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는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을 제공한 바 있다. 상기 부목은 홀더를 이용하여 골절부위에 쉽게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홀더의 접착부를 탈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양측에 형성된 벤딩부가 골절부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원활하게 변형되어 내피와 골절부위 간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부목은 홀더를 이용한 부목 고정수단이 부목의 일 측에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고정수단은 부목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다. 선행문헌의 부목은 부목을 고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일 측의 제1 고정수단으로 환부를 감으면서 타 측의 제2 고정수단에 연결하여 부목을 고정하게 되는데, 복수의 고정수단이 모두 동일하게 일 측에서 타 측방향으로 환부를 감게 되므로 ,부목이 고정수단을 감는 방향으로 함께 돌아가게 되어 부목을 환부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의 부목은 경질의 심재와 합성섬유 소재의 커버부재(내피 및 외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휴대나 보관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의 부목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심재가 환부의 형상에 맞게 적합하도록 성형되도록 구성되지만, 비전문가인 일반 사용자가 직접 사용할 때 심재의 성형이 완전히 완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열가소성 심재는 환부 형상으로 성형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사용자는 움직이지 않아야 하는데, 심재가 완전히 경화된 때를 알 수 없어 사용자는 어림 짐작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때를 판단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22-0005934호, 한국등록특허 10-1247701호 및 한국등록특허 10-1815793호 등에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부목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들에 소개된 부목들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문제점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환부 형상으로 성형된 심재는 다시 사용할 수 없어 일 회의 사용으로 모두 폐기되어야 하므로, 소재의 낭비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44154호 한국공개특허 10-2022-0005934호 한국등록특허 10-1247701호 한국등록특허 10-18157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릎 주위의 환부에 대하여 흘러내리지 않도록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린더형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나 벨크로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한 부목 고정시 부목이 돌아가지 않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나 보관이 편리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을 이용한 성형이 가능하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을 이용하여 환부 형태로 성형하되 경화가 완료된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부에 밀착됨으로 인한 불편감을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의료용 부목 심재는, 열가소성 수지가 가열된 후 환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환부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온 상태에서 경화되어 환부를 지지하는 성형물을 구성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는 온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조성물이 혼합되어 사용자가 색상의 변화로 상기 성형물의 경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는, 내피와 외피가 결합되면서 그 사이에 심재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내피에는 심재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외피에는 환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는 부목 커버, 및, 가열된 후 환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환부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후 상온 상태에서 경화되어 환부를 지지하는 부목 심재를 포함하여, 상기 부목 심재는 상기 심재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심재 포켓에 삽입되거나 상기 심재 포켓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목 심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온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조성물이 혼합되어 색상의 변화로 경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외피의 길이 방향으로 두 개 이상 마련되면서, 상기 외피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유닛과 상기 외피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유닛에 대응하는 제2 유닛으로 구성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서로 반대 위치의 상기 외피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는, 환부를 감싸면서 환부를 압박하도록 착용되는 보조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밴드는, 환부와 상기 부목 커버를 함께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부목 커버를 환부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목 어셈블리는 부목 심재와 부목 커버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관과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목 심재를 탈거한 후 부목 커버만을 이용하여 무릎 보호를 위한 보조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 어셈블리는 환부에 착용할 때 부목이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 어셈블리는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 어셈블리는 부목을 성형한 후 완전히 경화된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 어셈블리는 환부에 밀착됨으로 인한 불편감과 하중에 의한 흘러내림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어셈블리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커버와 부목 심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어셈블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어셈블리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 방향의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전, 후, 제 1, 제 2, 일 측, 타 측 등과 같은 표현은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어셈블리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커버와 부목 심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어셈블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어셈블리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부목 어셈블리는 환부를 감싸면서 환부에 고정되는 부목 커버(100)와, 부목 커버(100) 내부의 심재 포켓(130)에 삽입되어 환부를 지지하는 부목 심재(200)와, 환부의 증상 확대를 방지하고 부목 커버(100)를 보조하여 부목을 환부에 고정하는 보조 밴드(300)를 포함한다.
부목 커버(100)는 내피(110)와 외피(120)가 전후면에서 서로 결합되며 그 사이에는 부목 심재(200)가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인 심재 포켓(130)을 형성한다. 여기서 내피(110)는 환부에 접촉되는 내측 면을 말하고, 외피(120)는 반대측의 외측 면을 말한다. 내피(110)와 외피(120)는 각각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무릎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대략 40cm 내외의 길이를 갖고, 좌우 방향으로 15cm 내외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피(110)와 외피(120) 사이에 형성되는 심재 포켓(130)도 상기 길이와 폭보다 다소 작은 공간으로 형성된다. 내피(110)와 외피(120)는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이나 레이저 융착 공법으로 일체형을 구성할 수 있다.
부목 커버(100)는 합성섬유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신체 피부에 유해하지 않은 소재라면 다양한 종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피(110)와 외피(120)는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거나 이종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내피(110)는 환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고, 외피(120)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피(110)와 외피(120)에는 다수의 투광 홀(111,121)이 형성된다. 투광 홀(111,121)을 통하여 공기가 부목 커버(100)를 관통하여 환부 영역에 이를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내부에 삽입되는 부목 심재(200)를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투광 홀(111,121)은 대략 1cm 내외의 직경을 갖는 원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랜덤한 위치에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피(110)의 투광 홀(11)과 외피(120)의 투광 홀(121)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외부의 공기가 직접 관통할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거나 적어도 중복 영역을 가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목 커버(100)에는 부목 심재(200)가 삽입될 수 있는 심재 삽입구(112)가 형성된다. 심재 삽입구(112)는 내피(110) 또는 외피(120)에 형성될 수 있으나, 부목 착용시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내피(110)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재 삽입구(112)는 내피(110)의 가로 방향(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목 심재(200)의 폭보다 다소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목 심재(200)가 상대적으로 작은 폭(길이)을 갖는 심재 삽입구(112)를 통하여 심재 포켓(130) 내부로 쉽게 삽입되기 위해서 내피(110)는 탄성을 갖는 섬유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재 삽입구(112)는 내피(110)의 상단부에서 소정 거리로 이격된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목 커버(100)는 사용자의 환부에 부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40)을 구비한다. 고정수단(140)은 외피의 상단 및 하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날개 형상을 이룰 수 있고, 한 쌍의 벨크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14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후크 구조, 링도트(똑딱이 단추) 구조 등 환부에 무리를 가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수단(140)은 거친 합성수지 재질의 제1 벨크로(141)와 이에 대응하는 부드러운 합성섬유 재질의 제2 벨크로(142)의 한 쌍의 벨크로 구조를 이루며,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된다. 한 쌍의 고정수단(140)에 있어서, 제1 벨크로(141)는 외피(120)의 일 측부에 형성되고 제2 벨크로(142)는 외피(120)의 타 측부에 형성되어, 서로 중첩되어 결합되면서 부목을 환부에 고정한다. 특히, 서로 이웃하는 고정수단(140)에 있어서, 제1 벨크로(141)와 제2 벨크로(142)는 서로 반대 위치의 외피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첫번째 고정수단(140)에서 제1 벨크로(141)는 외피(1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제2 벨크로(142)는 외피(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지만, 이웃하는 두번째 고정수단(140)에서는 제2 벨크로(142)가 외피(1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제1 벨크로(141)가 외피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벨크로를 서로 결합할 때 사용자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 벨크로(141)를 잡아당겨 합성섬유 재질의 제2 벨크로(142)에 부착한다. 이 때, 복수의 고정수단(140)이 구비되는 부목 커버(100)에 있어서, 제1 벨크로(141)가 모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제1 벨크로(141)를 당길 때 모두 한 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제1 벨크로(141)를 당기는 힘에 의하여 부목 커버(10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고정수단(140)에 있어서 이웃하는 고정수단(140)의 제1 벨크로(또는 제2 벨크로)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때, 이웃하는 고정수단 사이에서 제1 벨크로(141)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제1 벨크로(141)를 당기는 힘이 서로 상쇄되어 부목 커버(100)가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부목 심재(200)는 환부 영역을 지지하여 환부의 가동성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구성된다. 부목 심재(200)는 소정의 두께, 길이 및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대략 40cm 내외의 길이와, 15cm 내외의 폭과 3mm 내외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부목 심재(200)는 그 형태가 고정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가소성 소재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열을 가하는 경우 형태가 자유롭게 변하고, 냉각되는 경우 경화되어 형태가 유지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목 심재(200)는 부목 커버(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열을 가한 후, 사용자의 환부에 밀착하면 환부에 대응하는 최적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물에 경화되어 굳는 소재의 심재를 사용할 때, 압박 붕대로 다리 전체를 감아 소재가 경화 될 때까지 기다리고 압박붕대를 버려야 하는 문제가 있으나, 본 실시예의 부목 심재(20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수경화성 깁스(심재)의 경우 완전히 경화하기까지 3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본 실시예의 부목 심재(200)는 5분 내외로 경화되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경화되더라도 열을 가하면 다시 형태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부목 심재(200)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목 심재(200)를 재사용하는 경우 동일 사용자에 대해서는 부목 커버(100)도 함께 재사용할 수 있으나, 다른 사용자에 대해서는 부목 커버(100)를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목 심재(200)를 재사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목 심재(200)는 시온도료(카멜레온도료)가 혼합된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다. 시온도료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조성물로서, 시온도료가 혼합된 열가소성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의 온도 즉, 수지가 가열된 상태인지 냉각된 상태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부목 심재(200)에 열을 가하여 환부 형상으로 성형한 후 사용자는 색상을 확인하여 부목 심재(200)가 경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완전히 경화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움직일 수 있다. 부목 커버(100)에 삽입된 부목 심재(200)의 색상은 외피(120)의 투광 홀(121)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목 심재(200)는 다수의 관통 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201)은 외부 영역과 환부 영역 사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관통 홀(201)은 공기 흐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목 커버(100)의 투광 홀(111,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 홀(201)은 투광 홀(121)을 통하여 부목 심재(200)가 외부로 시인될 수 있도록 투광 홀(12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5mm 내외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부목 심재(200)는 내면 즉, 환부에 접촉되는 면에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 돌기(202)가 형성된다. 부목 어셈블리를 환부인 무릎 배면에 착용하는 경우 하중에 의하여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걸림 돌기(202)는 부목 어셈블리를 환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흘러내리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걸림 돌기(202)는 부목 심재 표면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스트라이프 구조를 이루거나 다수의 철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보조 밴드(300)는 환부의 관절 영역을 감싸면서 착용되어 환부를 압박함으로써, 염증 등의 증상이 확대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한 보조 밴드(300)는 부목 커버(100)와 분리되는 별도의 구성을 형성하고, 환부를 지압하는 지압부(310)와 지압부(310)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보조 밴드(300)는 지압부(310)에 무릎뼈를 회피시키는 회피 홀(3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부목 어셈블리는 부목 심재(200)가 부목 커버(100)에 착탈될 수 있으므로, 보관이나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목 어셈블리는 부목 심재(200)가 부목 커버(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부에 결합하여 환부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관절 영역 즉, 무릎에서 보조 밴드(300)를 추가로 결합하여 환부의 움직임을 더욱 안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부목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환부(무릎)에 장착하는 과정과 장착된 상태를 살펴본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목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부목 어셈블리는 보조 밴드(300)를 환부인 무릎에 먼저 착용하고, 부목 심재(200)가 삽입된 부목 커버(100)를 추가로 착용하여 환부를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부목 심재(200)는 부목 커버(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부목 심재(200)가 가열된 상태에서 부목 심재(200)가 무릎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환부에 착용하여 환부의 형상에 형합되도록 성형한다. 부목 심재(200)는 최적의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서서히 냉각됨과 동시에 경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는 부목 커버(100)의 투광 홀(121)을 통하여 부목 심재의 색상 변화를 확인한다. 일 예로, 부목 커버(100)는 가열된 상태에서 백색으로 나타나고, 냉각된 상태에서 청색으로 나타나도록 시온도료가 혼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부목 커버(100)가 청색으로 나타날 때 완전히 경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부목 커버(100)를 먼저 착용하고 나중에 보조 밴드(300)를 착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 밴드(300)는 환부와 부목 커버(100)를 함께 감싸도록 착용하여 부목 커버(100)를 보조하여 부목을 환부에 고정한다. 따라서 보조 밴드(300)는 관절 영역에서 부목 커버(100)를 환부에 밀착시켜 관절 영역의 움직임을 추가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부목 커버
110 : 내피 120 : 외피
111,121 : 투광 홀 112 : 심재 삽입구
130 : 심재 포켓
140 : 고정수단
141 : 제1 벨크로 142 : 제2 벨크로
200 : 부목 심재
201 : 관통 홀 202 : 걸림 돌기
300 : 보조 밴드
310 : 지지부 320 : 고정부
311 : 회피 홀

Claims (6)

  1. 열가소성 수지가 가열된 후 환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환부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온 상태에서 경화되어 환부를 지지하는 성형물을 구성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는 온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조성물이 혼합되어 사용자가 색상의 변화로 상기 성형물의 경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료용 부목 심재.
  2. 내피와 외피가 결합되면서 그 사이에 심재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내피에는 심재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외피에는 환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는 부목 커버; 및,
    가열된 후 환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환부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후 상온 상태에서 경화되어 환부를 지지하는 부목 심재;를 포함하여,
    상기 부목 심재는 상기 심재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심재 포켓에 삽입되거나 상기 심재 포켓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목 심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온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조성물이 혼합되어 색상의 변화로 경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외피의 길이 방향으로 두 개 이상 마련되면서, 상기 외피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유닛과 상기 외피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유닛에 대응하는 제2 유닛으로 구성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서로 반대 위치의 상기 외피 측 단부에 형성되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
  5. 제 2 항에 있어서,
    환부를 감싸면서 환부를 압박하도록 착용되는 보조 밴드;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밴드는,
    환부와 상기 부목 커버를 함께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부목 커버를 환부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
KR1020220048399A 2022-04-19 2022-04-19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 KR20230149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399A KR20230149116A (ko) 2022-04-19 2022-04-19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399A KR20230149116A (ko) 2022-04-19 2022-04-19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116A true KR20230149116A (ko) 2023-10-26

Family

ID=8850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399A KR20230149116A (ko) 2022-04-19 2022-04-19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11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701B1 (ko) 2011-11-10 2013-03-26 선동윤 의료용 부목
KR101444154B1 (ko) 2012-06-25 2014-09-26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KR101815793B1 (ko) 2016-12-05 2018-01-08 선동윤 의료용 부목
KR20220005934A (ko) 2020-07-07 2022-01-14 (주)유엔아이메디컬 피부 트러블 방지 및 통풍이 용이한 환자용 부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701B1 (ko) 2011-11-10 2013-03-26 선동윤 의료용 부목
KR101444154B1 (ko) 2012-06-25 2014-09-26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KR101815793B1 (ko) 2016-12-05 2018-01-08 선동윤 의료용 부목
KR20220005934A (ko) 2020-07-07 2022-01-14 (주)유엔아이메디컬 피부 트러블 방지 및 통풍이 용이한 환자용 부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79830A1 (en) A breathable and customized cast for immobilization of fractured limb
KR100446555B1 (ko) 골절고정을 위한 부목겸용 깁스부재
KR101916033B1 (ko) 환자용 부목
US11344441B2 (en) Thermoplastic cast having excellent deformability and rigid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0989427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KR20230149116A (ko)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
US3832997A (en) Orthopedic device for combination with a plaster cast
KR101878266B1 (ko)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
KR101834004B1 (ko) 피부보호대와 결합되는 지지 조립체를 가지는 캐스트형 부목
KR20060098514A (ko) 의료용 부목
KR101247701B1 (ko) 의료용 부목
KR20210059346A (ko)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KR101781630B1 (ko) 일체형 스플린트
KR101309636B1 (ko) 의료용 부목
KR10156364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502677B1 (ko) 정형외과용 플라스틱 스플린트
KR102070654B1 (ko)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40541Y1 (ko) 경화성 심재 분리형 정형외과용 부목
KR102352168B1 (ko) 욕창 방지용 부목
KR20150061263A (ko) 의료용 투명성 부목 부재
KR102390084B1 (ko)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US20230172761A1 (en) Self-adhesive flexible bandages for joints
KR200268249Y1 (ko) 골절고정을 위한 부목겸용 깁스부재
US20220015953A1 (en) An adjustable limb stabilization device
WO2020060291A1 (ko) 욕창 방지용 부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